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邊두리 理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邊두리 理論

主流가 아닌 理論

邊두리 理論 (邊두리理論, fringe theory)은 主流가 아닌 理論 이다. 科學的 觀點이든 의 解釋이든 邊두리 理論이 時間이 지나서 立證하는 證據가 쌓이면 主流 理論으로 收容될 수 있다. 確立된 主流 理論이 存在하는 境遇, 非主流 理論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邊두리 理論은 多數의 意見도 尊重받는 少數의 意見도 아니다. [1] [2] 一般的으로 邊두리 理論이라는 用語는 理論(確立된 科學 理論 의 槪念이 아닌 假說 또는 不確實한 아이디어)이라는 單語를 理解하는 것에 더 가깝다. [3]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Jasanoff, Sheila (1992). “What judges should know about the sociology of science”. 《Jurimetrics》: 345?359.  
  2. Rundlett 2013 , 5-88쪽.
  3. Morrison, David (2005). “Only a Theory? Framing the Evolution/Creation Issue” . 《Skeptical Inquirer》 29 (6): 35?41. 2018年 11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3年 5月 5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