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삿초 同盟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삿초 同盟 ( 日本語 : 薩長同盟 삿초도메이 [ * ] )은 日本 에도 時代 後期에 사쓰마번 (오늘날 가고시마縣 )과 조슈번 (오늘날 야마구치縣 )이 맺은 政治的, 軍事的인 同盟을 가리킨다. 1866年 3月 7日에 맺었으며, 에도 幕府 를 打倒하는 게 目的이었다. 삿초 盟約 , 삿초 聯合 이라고도 한다.

補身戰爭의 사쓰마 사무라이 ( 펠리체 베아土 撮影)

元來 사쓰마번은 1864年에 今文의 便 事件을 일으켜 교토 에서 조슈번을 追放하였고, 몇 次例 조슈번을 攻擊하여 사이가 좋지 않았으나, 道士番 出身의 사카모토 료마 , 나카오카 신타로 仲裁로 同盟을 맺었다.

槪要

編輯

사쓰마번 조슈번 교토 를 中心으로 에도 時代 幕府 末期 의 政界에서 雄番 으로 큰 影響力을 가지고 있었다. 사쓰마가 公務合體 의 立場에서 幕府의 個國 路線을 支持하면서 幕府의 政治 改革을 要求한 反面, 조슈번은 急進的이고, 破格的인 量理論을 받들며 半幕府的인 姿勢를 强化하는 等 兩者는 쉽게 和解할 수 없는 立場에 있었다. 사쓰마는 1863年( 分큐 3年) 8月 18日 아이즈番 과 協力하여, 조슈 番 勢力을 교토 政治權에서 追放했다. ( 8月 18日의 政變 ) 다음 해 1864年( 겐지 元年) 7月 19日에는 上京 出兵해 온 조슈번 兵力과 戰鬪를 치러 敗走시키는 今文의 便 이 일어나 量子의 敵對 關係는 決定的이 되었다.

今文의 便 으로 調整의 敵이 된 조슈번은 幕府로부터 第1次 조슈 征伐 을 當하는 等 대단히 窮地에 빠지게 되었다. 한便 사쓰마 番도 子煩을 主張하는 幕府에 依한 政治 改革 展望을 期待하지 못했고, 오쿠보 도시미치 사이고 다카모리 等을 中心으로 幕府에 對한 强勁論이 高調되었다.

조슈, 사쓰마 間의 和睦은 第1次 조슈 征伐 中止 周旋과 五經이었던 多子以後 엔주오인 에 對한 受容에 분주했던 후쿠오카番 의 존황양이派였던 다카스기 神社쿠 사이고 다카모리 와의 會談(大汎루 會談)을 한 것이나, 英國 의 駐日 公使인 해리 파크스 다카스기 神社쿠 와 會談하여, 사쓰마와 같은 幕府 末期 政界에서 影響力을 가지고 있던 道士番 을 訪問하는 等 西南 地方의 雄番 을 結束시켰다.

道士를 脫番하여 떠돌던 浪人이 나가사키 에서 街이엔타이 (以後의 解冤臺)를 이끌었던 사카모토 료마 나카오카 신타로 의 斡旋으로, 主戰派 조슈번 의 重臣인 後쿠나가 基스케의 집에서 會談을 進行하였다. 시모노세키 에서 會談을 사이고가 直前에 拒否하는 事態도 있었지만, 1月 21日 고마쓰의 邸宅에서 사카모토를 통해 사쓰마번 사이고 고마쓰 조슈번 가쓰라 고고로 가 6個 條項의 同盟을 締結했다. 다른 사쓰마 側 參席者는 오쿠보, 시마즈 二世, 가쓰라 히社다케 , 요시이 度帽子네 , 나라하라 시게루 였다.

以後 王政復古 補身 戰爭 의 첫 段階처럼 두는 境遇도 많지만 以後 認定할 수 있도록 幕府에 依한 조슈 番의 懲戒에 對해 조슈 番의 狀況이 나빠져도 사쓰마 番은 조슈 番을 支援한다는 內容이었으며, 함께 幕府를 打倒하려고 積極的으로 움직이려 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決戰’의 相對는 幕府 自體가 아니라 當時 교토 政局을 主導하고 있던 도쿠가와 요시노부 , 마쓰다이라 伽陀모리 ( 아이즈番 ), 마쓰다이라 社多아키 ( 쿠와나번 ) 3人, 所謂 理致카이소 政權)이었다. 當時 히토쓰바시 家門 의 堂主였던 요시노부는 固有의 軍事力을 大部分을 保有하고 있지 않았고, 軍事的 對決의 相對로서는 아이즈나 쿠와나 두 番, 特히 아이즈를 目標로 한 것이었다.

이 密約에 따라 사쓰마 番은 幕府에 依한 第2次 조슈 征伐 을 즈음하여 出兵을 拒否하고 以後 사쓰마의 提携 關係는 깊어지게 되었다. 사쓰마 番의 燔師로 메이지 時代 에는 시마즈 히社미츠 의 側近으로 歷史編纂 事業에 從事한 理致키 詩로는 사쓰마 番과 조슈 番의 同盟이 成立한 것은 더 後年 1867年(게이오 3年) 11月, 사쓰마 번주 시마즈 다다요시 가 多數의 兵士를 이끌고 上京했을 때 조슈 番의 世子 모리 모토노리 와 會見을 했고, 出兵 協定을 맺은 時點이라고 指摘하고 있다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