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빗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빗금 (solidus) 또는 슬래시 (slash)는 文章 符號 의 一種이다. 이 記號는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내려 그은 線 模樣이다. 슬래시는 아스키 文字 47에 該當하며 유니코드 에서는에서는 " / "가 되고, 例를 들면 美國 디즈니 / 픽사 (Disney/Pixar) 等이 있다.

/
빗금
??? ???
Fraction slash Division slash Fullwidth solidus
文章 符號
아포스트로피 ( ’ ' )
括弧 ( [?], (?), {?}, ??? )
雙點 ( : )
쉼標 ( , )
줄標 ( ?, ?, ?, ― )
줄임標 ( …, ... )
느낌標 ( ! )
마침標 ( .。 )
붙임表 ( -, ? )
물음標 ( ? )
따옴標 ( ‘?’, “?” )
雙半點 ( ; )
빗금 ( / )
空白 文字 (  ) ( ) ( ) (?) (?) (?)
가운뎃點 ( · )
一般 타이포그래피
앰퍼샌드 ( & )
골뱅이票 ( @ )
別表 ( * )
逆슬래시 ( \ )
불릿 ( ? )
캐럿 ( ^ )
著作權 記號 ( )
通話 記號 ( ¤ )
칼標 ( †, ‡ )
도 記號 ( ° )
重複 富豪 (같음標) ( )
逆느낌標 ( ¡ )
逆물음標 ( ¿ )
番號 記號 ( # )
數字 記號 ( )
瑞獸 記號 ( º, ª )
百分率 記號  · 千分率 記號 ( %, ‰, ? )
段落 記號 ( )
프라임 記號 ( )
登錄된 商標 記號 ( ® )
部分 記號 ( § )
서비스 記號 ( ? )
音聲 錄音 著作權 記號 ( ? )
물결標 ( ~ )
商標 記號 ( )
밑줄 文字 ( _ )
數直線 ( |, | )
별자리表 ( ? )
손가락票 ( ☜, ☞ )
그러므로 記號 ( )
왜냐하면 記號 ( )
물음느낌標 ( ? )
아이러니 記號 ( ? )
마름모 ( ? )
參考表 ( )
붙임줄 ( ? )
電話 記號 ( ☏, ☎ )
溫泉 記號 ( )
性別 記號 ( , )
午前 / 午後 記號 ( ㏂, ㏘ )
한글 富豪
午前 / 午後 記號 ( ?, ? )
參考 記號 ( ? )
株式會社 記號 ( )
郵便番號 記號 ( ? )

v  ?  d  ?  e  ?  h

歷史 編輯

슬래시의 歷史는 古代 로마 時節로 거슬러 올라간다. 中世 時代에 유럽에서 널리 쓰였던 프락투르 글꼴에서 하나의 슬래시(/)는 쉼標 를, 두 個의 슬래시(//)는 이음標 를 나타냈다. 두 個의 슬래시는 나중에 等號 (=)로 發展했으며, 이를 單純化시킨 것이 붙임表 (-)이다. 그리고 逆슬래시 ( \ )는 슬래시의 反댓말을 가리킨다.

韓國語에서의 使用 編輯

韓國語에서는 슬래시 代身 가운뎃點 (·)을 使用하는 것이 맞지만, 가운뎃點은 키보드에 存在하지 않고 入力 하는 데에 時間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가운뎃點 代身 슬래시를 쓰는 境遇가 많다.

?例示 ?1?  올레 TV 의 公知事項 같은 곳을 보면 가운뎃點을 支援하지 않는 境遇가 있어, 공地上으로 보면 채널에서 內容1/內容2/內容3/內容4 等과 같은 形態의 段落이 이어주게 될 때 中間에 빗금을 가운뎃點과 같은 役割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例示 ?2?  裏面지나 手帖 等을 적바림할 때 가운뎃點을 기능할 수 없을 때 빗금을 그어 적어도 가운뎃點의 代理 役割 遂行도 充分히 可能하다.

用例 編輯

英語 를 비롯한 많은 言語에서 슬래시를 하이픈 代身에 使用하며, 두 單語 또는 舊 사이에 密接한 關係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頭文字어 의 두 글字 사이에 슬래시를 種種 집어 넣는데, 狀況에 따라서 그 意味를 混同할 餘地가 있다.

날짜를 簡單하게 標示하는 境遇 슬래시를 구분자로 使用하는 境遇가 있다. 例를 들어, 2001年 9月 11日 美國 에서는‘9/11/2001’로, 그 밖의 많은 유럽/아메리카 國家에서는‘11/9/2001’로, 몇몇 아시아 國家에서는‘2001/9/11’로 標示된다. 특정한 境遇 時間 間隔을 나타내기 위해 슬래시를 두 날짜 사이에 집어 넣는 境遇도 있기 때문에, ISO 8601 에서는 年月日을 슬래시 代身에 하이픈으로 區別하는 方法을 쓰고 (2001-09-11) 時間 間隔을 나타내는 데 슬래시를 使用하도록 하였다. (1939-09-01/1945-05-08)

數學 에서 슬래시는 噴水 의 分子와 分母를 區分하는 데 使用되거나, 좀 더 一般化되어 나눗셈 演算子를 나타내기도 한다. 유니코드 는 이러한 用途의 슬래시를 다른 用途의 슬래시와 區別하기 위하여 噴水 슬래시 (U+2044) 文字와 나눗셈 슬래시 (U+2215) 文字를 따로 定義하였다.

유닉스 系列 運營 體制 에서는 슬래시를 經路名에서 디렉터리 및 파일 이름을 區分짓는 데 使用한다. 例를 들어, ‘directory/image.jpg’는 directory라는 디렉터리 안에 있는 image.jpg라는 파일을 나타낸다. URL 에서도 비슷하게 슬래시를 구분자로 使用한다. 이와 反對로, MS-DO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에서는 슬래시 代身에 逆슬래시 를 구분자로 使用하는데, 이는 디렉터리를 支援하지 않던 初期의 CP/M 이 슬래시를 命令줄 옵션을 나타내는 데 使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에서도 一般的으로는, 命令줄 옵션과 混同되지 않는 境遇 驛슬래시를 쓸 곳에 슬래시를 써도 같은 意味를 가리킨다.

많은 프로그래밍 言語 들은 슬래시를 나눗셈 演算子로 使用하며, C , C++ , 자바 를 비롯한 여러 言語들이 /* */ 로 둘러싸인 主席( PL/I 에서 비롯되었다. [1] )과 // 로 始作하는 줄 單位 註釋을 支援한다. (줄 單位 主席은 C에서도 C99 부터 支援한다.)

國際單位系 에서도 變數當 單位를 나타낼 때 빗금을 쓴다. 미터 매 初 를 m/s, 킬로미터 每 時 를 km/h와 같이 나타내며, 빗금을 퍼(per)로 읽는다. 反面, 英美 單位系 에서는 빗금을 쓰지 않고 알파벳 略稱(예: fps , mph )으로 나타내는 境遇가 많다.

인코딩 編輯

  • U+002F / solidus
  • U+ 2044 ? fraction slash
  • U+ 2215 ? division slash
  • U+29F8 ? big solidus
  • U+FF0F fullwidth solidus (殿閣 文字用)
  • U+1F67C ?? very heavy solidus

各州 編輯

  1. 《자바스크립트 核心가이드》, 더글라스 크락포드 저/김명신 驛, 한빛미디어(週), 2008年, 21쪽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