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서버

中央의 資源이나 네트워크의 서비스에 接近하기 위해 使用되는 컴퓨터

서버 ( 英語 : server , 文化語 : 봉사氣)는 클라이언트 에게 네트워크 를 통해 情報 나 서비스를 提供하는 컴퓨터 시스템 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server program) 또는 裝置 (device)를 意味한다. 特히, 서버에서 動作하는 소프트웨어 서버 소프트웨어 (server software)라 한다. 主로 리눅스 等의 運營 體制 를 設置한 大型 컴퓨터를 쓰지만, 그렇지 않은 境遇도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 클라이언트 가 서버 컴퓨터와 인터넷 을 통해 通信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財團 의 서버
뒤에서 볼 수 있는 오페라 서버 랙

서버는 프린터 制御나 파일 管理 等 네트워크 全體를 監視·制御하거나, 메인프레임 이나 公衆網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과의 連結, 데이터·프로그램·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資源이나 모뎀·팩스·프린터 共有, 其他 裝備 等 하드웨어 資源을 共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役割을 한다.

서버는 使用者(클라이언트)의 要請에 依하여 서비스를 하는데 이와 같이 構成된 시스템을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라고 하며, 이는 하나 以上의 應用 프로그램을 相互 協力的인 環境에서 運用하는 分散處理 形態를 의미한다. 卽, 서비스를 要請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의 要請을 處理하는 서버와의 協同作業을 통해서 使用者가 願하는 結果를 얻는 處理方式이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다.

클라이언트의 數가 5~20代 程度인 小規模 LAN의 境遇에는 한 臺의 서버로 充分히 모든 서비스를 消化할 수 있으나, 大規模 LAN의 境遇에는 여러 臺의 서버를 配置하고, 파일 管理는 파일 서버, 프린터 制御는 프린터 서버, 인터넷 等의 外部와의 交換은 通信 서버가 擔當하는 等 各各 役割을 細分하게 된다.

歷史

編輯

컴퓨팅 에서의 "서버"(server)라는 用語의 利用은 待機行列理論 에서 비롯한 것으로, [1] 20世紀 中盤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켄들의 記號 를 선보인 論文 Kendall (1953) 에서 "서비스'와 함께 눈에 띄게 使用되었다. Erlang (1909) 와 같은 初期의 論文들의 境遇 "電話 交換員"과 같은 더 具體的인 用語가 使用된다.

컴퓨팅에서 "서버"는 적어도 RFC 5 (1969年)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2] 이 RFC는 ARPANET ( 인터넷 의 先驅者)을 記述하는 最初의 文書들 가운데 하나이며 "使用者"와 對比되고 있고 두 가지 種類의 호스트 와는 區別하고 있다: "서버 호스트", "使用者 호스트". "서비스를 提供"하는 것을 뜻하는 서빙(serving)이라는 用語 또한 RFC 4와 같은 初期 文書들로 거슬러 올라가며, [3] "serving-host"와 "using-host"를 對照하고 있다.

서버 運營 體制

編輯

잘 알려진 서버 運營 體制로는 이를테면 FreeBSD , 솔라리스 , 리눅스 等이 있다. 유닉스는 本來 미니컴퓨터 運營 體制였으며 傳統的인 미니컴퓨터를 서버가 代替해감에 따라 서버는 效率的인 유닉스 基盤의 運營 體制가 되었다.

서버 志向 運營 體制는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서버 環境에 적합하도록 設計되어 있는 傾向이 있다.

  • GUI 를 使用할 수 없거나 選擇的으로 使用 可能
  • 다시 始作 없이 어느 程度까지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다시 構成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 機能
  • 重要한 데이터 를 온라인 上에서 週期的으로 백업하는 高級 백업 施設
  • 다른 볼륨이나 裝置 사이의 透明 한 데이터 電送
  • 柔軟하고 高級的인 네트워킹 機能
  • 유닉스의 데몬 및 윈도의 서비스와 같은 自動化 機能
  • 高級 使用者, 리소스, 데이터, 메모리 保護를 비롯한 꼼꼼한 시스템 保安

種類

編輯

인터넷 上의 서버

編輯

인터넷 의 全般的인 構造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에 基盤을 두고 있다. 全 世界에서 持續的으로 動作하고 있으면서도 인터넷에 連結되어 있는 서버는 數百萬 臺에 이른다.

인터넷 서버가 提供하는 수많은 서비스 가운데 다음을 包含한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Richard A. Henle, Boris W. Kuvshinoff, C. M. Kuvshinoff (1992). 《Desktop computers: in perspective》 . Oxford University Press. 417쪽. Server is a fairly recent computer networking term derived from queuing theory.  
  2. Rulifson, Jeff (June 1969). DEL . IETF . RFC 5 . https://tools.ietf.org/html/rfc5 . Retrieved 30 November 2013 .  
  3. Shapiro, Elmer B. (March 1969). Network Timetable . IETF . RFC 4 . https://tools.ietf.org/html/rfc4 . Retrieved 30 November 2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