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宗敎人; 나사렛 예수의 어머니
( 聖母 마리아 에서 넘어옴)

마리아 ( 라틴語 : Maria , 그리스어 : Μαρι?μ , 히브리어 : ??????? Miriam , 아랍語 : ??????? , 아람어 : ???? Mary?m , 紀元前 18年 警 ~ 書記 41年 警)는 新約聖經 에서 예수 의 어머니로 登場하는 갈릴래아 나자렛 出身 유대人 女性이다. 그리스도교 에서는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 메시아 )이며, 降生한 聖者 라고 믿는다. 天主敎 正敎會 에서는 ‘聖母(聖母) 마리아’ 또는 ‘복되신 同情(童貞) 마리아’, ‘童貞女(童貞女) 마리아’라고 呼稱한다. 이슬람敎 에서도 마리아는 主要 人物로서, 꾸란 의 한 張에 마리아에 對해 記錄하였다.

聖母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 天上의 母后 , 敎會의 어머니
出生 紀元前 18年
나자렛
腺腫 41年
예루살렘 또는 에페소
敎派 基督敎 ( 普遍敎會 , 로마 가톨릭교회 , 東方 正敎會 , 聖公會 , 루터교 , 오리엔트 正敎會 , 콥트 正敎會 , 에티오피아 正敎會 )
祝日 8月 15日

新約聖經의 마태오 福音書 壘가 福音書 에서 마리아를 '童貞女'(그리스語: παρθ?νο?, 파르테노스)라고 부르고 있다. 傳統的으로 그리스도人들은 그女가 聖靈 으로 인하여 處女 狀態에서 예수를 孕胎하였다고 믿고 있다. 이슬람敎 度들도 마리아가 하느님 의 命令에 따라 處女의 몸으로 受胎하였다고 믿고 있다. 이 일은 約婚者였던 요셉 과 婚姻을 앞둔 渦中에 일어났다. 마리아는 요셉과 婚姻한 後에 그를 따라 베들레헴 으로 가서 그곳에서 예수를 낳았다. [1]

壘가 福音書에서 마리아가 처음으로 登場하는 場面은, 天使 가브리엘 이 마리아 앞에 나타나 그女가 예수의 어머니가 될 몸으로서 하느님이 聖別했음을 알리는 場面에서 登場한다. 福音書를 보면, 마리아는 예수가 十字架에 못 박혀 죽었을 때 함께 있었으며, 예루살렘 初期 基督敎 共同體 一員으로 描寫하고 있다. 初代 敎會 때부터 내려온 傳承에 依하면, 마리아는 地上에서 生涯를 마친 後에 肉身과 靈魂 이 모두 예수에 依해 天國 으로 들어 올림을 받았다고 한다.

마리아는 初期 基督敎 의 異端 靈智主義 假現說 을 異端 主張으로 定義하는 重要한 根據가 되는 人物이며, 人性과 神性을 지닌 그리스도에 對한 敎理를 形成하는 根據이다. 그리스도에 對한 神學 理論에서 重要하게 다루는 人物이다. [2] [3] 基督敎 敎派들 가운데 天主敎 東方 正敎會 , 오리엔트 正敎會 , 콥트敎會 , 시리아 正敎會 , 聖公會, 루터교 等에서는 마리아를 聖者 人 예수의 어머니라는 意味로 테오토코스 라고 부르고 있다. 主要 基督敎 傳統들에서는 마리아에 對한 다양한 信心들이 存在하는데, 特히 天主敎에서는 마리아와 關聯해서 4代 交椅 를 믿고 있다. 卽 마리아는 하느님의 어머니이며, 原罪 없이 孕胎되었으며( 原罪 없는 孕胎 ), 平生 童貞女이고( 마리아의 平生 同情 ), 地上에서의 生涯를 마친 後에는 肉身과 靈魂이 함께 天國으로 들어올림을 받았다는 것이다( 聖母 昇天 ). [4] 西方敎會 의 一員으로서 가톨릭的 傳統이 남아있는 聖公會 에도 聖母 마리아 信心의 傳統과 文化가 相當 部分 繼承되어왔으며, 루터교 亦是 마리아와 聯關된 傳統的인 祝日 中 세 날(수태고지, 聖母 訪問, 主님의 어머니 마리아 永眠)李 記念日로 남아있는 等 聖母 마리아 恭敬 傳統이 最小限으로나마 남아있지만, 이들 外에 改新敎 全般은 聖母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일 뿐 그에 對한 神學的 比重이 매우 적거나 없다. [5]

이름

編輯

마리아(Maria)라는 이름은 코이네 그리스어 '마리암'(Μαρι?μ)의 縮約型인 '마리아'(Μαρ?α)에서 由來하였다. 마리아가 實際로 使用했던 言語인 아람어로는 '마리얌'(????) 또는 '마리암'이다. [6] 그리스어로 記錄된 初期 新約聖經에는 마리아의 이름을 Μαρ?α와 Μαρι?μ 둘 다 表記하였다.

基督敎에서 마리아는 普遍敎會 時節 靈智主義 異端과 區分하는 ' 테오토코스 ', 卽 神性을 지닌 예수를 出産했다는 意味로 稱하였다. 흔히 ‘童貞女’라고 부른다. 그 理由는 마리아가 男子와의 어떠한 關係도 맺지 않은 狀態에서 聖靈으로 인하여 奇跡的으로 예수를 孕胎했다고 믿기 때문이다. 童貞女라는 呼稱 外에도 西方 敎會 全般에서는 흔히 '聖母 마리아'라 稱하며, 天主敎에서는‘복되신 동정 마리아’, ‘하느님의 어머니’(天主의 聖母) 等의 呼稱으로 부르며, 東方敎會 에서는 如前히 ' 테오토코스 ' 呼稱으로 부른다.

飼料

編輯

新約聖經

編輯

家族과 初期 生涯

編輯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無理요 聖母 領報 .

新約聖經은 마리아의 個人的인 삶에 對해 짧게 言及하고 있다. 2世紀 文獻인 야고보 福音書 에서는 마리아의 父母에 對해 言及하는데, 아버지의 이름은 요아킴 이고 어머니의 이름은 안나 이다. [7] 요한 福音書 19章 25節에는 마리아가 自身과 마찬가지로 마리아라는 이름을 가진 姊妹가 있었던 것으로 나오는데, 2世紀 歷史學者 헤提示抛 에 따르면, 요셉의 兄弟 클로파스와 동서지간이라고 한다. [8]

壘가 福音書 에 依하면, 마리아는 아비야 組에 屬한 私製 즈카르야 의 아내이자 아론 의 子孫인 레위 支派에 屬한 엘리사벳 의 四寸이라고 한다. [9] 神學者들은 마리아가 엘리사벳과 親戚 關係라는 點에 注目하여, 마리아 亦是 男便 요셉과 마찬가지로 다윗 家門의 後孫이라는데 大體로 意見을 같이 한다. 그들은 마태오 福音書 1張에 記述된 예수의 族譜 는 요셉의 族譜이며, 루가 福音書 3章에 나오는 예수의 族譜는 事實上 마리아의 族譜라고 보고 있다. 두 福音書는 다윗 臺까지 이름이 同一하나, 그 다음부터는 이름이 서로 틀리다. 마태오 福音書 1張의 族譜는 다윗 다음에 솔로몬 으로 始作하는 데 反해, 루카 福音書 3張의 族譜는 다윗과 밧 세바의 셋째 아들인 나탄 으로 始作한다 [10] [11] (아론의 아내 엘리세바 는 유다 支派 사람이다. 따라서 두 사람의 後孫은 레위 支派인 同時에 유다 支派인 셈이다 [12] ).

 
마리오토 알베르티넬리 마리아의 엘리사벳 訪問 . 왼쪽 女人이 마리아이다.

마리아는 갈릴래아의 나자렛에 있는 自己 집 [13] 에서 約婚者 요셉과의 婚姻을 準備하며 지내던 中에 天使 가브리엘의 房門을 맞게 되었다( 聖母 領報 ). 가브리엘은 마리아를 “恩寵이 가득한 이”라고 부르며 人事한 다음 그女가 聖靈을 통하여 메시아로 約束받은 한 사내아이를 孕胎하여 그의 어머니가 될 것이라고 알려 주었다. 이에 마리아는 “저는 主님의 種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하며 純全히 自由意志로 하느님의 뜻에 全的으로 殉名하겠다고 對答하였다. 그러자 가브리엘은 마리아에게서 떠나갔다. [14] 몇달 後, 요셉이 마리아의 妊娠 事實을 알고 남몰래 그女와 破婚하기로 作定하였다. 그 때, 그의 꿈에 天使가 나타나서 마리아의 妊娠은 聖靈으로 말미암은 것이니 두려워하지 말고, 그女를 아내로 맞이하라고 指示하였다. 잠에서 깨어난 요셉은 天使가 命令한 대로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들였다. 그러나 마리아와 잠자리를 같이하지는 않았다. [15]

天使가 다녀간 後, 마리아는 서둘러 유다 山岳 地方에 있는 한 고을 [16] 에서 男便 즈카르야와 함께 사는 四寸 엘리사벳의 집을 訪問하였다. 엘리사벳은 오랫동안 妊娠하지 못하였다가, 亦是 天使 가브리엘의 豫告대로 奇跡的으로 妊娠하였다. 마리아의 人事말을 듣고 엘리사벳은 聖靈으로 가득 차 그女에게 “當身은 女人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當身 胎中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내 主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보십시오, 當身의 人事말 소리가 제 귀에 들리자 저의 胎 안에서 아기가 즐거워 뛰놀았습니다. 幸福하십니다, 主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이라고 큰 소리로 외쳤다. 그러자 마리아는 하느님을 讚揚하는 노래를 불렀는데, 이 노래가 바로 마니피캇 (Magnificat)이다. 마니피캇이라는 題目은 마리아의 노래 첫 句節을 라틴語로 飜譯한 말이다. [17] 마리아는 석 달假量 엘리사벳과 함께 지내다가 自己 집으로 돌아갔다. [18]

 
헤라드 半 魂토르스트 牧者들의 敬拜 .

루카 福音書에 依하면, 로마 皇帝 아우구스투스 에게서 勅令이 내려져 로마 帝國의 모든 臣民이 戶籍 登錄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요셉도 갈릴래아 地方의 나자렛을 떠나 自己 故鄕인 유다 地方의 베들레헴 으로 갔다. 마리아도 요셉과 함께 베들레헴으로 가서, 그곳에서 사내아기를 낳았다. 그러나 마리아와 요셉은 宿泊할 旅館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馬廏間을 解散 場所로 利用하였다. [19] 루카 福音書에서는 예수가 태어난 날 밤에 들판에서 自己 羊 떼를 지키는 牧者들에게 天使가 나타나서 베들레헴의 구유에서 메시아가 태어났다는 消息을 알려 주었다고 言及한다. 그러자 牧者들은 서둘러 가서 마리아와 요셉과 구유에 누운 아기를 찾아내고, 天使가 自己들에게 傳한 말을 알려 주었다. 그리고 하느님을 讚揚하고 讚美하며 돌아갔다고 한다. [20] 마태오 福音書에서는 별을 硏究하다가 豫言대로 메시아가 베들레헴에서 태어났다는 것을 알게 된 東方博士 들이 먼 길을 찾아와서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있는 아기를 보고 땅에 엎드려 敬拜한 다음에 가지고 온 寶物 箱子를 열고 아기에게 黃金과 有香과 沒藥을 禮物로 바쳤다고 言及한다. [21] 그로부터 8日 後에 유대 律法에 따라 사내아기는 割禮를 받고 ‘예수’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 이름은 天使가 마리아와 요셉에게 일러 준 이름으로서 [22] , ‘하느님이 살리신다’는 뜻인데, 유대敎 文化圈에서 흔히 쓰이던 사람의 이름이다.

 
귀도 레니 聖殿에 奉獻된 예수 .

유대人들은 女子가 아기를 배어 사내아이를 낳았을 境遇, 몸이 疲勞 더렵혀져 이레 동안 不正하다고 보았다. 아마도 마리아 亦是 律法을 遵守하여 30日 동안 집 안에만 머물러 있어야 했을 것으로 推定된다. 30日이 지난 後에는 아들 예수를 위한 燔祭物로 1年 된 어린양 한 마리와 贖罪 祭物로 바칠 집비둘기나 山비둘기 한 마리를 만남의 天幕 어귀로 가져와서 司祭에게 주었을 것이며, 司祭는 마리아를 위하여 祭物을 奉獻하며 定缺禮를 擧行했을 것이다. 萬若 羊 한 마리를 바치지 못했을 境遇, 山비둘기 두 마리나 집비둘기 두 마리를 가져다가, 한 마리는 燔祭物로, 한 마리는 贖罪 祭物로 바쳤을 것으로 推定된다. [23] 또한, 마리아와 요셉은 아기 예수를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올라가 聖殿에 奉獻하였다. 모세의 律法에 “胎를 열고 나온 사내아이는 모두 主님께 奉獻해야 한다.”고 記錄되어 있기 때문이다. [24] 그 때, 시메온 은 아기 예수를 두 팔에 받아 안고 하느님을 讚美하고 나서 마리아에게 “보십시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反對를 받는 表徵이 되도록 定해졌습니다. 그리하여 當身의 靈魂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라고 豫言하였다. 더불어 한나 도 같은 時間에 하느님에게 感謝의 祈禱를 바치며, 예루살렘의 贖良을 기다리는 모든 사람에게 아기 예수에 對하여 이야기하였다고 한다. 시메온과 한나의 豫言을 들은 後, 마리아와 요셉은 갈릴래아에 있는 故鄕 나자렛으로 돌아갔다. [25]

예수의 生涯에서의 마리아

編輯
 
조토 카나의 婚姻잔치 .

마리아는 新約聖經에서 예수의 少年 時節에 對한 唯一한 記錄에서도 登場한다. 예수가 12歲가 되던 해에 마리아와 요셉은 그를 데리고 파스카 祝祭를 지내러 예루살렘으로 갔다. 그런데 祝祭 期間이 끝나고 돌아갈 때에 少年 예수는 예루살렘에 그대로 남았다. 마리아와 요셉은 그것도 모르고, 一行 가운데에 있으려니 여기며 하룻길을 갔다. 그런 다음에야 親戚들과 親知들 사이에서 찾아보았지만, 찾아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그를 찾아다녔다. 사흘 뒤에야 聖殿에서 그를 찾아냈는데, 그는 律法 敎師들 가운데에 앉아 그들의 말을 듣기도 하고 그들에게 묻기도 하고 있었다. 律法 敎師들은 예수의 슬기로운 答辯을 듣고 모두 놀라워하였다. 놀란 마리아가 예수에게 가서 “얘야, 우리에게 왜 이렇게 하였느냐? 네 아버지와 내가 너를 애타게 찾았단다.” 하자, 그가 마리아와 요셉에게 말하였다. “왜 저를 찾으셨습니까? 저는 제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하는 줄을 모르셨습니까?” [26] 예수가 洗禮者 요한 으로부터 요르단江 에서 洗禮를 받고 曠野에서 惡魔의 誘惑을 물리친 後, 마리아는 그와 함께 카나에서 열린 婚姻 잔치에 參席하였다. 그런데 葡萄酒가 떨어지자 마리아는 예수에게 葡萄酒가 떨어졌음을 알렸다. 예수가 “女人이시여, 아직 저의 때가 오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했지만, 마리아는 일꾼들에게 “무엇이든지 그가 시키는 대로 하여라.”라고 일러 주면서 예수의 處分에 穩全히 맡겼다. 結局 예수는 “물독에 물을 채워라.”고 指示한 다음 그것을 葡萄酒로 변화시켰다. 이렇게 예수는 첫 番째 奇跡을 行하였는데, 그 자리에는 마리아가 함께 있었다. [27] 그 뒤에 마리아는 예수의 兄弟들이라고 불린 야고보 , 요셉, 시몬, 유다 그리고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은 姊妹들을 帶同하고 群衆을 相對로 說敎하고 있는 예수를 찾아갔다. [28] 交付 曳撈니모 에 依하면, 여기서 ‘兄弟’와 姊妹라고 飜譯된 말은 實際로는 四寸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한다. [29] [30]

 
가브리엘 뷔거 十字架 길의 聖母 .

어머니와 兄弟들이 스승님을 뵈러 왔다는 群衆의 말에 對한 예수의 對答에 對해 各 福音書는 語法의 差異를 보인다. 루카 福音書는 “내 어머니와 내 兄弟들은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實行하는 이 사람들이다.”라고 記錄했고, 마태오 福音書와 마르코 福音書에는 “누가 내 어머니고 누가 내 兄弟들이냐?”라는 表現이 더 나와 있다. 그리스 胎生인 루카는 徹底한 男性 中心, 弟子 中心에서 벗어난 思考方式을 가지고 있었기에 直接的 表現을 쓰지 않았다. 反面 마태오 福音書와 마르코 福音書는 “누가 내 어머니냐?”라는 反問을 뒤에 씀으로써 하느님의 말씀을 따르는 것의 重要性을 强調했다. [31] 이 句節을 예수가 自身의 家族들을 拒絶하는 것으로 解釋하는 이들이 있는 反面, 마리아가 自身을 낳은 어머니일 뿐 아니라, 어머니야말로 하느님의 뜻을 行한 사람으로서 “내 어머니다.”라고 하는 것을 예수가 反語法으로 말한 것으로 解釋하는 이들도 있다. [32]

마리아는 또한 예수가 受難을 받고 十字架에 못박힐 때, 요한 福音書에서 예수가 사랑하는 弟子라고 表現된 使徒 요한 과 클로파스의 아내 마리아 , 마리아 막달레나 等의 女人들과 함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3] 마태오 福音書에서는 여기에 더해 제베隊伍 아들들의 어머니를 [34] , 마르코 福音書에서는 살로메 [35] 라는 女人을 追加하였다. 十字架에 못박힌 예수는 마리아와 요한을 보고, 마리아에게 말하였다. “女人이시여,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 이어서 예수는 요한에게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라고 말하며 마리아를 付託하였다. 그때부터 요한이 마리아를 곁에서 모셨다고 한다. [36] 十字架에 못박힌 예수 아래 서 있는 마리아의 場面을 가리켜 라틴語로 스타바트 마테르 (Stabat Mater)라고 表現한다. 正確한 뜻은 ‘어머니께서 서 계셨다’는 뜻으로, 通商 ‘슬픔의 聖母’나 ‘聖母 哀傷’, ‘十字架 길의 聖母’ 等으로 飜譯한다. [37] [38] 그리고 福音書에는 言及되어 있지 않지만, 十字架에서 내려진 예수의 屍身을 부둥켜 안은 마리아의 모습을 美術學界에서는 피에타 라고 부르며 美術 主宰로 다루고 있다.

예수의 昇天 以後

編輯

예수의 昇天 以後 11名의 使徒가 올리브 山에서 돌아와서 聖靈 降臨을 準備하며 예루살렘에 있는 多落望에 머물러 있을 때, 그들과 함께 머물렀던 사람들 中에 唯一하게 이름이 擧名된 사람이 마리아이다. [39] 一部에서는 요한의 둘째 書簡 1章 1節에서 言及된 ‘選擇받은 女人’李 마리아日 것이라고 推測하고 있다. 이 때부터 마리아는 新約聖經에 다시는 登場하거나 言及되지 않는다. 하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요한 默示錄 12張 1節에 登場하는 默示錄의 女人 이 마리아를 描寫한 것이라고 主張하고 있다.

마리아의 죽음은 聖經에 記錄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天主敎會와 東方 正敎會의 傳承과 敎理에서는 그女가 生涯를 마친 後에 天國으로 들어올림을 받았다고 한다. 마리아의 肉身이 天國으로 올라갔다는 믿음은 東方 基督敎 西方 基督敎 의 區分 없이 緋緞 天主敎會 뿐만 아니라, 東方 正敎會 [40] [41] 콥트敎會 [42] 그리고 聖公會 의 一部 共同體 等이 간직하고 있다.

初期 基督敎 飼料와 戰勝

編輯
 
클뤼니 國立 中世 美術館 에 所藏된 10世紀 말-11世紀 初의 聖母 安息 象牙판.

胃經 에 屬한 야고보 福音書 에 따르면, 마리아는 요아킴과 안나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안나는 마리아를 妊娠하기 前까지는 相當히 오랫동안 아기를 갖지 못했다. 舊約聖經 에서 한나 가 아들 사무엘 을 聖戰으로 데려간 것과 같이 요아킴과 안나도 마리아가 3歲가 되었을 때 예루살렘에 있는 聖戰으로 데려가 處女로서 奉仕하는 일에 바쳤다. [43] 一部 僞經에서는 요셉과 마리아가 婚姻할 當時 요셉의 나이는 30歲였고, 마리아는 12-14歲 假量이었다는 記錄이 있지만, 確實하지 않다. [44]

一部 基督敎人들은 마리아가 原罪 를 지닌 채 孕胎되어 태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罪로부터 자유로웠으며, 따라서 絶對로 죽음을 겪지 않았다고 主張한다. 原罪로 인한 結果 中의 하나가 죽음인데, 마리아는 原罪 없이 孕胎되었으므로 自然스레 原罪의 結果는 죽음을 맞이할 수 없다는 것이 그 理由였다. 그러한 緣由로 하느님의 어머니로서 完全無缺한 그女의 肉身이 땅에 묻혀 썩지 않고, 靈魂과 함께 天國으로 蒙召昇天하였다는 것이다.

테베의 히폴리투스 는 마리아가 예수가 十字架에 못박혀 죽은 날로부터 11年이 지난 西紀 41年에 腺腫하였다고 主張하였다. [45]

7世紀 基督敎 成人이자 證據자 막시모 가 執筆한 《 童貞女의 生涯 》는 現在 마리아의 生涯를 記錄한 文獻 가운데 가장 初期 文獻으로서, 예수 事後 初期 基督敎의 重要한 歷史的 資料 가운데 하나이다. [46] [47] [48]

19世紀에 獨逸의 아우구스티노回 修女 안나 가타리나 엠머릭 이 體驗恨 幻視를 土臺로 터키 에페소 隣近에 限 오래된 家屋이 發見되었다. [49] [50] 以後 天主敎會에서는 이 家屋이 마리아가 蒙召昇天하기 前까지 머물렀던 場所로 여기고 ‘ 同情 마리아의 집 ’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主要 巡禮地 가운데 하나로서 脚光받고 있다. [51] [52] [53] [54] 요한 福音書에서는 예수가 사랑하는 弟子 [55] 라고 表現된 使徒 요한 이 마리아를 모시며 살았다고 傳하고 있다. 이레네誤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오 또한 요한이 나중에 에페소로 갔다는 記錄을 남겼는데, 이는 마리아가 요한과 함께 에페소에서 살았다는 根據 資料가 되고 있다. [56] [57]

基督敎의 神心

編輯
 
600年頃 聖女 가타리나 修道院 에 그려진 聖母子와 天使들, 性 第오르지오, 性 테오도로의 이콘.

431年 에페소 公議會 以後 典禮曆上으로 마리아를 記念하는 體系가 자리잡기 始作하였다. 에페소 公議會는 約 100年 前에 마리아에게 奉獻된 에페소의 한 聖堂에서 召集되었다. [58] [59] [60] 이집트에서는 마리아에 對한 信心이 3世紀부터 始作되었으며, 알렉산드리아의 交付 오리게네스는 마리아를 가리켜 테오토코스 라고 指稱하였다. [61]

聖母님께 保護를 請하는 祈禱 (Sub tuum praesidium)와 같이 마리아에게 轉求를 請하는 가장 오래된 祈禱文들은 그 歷史가 3世紀(藥 270年頃)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1917年에 이집트에서 파피루스 形態로 남아있던 것이 再發見되었다. [62] [63] 313年 밀라노 勅令 以後 5世紀부터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調레 大聖殿 等 마리아를 守護 聖人으로 모시며 奉獻된 聖堂들이 增加하였으며, 마리아를 藝術的으로 表現한 성화상들이 만들어졌다. [64] [65] [66]

以後 數世紀에 걸쳐 基督敎 傳統 안에서 마리아에 對한 信心과 恭敬은 多樣化되었다. 正敎會 神學者 세르게이 불가코프는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복되신 동정 마리아를 사랑하고 恭敬하는 것은 正敎會의 敬虔한 精神이다.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하면서 그분의 어머니를 恭敬하지 않는 것은, 正敎會와 다른 信仰을 지닌 基督敎이다.” [67]

天主敎會에서는 마리아가 그리스도에게 徹底히 隸屬되어 있지만, 그女가 世上의 다른 모든 被造物보다 더 높은 位置를 차지한다고 바라보고 있다. [68] 東方 正敎會 亦是 이와 비슷하게 마리아가 하느님의 모든 創造物 가운데 가장 뛰어난 被造物이며 人類를 위해 끊임없이 仲裁하며 祈禱하는 存在로 보고 있다. [67] 正敎會 神學者 세르게이 불가코프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우리는 마리아께 榮光을 드리기는 하지만, 하느님께 바치는 敬拜를 드리지는 않는다.” 天主敎會 亦是 마리아를 恭敬할 뿐, 崇拜하지는 않는다고 線을 그어놓고 있다. 天主敎會에서는 特別히 마리아에게 드리는 恭敬을 하느님에게 드리는 欽崇之禮 보다는 낮지만, 다른 成人들에게 드리는 恭敬之禮 보다는 좀 더 높은 上敬之禮 라고 表現하고 있다. [69] 欽崇之禮와 上敬之禮, 恭敬之禮의 區分은 787年 第2次 니케아 公議會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70]

基督敎 傳統 속에서 마리아를 美術的으로 表現한 것들이 매우 다양하다. 普遍敎會 時節부터도 마리아를 主題로 삼은 美術은 오랜 傳統을 갖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西方敎會의‘성모자’(聖母子)라고도 불리는 마돈나 는 特히 由緖가 매우 깊다. 正敎會 美術에서도 마리아를 描寫한 이콘이 가장 代表的으로 恭敬받고 있다는 것은 疑心의 餘地가 없다. 天主敎會와 正敎會 兩側 모두 마리아像에 對한 恭敬을 許容하고 있다. 787年 第2次 니케아 公議會 에서는 성화상 恭敬은 성화상 自體에 對한 恭敬이 아니며 그것을 통해 表現된 그리스도나 成人들 및 天使들에 對한 恭敬이기 때문에 偶像 崇拜가 아니라고 結論을 내렸으며, [71] 842年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에서도 이와 같은 立場을 再次 確認하였다. [72] 그러나 正敎會에서는 3次元 像本이나 星霜이 아니라 오직 2次元의 成火인 이콘 앞에서만 祈禱하며 恭敬하고 있다. [73]

마리아에 對한 聖公會의 立場은 一般的으로 볼 때, 다른 改新敎 敎派들에 비해 相當히 宥和的이다. 한 例로, 캔터베리 大主敎 로원 윌리엄스 는 自身의 著書에 마리아賞 앞에서 祈禱하는 것에 對해 “우리가 그리스도를 向한 마리아를 바라보지 않는다면 마리아를 理解할 수 없을 뿐더러, 마리아에 對한 그리스도의 보살핌을 바라보지 않으면 그리스도를 理解할 수 없다.”라는 글을 쓴 바 있다. [74]

呼稱

編輯
 
아야 소피아 에 그려진 聖母 마리아 이콘

基督敎 傳統에서는 마리아에 對한 恭敬心이나 電球를 要請하기 위해 表現된 여러 가지 呼稱이 發見된다. 一般的으로 西方敎會 地域에서 가장 大衆的인 呼稱들로는 ‘하느님의 어머니’( 테오토코스 ), ‘복되신 동정 마리아’, ‘聖母’ 또는 ‘貴婦人’(Our Lady, Notre Dame, Nuestra Senora, Nossa Senhora, Madonna), ‘ 天上의 母后 ’(Regina Caeli) 等이 있다. [75] [76]

東方敎會 傳統을 지닌 東方 正敎會와 오리엔탈 正敎會, 聖公會, 東方 天主敎會 等에서는 마리아를 테오토코스(Theotokos)라고 부르는 境遇가 많은데, 이 呼稱은 431年 에페소 公議會 에서 네스토리우스 의 主張을 斷罪하고 公認한 呼稱이다. 라틴語로는 ‘Deipara’ 또는 ‘Dei genetrix’로 飜譯되는 이 呼稱은 文字 그대로 飜譯하면 ‘하느님을 낳은 女人’이다. 西方 天主敎會에서는 테오토코스와 같은 意味의 ‘하느님의 어머니’ 또는 ‘天主의 聖母’(라틴語로는 Mater Dei)라는 呼稱을 더 一般的으로 使用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文字 그대로 飜譯한 그리스어 單語(Μ?τηρ Θεο?)가 마리아를 그린 비잔티움 이콘에서도 登場하는데, 마리아의 左右에 各各 ‘ΜΡ’(어머니)와 ‘ΘΥ’(하느님)라는 그리스어가 있는데, 이를 합치면 하느님의 어머니(Μ?τηρ Θεο?)가 된다. 에페소 公議會에서 交付 들은 “거룩하신 童貞女를 하느님의 어머니라고 부르는 데 躊躇하지 않았다.”라고 傳해진다. [77] [78] [79]

마리아에게 주어진 一部 呼稱들은 聖經에 起源을 두고 있다. 假令 ‘母后’라는 呼稱은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로서의 마리아를 가리키는 呼稱인데, 이는 예수가 다윗 王의 後孫으로서 이따금씩 ‘임금들의 賃金’으로 불리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루카 福音書 1張 32節과 이사야서 9張 6節을 보면 예수에게 다윗의 王位가 주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고, 列王記 上卷 2張 19-20節과 예레미야서 13張 18-19節을 보면 다윗 王家에서는 王의 어머니가 母后라고 불리며 尊敬을 받는 것이 나와 있다. 이것이 마리아에게 母后라는 呼稱이 주어지는 根據가 된다. [80] 그 밖에도 착한 意見의 聖母 , 航海士의 聖母 , 慈悲의 聖母 와 같이 私的 信心이나 報告된 奇跡 等에 依해 주어진 呼稱들도 있다. [81] [82] [83] [84]

東方 正敎會에서는 마리아에게 세 가지 呼稱을 獻呈하였는데, 하나는 하느님의 어머니라는 뜻의 테오토코스(Θεοτ?κο?)이며, 두 番째는 553年 第2次 콘스탄티노폴리스 公議會 에서 宣布된 ‘永遠한 童貞女’(?ειπαρθ?νο?), 세 番째는 ‘ 至極히 거룩하신 분 ’(Παναγ?α)이다. 天主敎敎會에서는 마리아에게 수많은 呼稱을 獻辭하였는데, 이들 呼稱은 수많은 藝術 作品의 主題가 되곤 하였다. 假令 苦痛의 聖母 라는 呼稱은 미켈란젤로 피에타 와 같은 傑作品을 誕生하는 契機가 되었다.

祝日

編輯

마리아를 主題로 한 草創期 祝日들은 예수의 誕生 을 祝賀하는 祝日에서 由來하여 發展하였다. 루카 福音書 2張 22-40節에 依하면, 예수가 誕生한 지 40日 後에 마리아는 유대人 律法에서 規定한 바에 따라 아기 예수를 聖殿으로 데리고 올라가 奉獻하였다. 이 事件을 記念하는 祝日이 5世紀에 비잔티움 에서 ‘시메온 祝日’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내게 되었으며, 오늘날 主님 奉獻 祝日 (聖母 取潔禮)의 前身이 되었다. [85]

7世紀에서 8世紀에 걸쳐 東方 敎會에서는 聖母 祝日이 네 個 더 制定되었다. 西方 敎會에서는 7世紀에 이탈리아의 밀라노 라벤나 의 敎會들이 크리스마스 前날을 聖母 祝日로 지낸 것이 始初다. 로마의 네 聖母 祝日인 聖母 取潔禮 祝日과 聖母 領報 祝日, 聖母 昇天 祝日, 聖母 誕生 祝日은 11世紀에 잉글랜드로 徐徐히 散發的으로 導入되었다. [85] 時間이 흐르면서 地域別로 마리아와 關聯된 祝日의 數字와 種類(그리고 이와 關聯된 마리아의 呼稱들), 信心 行事 等이 다르게 發展되어 갔다. [86] 假令 勝利의 聖母 丑日은 1571年 레판토 海戰 에서 敎皇領 이 勝利함으로써 생기게 되었다. [87] [88]

敎理的 差異點 때문에 祝日의 內容이 서로 달라지는 境遇도 있었다. 代表的인 것이 마리아의 죽음 以後의 狀況을 記念하는 祝日이다. 天主敎會에서는 마리아가 地上 生涯를 마신 뒤에 靈魂과 肉身이 모두 하늘로 불려 올라갔다고 믿기 때문에 聖母 昇天 大祝日 이라는 이름으로 記念하지만, 東方 正敎會에서는 마리아가 安息에 들었다고 表現하며, 敎理化 하지 않고 敎會에서 내려오는 全勝으로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聖母 安息 祝日 이라는 이름으로 記念하고 있다. 두 祝日 모두 8月 15日이라는 같은 날짜에 記念하고 있다.

天主敎會에서는 傳統的으로 모든 聖母 祝日과 聖母 信心 미사를 執典할 때에 마리아를 意味하는 하늘色 祭衣를 입는다.

르네상스 美術에서의 描寫

編輯

美術界에서 傳統的으로 마리아를 象徵하는 色相은 파랑 이다. 이러한 傳統은 普遍敎會 時節인 500年頃 東로마 帝國 時代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파란色은 東로마 帝國에서 女帝 및 皇后를 의미하는 色相이었다. 푸른色을 使用하게 된 보다 實質的인 說明으로는 中世와 르네상스 時代에 유럽에서는 아프가니스탄에서 輸入한 靑金石이 金보다 더 價値가 높았으며, 이 돌을 통해서 파란色 色素를 얻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當時 畫家들은 마리아를 描寫하는 그림을 그릴 때 물감의 原料를 求하기 위한 材料로서 金이나 靑金石을 購入했기 때문에 當初에 後援者들이 策定했던 費用 單價를 뛰어넘는 것이 不知其數였다. 卽 마리아가 파란色 옷을 입은 모습으로 描寫한 것은 마리아에 對한 깊은 恭敬과 讚美를 表現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基督敎의 敎理

編輯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 薔薇의 聖母

수많은 基督敎 敎派는 傳統的으로 마리아를 恭敬해 왔으며, 이들이 믿고 가르치는 마리아와 關聯된 核心 敎理들은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다.

  • 童貞女 誕生 : 마리아는 聖靈 의 活動으로 同情의 몸으로 예수를 孕胎하여 낳았다.
  • 테오토코스 [89] : 마리아는 聖者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이다.
  • 平生 同情性 : 마리아는 예수를 낳기 前에도, 낳은 後에도 平生을 童貞女로 살았다.
  • 原罪 없는 孕胎: 마리아는 原罪 없이 孕胎되어 태어났다.
  • 安息 또는 蒙召昇天: 마리아는 安息에 들었거나 自然死 後 하느님의 恩寵으로 하늘에 들어올림을 받았다.

이와 같은 敎理들을 받아들이는 基督敎 敎派들의 目錄은 아래와 같다. [5] [90] [91]

敎理 敎會 公認 受容
童貞女 誕生 第1次 니케아 公議會 (325年) 天主敎會, 東邦 正敎會, 改新敎
테오토코스 [92] 에페소 公議會 (431年) 天主敎會, 東邦 正敎會, 聖公會, 루터교, 監理敎 等
平生 童貞女 第2次 콘스탄티노폴리스 公議會 (533年) 天主敎會, 東邦 正敎會, 一部 聖公會, 一部 루터교
原罪 없는 孕胎 會則 《形言할 수 없는 하느님》(Ineffabilis Deus, 1854年) 天主敎會, 一部 聖公會
聖母 蒙召昇天 會則 《至極히 寬大하신 하느님》(Munificentissimus Deus, 1950年) 天主敎會, 一部 聖公會

마리아의 平生 同情 은 그女가 全 生涯 동안 참으로 同情性을 조금도 잃지 않았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와 關聯된 ‘平生 童貞女’ 或은 ‘永遠한 童貞女’(?ειπ?ρθενο?)라는 用語는 마리아가 예수를 낳기 前에도, 예수를 孕胎한 後에도, 예수를 낳은 後 人生의 나머지에도 繼續 童貞女로 머물러 있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 敎理는 童貞女 孕胎 敎理와도 連結된다. [93] [94] [95]

테오토코스 라는 呼稱은 431年 마리아 聖堂에서 召集된 에페소 公議會에서 公認되었다. 公議會 敎令은 마리아가 하느님의 어머니 라고 規定하였는데, 그 理由는 그女의 아들 예수가 神聖과 人性을 하나의 本性으로 모두 지닌 하느님이면서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 敎理는 一般的인 基督敎派에서는 모두 폭넓게 受容하고 있으며, 마리아에게 轉求를 請하는 가장 오래된 企圖라고 할 수 있는 250年頃 ‘聖母님께 保護를 請하는 祈禱’(Sub tuum praesidium)에서도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Sancta Dei Genetrix)라고 일컫고 있다. [96]

童貞女 誕生 亦是 事實上 모든 基督敎 敎派에서 全幅的으로 受容하고 있는 敎理이다. 이에 對해 使徒信經과 같은 基督敎의 信仰 告白에서는 예수가 "聖靈으로 인하여 童貞女 마리아에게 孕胎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마태오 福音書 에서는 마리아를 통해 이사야서 7章 14節에 記錄된 豫言이 成就되었다고 敍述하고 있다. [97] 마태오 福音書의 著者와 루카 福音書의 著者는 마리아가 예수를 孕胎하기 前에 男子와 어떠한 關係도 맺지 않은 精潔한 몸이었다고 말하면서, 예수의 孕胎가 男女 間의 性關係로 인한 것이 아니라는 點을 밝히고 있다. [98] 이것은 마리아가 예수를 孕胎한 것은 요셉이나 其他 다른 男子와의 關係에 依한 것이 아니라, 聖靈의 힘으로 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93]

마리아의 原罪 없는 孕胎 는 1854年 天主敎에서 敎皇 비오 9歲 에 依해 交椅 로 宣言된 것으로서, 마리아가 그 어머니의 胎中에 孕胎된 첫 瞬間부터 人類의 救世主인 예수 그리스도의 功勞와 하느님의 唯一無二한 恩寵의 特典으로 原罪 에 조금도 물들지 않고 純粹하게 保全되었다는 內容이다. 라틴 前例 天主敎會에서는 典禮曆으로 12月 8日을 原罪 없이 孕胎되신 동정 마리아 大祝日 로 지내고 있다. [99] 東方 正敎會에서는 마리아가 原罪 없이 孕胎되었다는 敎義를 否定하고 있는데, 그 理由는 原罪에 對한 理解가 天主敎會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100]

마리아의 蒙召昇天 또는 安息 敎理는 그女의 죽음과 以後 그女의 肉身과 靈魂이 穩全히 天國으로 올라갔다는 믿음과 關聯이 있다. 天主敎會의 聖母 昇天은 마리아가 地上에서의 生涯를 마친 後에 肉身과 靈魂이 모두 天國으로 들어올림을 받았다는 內容으로서 敎義로 宣布된 것이지만, 東方 正敎會에서 믿는 聖母 安息은 마리아가 使徒들에게 둘러싸인 채 깊이 永眠에 들었다는 點에서 差異가 있다. [101]

이슬람敎에서의 마리아(예수의 어머니)

編輯

마리암 (수라) 參考.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Ruiz, Jean-Pierre. "Between the Creche and the Cross: Another Look at the Mother of Jesus in the New Testament." New Theology Review ; Aug2010, Vol. 23 Issue 3, pp3-4
  2. Burke, Raymond L.; et al. (2008). Mariology: A Guide for Priests, Deacons, Seminarians, and Consecrated Persons ISBN  978-1-57918-355-4page 178
  3. Mary for evangelicals by Tim S. Perry, William J. Abraham 2006 ISBN  0-8308-2569-Xpage 142
  4. "Mary, the mother of Jesus." The New Dictionary of Cultural Literacy, Houghton Mifflin . Boston: Houghton Mifflin, 2002. Credo Reference. Web. S2010年 9月 28日.
  5.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Volume 3 2003 by Hans Joachim Hillerbrand ISBN  0-415-92472-3page 1174 [1]
  6. A Dictionary of First Names by Patrick Hanks, Kate Hardcastle and Flavia Hodges (Jul 27, 2006) Oxford Univ Press ISBN  0-19-861060-2entry for Mary
  7. Jestice, Phyllis G.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Volume 3 . 2004 ISBN  1-57607-355-6page 54
  8. https://www.catholic.org/encyclopedia/view.php?id=12101
  9. 루카 1,5;1,36.
  10. Douglas; Hillyer; Bruce (1990). 《New Bible Dictionary》. Inter-varsity Press. 746쪽. ISBN  0-85110-630-7 .  
  11. “New Advent Genealogy of Christ” . Newadvent.org. 1909年 9月 1日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12. 출애 6,23; 민수 1,7
  13. 루카 1,56
  14. 루카 1,26-38
  15. 마태 1,18-25
  16. The Treasury of Scripture Knowledge says, "This was most probably Hebron, a city of the priests, and situated in the hill country of Judea, (Jos 11:21; 21:11, 13,) about 25 miles south of Jerusalem, and nearly 100 from Nazareth."
  17. 루카 1,46-55.
  18. 루카 1,56-57.
  19. 루카 2,1-7.
  20. 루카 2,8-20
  21. 마태 2,1-12.
  22. 루카 1,31; 마태 1,23.
  23. 레위 12,1-8.
  24. 루카 2,22-23.
  25. 루카 2,25-39.
  26. 루카 2,41-52.
  27. 요한 2,1-11.
  28. 마태 12,46; 13,54-56; 27,56; 마르 3,31; 6,3; 15,40; 16,1; 요한 2,12; 7,3-5; 갈라 1,19; 사도 1,14.
  29.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by D. N. Freedman, David Noel, Allen Myers and Astrid B. Beck (December 31, 2000) ISBN  90-5356-503-5page 202
  30. The Bible: The Basics by John Barton (March 2, 2010) Routledge ISBN  0-415-41135-1page 7
  31. “조규만 主敎의 聖母님 이야기 (10) 루카福音에서의 聖母님, 평화신문, 2010. 07. 04.” . 2016年 3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9月 2日에 確認함 .  
  32. 조규만 主敎의 聖母님 이야기 (6) 新約聖經에서 드러나는 聖母님의 役割, 평화신문, 2010. 06. 06.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33. 요한 19,25-26
  34. 마태 27,56.
  35. 마르 15,40
  36. 요한 19,26-27.
  37. de Bles, Arthur. How to Distinguish the Saints in Art by Their Costumes, Symbols and Attributes', 2004 ISBN  1-4179-0870-Xpage 35
  38. Jameson, Anna. Legends of the Madonna: as represented in the fine arts . 2006 ISBN  1-4286-3499-1page 37
  39. 사도 1,14.
  40. Stephen J. Shoemaker, Ancient Traditions of the Virgin Mary's Dormition and Assumption Archived 2007年 3月 11日 - 웨이백 머신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2002, 2006); De Obitu S. Dominae as noted in; Holweck, F. (1907). The Feast of the Assumption.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41. ' 'Munificentissimus Deus'' on the Assumption” . Vatican.va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42. Coptic Church website Archived 2014年 8月 13日 - 웨이백 머신 , Accessed 2010/10/6.
  43. Ronald Brownrigg, Canon Brownrigg Who's Who in the New Testament 2001 ISBN  0-415-26036-1page T-62
  44. “Catholic Encyclopedia: St. Joseph” . Newadvent.org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45. Rainer Riesner . 《Paul's early period: chronology, mission strategy, theology》 . 2011年 8月 20日에 確認함 .  
  46. The Oxford handbook of early Christian studies by Susan Ashbrook Harvey, David G. Hunter 2008 ISBN  978-0-19-927156-6page 527
  47. The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n late antiquity by Lorenzo DiTommaso, Lucian Turcescu 2008 ISBN  90-04-16715-3page 507
  48. Maximus's Mary , by Sally Cuneen, Commonweal Magazine , December 4, 2009
  49. “Anna Katharina Emmerick (1774-1824), biography” . Vatican.va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50. Emmerich, Anna Catherine: The Dolorous Passion of Our Lord Jesus Christ ISBN  978-0-89555-210-5page viii
  51. Frommer's Turkey by Lynn A. Levine 2010 ISBN  0-470-59366-0pages 254-255
  52. Home of the Assumption: Reconstructing Mary's Life in Ephesus by V. Antony John Alaharasan 2006 ISBN  1-929039-38-7page 38
  53. The Ancient Traditions of the Virgin Mary's Dormition and Assumption by Stephen J. Shoemaker 2006 ISBN  0-19-921074-8page 76
  54. Mary's House by Donald Carroll (April 20, 2000) Veritas, ISBN  0-9538188-0-2
  55. 요한 19,27.
  56. 이레네誤 , 《異端 論駁》(|Adversus haereses) III,1,1;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오 , 《敎會史, III,1》
  57. “CATHOLIC ENCYCLOPEDIA: Tomb of the Blessed Virgin Mary” . Newadvent.org. 1912年 7月 1日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58. Baldovin, John and Johnson, Maxwell, Between memory and hope: readings on the liturgical year 2001 ISBN  0-8146-6025-8page 386
  59. Dalmais, Irenee et al. The Church at Prayer: The liturgy and time 1985 ISBN  0-8146-1366-7page 130
  60. McNally, Terrence, What Every Catholic Should Know about Mary ISBN  1-4415-1051-6page 186
  61. Benz, Ernst The Eastern Orthodox Church: Its Thought and Life 2009 ISBN  0-202-36298-1page 62
  62. Burke, Raymond et al. Mariology: A Guide for Priests, Deacons, Seminarians, and Consecrated Persons 2008 ISBN  978-1-57918-355-4page 178
  63.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3 by Erwin Fahlbusch, Geoffrey William Bromiley 2003 ISBN  90-04-12654-6page 406
  64. “CATHOLIC ENCYCLOPEDIA: Constantine the Great” . Newadvent.org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65. Osborne, John L. "Early Medieval Painting in San Clemente, Rome: The Madonna and Child in the Niche" Gesta 20.2 (1981:299?310) and (note 9) referencing T. Klauser, Rom under der Kult des Gottesmutter Maria, Jahrbuch fur der Antike und Christentum 15 (1972:120?135).
  66. “The Papal Basilica of Santa Maria Maggiore” . Vatican.va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67. The Orthodox Church by Serge? Nikolaevich Bulgakov 1997 ISBN  0-88141-051-9page 116
  68. Miravalle, Mark. Introduction to Mary'’. 1993 Queenship Publishing ISBN  978-1-882972-06-7pages 92?93
  69. Trigilio, John and Brighenti, Kenneth The Catholicism Answer Book 2007 ISBN  1-4022-0806-5page 58
  70.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by Philip Smith 2009 ISBN  1-150-72245-2page 288
  71. “1997年 敎皇 요한 바오로 2歲의 一般 謁見” . Vatican.va. 1997年 10月 29日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72. Kilmartin Edward The Eucharist in the West 1998 ISBN  0-8146-6204-8page 80
  73. Ciaravino, Helene How to Pray 2001 ISBN  0-7570-0012-6page 118
  74. Ponder these things: praying with icons of the Virgin 2002 ISBN  1-85311-362-Xpage 7
  75. Encyclopedia of Catholicism by Frank K. Flinn , J. Gordon Melton 2007 ISBN  0-8160-5455-Xpages 443?444
  76. Hillerbrand, Hans Joachim.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Volume 3 2003. ISBN  0-415-92472-3page 1174
  77. “The Canons of the Two Hundred Holy and Blessed Fathers Who Met at Ephesus” . Ccel.org. 2005年 6月 1日 . 2013年 9月 30日에 確認함 .  
  78. M'Corry, John Stewart Theotokos: Or, the Divine Maternity . 2009 ISBN  1-113-18361-6page 10
  79. The Christian theology reader by Alister E. McGrath 2006 ISBN  1-4051-5358-Xpage 273
  80. What Every Catholic Should Know about Mary by Terrence J. McNally ISBN  1-4415-1051-6page 128
  81. Legends of the Madonna by Anna Jameson 2009 1406853380 page 50
  82. Ann Ball, 2003 Encyclopedia of Catholic Devotions and Practices ISBN  0-87973-910-Xpage 515
  83. Candice Lee Goucher, 2007 World history: journeys from past to present ISBN  0-415-77137-4page 102
  84. Ann Ball, 2003 Encyclopedia of Catholic Devotions and Practices ISBN  0-87973-910-Xpage 525
  85. Clayton, Mary. The Cult of the Virgin Mary in Anglo-Saxon England . 2003 ISBN  0-521-53115-2pages 26?37
  86. Flinn, Frank K., J. Gordon Melton Encyclopedia of Catholicism . 2007 ISBN  0-8160-5455-Xpages 443?444
  87. EWTN on Battle of Lepanto (1571) Our Lady and Islam: Heaven's Peace Plan - EWTN Archived 2014年 10月 23日 - 웨이백 머신
  88. by Butler, Alban, Peter Doyle. Butler's Lives of the Saints . 1999 ISBN  0-86012-253-0page 222
  89. 東方正敎會와 改新敎 一部에서는 '테오토코스'로 改新敎 一部에서는 '新星出産'으로, 天主敎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로 使用한다.
  90. Jackson, Gregory Lee. Catholic, Lutheran, Protestant: a doctrinal comparison . 1993 ISBN  978-0-615-16635-3page 254
  91. Miravalle, Mark. Introduction to Mary'’. 1993 Queenship Publishing ISBN  978-1-882972-06-7page 51
  92. 東方正敎會와 改新敎 一部에서는 '테오토코스'로 改新敎 一部에서는 '新星出産'으로, 天主敎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로 使用한다.
  93. Miravalle, Mark Introduction to Mary , 1993, ISBN  978-1-882972-06-7 , pages 56?64
  94. Fahlbusch, Erwin, et al.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3 2003 ISBN  90-04-12654-6pages 403?409
  95.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499
  96. Miravalle, Mark Introduction to Mary , 1993, ISBN  978-1-882972-06-7 , pages 44?46
  97. 마태 1,23 參照.
  98. 마태 1,18.25;루카 1,34.
  99. “Catholic Encyclopedia: Immaculate Conception” . Newadvent.org . 2010年 3月 2日에 確認함 .  
  100. Ware, Timothy. The Orthodox Church (Penguin Books, 1963, ISBN  0-14-020592-6 ), pp. 263?4.
  101. Pope Pius XII: " Munificentissimus Deus ─Defining the Dogma of the Assumption" , par. 44. Vatican, 1950年 11月 1日.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