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어나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서어나무 자작나무科 에 屬하는 갈잎큰키나무 이다. 서어나무를 漢字말에 '書目'이라 하여 西쪽에 있는 나무란 뜻으로 우리말로 서나무, 서어나무가 된 것으로 斟酌하고 있다. 서어나무의 學名은 카피너스 락시훌로라, 俗名은 켈트어로 '나무'라는 뜻의 카와 '머리'라는 뜻의 핀의 合成語다. 나무의 우두머리 라는 意味로 別名이 머슬 트리 卽, 筋肉나무라고 일컫는다. 漢字로는 犬風乾(見風乾)이라고 한다.

서어나무
경복궁 경회루 건너편에 사는 서어나무
景福宮 慶會樓 건너便에 사는 서어나무
生物 分類 ??
界: 植物界
(未分類): 속씨植物群
(未分類): 鎭靜雙떡잎植物群
(未分類): 장미군
목: 참나무目
과: 자작나무科
속: 서어나무속
種: 서어나무
學名
Carpinus laxiflora
( Siebold & Zucc. ) Blume, 1851

生態 編輯

높이는 15m, 지름은 1m에 達하며 나무 껍질은 灰色이고 筋肉처럼 울퉁불퉁하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5~7.5cm의 楕圓 模樣 또는 긴 달걀 模樣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그 끝이 뾰족하며 잎脈이 많고 뚜렷하다.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뒷面 脈 위에 털이 있다. 잎 模樣은 ' 나도밤나무 '와 類似하지만 比較하자면 나무의 表皮가 울퉁불퉁하며 灰白色인 것이 다르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5月에 피며 尾狀꽃次例를 이루며 달린다. 잎보다 먼저 꽃이 피는데, 암꽃이삭은 위쪽에, 수꽃이삭은 아래쪽에 늘어진다. 수꽃이삭은 작은가지에 달리고 밑으로 처지며, 수꽃은 各 包에 1個씩 달리고 8個의 手術이 있으며 手術臺는 2個로 갈라진다. 암꽃이삭은 자루가 있으며, 암꽃은 各 包에 2個씩 들어 있고 암술머리는 2個이다. 열매이삭은 긴 圓기둥 模樣이고 길이가 4~8cm이며 밑으로 처지고, 包는 4~8個이고 한쪽에 깊이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으며 反對쪽 밑에 1個의 突起가 있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길이 3mm의 넓은 달걀 模樣이며 10月에 익는다. 韓國(黃海 以南) · 日本 · 中國 等地에 分布한다.

大部分의 큰 나무 줄기는 둥근 圓筒形이나 이 나무는 灰色의 表面이 울룩불룩하여 마치 보디빌딩으로 잘 가꾸어진 運動選手의 筋肉을 보고 있는 듯하다. 紡織用 木管, 피아노의 엑션, 運動具 等에 少量으로 쓰일 따름이다. 標高 골목으로도 쓸 수 있으나 참나무보다 버섯이 덜 나와 잘 쓰지 않는다. 結局은 나무 쓰임새의 最下等級人 '땔나무'로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숲도 時間이 지나면서 變化를 겪는데 이것을 ' 숲의 천이 '라고 하며 맨 마지막 段階에서 最上의 狀態를 維持한 숲을 極相林이라고 부르고 이 極相林을 構成하는 마지막 走者 中 하나가 서어나무이다. 韓國의 境遇에 代表的으로 羊水에 該當하는 것이 소나무이고, 陰水에 該當하는 것이 一次的으로 참나무種類이며, 서어나무는 陰數에서도 제2차적으로 나타난다. 結局 서어나무가 크게 자리잡고 있는 숲은 우리나라 山林에서 遷移의 마지막 段階인 極上에 到達했다는 뜻이 된다. 主로 山속이나 平地에서 자라며, 韓國 의 中部 以南에 널리 分布하고 있다.

서어나무는 홀로 서 있는 것보다 大槪는 무리진 群落으로 사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서울 近處에서는 광릉 숲, 南漢山城 東쪽의 약사산의 서어나무 群落이 볼만하다. 江原道 白頭大幹 區間의 稜線上에 있는 소나무들이 신갈나무 같은 참나무들에게 자리를 빼앗기고 있는 모습이 觀察되어 왔는데, 이제 서어나무까지 發見되었다. [1]

寫眞 編輯

參考 文獻 編輯

各州 編輯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