한국   대만   중국   일본 
수안弓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수안弓奏 (壽安宮主,?? ~ 1199年 6月 23日 )는 高麗 의 王族이다. 明宗 議政王后 (광정태후)의 둘째 딸이다. 수안公州 (壽安公主), 수안宮公州 (壽安宮公主)라고도 한다.

수안弓奏
壽安宮主
高麗 明宗의 公州
이름
別號 수안公州, 수안宮公州
身上情報
出生日 未詳
死亡日 1199年 6月 23日 (陰曆)
父親 明宗
母親 議政王后 金氏
配偶者 唱和後 왕우
子女 왕현 , 太子妃 王氏

生涯 編輯

家計 編輯

高麗의 第19代 人 明宗과 議政王后의 둘째 딸로, 언제 태어났는지는 不分明하다. , 本館 開城 이다. 毅宗 新種 等의 조카이며, 康宗 의 親男妹이다. 또 熙宗 에게는 親四寸人 同時에 丈母가 된다.

수안弓奏의 母后 광정태후는 宗室 江陵공 왕온의 딸로, 毅宗非 장경왕후 및 新種非 선정태후 와는 親姊妹間이다. 따라서 장경王后와 선정태후는 수안弓奏의 伯母, 叔母인 同時에 姨母이다 [1] .

公州 時節 編輯

1173年(明宗 3年) 陰曆 4月 25日 언니( 延禧宮週 )와 함께 正式으로 公主에 冊封되어 그 수안宮公州 (壽安宮公主)라고 하였다 [2] . 1179年(明宗 9年) 肅宗 의 아들 대방공 王補의 曾孫子인 [3] 唱和後 왕우와 婚姻하였다 [4] . 唱和後와 수안弓奏는 서로 8寸間이며 [5] , 同時에 唱和後가 수안弓奏의 姑母인 映畫弓奏 의 아들이므로 高宗 四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둘의 婚姻은 近親婚 이다.

1180年(明宗 10年), 明宗이 寵愛하는 宮女 명춘(明春)이 죽자 슬픔을 참지 못하였고, 거느리는 後宮 中에서 마음에 드는 者가 없었다. 그러자 둘째 公主를 불러들여 여러 가지 일을 管掌하게 하고 밤낮으로 곁을 떠나지 못하게 하며, 가끔 한 이불을 덮고 같이 자기도 하는 等 至極히 아꼈다. 이에 사위인 唱和後 왕우가 여러 달 동안 홀로 지내게 되어 憤을 이기지 못하고 離婚하려고 하였다. 王이 이 消息을 듣고 唱和後를 불러 수창궁(壽昌宮)의 東便에 位置한 太後의 行宮(行宮)에 居處하게 하고, 날마다 公主로 하여금 平常服 차림으로 가서 다독거리게 하였다. 11月이 되어서야 公主를 自己 집으로 돌려보냈다.

1199年(新種 2年) 陰曆 4月 24日, 土星 이 서로를 犯하는 現象이 觀測되었다. 當時 이 現象을 보고 정통원 이라는 自家 點을 치기를, "今年 6月 下旬에, 驪州(女主)의 上司가 있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해 陰曆 6月 癸未일에 實際로 수안弓奏가 死亡하였다 [6] .

수안弓奏의 家族 編輯

수안弓奏의 男便 唱和後 우는 元來 窓畫伯에 封해졌으며, 肅宗의 아들 대방공의 曾孫子이다. 唱和後의 아버지는 塑性後 王公이며, 어머니는 人種 의 딸이자 수안公主의 姑母인 映畫弓奏이다. 窓畫伯은 수안弓奏와 婚姻하고 唱和後로 進封되었으며, 新種 卽位 後 搜査도 上柱國의 爵位를 받았다 [3] .

한便 窓畫伯과 수안弓奏는 《 高麗史 》의 記錄에 依하면 적어도 아들 하나와 딸 하나를 두었다. 아들은 왕현 이며, 그 生涯에 對한 별다른 記錄은 남아있지 않다 [3] . 딸은 熙宗 이 太子이던 때 太子妃가 되었는데, 當時 自身의 딸을 王妃로 만들려던 최충수 에 依해 廢位되었다. [7] 當時 太子妃를 廢位할 때 新種과 선정태후를 비롯한 宮中의 많은 사람들이 매우 슬퍼하였다고 한다. [7] 한便 이 消息을 알게 된 최충헌 은 동생 崔忠粹에게 그 딸을 太子妃로 들이지 말라고 타일렀으나, 崔忠粹가 끝내 말을 듣지 않자 反逆罪로 그 무리를 討伐하였다. 以後 崔忠粹는 崔忠獻의 心腹들에 依해 斬首되었다 [8] .

家族 關係 編輯

  • 祖父: 第17代 人種 (仁宗, 1109~1146, 在位:1122~1146)
  • 조某: 人種 第3비 工藝王后 (恭睿王后, 1109~1183)
    • 父王: 第19代 明宗 (明宗, 1131年~1202年, 在位:1170年~1197年)
  • 外祖父?: 江陵공 왕온(江陵公 王溫,??~1146)
    • 母后: 明宗 第1비 광정태후 (光靖太后, 生沒年 未詳)
      • 오빠: 第22代 康宗 (康宗, 1152~1213, 在位:1211~1213)
        • 조카: 第23代 高宗 (高宗, 1192~1259, 在位:1213~1259)
    • 언니?: 延禧宮週 (延禧宮主, 生沒年 未詳)
    • 媤아버지?: 塑性後 王公(邵城侯 王珙, 生沒年 未詳)
    • 媤어머니, 姑母?: 映畫弓奏 (永和宮主, 1141~1208)
      • 男便?: 唱和後 왕우(昌化侯 王祐, 生沒年 未詳)
        • 長男?: 왕현 (王泫, 生沒年 未詳)
        • 長女?: 太子妃 王氏(王氏, 生沒年 未詳)
    • 伯父, 姨母夫?: 高麗 第18代 王 毅宗 (毅宗, 1127~1173, 在位:1146~1170)
    • 伯母, 姨母?: 毅宗 第1비 장경왕후 (莊敬王后, 生沒年 未詳)
    • 叔父, 姨母夫?: 高麗 第20代 王 新種 (神宗, 1144~1204, 在位:1197~1204)
    • 叔母, 姨母?: 新種 第1비 선정태후 (宣靖太后,??~1222)
      • 四寸, 사위?: 高麗 第21代 王 熙宗 (熙宗, 1181~1237, 在位:1204~1211)

수안弓奏가 登場한 作品 編輯

出處 編輯

  1. 《高麗史》權90〈列傳〉權3 - 조선공 王都
  2. 《高麗史》權19〈勢가〉권19 - 明宗 3年 4月 - 王의 두 딸을 公主로 冊封하다
  3. 《高麗史》權90〈列傳〉權3 - 대방공 王補
  4. 《高麗史》權91〈列傳〉權4 - 수안弓奏
  5. 수안弓奏 ← 明宗 ← 人種 ← 睿宗 ← 肅宗 → 대방공 → 王維 → 塑性後 → 唱和後
  6. 《高麗史》權48〈地〉權2 - 天文2 - 月誤性能汎急性便(月五星凌犯及星變)
  7. 高麗史 》 卷129, 列傳 勸第42, 反逆(叛逆), 최충헌 (崔忠獻)
    崔忠獻이 崔忠粹를 處斷하여 權力을 獨占하다
    以前에 太子( 熙宗 )가 窓畫伯(昌化伯) 왕우(王祐)의 딸을 비(妃)로 맞았는데, 이때에 와서 최충수 (崔忠粹)가 自身의 딸을 太子에 바치려고 王에게 굳이 請하니, 王이 좋아하지 않았다.

    崔忠粹가 거짓으로 내인(內人)에 말하기를,

    “王께서 이미 太子妃를 내보내시지 않았는가?”라고 하였다.

    來人이 王에게 報告하니, 王이 어쩔 수없이 太子妃를 내보내었다.

    太子妃가 흐느껴 울고 목이 메이기를 스스로 이겨내지 못하니, 王后( 선정왕후 )도 눈물을 흘렸으며 宮中에서 눈물을 흘리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8. “《高麗史節要》第13卷 - 明宗광孝大王 2” . 2016年 10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0月 30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