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使用者:確實男便/베토벤A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使用者 : 確實男便/베토벤A

'130120 sungzungkim

루트비히 版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요제프 칼 슈타이어 가 그린 루트비히 版 베토벤의 肖像畫(1820). 莊嚴 미사를 作曲하고 있다.
出生 1770年 12月 17日 ( 1770-12-17 )
신성 로마 제국의 기 神聖 로마 帝國
死亡 1827年 3月 26日 ( 1827-03-26 ) (56歲)
오스트리아 제국의 기 오스트리아 帝國
死因 感氣와 肺炎으로 인한 合倂症
國籍 신성 로마 제국의 기 神聖 로마 帝國
오스트리아 제국의 기 오스트리아 帝國
職業 피아노 演奏者
오르간 演奏者
作曲家
署名

루트비히 版 베토벤 ( 獨逸語 : Ludwig van Beethoven , 1770年 12月 17日 ~ 1827年 3月 26日 )은 獨逸 西洋 古典 音樂 作曲家 이다. 거의 오스트리아 에서 살았다. 古典主義 浪漫主義 의 轉換期에 活動한 主要 音樂家 이며, 作曲家 로 널리 尊敬받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作品 가운데에는 〈 交響曲 3番 〉, 〈 交響曲 5番 〉, 〈 交響曲 6番 〉, 〈 交響曲 9番 〉, 피아노曲 〈 엘리제를 위하여 〉, 〈 悲愴 소나타 〉, 〈 月光 소나타 〉 等이 있다.

生涯

編輯

幼年 時節

編輯

베토벤의 할아버지는 네덜란드의 플랑드르 出身의 音樂家로, 孫子와 同名인 루트비히 版 베토벤( 1712年 ~ 1773年 )이었다. 할아버지 베토벤은 17살에 獨逸로 移住하여 쾰른 選帝侯 宮廷의 베이스 歌手로 就職해서 樂章 (Kapellmeister)으로 昇進하였다. 그의 외아들 요한 版 베토벤 ( 1740年 ~ 1792年 )도 같은 곳에서 테너 歌手로 일하였으며 피아노 바이올린 敎習으로 副收入을 벌었다. 요한은 1767年 마리아 막달레나 케베리히(Maria Magdalena Keverich)와 結婚하였는데, 마리아는 트리어 大主敎 宮廷의 首席 料理師였던 요한 하인리히 케베리히(Johann Heinrich Keverich)의 딸이었다.

父親

編輯

베토벤의 첫 音樂 敎師는 아버지 요한이었다. 흔히 요한은 苛酷한 先生이며, 어린 베토벤을 " 鍵盤樂器 에 세워놓았으며, 아이는 大槪 울고 있었다"고 膾炙된다. 그러나 그로브 音樂 및 音樂家 事前 에서는 요한의 그런 行動에 對한 確實한 記錄 證據가 없다고 指摘하며, "臆測과 俗說은 둘 다 늘어나는 法."이라고 主張하고 있다. 베토벤은 다른 音樂 先生으로는 판 덴 에덴(van den Eeden)의 宮廷 오르간 走者인 토비아스 프리드리히 프파이퍼(Tobias Friedrich Pfeiffer)家族의 親舊이며, 베토벤에게 피아노 를 가르쳤다. 親戚 [1] 에게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가르침이 있었다. 베토벤의 音樂的 才能은 어릴 때부터 頭角을 드러내어, 9살 나이(俗說에서 말하는 7살이 아닌)에 公演을 할 수 있을 程度였다. 當時 레오폴트 모차르트 의 名聲을 알고 있던 아버지 요한은 아들을 신동 으로 삼아 돈을 벌려 했으나 結果는 시원찮았다. 1778年 3月 베토벤의 첫 大衆 公演會 포스터 에서 요한은 거짓말로 아들 베토벤이 6살이라고 主張하였지만 實際로는 7살이였다.

音樂授業

編輯

1779年 以後 어느 時期에 베토벤은 본에서 自身의 가장 重要한 敎師였던 크리스티안 고틀로프 네페 에 音樂 授業을 받게 되는데, 그는 같은 해 宮廷 오르간 奏者로 任命된 사람이었다. 네페는 베토벤에게 作曲을 가르쳤으며, 1783年 3月 베토벤이 처음으로 出版한 曲인 드레슬러 行進曲에 依한 9個의 鍵盤 變奏曲(WoO. 63)을 作曲하는 데 도와주었다. 베토벤은 곧 네페의 補助 오르간 奏者로 일하였는데, 처음에는 賃金을 받지 않은 일이었으나( 1781年 ), 나중에 樂章 안드레아 淚涕視 가 指揮하는 宮廷 禮拜堂 에 雇用되었다.

사람들과의 만남

編輯

폰 브로이닝 집안과의 만남

編輯

베토벤은 여러 사람들에게 紹介받아, 이때부터 그의 삶에서 重要한 役割을 하게 된다. 젊은 醫大生 프란츠 베겔러 (Franz Wegeler)는 그를 폰 브로이닝 집안(von Breuning, 나중에 베겔러는 이 집안의 딸과 結婚하게 된다.)에 紹介해 주었다. 베토벤은 種種 폰 브로이닝 집안에 갔는데, 여기서 그는 獨逸 文學과 古典 文學 을 接하였으며, 이 곳 아이 몇몇에게 피아노 를 가르쳐주었다. 폰 브로이닝 街의 環境은 알코올 依存症 患者인 아버지의 統制가 漸漸 甚해지는 自身의 집안에 比較한다면 便安한 곳이었다. 이 時期에 베토벤은 페르디난트 폰 발트슈타인 伯爵 과 알게되어 그는 平生 親舊이자 財政 志願者가 되었다.

모차르트와의 만남

編輯

平素 모차르트 를 尊敬해왔던 베토벤은 오스트리아의 빈으爐가서 그와 만나고 싶어했으나 쉽지 않았다. 그것은 집안 事情이 가난해 自身의 동생과 父母를 먹여살려야 하는 狀況이었기 때문이다. 當時 어머니는 病을 앓고 있었고 아버지는 알코올 中毒者였기 때문에 事實上 家族을 돌보는 사람은 베토벤밖에 없었다. 따라서 베토벤도 빈으로 가겠다는 생각은 斷念한지 오래였다. 그러던 中 1784年 그의 스승인 네페의 도움으로 빈으로 갈 수 있는 交通費와 宿泊費를 얻은뒤 父母의 同意를 얻어 빈으로 갈 수 있는 與件이 마련되었는데, 이때 當時 불과 그의 나이 14歲때였다. 모차르트는 自身을 만나기 위해 빈으로 찾아온 베토벤을 정겹게 맞이하는 한便 그의 實力을 알아보기 위해 自身이 연주한 짦은 音樂마디로 베토벤에게 卽興曲을 만들어보라고 指示한다. 조금의 躊躇함도 없이 베토벤이 卽興曲을 만들어 期待 以上으로 연주하자 感歎을 禁치 못했다고 한다. 以後 베토벤은 모차르트에게 音樂敎育을 받기 始作했으며 이때 모차르트는 베토벤에게 받는 敎育費를 一切 拒絶했다고 傳해진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의 만남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는데 그 理由는 獨逸(프로이센)에 있는 어머니가 世上을 떠났기 때문이다. 結局 이 事情을 모차르트에게 말한 뒤 빈을 갑작스레 떠나게 된다. 이것이 모차르트와의 마지막 만남이었으며 만난지 不過 1달만의 일이다. (그 뒤 하이든을 만나기 爲해 다시 빈을 訪問하게 되는데 이때가 1792年으로 모차르트 死亡 1年後이다)

宮廷 交響樂團

編輯

1789年 音樂家였던 아버지의 뒤를이어 베토벤은 法的 地位를 얻어 집안을 浮揚하기 위해 아버지가 받는 月給의 半을 받을 수 있었고,궁정 交響樂團에서 비올라 를 연주하여 家族의 輸入으로 삼았다. 交響樂團에서의 經驗으로 그는 모차르트 의 새 오페라 作品을 비롯하여 當時 宮廷에서 연주하던 다양한 오페라에 익숙해졌고, 當時 指揮者의 조카이며 自身과 거의 同甲이던 플루트 및 바이올린 走者 안톤 라이하 (Anton Reicha)와 親舊가 되었다.

하이든과의 만남

編輯

選帝侯의 도움으로 1792年 베토벤은 으로 갔다. 아마 1790年代 末 當時 런던 으로 가던 요제프 하이든 聖誕節 쯤에 본에서 머물 때 그에게 처음으로 紹介받은 것으로 보인다. 하이든은 베토벤이 作曲한 2曲의 葬送칸타타(WoO.87,WoO.88) 樂譜를 보고 그의 才能을 認定하여 베토벤을 自身의 弟子로 받아들이게 되어 1792年 7月에 런던에서 빈으로 歸還한 뒤부터 베토벤과의 因緣이 始作된다. 베토벤이 本을 떠날때 그의 親舊들이 離別의 人事말을 적은 記念노트를 보면, 빠른 날자는 8月 24日(리히터가 쓴 것), 늦은 날짜는 11月 1日(브로이닝이 쓴 것)이므로, 베토벤이 빈으로 떠날 準備 期間과 出發時間을 거의 가늠할 수 있다.

11月 10日에 빈에 到着한 베토벤은 卽時 하이든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하이든은 그에게 滿足했지만, 베토벤은 實際로 가르침을 받다보니 以前의 偉大한 偶像이었던 巨匠 하이든에게 여러가지로 失望을 느끼게 되었다. 特히 하이든이 고치고 돌려준 베토벤의 樂譜를 본 요한 셍크 (Johann Schenk, 1753-1836)가 미처 하이든이 發見하지 못했던 많은 誤謬와 잘못을 指摘해주자 하이든에 對한 不信感은 더욱 깊어졌다. 베토벤은 마침내 "하이든에게서는 아무 것도 배울 것이 없다"고 宣言하게 되었다. 當時 하이든이 베토벤에게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았다고는 到底히 믿어지지 않지만 하이든의 느긋하고 餘裕있는 性格을 생각해보면 누군가에게 가르친다는 일이 適性에 맞았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런데다 가르치는 相對가 젋은 血氣에 急한 性格으로 알려진 베토벤이었으니 둘이 서로 잘 맞지 않았음은 當然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 後 베토벤은 當時 빈에게 뛰어난 理論家로 통하던 요한 알브레히츠베르거 (Johann Georg Albrechtsberger, 1736~1809)에게 가르침을 받고, 모짜르트의 戀敵으로 알려진 안토니오 살리에리 (Antonio Salieri, 1750~1825)에게 聲樂曲 作曲을 배운다. 그리고 1793年末, 結局 베토벤은 하이든 곁을 떠나지만 두 사람間의 不和가 어느 程度였는지는 確實치 않다. 베토벤이 스스로 가장 滿足해하던 C短調 3重奏曲을 出版하지 말라고 하이든이 忠告한 것 때문에 베토벤은 甚한 傷處를 받았던 일도 있듯이, 어쨌든 두 사람 사이에 뭔가 개운치 않은 앙금이 있었던 것만은 事實인 것 같다. 1794年, 하이든이 두 番째 英國 旅行을 떠나자 베토벤은 先生님을 바꿀 수 있는 絶好의 機會가 왔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베토벤은 1795年 피아노 소나타 1~3番 作曲을 完成하여 하이든에게 獻呈하였으며, 그해 8月 하이든이 빈으로 돌아왔을때 카를 리히노브스키 侯爵 邸宅의 演奏會에서 直接 들려주었다. 이 3曲의 소나타가 作品2로 出版되었다는 事實은 하이든과 베토벤의 사이가 決定的으로 나쁜 것은 아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베토벤 쪽에서 말하자면 하이든은 過去의 業績을 놓고 볼 때 亦是 偉大한 大先輩였다. 但只 그는 自身의 向學熱을 만족시켜주지 않은 것에 對한 不滿을 가졌을 뿐이었다. 또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地位와 年輪을 갖춘 하이든 쪽에서 볼 때도 新出내기 靑年 音樂家의 不平이나 不滿 따위에 一一이 對應하여 神經을 쓸 必要가 없었다. 그런 事情이 두 사람 間의 돌이킬 수 없는 不和를 막아준 것이라고 여겨진다.

피아노 3重奏 1~3番 作品1과 피아노 소나타 1~3番 作品2를 作曲한 것 外에 그 當時에는 出版되지 않은 相當數의 曲을 作曲하는데 오늘날에는 大部分 WoO 作品番號로 分類된다. 그의 作品을 볼수록 作曲 樣式이 成熟해지고 範圍가 넓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音樂學者들은 1791年에 쓴 어느 變奏曲집에서 그의 交響曲 3番 의 主題와 비슷한 部分이 있음을 찾아낸 바 있다.

音樂授業

編輯

베토벤은 바로 作曲者로 自立하지 않았으며, 音樂 工夫와 피아노 演奏에 沒頭하였다. 하이든 의 指導를 받으며 그는 對位法 을 熟達하고자 하였으며, 이그나츠 슈判知히 에게서 바이올린 敎習을 받았다. 이때 일찍이 그는 때때로 안토니오 살리에리 에게서 主로 이탈리아風 聲樂 作曲 樣式 等의 授業을 받기도 하였다. 이 關係는 1802年 (또는 1809年 까지일수도 있다.)까지 이어졌다. 1794年 하이든 英國 으로 떠나자 選帝侯는 베토벤이 故鄕으로 돌아오리라 期待하였다. 그러나 그는 빈에 남기로 하였으며, 요한 알브레히츠베르거 과 다른 先生에게서 對位法 工夫를 繼續하였다. 選帝侯의 奬學金 支給 期間이 끝났으나, 요제프 프란츠 롭코비츠 공, 카를 리히노브스키 공, 고트프리드 판 슈비텐 男爵 等 이미 빈의 여러 貴族들의 그의 才能을 알아보고 財政的인 支援을 해 주었다.

演奏活動

編輯

1793年 베토벤은 빈에서 피아노 名人이자 貴族 살롱의 卽興 演奏者로 名聲을 얻었으며, 여기서 그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平均率 클라비어曲集 의 前奏曲과 푸가를 연주하기도 하였다. 그의 親舊 니콜라우스 짐로크 는 그의 作品을 出版하기 始作하였는데, 처음 出刊한 作品은 變奏曲집(WoO 66)로 보인다.1794년 거의 내내 베토벤은 作曲에 매달렸으며 作品 出版을 하지 않아 이듬해 1795年의 作品 出版이 더욱 重要해졌다.베토벤은 1795年 3月에 빈에서 처음으로 大衆 演奏會에서 公演하여 피아노 協奏曲을 선보였다. 記錄 證據가 模糊하여 이 作品이 그의 피아노 協奏曲 1番 認知 2番 인지는 不分明하나 두 作品 모두 完成을 앞둔 비슷한 狀況이었다.(두 作品 모두 몇 年 동안 完成되어 出版되지 못하였다)연주회 直後 그는 自身의 作品을 出版하면서 처음으로 作品 番號 를 붙여 피아노 3重奏 1番 을 내놓았다. 이들 作品은 自身의 後援者 리히노브스키에게 헌정되었으며, 한 해 生計費에 가까운 利益을 얻었다.

有名稅를 타다

編輯
 
1803年의 베토벤

1796年 베토벤은 1789年 모차르트의 演奏 旅行 처럼 中部 유럽의 文化 中心地를 巡廻하였다. 旅程에는 리히노브스키 공(그는 모차르트의 演奏 旅行에도 同行하였다)도 함께하였으며, 베토벤은 프라하 , 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 베를린 을 訪問하였으며, 作曲과 公演 活動으로 歡迎받았다. 旅行 中 그는 프라하에서 가장 오래 머물렀는데, 리히노브스키 家門의 人脈 德分에 그는 都市에 오기도 前에 이미 名聲이 높았다. 베를린에서는 첼로 소나타(Op.5)를 作曲하여 첼로를 연주하는 音樂 愛好家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2歲 賃金에 獻呈하였다. 이 曲은 첼로와 피아노의 서로 다른 性格을 잘 考慮한 作品으로, 비르투오조 첼로와 피아노 파트를 잘 結合한 作品으로 有名하다. [2] 賃金은 베토벤에게 金貨가 가득 든 코담뱃匣을 주었는데, 베토벤은 演奏 旅行으로 "많은 돈"을 벌었음을 알았다. [3] 1796年 7月 베토벤은 빈으로 돌아왔으며, 그해 11月에 다시 旅行을 떠났는데, 北쪽이 아닌 東쪽으로 가서 프레스부르크(오늘날 브라티슬라바 )와 페슈트 로 갔다. 프레스부르크에서 그는 親舊 안드레아스 슈트라이허 가 보낸 피아노로 연주하였는데, [4] 이를 놓고 그가 弄談하기를 "나에게는 너무 좋다... 왜냐하면 이 피아노는 나만의 音色을 낼 自由를 빼앗아가기 때문이다"라고 말하였다. [5]

베토벤은 1797年에 거의 빈에서 滯在하였는데, 그에게는 여름과 가을마다 深刻한 疾病(아마 티푸스 )에 시달렸으나, 作曲(作曲 付託을 받는 일이 많아졌다)과 演奏를 繼續하였다. 이 時期에(1795년일 수도 있다) 그는 처음으로 自身의 聽力에 問題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6] 1798年 다시 프라하로 旅行할 때, 聽力이 漸次 弱해지면서 結局 演奏 旅行 自體를 抛棄하게 된다. [7]

音樂的 成熟

編輯

1798年에서 1802年 사이에 베토벤은 드디어 그가 作曲의 꽃이라고 여기던 絃樂 4重奏 交響曲 에 손을 대었다. 1798年에서 1800年 사이에 그가 作曲한 絃樂 4重奏 1~6番 (Op.18) ( 요제프 프란츠 롭코비츠 공의 付託으로 그에게 獻呈한 曲이다)은 1801年에 出版되어 1800年 交響曲 1番 2番 와 함께 超然하였으며, 베토벤은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뒤를 잇는 新銳 音樂家 世代의 重要한 人物로 評價받았다. 그는 繼續 다른 樂曲도 作曲하여 " 悲愴 " (Op. 13)과 같은 有名한 피아노 소나타 作品도 내놓았는데, 쿠퍼 [8] 는 이를 "性格의 强烈함, 感情의 깊이, 獨創性, 力動性, 音調 面에서 以前 作品을 뛰어넘었다" [9] 고 評價하였다. 1799年 그는 그의 生前에 널리 人氣를 얻었던 7重奏 도 完成하였다.

1800年 2月 2日에 베토벤은 交響曲 1番을 超然하기 위하여 都市 劇場을 賃貸하였으며,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作品과, 自身의 7重奏, 交響曲 1番, 피아노 協奏曲 한 曲(이들 曲은 當時 出版되지 않은 狀態였다) 等 多樣한 曲目을 公演하였다. 알게마이네 無知칼리쉐 차이퉁(Allgemeine musikalische Zeiting) 誌에서 "오랫동안 가장 興味로운 演奏會"라고 描寫했던 이 演奏會는 어려움도 겪었는데, 一部 批評家들은 "演奏者들이 獨奏者에 別 關心을 기울이지 않는다"며 批判하기도 하였다.

베토벤이 모차르트와 하이든의 影響을 받은 것은 분명하나(가령 베토벤의 피아노와 木管 5重奏 에서는 自身만의 獨特한 技法이 쓰였으나 形式이 같은 모차르트의 作品 과 매우 비슷한 側面을 보인다.) 무치오 클레멘티 와 같은 音樂家들에게서도 樣式上의 影響을 받았다. 베토벤의 旋律, 音樂的 展開, 前兆(轉調)와 基調(基調)의 쓰임, 感情의 特性 面에서 그의 影響을 빼놓을 수 없으며, 自身의 初期 作品이 처음으로 出刊될 때 一部 作品에서 그 影響이 도드라졌다. 그때부터 1800年까지 베토벤과 그의 音樂은 이미 後援者와 出版業者 사이에서 큰 人氣를 얻고 있었다

敎習

編輯
 
멜러(W.J. Mahler)가 그린 1804年의 베토벤.

1799年 5月 베토벤은 헝가리人 伯爵夫人 안나 브룬스비크(Anna Brunswik)의 딸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쳤다. 敎習은 한 달을 채 넘기지 못하였는데, 그는 맏딸 搖祭피네(Josefine Brunswik von Korompa (1779-1821)와 關係를 맺어, 그때부터 수많은 臆測의 對象이 되었다. 敎習이 끝난 直後 搖祭피네는 요제프 다임(Josef Deym von St?ite? 1752-1804)伯爵과 婚姻하였으며, 베토벤은 이들의 家庭에 자주 訪問하였으며, 모임에서 敎習을 하거나 樂器를 연주하였다. 搖祭피네의 結婚은 누가 보기에도 不幸하였으나, 夫婦는 네 子女를 두었으며, 1804年 다임이 죽은 뒤에도 搖祭피네와 베토벤의 關係는 別 進展이 없었다. [10]

베토벤은 그 밖에 다른 弟子도 있었다. 1801年에서 1805年까지 그는 페르디난트 리스 를 가르쳤는데, 그는 作曲家가 되어 나중에 그들의 만남을 다룬 冊인 "베토벤은 記憶한다"을 썼다. 젊은 카를 체르니 도 1801年부터 1803年까지 베토벤 밑에서 受學하였다. 체르니 自身도 著名한 音樂 敎師가 되었는데, 그가 맡은 弟子 가운데는 프란츠 리스트 도 있었다. 그는 또 베토벤의 피아노 協奏曲 5番 "皇帝" 도 빈에서 超然한 바 있다.

1800年에서 1802年 사이에 베토벤은 主로 두 作品에 集中하였는데, 月光 소나타 等과 이보다는 작은 曲도 繼續 썼다. 1801年 봄 그는 발레曲 " 프로메테우스의 創造物 "을 完成하였다. 이 作品은 成功을 거두어 1801年과 1802年에 數次例 공연되었으며, 베토벤은 이 曲의 人氣에 便乘하여 피아노 編曲版度 내놓았다. [11] 1802年 봄, 그는 交響曲 2番 을 完成하여 演奏會를 열려고 하였으나 結局 取消되어버렸다. 이 交響曲은 이듬해 1803年 4月에 自身이 常任 作曲家로 있는 빈 講義 江邊 劇場 (Theater an der Wien)의 어느 豫約 演奏會에서 初演되었다. 交響曲 2番과 더불어 이 演奏會에서는 交響曲 1番, 피아노 協奏曲 3番 , 오라토리오 " 橄欖山의 예수 "도 같이 공연됐다. 評價는 제各各이었으나, 演奏會는 財政的으로 成功하였고, 베토벤은 一般 演奏會 票의 세 倍 價格으로 票값을 策定할 수 있었다. [12]

1802年 前에는 어쩌다 가끔 兄 베토벤을 도와주던 동생 카를二 出版 經營에서 큰 役割을 맡으면서, 베토벤은 出版業者와의 事業도 發展하게 되었다. 當時 最近 作曲된 作品에 더 높은 값을 불러 協商할 뿐 아니라, 카를은 베토벤이 예전에 作曲하고는 出版하지 않았던 一部 作品도 팔았으며, 兄이 人氣있는 作品들을 다른 樂器 編成으로 編曲하도록 勸하였다. 베토벤은 이런 付託에 應했는데, 그는 出版業者들이 다른 사람을 雇用하여 自身의 作品을 비슷하게 編曲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13]

聽力 喪失

編輯

1796年 警 베토벤은 漸次 聽力을 잃어갔다. [14] 그는 深刻한 귀울음 (耳鳴) 症勢를 보여 音樂을 感知하기 어렵게 되었으며, 對話도 避하게 되었다. 왜 聽力을 잃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는데, 梅毒 , 납 中毒 , 티푸스 , 自己 免疫 障礙(假令 全身 紅斑性 루푸스 ) 等의 說이 있으며, 甚至於 잠을 깨기 위해 찬물에 머리를 담그던 習慣이 指摘되기도 한다. 이에 關한 가장 오래된 說明은 當時 剖檢 結果로, 오랫동안 외상이 커져 " 內耳 (內耳)가 부푼" 狀態였다는 것이다. [15]

베토벤이 죽은 다음날 한 어린음악가가 그의 머리카락을 잘라가져간다. 그는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죽을때까지 잘 保管했으며 代代로 家寶로 물려준다. 2次世界大戰때 이物品은 行方이 杳然해졌는데 이것이 1994年 런던 소더비 競賣所에서 世上에 公開된다.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아르곤 國立硏究所에서 分析한결과 一般人의 100倍가 넘는 납數値가 나타났다. [16] 이로써 베토벤이 一生동안 겪은 肉體的 苦痛과 聽力喪失의 直接的인 原因이 납中毒임이 밝혀졌다. [17]

1801年 에 베토벤은 親舊들에게 便紙를 보내어 自身의 症狀을 說明하고 이로 인해 音樂 活動과 社會 生活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알렸다.(그러나 그의 가까운 親舊 一部는 이미 聽力 喪失을 알고 있었던 것 같다.) [18] 베토벤은 醫師의 助言에 따라 빈 바로 바깥에 있는 오스트리아의 작은 마을인 하일리겐슈타트 에서 1802年 4月부터 10月까지 지내며 自身의 症勢에 適應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하일리겐슈타트 遺書 를 쓰는데, 베토벤은 音樂 活動을 위하여 繼續 살겠노라는 自身의 決心을 담았다. [19] 時間이 지나면서 聽力 喪失은 심해졌다. 이에 關한 確實한 逸話가 있는데, 自身의 交響曲 9番 을 招演할 때 演奏가 끝나자 아무것도 들리지 않던 그는 베토벤이 聽覺障礙人임을 配慮한 女歌手의 도움으로 客席을 向해 뒤돌아서자 그제서야 觀客들이 떠들썩하게 拍手를 치고 있음을 보았으며 그러자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20] 베토벤은 聽力을 잃었어도 作曲을 繼續할 수 있었으나, 수지맞는 돈벌이 手段이던 公演 演奏는 漸漸 어려워졌다. 1811年에 그는 演奏會에서 피아노 協奏曲 5番 "皇帝" 를 연주하려 하였으나 失敗한 뒤로 그는 다시는 사람들 앞에서 연주하지 않았다.

 
1815年의 베토벤

베토벤은 피아노 소리를 조금이라도 感知하기 위하여, 피아노 共鳴板 에 막대기를 대고 입에 물어서, 그 振動을 턱으로 느꼈다. 獨逸 本意 베토벤하우스 博物館에는 喇叭 機構 等 普請 器具들이 展示되어 있다. 分明 큰 걱정거리였지만, 카를 체르니는 베토벤이 1812年까지는 그럭저럭 사람의 말이나 音樂을 들을 수 있음을 알고 있었다. [21] 그러나 1814年 베토벤은 거의 大部分 귀머거리가 되었으며, 그가 손님들 앞에서 피아노로 시끄러운 아르페지오나 우뢰같은 베이스 音標를 연주할 때, "Ist es nicht schon?"(아름답지 않소?)라고 말할 때 손님들은 그의 익살과 勇氣에 깊은 同情을 느꼈다. [22]

베토벤이 聽力을 잃으면서 特異한 史料가 保存되었다. 바로 그의 對話錄이었다. 죽기 前 10年 또는 몇 年 동안 그의 親舊들은 그에게 할 말을 이런 冊에다가 써서 傳하였으며, 베토벤은 말로 對答하거나, 冊에다가 쓰기도 하였다. 이 冊들은 音樂이나 다른 話題에 對한 討論을 담고 있으며, 그의 생각을 傳해주고 있으며, 音樂과 自身의 關係에 對하여 어떻게 생각했는지 그리고 自身이 얼마나 自己 作品의 演奏를 어떻게 느꼈을지에 對한 硏究의 資料가 되고 있다. 不幸히도 베토벤이 죽은 뒤 그의 祕書 안톤 신틀러 (Anton Schindler 1795-1864)가 音樂家 베토벤을 理想化된 모습으로 그리려고 이러한 對話錄 400卷 中 264卷을 破損해버렸다.(또는 고친 것도 있다) [23]

後援

編輯
 
베토벤의 後援者였던 루돌프 大公 .

베토벤은 作品 出版과 公演回로 輸入을 벌었으나, 後援者들의 支援도 받았는데 이들을 위하여 그는 個人 演奏會를 베풀고 이들의 付託을 받은 作品을 써서 一定 期間을 두었다가 나중에 出版하기도 하였다. , 요제프 프란츠 롭코비츠 공, 카를 리히노브스키 共 等 그의 初期 後援者들 몇몇은 作曲을 要請하고 出版된 作品을 購買함과 더불어 年金을 支拂하기도 하였다.

아마 베토벤의 가장 重要한 貴族 後援者는 레오폴트 2世 皇帝 의 막내 아들인 루돌프 大公 이었을 터인데, 그는 1803年 或은 1804年에 베토벤에게서 피아노와 作曲 敎習을 받았다. 두 사람은 親舊가 되어 1824年까지 만났다. 베토벤은 루돌프에게 14曲을 獻呈하였는데, 그 가운데는 對空 3重奏 (1811年)과 代作 莊嚴 미사 (Missa Solemnis, 1823)도 있다. 루돌프度 答禮로 베토벤에게 自身의 作品 한 曲을 獻呈하였다. 베토벤이 루돌프에게 보낸 便紙들은 오늘날 惡友 協會 (Gesellschaft der Musikfreunde)에 保管되어 있다.

王室 劇場의 職位를 拒否한 뒤 1808年 가을에 베토벤은 나폴레옹 의 동생이자 베스트팔렌 王國 의 임금인 제롬 보나파르트 카셀 의 宮廷에서 給料가 높은 樂章 (Kapellmeister) 자리를 맡아달라고 提案하여 이를 받아들였다. 베토벤의 親舊들에게서 消息을 傳해들은 루돌프 大公, 킨스키(Kinsky) 伯爵과 롭코비츠 功은 베토벤이 빈에 머물도록 說得하고자 年間 4,000 플로린의 年金을 주겠다고 約束하였다. 루돌프 大公만이 베토벤에게 約束한 날에 주기로 한 年金의 몫을 支拂하였다. 킨스키는 將校職 服務로 召喚되어 아무것도 주지 않았으며, 얼마 안되어 말에서 떨어져 죽었다. 롭코비츠는 1811年 9月에 年金 支拂을 中斷하였다. 뒤이어 後援을 繼續해주는 사람이 없었으며 베토벤은 大槪 作品의 權利를 팔거나 1815年 以後 적은 年金에 依支하였다. 當初 後援者들의 財政 支援 約束은 프랑스와의 戰爭 이 일어나면서 어느 程度는 無意味해졌는데, 政府가 戰爭 準備로 돈을 찍어내어 深刻한 物價 上昇이 일어났기 때문이었다.

슈베르트와의 만남

編輯

베토벤은 後날 "歌曲의 王"으로 불리는 프란츠 슈베르트 와 만난 적이 있었다. 두 사람의 居處는 不過 2km 떨어져 있는 距離에 살았지만 베토벤의 聽力喪失을 비롯한 合倂症으로 제대로 된 對話를 하지못해 때문에 쉽게 만나지 못했다 슈베르트의 小心恨性格 또한 理由 中 하나이기도 했다. 그러다 知人들의 勸誘로 슈베르트가 勇氣를 내어 만나게 된것이다. 베토벤은 슈베르트로부터 받은 그의 樂譜를 보고 感歎을 禁치 못했으며 이렇게 늦게 만난것에 對해 後悔를 했고 그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자네를 조금만 더 일찍 만났으면 좋았을 것을.. 내 名은 이제 다 되었네. 슈베르트 자네는 分明 世上에 빛낼 수 있는 훌륭한 音樂家가 될 것이네. 그러니 부디 勇氣를 잃지말게.."

그 後 슈베르트에게 自身에게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적으라고 했지만 슈베르트는 베토벤의 허약한 목소리를 듣고 괴로운 나머지 房을 뛰쳐나가고 말았다. 베토벤죽기 一週日 前의 일이었고 이것이 슈베르트와의 처음이자 마지막 만남이었다.

作品 時期別 分類

編輯

베토벤의 作品은 普通 세 時期, 卽 初期, 中期, 後期로 分類한다. 이 方式에 依하면 初期는 1802年 程度까지, 중기는 1814年 程度까지 그리고 1815年 무렵부터 後期로 나눈다. 初期, 卽 古典氣는 요제프 하이든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影響을 많이 받으면서도 새로운 方向을 찾아 그의 作品의 地平을 넓힌다. 初期의 重要한 作品은 交響曲 1番, 交響曲 2番, 첫 여섯個의 絃樂 四重奏曲, 첫 세個의 피아노 協奏曲, 20個의 피아노 소나타를 든다. 여기에는 悲愴 소나타 , 月光 소나타 도 들어있다. 中期, 卽 英雄氣는 그의 귀가 들리지 않게 된다는 것을 確實히 認識하면서 始作된다. 英雄的이면서도 苦痛스러운 面貌를 나타내는 臺 編成曲들이 이 時期에 作曲되었다. 作品으로는 交響曲 3番부터 交響曲 8番까지 여섯 個의 交響曲과, 나머지 두 個의 피아노 協奏曲, 三重 協奏曲과 바이올린 協奏曲, 그리고 7番부터 11番까지 다섯個의 絃樂 四重奏曲과, 7個의 피아노 소나타(발트슈타인, 熱情 等), 또 크로이처 바이올린 소나타와 그의 唯一한 오페라 피델리오 가 있다. 後期는 1815年頃부터 인데, 知的인 깊이와 形式的인 革命性 그리고 集中性과 人間的인 表現을 特徵으로 한다. 假令 絃樂 四重奏曲(作品番號 131番)은 7個의 樂章으로 이루어져 있다. 交響曲 9番은 마지막 樂章에 오케스트라와 더불은 合唱을 집어넣었다. 그밖의 이 時期 作品으로는 장엄미사 , 마지막 다섯個의 絃樂 四重奏曲, 代 푸가, 마지막 다섯 個의 피아노 소나타 ( 函머클라비어 소나타 等)이다.

浪漫主義的 特徵

編輯

베토벤을 둘러싼 贊反 論爭 가운데 하나는 그가 浪漫主義 作曲家인지, 아니면 古典主義 作曲家인지에 對한 것이다. ‘浪漫主義的’의 意味와 浪漫主義 音樂 時代 自體의 期間에 對한 意見이 사람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베토벤을 이 運動이나 期間에 包含해야 하는지에 對한 問題는 文脈에 따라 살펴볼 必要가 있다.

浪漫主義 運動을 一般的으로 文學과 藝術의 한 美學的 時期로 看做한다면, 베토벤은 分明히 獨逸의 괴테 · 실러 英國 퍼시 實利 와 같은 文學的 浪漫主義 時期의 첫 折半에 位置한다. 그는 또한 슈포어 E.T.A. 호프만 과 같은 同時代人들로부터 浪漫主義 作曲家라고 불렸다. 그는 자주 連歌曲의 첫 作曲家로 看做되며, 浪漫主義的인 民俗 特徵에 자주 影響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作品

編輯

交響曲

編輯

피아노曲, 室內樂曲

編輯
  • 바가텔 F短調 WoO.57 (Grove Op.170) "재미있는 안단테 (Andante Favori)"
  • 바가텔 A短調 WoO.59 (Grove Op.173) "엘리제를 위하여"
  • 그外 바가텔 24曲 (Op.33 no.1~7, op.119 no.1~11, Op.126 no.1~6)
  • 디아벨理 왈츠 主題에 依한 33個의 變奏曲 C長調 作品120 (바하의 골트베르그 變奏曲과 雙璧을 이룰 程度로 代作)
  • 總 21曲의 피아노 變奏曲 作曲
  • 그外 미뉴에트,가보트,캐논,론도,前奏曲,폴로네이즈,軍隊行進曲 4曲, 피아노 4重奏 等의 多數 小品 作曲
  • 피아노 3重奏 7番 B flat長調 作品97 "對共" (피아노 3重奏曲 歷史上 最高의 名曲)
  • 總 11曲의 피아노 3重奏 作曲
  • 絃樂 4重奏 16番 F長調 作品135 包含 總 16曲의 絃樂4重奏와 푸가1曲 作曲
  • 바이올린 소나타 5番 F長調 作品24 "봄"
  • 바이올린 소나타 9番 A長調 作品47 "크로이처" (總 10曲의 바이올린 소나타 作曲)
  • 첼로 소나타 3番 A長調 作品69 (첼로 소나타 歷史上 最高의 名曲, 總 5曲의 첼로 소나타 作曲)

미사, 오라토리오, 칸타타와 기타 聲樂曲

編輯
  • 《미사 C長調》作品番號 86
  • 《장엄미사 D長調》 作品番號 123
  • 오라토리오《橄欖山 위의 그리스도》作品85
  • 칸타타 《榮光의 瞬間》作品136 外 多數의 칸타타 作曲
  • 콘서트 아리아 《오, 無情한 者여》 作品65 (20餘曲의 콘서트 아리아 作曲)
  • 100餘曲 以上의 聲樂을 위한 캐논 作曲
  • 歌曲 《그대를 사랑해》 WoO.123
  • 歌曲 《아델라이데》作品46
  • 英國 民謠를 主題로 한 歌曲 300餘曲 作曲 및 一般歌曲 200餘曲 作曲
  • 오페라 《피델리오》作品72 (그外 未完成 오페라인 《베스타의 불》이 있음)

管絃樂曲, 協奏曲

編輯

(世界 3代 피아노 協奏曲 中의 하나, 總 7曲의 피아노 協奏曲 作曲, 0番 E flat長調 WoO.4와 6番 D長調 未完成 協奏曲 있음)

  • 바이올린 協奏曲 D長調 作品61

(世界 3代 바이올린 協奏曲 中의 하나, 베토벤이 直接 플룻 協奏曲과 피아노 協奏曲으로 編曲한 曲도 있음)

代 푸가 自筆本

編輯

2005年 10月 13日 , 公式的으로 179年 된 베토벤의 自筆 樂譜가 2005年 7月에 美國 펜실베이니아 州 Wynnewood의 Palm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한 史書에 依해 發見되었다고 報告되었다. 이 樂譜는 115年間 紛失된 狀態였는데, 이 樂譜는 소더비 競賣에 2005年 12月 1日 競賣에 붙여져 195萬 달러에 팔렸다. 電話로 競賣에 參加하여 落札 받은 사람은 누구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24] 이 樂譜는 元來 1890年 目錄에 올라와 있었고, 베를린에서 열린 競賣에서 오하이오 州 신시내티 의 한 事業家에게 落札된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의 딸은 1952年에 그것과 모차르트의 〈판타지아〉를 包含한 다른 自筆 樂譜를 펜실베니아 州의 한 敎會에 주었다. 어떻게 그 베토벤의 自筆 樂譜가 圖書館의 所有가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主席

編輯
  1. 프란츠 로반티니 (Franz Rovantini)
  2. Cooper (2008) , pp. 62?65 * http://en.wikipedia.org/wiki/Barry_Cooper_(musicologist)
  3. Cooper (2008) , p. 68
  4. Cooper (2008) , p. 69
  5. Beethoven, Ludwig. “Letter to Andreas Streicher in Vienna, Preßburg” (獨逸語). Beethoven-Haus Bonn Digital Archives . 2009年 6月 28日에 確認함 .  
  6. Cooper (2008) , p. 72
  7. Cooper (2008) , pp. 75?76
  8. * http://en.wikipedia.org/wiki/Barry_Cooper_(musicologist)
  9. strength of character, depth of emotion, level of originality, and ingenuity of motivic and tonal manipulation
  10. Cooper (2008) , p. 80
  11. Cooper (2008) , pp. 98?103
  12. Cooper (2008) , pp. 112?127
  13. Cooper (2008) , pp. 112?115
  14. Grove Online, section 5
  15. 그의 이름은 페르디난드 힐러로 當代의 有名한 音樂家이다.
  16. 그 原因으로 납에 露出되기 쉬운 當代의 生活環境이 指摘된다.
  17. 납中毒으로 聽力喪失이 생기는 境遇는 흔하지 않은 境遇이다.
  18. Cooper (2008) , p. 108
  19. Cooper (2008) , p. 120
  20. White, Felix. “Some Tributes to Beethoven in English Verse”. 《The Musical Times》. Vol. 68.  
  21. Ealy, George Thomas. “Of Ear Trumpets and a Resonance Plate: Early Hearing Aids and Beethoven's Hearing Perception” . 《19th-Century Music》. Vol. 17: pp. 262?273.  
  22. Solomon (2001) [ 쪽 番號 必要 ]
  23. Clive , p. 239
  24. 동아일보의 關聯記事

參考 文獻

編輯
  • Clive, Peter., Beethoven and His World: A Biograph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1, ISBN  0-19-816672-9
  • Cooper,Barry., Beethoven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8 ISBN  978-0-19-531331-4
  • Cross, Milton., The Milton Cross New Encyclopedia of the Great Composers and Their Music, Doubleday, Garden City, NJ, 1953
  • Landon, H C Robbins., Beethoven: a documentary study, Macmillan, 1970
  • Lockwood, Lewis., Beethoven: The Music And The Life, W. W. Norton, 2005, ISBN  978-0-393-32638-3
  • Solomon, Maynard., Beethoven , 2nd edition, Schirmer Books, New York, 2001, ISBN  0-8256-7268-6
  • Stanley, Glenn.(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Beethoven, 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0, ISBN  0-521-58074-9
  • Thayer, A. W., The Life of Ludwig Van Beethoven Vol,Beethoven Association, 1921
  • Kerman, Joseph; Tyson, Alan; Burnham, Scott G. "Ludvig van Beethoven", Grove Music Online, ed. L. Macy (accessed 29 November 2006), grovemusic.com .

바깥 고리

編輯
  1. “確實男便/베토벤A” . 《 네이버캐스트 》.  
  2. Beethoven-Haus Bonn 의 web-site: [Bonn 所在 베토벤 生家 의 홈피 http://www.beethoven-haus-bonn.de/sixcms/detail.php?id=&template=portal_de&_sprache=deutsch ]
  3. Raptus Association (베토벤 關聯): [Beethoven der grosse Meister http://www.raptusassociation.org/indexg.html ]
  4. NNDB 人名事典: [Profile, Books & Parallels 中에서 베토벤의 bibliography 部分 http://www.nndb.com/people/871/000024799/bibliograph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