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삼일치의 法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삼일치의 法則

삼일치의 法則 ( 프랑스語 : Regles du theatre classique )은 프랑스 古典 演劇 의 規則 中 하나다.

아리스토텔레스 는 그의 < 詩學 (詩學)>에서 悲劇 은 "可能한 限 太陽의 1回轉하는 期間"에 限定하고, 그 줄거리는 "쉽사리 記憶할 수 있는 크기"로, 劇中의 事件은 거의가 "同時에 實現하는 것을 模倣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그리스 悲劇들을 上演할 때의 外的 條件이었으며, 스카리졔 前後(前後)에 이탈리아 에서 프랑스 로 들어온 文藝復興期 의 演劇理論은 이를 嚴密한 規則으로 解釋했으며, 샤플랭 等 知識人은 三一致 또는 三段日(三單一)의 法則 으로서 프랑스 古典劇에 導入했던 것이다.

이를 端的으로 表現한 것이 부알로 (Boileau)의 다음의 말이다.

한 場所에서, 하루 中에 오직 하나, 完成된 일이 마지막까지 舞臺를 充滿시킬 수 있도록 하라.
 
? 부알로 , 《諷刺詩》 第3

이것은 古典劇의 重要한 要件이 되어, 1637年에 코르네유 의 <르 시드>의 大成功 때 생겨난 '르 시드 論爭'의 爭點의 하나는 이 悲劇이 時間的·場所的으로 單一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리슐리외 의 命을 받은 샤플랭 이 '<르 시드>에 關한 아카데미의 意見'을 發表하기까지 文壇과 社交界가 둘로 갈라지는 等의 騷動을 빚었다.

卽 코르네유에게는 이러한 法則이 負擔이었으며 라신 은 이를 便하게 소화시키고 있었다. 라신의 《베레니스》 序文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悲劇에서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은 眞實다움 以外는 없다. 몇 週間이 걸려도 일어날지 어떨지 알 수 없는 많은 일들이 하루 사이에 일어나는 演劇이 眞實답다고 할 수는 없지 않겠는가…
 
? 라신, 《베레니스》 序文

같이 보기

編輯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