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釜山 아이파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釜山 아이파크

大韓民國 釜山廣域市의 프로 蹴球團

釜山 아이파크 ( 英語 : Busan IPark Football Club , 釜山 아이파크 蹴球團)는 釜山廣域市 를 緣故地로 하는 大韓民國 의 프로 蹴球 段이다. 法的으로는 株式會社 HDC그룹 의 系列社인 HDC스포츠에서 運營하고 있다.

釜山 아이파크
全體 이름 釜山 아이파크 蹴球團
別稱 防牌群團
以前 이름 새한 自動車 蹴球團
(1979~1980)
大宇 蹴球團
(1980~1982)
大宇 로얄즈
(1983~1995)
釜山 大宇 로얄즈
(1996~1999)
釜山 아이콘스
(2000~2005)
創團 鳶島 1979年 11月 22日 [1]
緣故地 釜山廣域市
聯盟 한국프로축구연맹
競技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收容 人員 53,769名
所有主 HDC그룹
球團主 정몽규
代表理事 김병석
監督 박진섭
리그 K리그2
2023 시즌 準優勝 (承康PO 脫落)
웹사이트 公式 웹사이트
優勝
國內 리그 4 K리그1
國內 大會 1 FA컵
3 리그컵
國際 大會 1 AFC 챔피언스리그

母體는 1979年 11月 22日에 創團된 새한自動車 實業蹴球團 이며 1980年 10月 待遇 實業蹴球團을 거쳐 1983年 12月 3日 大宇 로얄즈 蹴球團 으로 大韓民國 프로蹴球團 第3號가 되면서 實業蹴球團에서 프로蹴球團으로 公式 轉換하였다. 大宇로얄즈는 實業蹴球團으로 1983年 韓國프로蹴球 수퍼리그 元年 멤버로 參加하였다. 元年부터 强豪의 모습을 보여준 大宇는 大韓民國 의 名門 球團으로 자리잡아갔다. 特히 陽地 蹴球團 을 除外하고는 大韓民國 最初로 아시아를 制霸하였으며, K리그 最初로 通算 2,3,4回 優勝을 차지하였고 1983年 프로化 以後 最初로 그 다음 해에 優勝한 球團이며, 國內리그 最初로 大陸 클럽 對抗戰에서 傳承無敗優勝을 最初로 達成한 팀이다. 프로蹴球 史上 처음으로 1986年 클럽對抗戰 더블을 記錄했다. 1997 시즌 에 시즌 3冠王의 偉業을 達成하였다. 待遇 時節이 끝나고 2000年 現代産業開發 의 引受 以後 成跡은 漸漸 내려 앉기 始作했다. 그나마 大宇의 遺産이 남아있던 2000年代 初中盤까지는 暫時나마 中興期가 있었는데 2004年 아이콘스 時節때 球團 最初 FA컵 優勝을 차지하였고 2005年 아이파크 招待시즌에는 電氣리그優勝 및 챔피언스리그 準決勝까지 進出하는 鬪魂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 以後부터 暗黑期가 到來하기 始作했는데 2007 시즌 에는 最初로 두 자릿數 順位로 내려앉은 해였고, 3年 連續 한 자릿數 進入에 苦戰하며 下位圈을 轉轉하였으나 황선홍 監督 3年次인 2010年에 8位로 한 자리數 進入에 成功한 後 안익수 監督을 거치며 中位圈에 자리잡게 되었다. 2011年에는 6强 플레이오프에 進入하는 데 成功했고, 스플릿 시스템이 導入된 2012 年과 2013 年에는 2年 連續 專門家들의 豫想을 뒤엎고 上位 스플릿에 자리하였다. [2] 하지만 2015 시즌을 끝으로 企業 球團으로는 처음으로 2部 리그로 降等되었다. 그러다가 2019 시즌에 三修에 成功하여 昇降PO戰에서 慶南을 2:0을 꺾고 K리그1로 다시 昇格했으나 2020시즌 한시즌만에 降等 되었다. 더 안타까운건 何必 그 시즌이 코로나시즌 이었으며 無觀衆에 리그도 縮小하는 바람에 運이 없었다.

홈 球場은 64,640席 規模의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이었다. 하지만 競技場 特性上 觀衆席과 避치 사이의 間隔이 너무 넓어 競技 觀覽에 隘路事項이 있고 競技場의 큰 規模 때문에 觀衆이 적지 않게 들어와도 텅 비어보이는 現象 等을 解決하기 위해 K리그 最初로 2008 시즌 부터는 陸上 트랙 위에 可變座席을 設置하였다. K리그2 로 降等된 2016年 以後로는 구덕운동장 을 홈구장으로 使用하고 있다. 2022年부터 구덕運動場의 잔디 및 改補修工事로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을 臨時 홈구장으로 다시 使用하고 있다.

2023年 釜山엑스포 誘致起源 콘서트를 하는 關係로 2競技를 臨時 홈구장으로 구덕運動場에서 치뤘다.

2023年부터 2軍팀이자 B팀인 釜山아이파크 퓨처스 를 두고 있다.

歷史 編輯

實業蹴球團 時節과 大宇 로얄즈 草創期 (1979?1985) 編輯

釜山 아이파크는 大宇그룹 傘下의 새한自動車 ( 大宇自動車 前身)에서 1979年 11月 22日 創團한 새한自動車 蹴球團 이 母胎이다. 1979年 解體된 한국산업은행 蹴球團 의 選手들을 主軸으로 21名의 選手團을 꾸렸고, 이종환 監督이 初代 司令塔을 맡았으며 1980年 實業蹴球 大會 에 參加하였다. [3]

1980年 10月 大宇 蹴球團 으로 球團 名稱을 變更하여 實業蹴球 大會 에서 活動하였으며 [4] , 이듬해인 1981年 第29回 大統領杯 全國蹴球大會 에서 準優勝을 차지하였다. [5] 1980年 12月 20日 大韓民國 最初의 프로蹴球團인 할렐루야 蹴球團 이 創團되었고 꼭 2年餘 뒤인 1982年 12月 17日 2番째 프로蹴球團 유공 코끼리 가 創團됨에 따라 實業蹴球團에 머물러 있던 大宇의 프로化가 論議되기 始作하였다. 1982年 國內蹴球團 最初로 海外 轉地訓鍊을 實施하였으며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約 43日을 보냈다.

1983年 韓國프로蹴球 리그 元年에 수퍼리그 에 프로蹴球團이 아닌 實業蹴球團 資格으로 參與하였다. [6] 大宇는 優勝 팀인 할렐루야 蹴球團 에 이어 리그 2位를 記錄하였고 그 해 最多 觀衆을 動員한 팀으로 記錄되었다(16경기, 34萬 7895名). 當時 大宇그룹 은 每 홈경기때마다 自社의 自動車, VTR , 冷藏庫, 洗濯機 等을 景品으로 내놓는 破格的인 이미지 마케팅 戰略을 선보이며 當代에 膾炙가 되었고 德分에 待遇 홈경기는 連日 滿員 行進을 벌였다. K리그 最初인 슈퍼리그 元年에 아르헨티나 出身 판초 곤잘레스 外國人코치를 選任하였다. 또한 國內 最初로 클럽시스템을 導入하고 運營하였다.

첫 시즌이 끝난 後 대우그룹의 金宇中 總帥는 大宇 蹴球團 을 프로화하겠다는 意志를 보여주었다. [7] 프로化에 앞서 大宇는 巨濟高等學校 와 待遇學院에 屬한 亞洲大學校 축구부를 大宇 蹴球團 의 傘下 蹴球團으로 삼아 어린 選手들을 自體的으로 需給할 수 있도록 制度的 裝置도 마련하였다. [8] 그러나 프로化 段階 中間에 選手 不足으로 暫時 동안 프로化를 留保下祈禱 하였다. [9] 迂餘曲折 끝에 1983年 12月 3日 國內 프로蹴球團 第 3號로 再創團하여 實業蹴球團에서 프로蹴球團으로 公式 轉換하였다. [10] 프로 轉換 後 1984年 蹴球大祭典 수퍼리그에 參加하였고, 그 해 1984年 8勝 4無 2敗 勝點 29點을 記錄하며 優勝을 차지하였다. [11]

大宇 로얄즈의 全盛期 (1986?1999) 編輯

1986年, 1972年 以後 14年 동안 中斷되었던 第 5回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AFC 챔피언스리그의 全身)李 再開되었는데, 이 大會에 大韓民國 代表로 大宇 로얄즈가 出戰하여 決勝戰에서 알 아흘리 를 3-1로 꺾고 韓國 蹴球 歷史上 最初로 클럽팀이 아시아 頂上에 오르는 快擧를 達成하였다(종전 記錄은 1969年 第2回 AFC 챔피언스 컵에서 中央情報部 傘下의 陽地 蹴球團 이 準優勝한 記錄이 全部였다). [12] 이듬해인 1987年 2月에는 아프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優勝 팀 資格으로 出戰, 모로코 FAR 라바트 (當時 韓國 言論에는 모로코 陸軍팀으로 紹介)를 이기고 優勝을 차지하며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통틀어 最强의 蹴球 클럽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3] 같은 해 大宇 로얄즈는 16勝 14無 2敗를 記錄하여 리그 두 番째 優勝 컵을 들어올리는데까지 成功하며 最全盛期를 누렸다.

1988年에는 올림픽 代表로 主戰 選手들이 大擧 差出되면서 最下位를 記錄하였다. 이듬해에 이차만 監督이 國家代表 코치로 任命되어 팀을 떠나자 東獨 出身의 프랑크 엥겔 을 監督 代行으로 選任하여 K리그 最初의 外國人 監督 迎入이라는 記錄도 세웠다. [14] 1989年에 國內 프로球團 最初로 年間會員制를 導入하였다. 1991年 프랑크 엥겔 監督과의 再契約 失敗 後 迎入한 監督 또한 헝가리 代表 出身의 비츠케이 베르脫란 으로 外國人 監督이었다. [15] 그는 大宇를 이끌고 17勝 18無 5敗를 記錄하며 K리그 3番째 優勝 컵을 들어올리는데 成功하였다. 비츠케이 監督이 시즌 後 再契約에 失敗했지만 이 當時 세운 K리그 21競技 連續 無敗 記錄은 最初의 記錄이었다. 1991年 K리그 最初로 프로通算 100勝을 達成했다.

1996年 K리그 完全地域軟膏劑 가 導入되자 待遇는 旣存의 釜山 緣故地를 그대로 가져가며 球團 公式 名稱을 釜山 大宇 로얄즈 로 改名하였다. 1997年에 리그를 包含해 컵 大會인 아디다스컵 프로스펙스컵 優勝을 거머쥐게 되면서 1997 시즌 프로蹴球聯盟이 主管하는 모든 大會를 優勝하는 全冠王 大業을 達成하였다. [16] 뿐만 아니라 프로蹴球 最初의 리그 4回 優勝의 業績도 達成하였다. 또한 釜山 最初로 팬클럽을 創設하였다. K리그 歷史上 最初로 前無後無한 全方位 베스트Xl를 輩出했다. 또한 프로蹴球팀 史上 最多連勝인 7連勝을 最初로 達成하였으며 K리그 歷史上 最初로 永久缺番制度를 導入했으며 聯盟이 隱退式을 마련하였다. 蹴球게임 피파2000에 클래식팀으로 K리그 및 아시아 클럽 最初로 收錄하였다. 1999年 史上 첫 리그 非優勝팀으로써 시즌 MVP를 輩出하였다.

釜山 아이콘스 (2000?2005), 釜山 아이파크 (2005 - 現在) 編輯

1999年 IMF 救濟金融 要請 으로 인하여 母企業인 大宇그룹 이 財政難에 處하자 釜山 大宇 로얄즈 도 賣却 對象이 되었다. [17] 2000年 2月 10日 現代産業開發 에서 로얄즈 蹴球團을 引受하는데 成功하였는데 [18] 롯데 第一製糖 이 로얄즈 蹴球團 引受 物望에 [19] 오르기도 했다. 引受 後 球團名稱을 釜山 아이콘스로 改名하였고, 팀 컬러도 파란色에서 正反對 色깔인 붉은色으로 變更하였으며 2000年 3月 7日 再創團式을 擧行하고 公式 出帆하였다. [20] 母企業이 바뀐 陣痛 탓인지 釜山 아이콘스는 不振을 거듭하였고, 6位로 시즌을 끝마쳤다. [21] 雪上加霜으로 홈 球場인 구덕운동장 이 補修工事에 들어가 大邱 , 昌原 等에서 流浪하는 身世를 면치 못하였고, 觀衆 首都 釜山 大宇 로얄즈의 마지막 시즌에 비해 60% 急減하였다. [22] 2001年 國內프로球團 最初로 코칭스쿨을 開設하였다.

2004年 初에는 서울特別市 로 緣故地 以前을 宣言하였다. [23] 이에 對해 팬의 憤怒와 背信感을 담은 글들이 인터넷 에 올라오고, 球團 에 對한 輿論도 相當히 좋지 않았다. [24] 輿論이 좋지 않자 釜山 아이콘스는 緣故地 以前 撤回를 示唆하였고, 決定的으로 安養 LG 치타스 FC 서울 로 球團名을 變更하고 서울特別市 로 緣故地 移轉하게 되면서 釜山에 殘留하게 되었다. [25] [26]

2005年 2月에 열린 統營컵 에서부터 球團名을 現在의 釜山 아이파크 (Busan I'Park)로 變更했다. [27] 2005年엔 前期 리그 에서 優勝을 차지했다.

2007年 7月, 스위스 出身의 앤디 에글리 監督이 突然 辭退 後 7月 18日에 後任으로 박성화 監督이 就任했으나 17日만인 8月 3日 올림픽 代表팀 監督을 맡게 되어 辭退를 發表했다. 이에 서포터즈人 P.O.P는 이番 事態를 慨歎하는 聲明書를 냈다. [28] 8月 18日 붉은악마 도 이 事件을 慨歎하는 聲明書를 내면서 보이콧을 한다고 밝혔다. [29] K리그 2007 시즌 이 終了된 後 황선홍 全南 코치를 監督으로 選任하였고, 2008年 1月 20日엔 過去 釜山의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攻擊手 안정환 을 迎入하는 等 過去 人氣 球團의 名聲을 되찾으려 努力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30] 황선홍 監督의 데뷔 시즌인 K리그 2008 시즌 에선 12位를 記錄했고, K리그 2009 시즌 에서도 12位로 시즌을 마쳤다.

한便 K리그 2009 시즌 에서는 12位에 머무르며 期待에 못미치는 成跡을 거뒀으나, 2009 피스컵 코리아 에선 準優勝을 차지했다. 2010年, 리그에선 期待에 못미치는 成跡을 거뒀지만, FA컵 에서는 決勝戰까지 올라 大會 優勝과 다음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出戰權을 놓고 水原 과 激突하였으나 水原에 勝利를 내주며 準優勝에 머물렀다. 釜山 아이파크는 눈에 띄는 成跡을 내지 못한 채 契約 期間이 滿了된 황선홍 監督과 再契約을 締結하지 않았으며, 황선홍 監督은 契約이 滿了되자마자 浦項 스틸러스 의 부름을 받아 팀을 옮겼다. 釜山 아이파크는 새 監督을 物色한 끝에 FC 서울 안익수 首席코치를 後任 監督으로 選任하였다.

K리그 2011 시즌 勝負造作 餘波로 主軸 守備手들이 離脫하는 惡材 속에서도 K리그 챔피언十 에 進出하며 成功的인 시즌을 마쳤다. 한便 2012年 엠블렘이 小幅 變更되었고 아이파크의 英文 綴字가 I'Park에서 IPark로 變更되었다.

2012年 夏季 올림픽 代表팀으로 釜山 所屬 選手인 金昌洙 , 朴宗雨 , 이범영 等 3名이 拔擢되어 銅메달 獲得에 寄與했다. 올림픽 以前 한지호 , 임상협 等 秀麗한 外貌의 選手들이 話題가 되어 女性 觀衆들이 增加하는 趨勢를 보였으며 올림픽에서의 釜山 所屬 選手들의 活躍은 觀衆 中 女性 팬들의 比重이 크게 늘어나는 契機가 되었다. 2012 시즌 終了 後 안익수 監督이 城南 으로 떠나고 水原 三星 블루윙즈 의 監督職을 歷任하였던 윤성효 監督이 팀의 새 監督으로 赴任하였다. 윤성효 監督 指揮 아래 치른 첫 시즌인 2013 시즌 劇的으로 上位 스플릿에 進出하고 강팀에 剛한 面貌를 보이며 釜山을 中位圈에 자리매김시켰다. 그러나 2014 시즌 엔 上位 스플릿 進出에 失敗하였고 最終 8位를 記錄하며 企業球團 中에서는 最下位를 記錄했다.

2015年 7月 13日 윤성효 監督이 成績 不振에 責任을 지고 辭任하였고, 데니스 코치 監督代行 體制로 시즌을 이어가다 시즌 막바지에 최영준 監督을 팀의 正式 監督으로 選任하였다. 하지만 최영준 監督 아래에서 남은 시즌 單 1勝도 거두지 못했고, 水原 FC 와의 承康 플레이오프에서 1,2次戰 合計 3-0으로 完敗하여 K리그 챌린지 로 降等되었다. 이는 企業 所有 球團 最初의 降等이자 리그 優勝팀의 첫 降等이다. 시즌 終了 後 최영준 監督은 2017年 K리그 클래식 復歸를 目標로 리빌딩 意志를 闡明하였다. [31]

2016 시즌을 앞두고 最勝人 , 고경민 , 스토야노비치 等 2015 시즌 K리그 챌린지에서 좋은 活躍을 펼친 選手들과 李源榮 , 차영환 , 김현성 等을 迎入하며 攻擊的인 補强으로 팀의 戰力을 强化해 有力 優勝 팀으로 꼽혔다. 하지만 리그 中後半까지 目標한 昇格圈과는 距離가 먼 順位에 머무르며 期待 以下의 모습을 보였다. 34라운드에는 6位로 치고 올라가며 플레이오프 競爭에 뛰어들었고, 結局 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서울 이랜드 를 따돌리며 5位를 守城하여 플레이오프에 進出하였다. 고경민은 챌린지 歷代 最短時間인 10分만에 헤트트릭을 達成했다. 2016年 11月 2日 單판으로 昇格 플레이오프에선 江原 FC 에 1-0으로 敗北하며 시즌을 마감하였고, 최영준 監督은 昇格 失敗에 對한 責任을 지고 辭任하였으며, 변명기 社長 억시 辭任하며 光州 FC 監督 出身 최만희 가 後任 社長으로 就任하였으며, 尙州 常務 를 球團 史上 처음으로 上位 스플릿 A에 진출시킨 조진호 가 20代 監督으로 就任하였다. [32] 또한2017시즌 리그 全競技를 구덕綜合運動場 에서 開催할 것으로 決定하였다. [33]

3月 4日 城南 FC 과의 리그 開幕戰서 1:0 勝利를 거두며 氣分 좋은 始作을 알렸고, 同時에 開幕展에서 이정협 이 골을 성공시켰으며, 以後 國家代表 差出로 出戰하지 못한 富川 FC 1995 와의 競技를 除外한 全 競技에서 골을 성공시키며 連續골 行進을 이어갔으며, 4月 15日 水原 FC 奠을 통해 리그 開幕後 6競技 連續골을 記錄, 아드리아노 大田 시티즌 所屬으로 세운 리그 開幕 後 最多連續骨 記錄과 타이를 이루었으며, 4月 22日 大田 시티즌 과의 競技에서 先取골을 記錄해 아드리아노를 제치고 리그 開幕後 最多 連續골 記錄을 成立하였고, 以後에도 좋은 活躍을 보이며 釜山은 리그 上位圈을 維持하였으며, 特히 FA컵 에서는 FC 서울 , 全南 드래곤즈 等의 1部리그팀들을 連달아 꺾으며 準決勝에 進出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10月 8日 리그 1位 慶南 FC 와의 競技에서 敗하면서 事實上 리그 2位를 確定지었다. 이틀뒤인 10月 10日 조진호 監督이 急性 心臟痲痹로 45歲를 一期로 別世하였다. [34] 10月 25日 水原 三星 과의 FA컵 準決勝戰에서 勝負차기 끝에 勝利를 거두며 K리그 챌린지팀 最初로 FA컵 決勝에 進出하였다.

以後 리그에서 2位를 記錄하며 플레이오프에 進出, 牙山 無窮花 를 相對로 勝利를 거두고 尙州 常務 와의 承康 플레이오프에 進入했다. 1次戰에서는 1:0으로 敗했고 2次戰에서 1:0 勝利를 거두며 勝負차기까지 勝負를 이어갔지만, 勝負차기에서 고경민 이 어이없게 失蹴하는 바람에 結局 5:4로 敗하며 昇格은 다음을 期約해야만 했다. 以後 FA컵 에서도 1次戰에서 1:2로 敗하였고, 2次戰에서도 得點없이 無勝負에 그쳐 準優勝에 머물렀다. 釜山 最初로 室內 풋살구腸을 開場했다.

12月 11日 최윤兼 大田 시티즌 , 江原 FC 監督을 21代 監督으로 選任하였다. 12月 27日에는 守備手 차영환 尙州 常務 에 入隊하였다. 그 後, 팀의 看板 攻擊手인 임상협 은 2018年 1月 4日子로 水原 三星 블루윙즈 로 移籍하였다. 하지만, FC 서울 에서 김치우 를 迎入하였다. 그 後, 이종민까지 迎入하여 K리그2에서 3位를 記錄하여 昇降 플레이오프에 進出하여 서울과 決戰을 벌였으나, 1次戰에서 권진영 의 退場이 빌미가 되어 1無 1敗를 記錄하여 또다시 K리그1 昇格에 失敗하였다. 그 後, 최만희 代表理事와 최윤兼 監督은 昇格 失敗의 責任을 痛感하고 辭任하였다. 以後 後任으로 조덕제 前 水原 FC 監督을 選任했고 前 監督 出身이었던 이기형 首席코치와 노상래 코치를 迎入했다.

2018年 K리그2 고경민은 K리그1,2 歷史上 最初로 3年連續 헤트트릭을 記錄했다.

2019年 K리그 最初로 호물로가 PK로 헤트트릭을 記錄하였다. 球團 有望株인 권혁규는 K리그 最初로 準프로契約을 맺었다.

2019年에는 K리그2 2位를 거쳐 K리그 昇降플레이오프에서 地域 라이벌인 慶南 FC에 구덕 홈 1次戰에서 0對0 無勝負였으나 昌原 遠征 2次戰에서 2對0으로 勝利하며 球團 첫 昇格의 기쁨을 누렸다.

하지만, 2020年에는 當初 降等戰力이 아니었는데도 不拘하고 파이널 B에서 막판 仁川 유나이티드와 城南 FC에 連霸를 當하면서 두番째 降等을 當했다.

2021年 K리그 最初로 共同主張을 選任하였다.

2022年에는 創團 最惡의 成績이었던 K리그2 最下位圈에서 10位에 그쳤다.

2023 시즌을 앞두고 球團은 2022 시즌 途中 카를로스 페레즈 監督을 更迭한 以後 팀의 首席코치였던 박진섭 前 光州 FC-FC 서울 監督을 選任하면서 리빌딩 意志를 드러냈다.

球團 名稱 變遷史 編輯

클럽名稱 變更 窓單一 / 變更일
새한自動車 蹴球團 1979年 11月 22日 (創團式)
大宇 蹴球團 1980年 10月
大宇 로얄즈 1983年 (수퍼리그 參加로 마스코트 確定)
1983年 12月 3日 (프로蹴球團으로 創團式)
釜山 大宇 로얄즈 1996年 1月
釜山 아이콘스 2000年 2月 10日 (釜山 大宇 로얄즈 引受 確定)
2000年 3月 7日 (釜山 아이콘스로 再創團式)
Pusan i.cons에서
Busan I'Cons로
球團名稱 英文綴字 變更
2002年 7月
釜山 아이파크 2005年 2月 21日
I'Park에서 IPark로
球團名稱 英文綴字 變更
2012年 2月 7日

選手 名單 編輯

參考: FIFA 資格 規定 에 따라 所屬된 國家代表팀 國旗를 標示합니다. 選手는 複數의 FIFA 非會員國 國籍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番號 포지션 國籍 이름
1 GK   구상민
2 FW   이동훈
4 DF   최동렬
5 DF   조위제
6 MF   이동수
7 FW   페新
8 MF   임민혁
10 MF   라마스
11 FW   로페즈
13 GK   김민승
14 MF   李昇基
15 FW   곽승兆
17 DF   이상준
18 DF   이현규
19 DF   박세진
20 DF   이한도  
21 GK   황병근
22 MF   최익진
番號 포지션 國籍 이름
23 MF   성호영
24 MF   천지현
25 FW   박건희
27 FW   최건주
28 FW   안병준
30 DF   김희승
31 GK   이승규
32 DF   원태랑
33 DF   李霆
39 MF   허승찬
44 FW   권성윤
45 DF   황준호
47 MF   손휘
77 MF   김도현
97 DF   알리쿨로프

賃貸 및 軍 服務 中인 選手 編輯

參考: FIFA 資格 規定 에 따라 所屬된 國家代表팀 國旗를 標示합니다. 選手는 複數의 FIFA 非會員國 國籍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番號 포지션 國籍 이름
? DF   홍욱縣 ( 金泉 常務 에서 軍 服務中)
? MF   최기윤 ( 金泉 常務 에서 軍 服務中)
? FW   이현준 ( FC 木浦 로 賃貸)
番號 포지션 國籍 이름
? MF   전승민 ( FC 安養 으로 賃貸)
? MF   조민호 ( 全州市民蹴球團 으로 賃貸)
? DF   최예훈 ( 金泉 常務 에서 軍 服務中)
? FW   金瓚 ( 金泉 常務 에서 軍 服務中)

스태프 編輯

코칭스태프 編輯

職位 이름
監督 박진섭
首席코치 유경렬
코치 최재수
골키퍼 코치 崔晛
피지컬 코치 최준혁

메디컬스태프 編輯

支援스태프 編輯

經營陣 編輯

  • 球團主?: 정몽규
  • 代表理事?: 김병석
  • 事務局長?:
  • 戰力强化室長?: 박동우
  • 經營企劃室長?: 송민철

記錄과 統計 編輯

優勝 記錄 編輯

國內 大會 編輯

리그 編輯
優勝 (4) : 1984 , 1987 , 1991 , 1997
準優勝 (3) : 1983 , 1990 , 1999
準優勝 (3) : 2017 , 2019 , 2023
優勝 (1) : 1981 春季
編輯
優勝 (1) : 2004
準優勝 (2) : 2010 , 2017
優勝 (3) : 1997 , 1997 , 1998
準優勝 (5) : 1986 , 1999 , 2001 , 2009 , 2011
準優勝 (1) : 2005
優勝 (2) : 1989, 1990 1
準優勝 (1) : 1988
準優勝 (1) : 1985
準優勝 (1) : 1981


國際 大會 編輯

아시아 大會 編輯
優勝 (1) : 1985
世界 大會 編輯
優勝 (1) : 1986

親善 大會 編輯

優勝 (1) : 2013
優勝 (1) : 2012

? 窓 촌부리 인비테이션

優勝 (1): 2013

準優勝 (2) : 2004, 2005

시즌 結果 編輯

시즌 리그 FA컵 ACL 기타
等級 [35] 京畿 勝點 順位
1983 1 16 6 7 3 21 14 +7 19 2 - - -
1984 28 17 6 5 47 23 +24 59 1 - - -
1985 21 9 7 5 22 16 +6 25 3 - - -
1986 20 10 2 8 26 24 +2 22 4 - 優勝 AACC - 優勝
1987 32 16 14 2 41 20 +21 46 1 - - -
1988 24 8 5 11 28 30 -2 21 5 - - -
1989 40 14 14 12 44 44 0 42 3 - - -
1990 30 12 11 7 30 25 +5 35 2 - - -
1991 30 17 18 5 49 32 +17 52 1 - - -
1992 30 7 14 9 26 33 -7 28 5 - - LC - 6位
1993 30 5 15 10 22 32 -10 40 6 - - LC - 3位
1994 30 7 6 17 37 56 -19 27 6 - - LC - 3位
1995 28 9 5 14 30 40 -10 32 5 - - LC - 3位
1996 32 9 9 14 45 51 -6 36 6 8强 - LC - 3位
1997 18 11 4 3 24 9 +15 37 1 1R - LC(A) - 優勝
LC(P) - 優勝
1998 18 6 4 8 27 22 +5 25 5 8强 - LC(A) - 組別리그
LC(P) - 優勝
1999 27 10 4 13 37 36 +1 37 2 [a] 16强 8强 LC(A) - 豫選
LC(D) - 準優勝
2000 27 9 2 16 42 42 0 29 6 準決勝 - LC(A) - 8强
LC(D) - 組別리그
2001 27 10 11 6 38 33 +5 41 5 8强 - LC - 準優勝
2002 27 6 8 13 36 45 -9 26 9 8强 - LC - 組別리그
2003 44 13 10 21 41 71 -30 49 9 32强 - -
2004 24 6 12 6 21 19 +2 30 7 優勝 - LC - 13位
2005 24 7 7 10 28 31 -3 28 10 32强 準決勝 LC - 13位
SC - 準優勝
2006 26 9 7 10 40 42 -2 34 8 16强 - LC - 10位
2007 26 4 8 14 20 39 -19 20 13 8强 - LC - 組別리그
2008 26 5 7 14 30 39 -9 22 12 16强 - LC - 6强
2009 28 7 8 13 36 42 -6 29 12 16强 - LC - 準優勝
2010 28 8 9 11 36 37 -1 33 8 準優勝 - LC - 8强
2011 30 13 7 10 49 43 +6 46 6 [b] 8强 - LC - 準優勝
2012 44 13 14 17 40 51 -11 53 7 32强 - -
2013 38 14 10 14 43 41 +2 52 6 準決勝 - -
2014 38 10 13 15 37 49 -12 43 8 8强 - -
2015 38 5 11 22 30 55 -25 26 11↓ 32强 - -
2016 2 40 19 7 14 52 39 +13 64 5 16强 - -
2017 36 19 11 6 52 30 +22 68 2 準優勝 - -
2018 36 14 14 8 53 35 +18 56 3 16强 - -
2019 36 18 13 5 72 47 +25 67 2↑ 3R - -
2020 1 27 5 10 12 25 38 -13 25 12↓ 8强 - -
2021 2 36 12 9 15 46 56 -10 45 5 3R - -
2022 40 9 9 22 35 52 -18 36 10 3R - -
2023 36 20 10 6 50 29 +27 70 2 3R - -
2024 36 - -
  1. 正規리그 4位, 플레이오프 2位
  2. 正規리그 5位, 플레이오프 6位

클럽 歷代 人物 編輯

歷代 選手 編輯

永久 缺番 編輯

參考: FIFA 資格 規定 에 따라 所屬된 國家代表팀 國旗를 標示합니다. 選手는 複數의 FIFA 非會員國 國籍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番號 포지션 國籍 이름
12   (서포터에게 獻呈한 缺番)
16 MF   김주성 (隱退 後 名譽)

歷代 監督 編輯

  • 就任은 公式 就任式 日子이며 就任式이 없거나 未詳인 境遇 公式 選任 日子를 記載한다.
順番 이름 就任 辭任 在任시즌 備考
이종환 1979/11/22 1980/??/?? 1980 (實業蹴球) 待遇 實業蹴球團의 前身인
새한自動車 蹴球團 創團 監督
1代
장운수 1981/01/?? 1983/10/18 1981?1982 (實業蹴球)
1983
初代 監督
2代
조윤옥 1983/10/18 1984/06/20 1984
3代
장운수 1984/06/21 1986/12/06 1984?1986
4大
이차만 1986/12/07 1989/12/?? 1987?1989
김희태 1989/04/?? 1989/12/?? 1989 이차만 監督 國家代表팀 코치 差出 期間 監督代行職 隨行
5大
  프랑크 엥겔 1989/12/21 1990/11/?? 1990 K리그 最初의 外國人 監督
6大
  비치케이 베르털런 1990/11/17 1991/11/15 1991
7代
이차만 1992/01/01 1992/09/25 1992
조광래 1992/09/25 1992/12/23 1992
8代
1992/12/24 1994/06/21 1993?1994 正式 監督으로 昇格
정해원 1994/06/21 1994/09/07 1994
9代
김희태 1994/09/08 1995/08/03 1994?1995
신우성 1995/08/04 1995/12/31 1995
10代
  드라고슬라브 셰쿨라라츠 1996/01/04 1996/07/14 1996
金泰洙 1996/07/15 1996/12/25 1996
11代
이차만 1996/12/26 1999/06/09 1997?1999 1997 3冠王 및 大宇 時節 마지막 正式 監督
신윤기 1999/06/10 1999/09/08 1999 急性 白血病으로 因한
腦出血로 死亡(1999/09/12)
장외룡 1999/09/14 1999/12/17 1999 大宇 時節 마지막 指導者
12代
김호곤 2000/02/23 2002/11/05 2000?2002 아이콘스-아이파크 初代 司令塔
박경훈 2002/11/05 2002/11/20 2002
13代
  이안 포터필드 2002/11/21 2006/04/03 2003?2006 아이콘스-아이파크 첫 外國人 監督

2004 대한축구협회 FA컵 優勝

김판곤 2006/04/03 2006/08/22 2006
14代
  앙드레 에글리 2006/07/25 2007/06/30 2006?2007
김판곤 2007/06/30 2007/07/17 2007
15代
박성화 2007/07/18 2007/08/03 2007
김판곤 2007/08/03 2007/12/03 2007
16代
황선홍 2007/12/04 2010/11/05 2008?2010
17代
안익수 2010/12/15 2012/12/12 2011?2012
18代
윤성효 2012/12/18 2015/07/13 2013?2015 創團 첫 降等成績
    데니스 이와무라 2015/07/13 2015/10/07 2015
19代
최영준 2015/10/07 2016/11/04 2015?2016 創團 첫 降等監督
20代
조진호 2016/12/05 2017/10/10 2017 急性 心臟 痲痹로 別世(2017/10/10)
李承燁 2017/10/10 2017/12/03 2017
21代
최윤兼 2017/12/11 2018/12/12 2018
22代
조덕제 2018/12/20 2020/09/29 2019?2020 創團 첫 K리그 1 昇格

두番째 降等成績

이기형 2020/09/29 2020/11/01 2020 두番째 降等成績
23代
  히카르두 페레스 2020/11/25 2022/05/31 2021?2022 歷代 最惡性的
24代
박진섭 2022/06/03 2022?現在

스폰서 編輯

킷 서플라이어 編輯

後援 編輯

競技場 編輯

競技場 이름 所有主 開場年度 使用期間
使用始作 使用終了
  구덕綜合運動場 釜山廣域市 體育施設管理事業所 1928年 1987年 現在 [36]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釜山廣域市 體育施設 管理事業所 2001年 2002年 現在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編輯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은 釜山廣域市 蓮堤區 거제동에 있는 스포츠 競技場 綜合 團地 人 釜山綜合運動場의 메인 스타디움으로 蹴球와 陸上 競技를 할 수 있는 多目的 競技場 이다. 2001年 9月 16日 開場하였으며 처음에 아시안 게임 의 主競技場을 目的으로 만들었으며 全體 이름은 釜山綜合運動場 아시아드主競技場이다. 2002年 아시안 게임 2002年 FIFA 월드컵 이 開催되었으며, 大韓民國 폴란드 를 물리치고 월드컵 史上 첫 勝을 거둔 場所이기도 하다. 座席數 53,769 席으로 最大 8萬 名의 觀衆을 收容할 수 있으며 지붕은 돔 形態의 反 開放型 構造로써 원을 形象化한 것이다.

主競技場 隣近에는 面積 1,407m 2 의 補助競技場이 있으며 사직야구장 等 各種 體育施設이 密集해 있으며 管理는 釜山廣域市 體育施設 管理事業所에서 맡고 있다. 釜山 都市鐵道 3號線 綜合運動場驛 과 連結된다.

2002年부터 2017年까지 K리그 클래식 의 釜山 아이파크가 홈구장으로 使用하고 있으며, 球團 側은 蹴球專用球場과 같은 視野를 確保하기 위해 2008年 K리그 부터 東쪽과 北쪽 스탠드 方向 陸上 트랙 위에 可變座席을 設置하여 活用하고 있다. [37]

또한 2015年 5月 30日에는 《슈퍼콘서트 土曜日을 즐겨라》 公演이 進行되었던 곳이기도 하지만, 2014年부터 ' 아시아송 페스티벌 ' 및 '釜山아시아원페스티벌' 等 地域別 特色 祝祭를 開催하고 있다.

2018年부터는 홈구장의 資格을 구덕運動場에 넘겨주었으나, 2022시즌에는 구덕運動場의 잔디公社로 인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이 다시 홈구장으로 使用된다.

2023시즌에는 5月末頃에 改補修工事 完了로 九德을 使用할 豫定이다.

구덕綜合運動場 編輯

구덕綜合運動場은 釜山廣域市 西區 대신동에 位置한 스포츠 競技場 綜合 團地인 綜合運動場 이다.

運動場 構成은 한지형 잔디 7,810m 2 와 트랙 7,368m 2 로 構成되어 있으며 座席數는 12,349席이고 30,000名까지 受容할 수 있다. 本部席에만 지붕이 있는 大多數의 綜合競技場과 비슷한 形態를 띄고 있으며, 現在 내셔널리그 釜山交通公社 蹴球團 亦是 使用하고 있다. 바로 옆에 구덕野球場 구덕室內體育館 이 存在한다.

1920年 9月 조그만 動物園 을 곁에 둔 넓은 빈터를 마을 體育大會 場所로 使用하다가 1928年 9月에 釜山公設運動場으로 建立되었다. 1978年 8月에 現在와 같은 모습을 갖추었으며 1982年 사직야구장 이 建立되어 그해 6月에 구덕運動場으로 改稱되었다. 사직야구장 이 建立되기 前까지 釜山 唯一의 市民綜合運動場으로 國內外 널리 알려진 곳이다.

1988年 서울 올림픽 蹴球 豫選 競技場으로 쓰였다. 1997年에는 第 2回 釜山 東아시아大會의 主 競技場으로서 開幕式, 陸上, 閉會式 等이 이곳에서 치러졌으며, 2002年 아시안 게임 當時 大韓民國 對 이란의 蹴球 準決勝戰이 이곳에서 치러졌다.

釜山 아이파크 創團 以後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이 完工되기 前까지 홈競技場으로 使用되었으며, 以後 使用이 中斷되었다가 2015年부터 다시 使用되기 始作하였으며, 2017시즌 釜山 아이파크 홈競技 全競技를 單獨으로 開催하였다. 釜山 아이파크는 그 以後로도 구덕運動場을 홈으로 쭉 使用하기 始作했으나, 2022年에는 잔디公社로 인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을 臨時 홈구장으로 使用한다.

클럽하우스 編輯

釜山 江西區 體育公園로 43 (大抵1棟)

地番?: 2152-1


開館: 2003年 2月 27日

부산아이파크의 클럽하우스는 生活觀과 2面의 天然잔디球場으로 構成되어 있습니다. 生活觀에서는 選手들의 訓鍊과 生活을 위해 웨이트실, 락커룸, 샤워室, 미팅룸, 休憩室, 治療室, 食堂, 練習球場, 풋살競技場, 優勝트로피 陳列欌, 體力鍛鍊室, 宿所, 醫務室, 會議室 等을 갖추어 選手들이 訓鍊 및 生活에 不便함이 없도록 準備되어 있습니다. 1層 로비를 팬들을 위한 팬존으로 構成하여 選手와 팬이 하나가 될 수 있는 空間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엠블럼과 마스코트 編輯

엠블럼?: 부산아이파크의 엠블럼은 傳統있는 유럽의 家門에서 使用되는 文章을 利用하여 名門球團으로서의 이미지를 表出하고 있다.

旣存 엠블럼의 單純化시키면서 유럽스타일의 西歐的인 이미지로 洗練된 느낌을 살렸으며 單純하게 임팩트를 살려 디자인 되었고, 外郭의 灰色 테두리는 글로벌 (GLOBAL) 市場을 表現하여 國際 貿易港으로 뻗어나는 釜山, 그리고 世界的 名門 球團으로 浮上하는 아이파크를 의미하고 있다.

컬러는 感覺과 熱情, 힘과 에너지를 나타내는 레드와 理性的인 컬러인 그레이를 使用하여

蹴球團의 힘과 에너지를 表現하고 挑戰 (INNOVATION)을 追求하며 理智的인 느낌을 내타내고 있다.

부산아이파크의 엠블럼은 워드마크 'I'를 모티브로 하이 스피드와 正確性으로 自律蹴球와 밸런스 蹴球를 志向하고 있다.

로고타입은 심볼마크, 엠블럼과 함께 釜山아이파크蹴球團을 象徵하는 代表的인 象徵物로서 釜山아이파크 T.I.P (Team Identity Progrmam)의 核心的인 基本要素이다.


마스코트?: 元來 처음에는 優勝이와 連勝이라는 올드 잉글리쉬 쉽毒이 球團을 代表하는 마스코트 였으나 失踪事件을 겪고 나이와 健康上의 問題로 隱退하고 現在 새로 出帆한 똑디(2016~),해라(2021~) 6歲가 마스코트로 活動하고 있다.

유니폼 編輯

事實 元年 컬러는 빨간色이었다. 파란 유니폼은 프로火因 1984年부터 導入되었다. 아디다스 辭意 유니폼이며 83 수퍼리그 當時엔 붉은 유니폼과 하얀色 上衣에 검은色 下衣의 유니폼이었다. 1984年엔 붉은色 下衣도 있었다.

클럽 關聯 文化 編輯

前身 大宇로얄즈의 서포터즈人 로얄패밀리를 이어받은 팬클럽이다.

熱情的인 應援! 12番째 選手!

釜山을 應援하는 여러분들이 모두 서포터즈입니다.

더 나아가서 釜山이 競技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함께하며 競技場에서 直接 우리 목소리를 傳하고, 釜山의 勝利를 우리들의 목소리로 이끌어 나가는것을 目標로 합니다

Go on Together

釜山아이파크 公式 서포터즈?: P.O.P (Pride of Pusan)

뿐만 아니라 應援團과 치어리딩 文化로 즐겁게 應援할 수 있다.

같이 보기 編輯

洛東江더비

京釜線더비

東海線더비

釜山더비

現代産業開發

釜山廣域市

K리그

嶺南地方

慶尙道

臨時首都

大宇그룹

大宇自動車

大宇建設

待遇産業開發

대한축구협회

釜山市蹴球協會

各州 編輯

  1. {{웹 認容 |url=http:// =
  2. 김정희 (2013年 9月 1日). “釜山, 浦項 누르고 劇的 上位 스플릿 合流…城南도 勝利” . 베스트일레븐. 2015年 9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2月 1日에 確認함 .  
  3. “새한自動車 축구팀 創團” . 京鄕新聞. 1979年 11月 22日.  
  4. “가을철實業蹴球(實業蹴球) 大宇(大宇),商銀(賞은)제쳐” . 東亞日報. 1980年 10月 27日.  
  5. “맏兄부터 막내까지 蹴球王國 꿈꾸는 待遇” . 東亞日報. 1982年 2月 3日.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6. 김대수 (1983年 5月 3日). “蹴球中興 死活건「새출범」” . 每日經濟.  
  7. 이승구 (1983年 9月 30日). “대우그룹會長 김우중氏 "수담은 韻을 超越한 頭腦스포츠 " . 京鄕新聞.  
  8. “大宇 프로創團監督에 前代表監督 조윤옥氏 總監督엔 장운수氏” . 東亞日報. 1983年 10月 19日.  
  9. “프로蹴球創團 留保 待遇, 選手確保안돼” . 京鄕新聞. 1983年 11月 28日.  
  10. “프로蹴球 待遇 本格的 클럽시스템 導入 來年 28億들여 프로,아마,中,高,大學팀 運營” . 東亞日報. 1983年 12月 3日.  
  11. “大宇 "王冠" 빛나다 待望의 프로蹴球 頂上에” . 京鄕新聞. 1984年 11月 12日.  
  12. “5行 스포츠” . 京鄕新聞. 1986年 11月 6日.  
  13. “大宇,아프리카 最强 모로코 完破” . 東亞日報. 1987年 1月 17日.  
  14. “東獨 엥겔 監督代行 迎入” . 한겨레. 1988年 12月 22日.  
  15. “헝가리人 비츠케이 待遇蹴球監督 來韓” . 聯合뉴스. 1990年 11月 6日.  
  16. “大宇 올 全冠王 祝賀宴” . 東亞日報. 1997年 10月 30日.  
  17. 김재현 (1999年 12月 23日). “프로球團에도 賣却, 빅딜 바람” . 聯合뉴스.  
  18. “大宇 로얄즈 蹴球團 現代産業開發에서 引受” . 聯合뉴스. 2000年 2月 10日.  
  19. 서동오 (2000年 2月 10日). “현대, 大宇蹴球團 引受” . 國際新聞 . 2022年 8月 29日에 確認함 .  
  20. “釜山 아이콘스 프로蹴球團 創團式 開催” .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브랜드 홈페이지. 2000年 3月 7日. 2017年 12月 1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2月 12日에 確認함 .  
  21. 최승진 (2000年 5月 22日). “7連霸 洞네북 釜山 "답답해요 " . 韓國日報.  
  22. 최승진 (2001年 5月 9日). “釜山 '名家再建' 때가 왔다” . 韓國日報.  
  23. 김경무 (2004年 2月 11日). “釜山 아이콘스도 서울로 緣故地 以前 申請” . 한겨레.  
  24. “프로蹴球 釜山,서울 軟膏移轉 宣言…팬들 强力 反撥” . 國民日報. 2004年 2月 11日 . 2008年 5月 30日에 確認함 .  
  25. 박진용 (2004年 2月 11日). “釜山, 緣故地 以前 撤回 時事” . 韓國日報.  
  26. 서봉국 (2004年 3月 10日). “釜山, 緣故地 殘留…LG, 서울 移轉” . YTN.  
  27. 최원창 (2005年 2月 21日). “釜山, 팀명 '아이콘스'에서 '아이파크'로 變更” . 조이뉴스24.  
  28. 이건 (2007年 8月 4日). “釜山 서포터, "어처구니없는 事態에 憤怒" 聲明書” . OSEN. 2007年 9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8月 5日에 確認함 .  
  29. “今番 올림픽代表 監督選任에 對한 붉은악마 聲明書,” . 붉은악마. 2007年 8月 18日. 2007年 9月 2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8月 19日에 確認함 .  
  30. 이준목 (2008年 1月 22日). “釜山, 第2의 '김호+高宗秀 效果' 노린다” . 데일리안.  
  31. 권태정 (2015年 12月 17日). ' 34名 中 20名 OUT' 釜山의 刷新 目標는?” . 풋볼리스트.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32. 이진규 (2016.11.25) 프로蹴球 釜山 아이파크 새 司令塔에 조진호 監督 國際新聞
  33. 釜山 아이파크, 2017시즌 홈 全競技 '구덕운동장'에서
  34. “[速報]조진호 釜山 監督, 心臟痲痹로 死亡” . 2017年 10月 10日에 確認함 .  
  35. 所屬리그 等級
  36. 2002시즌을 끝으로 使用을 終了했으나 2015시즌부터 다시 使用하기 始作하였다.
  37. 노정현 (2008年 1月 8日). “釜山AG 主競技場 蹴球 專用球場처럼…” . 釜山日報. 2017年 10月 1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10月 17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