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送信所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送信所 (送信所)는 放送局 이나 無線局 等에서 傳播 信號를 傳達받아 特定 或은 不特定 多數의 受信裝置가 있는 範圍內의 空間으로 送出하는 施設이다.

放送局의 境遇

編輯

放送用의 送信所는 個別 放送社나 地域에 따른 事情으로 인해 여러 가지 差異가 있다. 放送用으로 割當하는 放送用傳播(放送波)는 短波放送 等을 除外한 歷史的 經緯나 業務內容(放送區域이 原則的으로 市·道 單位인 것 等)의 事情으로 인해 長距離 電送用의 周波數는 基本的으로 割當하지 않는다. 게다가 放送에는 시스템의 높은 信賴性이 要求되므로 放送局의 送信所는 여러 가지 可聽圈域에 비해 大規模로 設置된다. 例를 들어, 中波(AM) 라디오 放送에서는 100kw의 高出力 送信에 100m 가까운 송신철塔(송신 안테나)을 設置하여 首都圈 全體를 커버하는 境遇가 있다. 또한 放送은 不特定 多數의 一方的인 情報傳達, 卽 송신만을 하기 때문에 送信所는 다른 無線局의 그것보다도 規模를 不問하고 大體로 放送의 送信만 專擔하는 境遇가 많다.

放送局의 送信所에서는 演奏所에서 無線(主로 마이크로웨이브) 或은 有線回線에 依해 映像·音聲信號를 傳達받아 送信裝備를 利用해 電波를 안테나에서 複寫(輻射)한다. 또한 放送波의 送信에 使用되는 送信裝備를 特히 放送機(broadcast transmitter)라고 부르는 境遇가 많다.

大韓民國의 地上波 텔레비전, 라디오 放送局은 放送局이 指定한 可聽圈域의 過半數를 擔當하는 送信所와, 送信所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難視聽 地域에서 放送 서비스를 하는 中繼所를 가진다. 普通 送信所는 大規模의 送信設備를 갖추고 있으며, 中繼所는 送信所에 비하면 相對的으로 小規模의 中繼裝置만 갖추고 있는 境遇가 많다. 또한 出力 1와트 內外의 所出力 라디오 放送局은 小規模 아마추어 無線局 程度의 送信施設로도 充分하기 때문에 演奏所와 送信所가 竝設되어 있는 境遇도 있다.

AM라디오 放送用의 送信所 等을 除外한 多數의 送信所는 可聽圈域을 멀리까지 眺望할 수 있는 山 頂上에 設置되어 있다. 外國에서는 山이 아닌 平野에서 몇百미터 크기의 送信塔을 設置하는 境遇도 있다. 送信所는 1個 放送社가 單獨으로 所有하는 境遇와 2個 以上의 放送社가 共同으로 所有하는 境遇도 있으며, 宗敎放送·交通放送 等 特殊放送의 境遇에는 타 放送社의 送信所를 賃貸받는 境遇도 있다.

回旋

編輯

演奏所에서 送信所로의 信號電送은 電氣通信事業者가 敷設하는 專用 有線回線, 放送社가 所有한 無線回線(STL) 等으로 이루어진다. 中繼所에서는 放送波를 受信하여 그것을 再送信하는 方式(放送波中繼), 放送 全義 信號를 有線 或은 無線으로 받아서 그것을 送信하는 方式이 있다.

放送機

編輯

氣象의 變化가 甚하고 山岳地形이 많은 大韓民國에서 AM 라디오 放送은 大槪 10~250㎾, FM 라디오 放送과 TV 放送은 1~50㎾ 假量의 出力으로 送信한다. 1年 내내 24時間 放送에 잘 견뎌야 하기 때문에 送信裝備의 고장에 쉽게 放送이 中斷되지 않도록 豫備 送信裝置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從來의 眞空管이 아닌 半導體에 依한 增幅器를 使用한 放送機에서는 多數의 放送機 모듈의 出力을 合成하는 方式이 主流를 이루고 있어, 增幅器 하나가 故障을 일으켜도 바로 放送이 中斷되지는 않는다. 이런 境遇 故障난 增幅器의 出力分을 다른 增幅器가 補完하도록 하고 있어, 定格出力에 餘裕를 가지게 하는 構成으로 되어 있다.

中繼所에서는 大槪 狹小한 難視聽 區域만을 擔當하기 때문에 大槪는 1㎾ 以下의 出力으로 送信한다. 다만 中繼所는 大槪 維持管理가 어려운 곳에 設置하는 關係로 最近에는 送信所와 같은 形態의 裝置의 故障으로 쉽게 放送이 中斷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電波塔

編輯

電波를 送信하는 鐵塔으로, 送信所를 象徵하는 施設이다. 放送을 위한 電波를 送信하는 안테나가 尖端部에 設置되어 있으며, 普通 電波干涉이나 建築物에 依한 電波의 妨害를 避하기 위해 산 等의 高地帶에 設置하는 境遇가 많다. 高出力의 電波가 放出되기 때문에 周圍에 電波障礙가 發生하는 境遇가 있다.

英語로는 마스트(mast)나 타워(tower)로 區分하여 부른다. 마스트는 垂直으로 길쭉한 模樣의 鐵塔으로, 여러個의 와이어가 鐵塔을 받쳐줘야 하기 때문에 送信所 敷地가 넓어야하는 短點이 있으나 建設費가 적게 들어간다. 타워는 自立式 或은 캔틸레버를 使用한 四角뿔 形態의 鐵塔이다. 大韓民國에서는 AM 放送用 送信所는 마스트, FM·TV 放送用 送信所는 타워 形態의 鐵塔을 使用한다.

안테나

編輯

放送機의 出力을 放送波로 輻射하기 위한 안테나 는 放送圈域과 送信機의 出力電力에 따라 適切한 利得과 方向性을 가진 것을 選擇한다. 안테나에 따라서 틸트(tilt)시켜 使用하는 境遇도 있다. 高出力 送信은 放送機가 大型인 만큼 經濟的이지 못하며 維持管理費用이 커지는 關係로 可能한 實效輻射電力(ERP)을 크게, 放送機의 出力電力을 작게 하도록 設計되어 있으나, 大型 안테나로 하면 할수록 또한 非經濟的이기 때문에 兩者를 折衷하는 것이 매우 重要한 일이다. 特히 中繼所의 안테나는 必要한 可聽圈域을 確保하여 다른 圈域의 放送에 影響을 미치지 않게 하도록 注意깊게 選定된다. 通常 VHF 또는 UHF 안테나는 周圍의 妨害物을 避하기 위해 산 等 高地帶의 鐵塔 위에 設置된다(AM 라디오 放送用의 送信所에 竝設되는 境遇도 있으나 大韓民國에서 그러한 事例는 全無하다). 또한 AM·短波 라디오 放送用의 안테나는 接地抵抗이 적은 바닷가나 江가, 濕地帶 等에 垂直으로 無志向性 안테나를 建設하는 境遇가 많다. 다만 바닷가에 設置된 안테나의 境遇 鹽害 等으로 腐蝕이 發生하여 안테나의 壽命이 짧아지는 問題點이 있다.

其他 設備

編輯
  • 遠隔裝置
演奏所와 전용선,電話線,無線回線에 依해 連結되어, 演奏所로부터 送信所의 各 機器의 制御를 遂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各 機器의 狀態에 關해서도 遠隔裝置에 依해 演奏所로 報告한다. 小規模 中繼所에서는 通報機能만 있는 裝置가 使用된다.
  • 에어 모니터
送信所에 設置된 텔레비전·라디오 受像機.
  • 非常用 스튜디오·調整室
特히 AM 라디오 送信所에서, 大規模 災害 等으로 演奏所가 使用不能에 되는 事態를 對備하여 最小限의 放送을 繼續할 수 있는 스튜디오를 設置한 境遇가 있다.
  • 豫備電源裝置 (自家發電裝置·無情前 電源裝置)
電源供給이 中斷되는 境遇에서도 一定期間 放送을 繼續할 수 있게 한다.
  • 職員用 施設
特히 送信所에서는 職員이 一定期間 常住하여 勤務하기 때문에 最小限의 施設을 갖추고 있는 境遇가 많다. 具體的으로는 放送設備의 保守點檢, 地震·颱風·洪水·海溢·暴雪 等의 自然災害 發生時, 或은 이에 準하는 非常狀況이 發生할 境遇에 使用된다. 最近에는 送信所의 無人化를 推進하고는 있지만 예전에는 거의가 誘引 體制였기 때문에 當時의 施設을 그대로 或은改修하여 使用할 수 있게 하는 境遇도 있다. 鬱陵島 等 環境이 劣惡한 곳에 設置된 中繼所度 마찬가지이며, 萬一의 事態에 對備한 食水·食糧·醫藥品·寢具類가 備蓄되어 있다.

寫眞

編輯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