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安勝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安勝

( 보덕왕 에서 넘어옴)

安勝 (安勝,??~?)은 高句麗 의 王族으로 報德國 의 君主이다. 保障王 의 庶子, 或은 外孫子라는 說과 연정토 의 아들이라는 說이 있다. [2] [3] 新羅 문무왕 에 依해 보덕국왕으로 封해졌으며 金馬渚 ( 全羅北道 益山市 )를 下賜받고 高句麗流民들과 湖南 地方 에서 高句麗 復興運動 을 展開해 報德國 (報德國)의 王이 되었다. 670年 高句麗의 將軍 검모잠 唐나라 에 反撥하여 復興運動을 始作했을 때, 高句麗王으로 推戴되었다. 676年 新羅의 三國統一 以後, 683年 문무왕 의 누이와 結婚하고, 신문왕 의 名으로 新羅 의 貴族으로 編入되었다. 新羅 高句麗 界 流民들을 大擧 統合하는데 中樞的인 役割을 하였다.

安勝
安勝
보덕국왕
在位 674年 ~ 683年
戴冠式 보덕왕(報德王)
前任 初任
後任 未詳
이름
安勝(安勝)
異稱 안순(安舜) [1]
別號 未詳
廟號 未詳
시호 未詳
年號 未詳
身上情報
出生日 未詳
出生地 未詳
死亡日 未詳
死亡地 未詳
國籍 高句麗 (高句麗) → 報德國 (報德國) → 新羅 (新羅)
宗敎 未詳
墓所 未詳

生涯

編輯

生涯 初盤

編輯

安勝의 生年月日은 未詳이며 出身과 星氏도 未詳이다. 安勝의 出身에 對해서,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에는 保障王 의 庶子(庶子)라 記錄돼 있고, 新羅本紀에는 王( 保障王 )의 庶子 [4] 또는 연정토 의 아들이라 記錄돼 있고, 《 資治通鑑 》에는 寶藏王의 外孫이라 記錄돼 있다. [5] 高句麗本紀 및 資治通鑑을 따르면 그의 性은 高氏가 되고, 新羅本紀를 따르면 그는 延氏로서 연개소문 의 조카에 該當된다. 幼年 時節 및 高句麗 에서의 行跡 或은 官職 經歷에 對해서는 《三國遺事》 및 《三國史記》에 나와있지 않아 未詳이다.

高句麗 復興運動

編輯

668年 , 高句麗 新羅 唐나라 의 聯合軍에게 滅亡당한 뒤, 安勝은 四野도(史冶島) [株 1] 에 머무르고 있었다.

670年 검모잠 이 사야도에 있던 安勝을 漢城 으로 맞아들여 王으로 推戴하고 高句麗 復興軍을 일으켰다. 그 後 高句麗 復興軍은 小型(小兄) 茶食(多式)을 보내 新羅 에 對해 服屬할 것을 約束하고 도움을 請했다. 문무왕 은 그들을 金馬渚(金馬渚) [株 2] 에 머물도록 했다. [7] 그러나 당군의 壓迫을 받게 되자, 이에 對處하는 方案을 둘러싸고 內紛이 일어나 安勝이 검모잠 을 죽이고 新羅 에 投降했다. [8]

新羅 貴族으로의 編入

編輯

670年 문무왕 新羅 에 投降한 安勝을 高句麗 王으로 봉했다가, 674年 (文武王 14年) 安勝의 集團을 金馬渚( 全羅北道 益山市 ) 一帶에 安置시키고, 安勝을 보덕왕 (報德王)에 봉했다. [9] 670年에 高句麗 王으로 봉했다가, 다시 보덕왕(報德王)으로 봉한 것이다.

679年 新羅 君의 先鋒에서 羅唐戰爭 에 參戰하여 唐軍을 擊退하였다. 680年 ( 문무왕 20年) 3月 金·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彩色 緋緞 100段을 보덕왕에게 내리고 문무왕 의 조카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 [10]

683年 ( 신문왕 3年) 10月 신문왕 으로부터 小版(蘇判)의 官職을 받고 金氏(金氏) 性을 四星(賜姓)받은 뒤 집, 土地를 下賜받아 [11] 報德國과 隔離된 채 新羅 中央 貴族이 되었다. [8]

683年 安勝이 新羅 貴族으로 編入된 데에 不滿을 품은 大門 (大文) 等의 무리가 金馬渚에서 叛亂을 일으켰으나, 新羅 官軍에 鎭壓되었다. 大門의 叛亂을 鎭壓한 新羅 는 金馬渚에 金馬郡(郡)을 設置했다. [12] 以後의 安勝의 仔細한 삶은 傳해지지 않는다. 死亡年度와 墓地 또한 未詳이다.

評價

編輯

安勝에 對한 後代 評價는 飼料 不足으로 正確하게 알 수는 없지만, 그가 수많은 高句麗 流民들을 新羅 땅에 정착시킴으로써 新羅 高句麗 文化와 意識을 吸收하는데 中樞的인 役割을 하였다. 安勝이 新羅 의 三國統一을 도와 큰 功을 세움으로써 高句麗 遺民들이 新羅 에 編入되었을 때, 功臣級인 6頭品의 地位로 確定하게 하여 事實上 新羅 의 眞骨, 6頭品 勢力과 對等한 立場에 서게 한 人物로 評價된다.

이 部分은 沒落한 伽倻 界 眞骨 出身인 김무력 김유신 의 成長 過程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5頭品으로 格下된 百濟 契와는 相反된 것으로, 이는 統一新羅 200年間 한番도 新羅 內에서 高句麗 系의 地位가 6頭品 아래로 格下되지 않은 것만으로도 알 수 있다. 이는 安勝이 現實的인 外交 感覺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背景으로 形成된 高句麗 界 新羅 貴族은 黃海道(패서)및 開城 地域의 高句麗系 流民들과 함께 後날 王建 이 高句麗를 繼承하는 高麗 를 세우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家計

編輯

寶藏王의 아들(庶子) 설

編輯
寶藏王의 庶子 說을 따르면 故人勝, 고복남, 고덕무 , 膏藥狂 等은 그의 兄弟가 된다.

연정토의 아들 설

編輯

其他 親族

編輯
  • 조카(아들이라는 說도 있음.)?: 大門 (大文)

安勝이 登場한 作品

編輯

같이 보기

編輯

註解

編輯
  1. 只今의 德積島 附近에 있는 소야도(蘇爺島)를 말한다 [6]
  2. 只今의 全北 益山市

各州

編輯
  1. 安勝 - 두산百科
  2. 安勝 - 韓國民族文化大百科
  3. 安勝 - 文化原形百科
  4. 韓國史데이터베이스
  5. 人名事典編纂委員會, 安勝 《人名事典》. 민중서관
  6. 이병도, 《國譯 三國史記》 6板, 을유문화사, 1986, 103쪽 週6
  7. 《三國史記》 勸第6 新羅本紀 第6 文武王 10年(670)
  8. 노태돈, 安勝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9. 報德國 - 韓國民族文化大百科
  10. 《三國史記》 勸第7 新羅本紀 第7 文武王 20年(680)
  11. 《三國史記》 勸第8 新羅本紀 第8 神文王 3年(683)
  12. 《三國史記》 勸第8 新羅本紀 第8 神文王 4年(684)
前 代
保障王
高句麗 復興運動 指導者
669年 ~ 670年
後 臺
新羅 報德國 王 冊封
前任
高句麗 寶藏王
高句麗 復興運動 指導者
670年 ~ 683年
後任
걸걸중상
乞士비우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新羅의 三國統一〉"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