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발도르프 敎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발도르프 敎育

獨逸에서 始作된 代案敎育의 一種

발도르프 敎育 ( 獨逸語 : Waldorfpadagogik 발도르프페다고기크 [ * ] , 英語 : Waldorf education, Steiner education )은 20世紀 오스트리아 認知學 루돌프 슈타이너 가 提唱한 敎育 思想 및 實踐으로 獨逸 에서 始作된 代案敎育 의 一種이다.

獨逸의 트리어 발도르프 學校
全 世界的으로 발도르프 學校의 數가 增加하고 있다.

발도르프 敎育은 1919年 루돌프 슈타이너 에 依해 세워진 발도르프學校에서 出發한 代案敎育이다. 발도르프學校는 南部 獨逸 슈투트가르트 에서 발도르프 아스토리아 담배工場 勞動者들의 子女들을 위해 처음 세워졌는데, 이 學校를 위한 敎科課程이 後代까지 影響을 미쳐 敎育運動으로 發展하게 되었다. 1994年에 열린 世界 敎育部 長官들의 會議에서 21世紀 敎育의 모델로서 발도르프學校가 選定되었으며 유네스코의 支援, 硏究 對象에 屬하게 되었다. 國內에서는 SBS 다큐멘터리 <이것이 未來 敎育이다> 시리즈 1篇에서 放映되었다. [1] 발도르프 敎育의 特徵은 男女共學 , 에포크授業, 全人敎育, 成績이 없는 成績表, 敎科書 없는 授業, 外國語 授業의 發達, 自治 行政 等이 있다.

現在 발도르프 敎育은 全世界的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그 모습은 各其 다르다. 슈타이너가 原理에 對한 充分한 認識 없이 具體的인 實踐 方法만을 受容하는 것에 反對했기 때문이다. [2] 그럼에도 발도르프敎育의 基本的인 理念은 매우 共通的이기 때문에 모두 발도르프 學校라는 名稱을 使用한다.

歷史 編輯

 
루돌프 슈타이너 [3] (1861年 2月 27日 - 1925年 3月 30日)

발도르프 敎育은 루돌프 슈타이너에 依해 始作되었는데, 그는 레알슐레 에 다니던 時期에 칸트 純粹理性批判 에 興味를 느꼈다. 그러나 그는 칸트의 意見에 反對하며 '思考와 經驗은 끊임없이 發達할 수 있는 것'이라는 생각을 가졌다. 大學 進學 以後 그는 피히테 , 셸링 , 헤겔 等의 冊을 耽讀했고, 當時 文學을 가르쳤던 슈레어(Kal Julius SchrOer) 敎授의 影響을 받아 精神世界와 物質世界 사이의 關係를 새롭게 바라보게 되었다. [4] 이는 발도르프 敎育學에 適用되었는데, 그는 當時의 學校敎育이 可視的인 物質世界에만 매달리고 있는 것을 批判하며 可視的인 物質世界와 非可視的인 物質世界를 連繫하려고 努力했다. [5] 이 外에 슈타이너는 쉴러(J.C. Friedrich Schiller)의 著書 《人間의 美的 敎育에 對한 便紙》와 괴테 의 自然科學에 關한 글 等의 影響을 받았다.

1884年 슈타이너는 라디스라우스 슈페이트라는 貿易業者의 집에 家庭敎師로 들어가 4名의 男子 아이들을 가르쳤는데, 그 中에는 腦水腫 을 앓는 10살 어린이가 있었다. 슈타이너는 自身만의 方法으로 이 아이를 교육시켰다. 以後 少年은 健康이 好轉되어 김나지움 에 들어갔고, 醫學博士가 되었다. 이러한 經驗을 통해 슈타이너는 學習指導의 經濟性, 治癒的인 授業, 身體와 精神 發達의 關聯性을 攄得하게 되었다. 1898年부터 6年間 베를린 에 있는 社會民主黨 의 勞動者學校에서 成人을 對象으로 歷史와 獨逸語(修辭學과 作文 코스)를 가르쳤고, 2年동안 女學生을 위한 再敎育機關에서 敎師로 在職하는 等 實際 敎育 現場 經驗을 쌓았다. 이 經驗들을 基盤으로 그는 普遍的 庶民 敎育을 펼치려는 計劃을 세우게 되었다. [6] [7]

한便, 그는 1902年 神智學會라는 宗敎組織에 加入하였는데, 여기에서 神智學 (theosophy , 神智學)이란 보통의 信仰이나 推論으로는 알 수 없는 神의 深奧한 本質이나 行爲에 關한 知識을, 神祕的인 體驗이나 特別한 啓示에 依하여 알게 되는 哲學的 ·宗敎的 智慧 및 知識을 意味한다. [8] 그러나 그는 1913年에 神智學會에서 나와 認知學會를 設立해 獨立的인 活動을 始作했는데, 神智學과 달리 認知學 은 ‘人間’을 中心에 두었다. 以後 네 篇의 神祕劇, 오이리트美(Eurythmy) 等 藝術的인 特性이 强調되는 時期를 거쳐 發展을 거듭하게 되었다.

루돌프 슈타이너의 認知學이 實際 學校에 適用된 것이 바로 발도르프 學校다. 발도르프 學校는 1919年 南部 獨逸 슈투트가르트의 발도르프 아스토리아 담배工場 勞動者 子女를 위한 學校로부터 始作되었다. 當時 슈타이너는 第 1次 世界大戰 以後 社會復舊가 切實하던 狀況에서 三重的 社會秩序 運動 [9] (Threefold Social Order Movement)을 主導했고, 演說文을 發表하는 等 社會問題와 關聯된 글을 發表했다. 그와 마찬가지로 認知學에 깊은 關心을 가지고 있던 企業家 에밀 몰트 는 발도르프 아스토리아 工場의 所有主이면서 勞動者 敎育에 獻身的인 사람이었다. 그는 슈타이너의 講演을 듣고 “關係가 要求하는 것에 마음을 열어두기”라는 表現에 感動했고, 以後 自身의 財産까지 投資하며 勞動者들과 關係 맺기에 熱中했다. 勞動者 敎育에서 始作하여 勞動者 子女 敎育에 關心을 갖게 된 에밀 몰트는 루돌프 슈타이너에게 自己 工場 勞動者를 위한 學校 設立을 付託했고, 이를 契機로 발도르프 學校가 세워지게 되었다.

目的 編輯

발도르프 敎育에서는 身體-精神-靈魂의 調和로운 敎育을 强調하기 때문에 身體(손과 발)을 利用하여 精神과의 協力的인 發展을 圖謀하는 '勞作敎育'을 敎育 內容으로 한다.

발도르프 敎育의 敎育目的에 對해서 學者들마다 다르게 命名 및 分類하고 있지만, 그 核心에 있는 것은 '個別 學生을 考慮한 全人 敎育'이다. 슈타이너는 認知的 領域에 치우친 敎育에 反對하고, 身體와 精神的 成長에 맞춘 意志, 感覺, 事故의 조화로운 發達을 追求한다. 이 때문에 발도르프 學校에서는 學生들의 優劣을 나누지 않으며 學生 個個人의 成長과 要求에 귀 기울인다. 認知的, 道德的, 實用的 才能의 發達이 모두 똑같이 重要하기 때문에 勞作敎育이나 藝術 敎育 等이 敎育內容의 相當 部分을 차지한다. 발도르프 敎育에서 藝術 敎育을 하는 理由는 學生들이 藝術을 통해 自身의 內面을 들여다보고, 內的 自由를 獲得한 人間으로 만들기 爲해서다.

발도르프 敎育에서 强調하는 調和는 個人 有機體 內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全體 宇宙와의 調和까지 考慮한다. 卽, ‘宇宙와 내가 하나다’라는 認識을 갖게 하는 것인데, 人間이 內面의 潛在性을 일깨움으로써 精神的으로 漸次 高揚되며 宇宙와 하나가 될 수 있게 되는 敎育을 强調한다. 이 때문에 발도르프 敎育學에서는 靈性 回復도 全人 敎育의 一部로 본다.

特徵 編輯

發達過程에 맞춰진 敎育 編輯

발도르프 敎育에서는 人間 發達 段階를 領有아기, 兒童期, 靑少年期로 나누고, 이 段階에 따라 物質체(Physischer Leib), 生命體(Aetherleib), 感性體(Astralleib), 自我(IchLeib)라는 4가지 構成體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10] [11]

領有아기(0~7歲) 編輯

발도르프 敎育에서 使用하는 발도르프 人形에는 아이들의 想像力을 刺戟하기 위해서 눈, 코, 입이 明確하게 그려져있지 않다.(Waldorf Kindegarten Trier) [12]

슈타이너는 領有아기, 그 中에서도 0~3歲 時期를 强調했다. 이 時期의 아이들은 身體, 靈魂, 精神이 統一되어 있는 狀態이기는 하지만 그 發達段階가 다르다. 이 中에서도 가장 飛躍的으로 成長하는 것은 身體다. [13] 이 時期의 가장 特徵的인 身體 發達은 이갈이 인데, 生後 7年 동안 일어난 發達이 頂點에 이른 것이다. 슈타이너의 認知學의 核心이기도 한 ‘可視的 物質世界와 非可視的 物質世界의 連結’은 여기에도 適用된다. ‘永久齒가 나는 것’(可視的인 狀況)을 嬰幼兒에게 ‘思考할 수 있는 힘이 생겼다’(비가시적 狀況)는 것으로 理解하기 때문이다. [10] [11]

이 段階의 아이들은 아직 精神的인 側面에서 發達이 完全하지 않기 때문에 周圍 環境에 보이는 것을 ‘模倣(Imitation)’하려는 欲求가 있다. 그러므로 좋은 ‘本보기(Example)'를 提供해야한다. 敎師는 아이들에게 模倣할 만한 物理的, 心理的, 道德的 環境을 提供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非可視的인 環境도 包含된다. 또, 이 時期에는 外部的 刺戟에 依해 무언가를 '學習'하기보다 무엇인가에 熱中하여 '充分히 노는 것'이 重要하다. 想像力을 刺戟 할 수 있는 놀잇감을 必要로 하기 때문에 意圖的으로 만들어진 장난감보다는 實物을 닮은 놀잇감이 더욱 바람직하다. [10] [11]

兒童期(8~13歲) 編輯

이 時期에는 身體, 靈魂, 精神이 身體-靈魂, 靈魂-精神으로 나뉘게 된다. [14] 移轉 時期에는 ‘身體’에서 가장 큰 變化를 보였지만, 兒童期에는 ‘靈魂’에서 가장 큰 變化가 나타난다. [10] [11]

이 時期의 兒童들은 感性體가 없어 合理的인 思考가 不可能하다. 따라서 느낌, 感情, 想像力 等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環境이 造成되어야 하는데, 抽象的인 想像이 不可能하기 때문에 授業에서는 例示나 比喩를 많이 使用한다. [10] [11]

永久齒가 나는 7歲를 基準으로 그 前의 아이들이 보이는 것을 그대로 模倣했다면, 以後의 아이들은 內的 遲刻을 통해 權威(Authority) [15] 에 따른다.(Discipleship) 이 때문에 발도르프 學校에서는 8年 동안 같은 擔任先生님께 모든 主要 敎科를 學習하도록 한다. [10] [11]

靑少年期(14~19歲) 編輯

移轉 時期부터 分離되기 始作한 身體, 靈魂, 精神이 이 時期에 完全히 分離된다. 서로 獨立的으로 發達하면서도 有機性을 잃지는 않는다. 이 時期부터 過去 本人이 感覺과 精神을 통해 習得했던 것에 對한 自身만의 判斷이 可能해지므로 以前까지는 理解할 수 없었던 抽象的인 槪念, 論理的 思考 等도 可能해진다. 더불어 自身을 8年 동안 指導해 준 擔任 敎師에 對해 더 以上 權威를 느끼지 못하고 同等한 人間으로 認識하게 된다. 따라서 이 時期부터 敎師는 助言者, 가이드의 役割을 擔當하게 된다. [10] [11]

8年 擔任制 編輯

발도르프 學校에서는 1學年 入學 後 8年까지 같은 敎師가 擔任을 맡아 主要 敎科目을 가르친다. 8年이라는 期間을 設定하게 된 것은 學生의 發達 週期를 考慮한 結果다. 슈타이너는 8年 程度를 發達의 週期로 보았기 때문에 이 時期를 學年으로 나누지 않았다. 또, 發達 段階上 特徵도 8年 擔任制와 關聯이 깊다. 發達 段階上으로 이 時期는 幼兒期에서 思春期에 該當된다. 幼兒期에는 模倣을 통해 모든 것을 배우고, 兒童期에는 權威를 느낀다. 8年이라는 期間동안 敎師가 아이들을 觀察하기 때문에 連續性이 保障되고, 아이들은 敎師와의 安定的이고 持續的인 紐帶 關係 形成을 통해 權威를 學習할 수 있다. [16]

발도르프 敎育에서 敎師는 學生에게 知識을 傳達할 뿐만 아니라 觀察者이기도 하다. 學生들을 8年 동안 지켜보면서 그들의 成長과 發達을 綿密하게 살펴볼 수 있다. 個別 學生에 對해 關心을 더 많이 가져줄 수 있다는 點에서 8年 擔任制는 肯定的이다. [16] 一部 境遇 學生과 敎師 사이에 紐帶關係가 形成되지 않거나, 불미스러운 일이 發生하는 境遇에는 先生님이 交替되지만 발도르프 敎育에서는 先生님이 바뀌는 것을 最少化하고자 한다. [16]

에포크 授業(Epochen Unterricht) 編輯

週期集中授業이라고도 불리는 에포크 授業은 同一한 科目을 每日 2時間 程度 3~6週에 걸쳐 集中的으로 工夫하는 발도르프 學校만의 특별한 授業 方式이다. [17] 大槪 言語(外國語)와 藝術 敎科目을 除外한 數學, 歷史, 地理, 科學 等 主要科目 全體에 걸쳐 이루어지고, 特定 科目을 選定하여 每日 午前 첫 授業으로 工夫한다. 에포크 授業을 午前에 施行하는 理由는 아이들의 體內 리듬을 考慮한 것인데, 午前 8時부터 10時 사이의 集中力이 매우 높기 때문에 아침 첫 授業으로 100分 동안 進行한다. [18]

에포크 授業은 아침을 여는 活動으로 始作되어 촛불밝히기, 詩朗誦, 노래와 演奏, 簡單한 오이리트미나 體操 等을 約 30分 동안 進行하고, 지난 授業에 對한 復習과 本是 授業의 順序로 이뤄진다. 아침을 여는 活動은 睡眠狀態인 學生들의 感覺을 일깨워 ‘注意(깨어 있음)’상태로 자연스럽게 만든다. 이런 方式으로 學生들은 한 科目을 3~6週동안 學習하며, 한 科目의 에포크 授業이 끝나면 다른 科目을 選擇해 같은 方式으로 授業이 이뤄지고, 한 番 배웠던 科目의 週期가 돌아오면 다시 그 科目의 週期授業이 進行된다. [18]

3~6週 程度의 時期 동안 한 敎科를 集中的으로 배우기 때문에 授業에 對한 沒入度를 높일 수 있다는 長點이 있다. 또한 週期가 反復되기 때문에 沒入 授業의 效果를 極大化 할 수 있다. 한 科目의 에포크 授業이 끝나면 타 敎科의 에포크 授業이 進行되는데, 이 過程에서 學生들은 배웠던 內容을 잊게 된다. 그러나 完全히 忘却하는 狀態에 이르지는 않는다. 學生들은 反復을 통해서 이렇게 내면화되어 있던 內容을 記憶해내고, 組合하는 過程을 거치면서 完全한 知識의 形態를 갖춰간다. 卽, 忘却하는 것도 學習의 한 過程으로 보는 것이다. [18]

오이리트美(Eurythmy) 編輯

오이리트美(Eurythmy) [19]

발도르프 敎育의 가장 큰 特徵이기도 한 오이리트미는 그리스어로 '좋은, 調和로운'이라는 듯의 eu와 '리듬'을 意味하는 rhythm이 結合된 말이다. 다른 말로 '유리드美'라고도 불린다. 오이리트미는 內面의 소리를 몸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는 對話’, ‘보이는 노래’ 또는 몸으로 解釋된 對話와 노래 等으로 일컬어진다. 오이리트미는 一般 舞踊科 달리 心理的, 靈魂的, 精神的 機能을 强調한다. 人間의 精神-靈魂-肉體 3가지를 조화롭게 結合시키며 人間과 空間, 人間과 宇宙의 關係까지도 考慮하기 때문이다. 슈타이너는 오이리트美를 人間의 呼吸, 血液 循環과 聯關된 人間의 質的이고 內的인 活動과 關聯되어있다고 보았다. [20]

오이리트미는 全 學年의 必修科目이다. 便安하게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진 單色의 오이리트美 衣裳과 室內靴를 着用하고 演奏에 따라 몸을 움직인다. 오이리트美 또한 學生의 發達과 成長을 考慮하여 水準이 漸次 複雜해진다. 低學年 學生들은 簡單한 움직임으로 構成된 오이리트美를, 高學年 學生들은 詩, 드라마 等의 內容으로 構成된 오이리트美를 表現한다. [21]

오이리트미는 學生들의 認知的, 情意的 領域에 있어서 도움을 준다. 詩, 드라마, 알파벳 等의 要素를 몸으로 表現해내면서 創意力이 伸張될 뿐만 아니라 社會性도 向上된다. 共同 作業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기 때문에 學生들은 오이리트美를 통해 社會性을 學習한다. 全體的인 調和를 이루는 것이 重要하기 때문에 나 自身 뿐만 아니라 다른 學生들의 움직임에도 關心을 갖기 때문이다. 個人과 全體의 調和를 追求하여 學生들은 協同하는 方法을 學習하고, 서로間의 紐帶感도 키워나간다 [22] .

敎科書 編輯

발도르프 敎育에서 低學年의 境遇에는 定해진 敎科書가 없다. 敎科書를 통한 授業은 學生들의 創意性 乙 一部 制限하고 敎師가 같은 內容일지라도 授業을 새롭게 構成하는 데 妨害가 되기 때문이다 [23] . 敎師의 끊임없는 硏究가 바탕이 되어 같은 內容을 가르치더라도 學生들의 發達 段階, 水準 等을 考慮하여 다양한 方式으로 授業을 이끌어나간다. 때로는 에포크 授業 때 學生들 個個人이 作成한 노트가 敎科書가 되기도 한다. [24]

成績表 編輯

발도르프 敎育은 個別 學生의 成長을 追求한다. 따라서 學生들을 일정한 評價 方法에 依해 줄 세우는 것이 아니라 各 學生들이 授業을 통해서 成就한 內容을 成績表에 記載한다. 特히 1-8學年까지는 8年 擔任制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學生들의 學習的 成就, 發達 事項, 才能 等이 보다 細部的으로 成績表에 記載된다. 9學年부터는 專攻 先生님들의 評價를 받는다. 결론적으로, 발도르프 敎育에서 成績表는 學生들의 發展을 돕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다. 이 成績表는 1年에 한 番 配付된다. [25]

卒業試驗 編輯

발도르프 敎育은 各 國家에서 施行하는 高等學校 卒業 試驗과 別個로 卒業 試驗制度를 두고 있다. 발도르프 敎育에서 運營하는 1-12學年까지의 프로그램을 旣存 敎育 評價 시스템으로 判斷할 수 없기 때문에 발도르프 敎育에 알맞은 固有의 試驗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26] 앞서 成績表 部分에서 言及한 바와 같이 발도르프 敎育에서는 選別的 評價를 施行하지 않는다. 代身 學生이 어떤 方向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가이드라인을 提示해준다. 卒業試驗度 마찬가지로 高等學校 卒業 以後 學生들의 指向點을 提示하는데, 各 學校에서 施行하는 卒業試驗의 形態는 다양하다. 이 試驗은 一般的으로 특정한 主題에 對해 敍述하는 ‘筆記試驗’, 배우지 않은 텍스트를 理解하고 自己 表現으로 바꾸는 ‘理解力 試驗’, 마지막 學年 1年 동안 敎師와 함께 다양한 方法으로 準備하는 ‘卒業論文’, 그리고 全校生 앞에서 이루어지는 ‘卒業論文 發表’로 이루어진다. [27]

自治行政 編輯

발도르프 學校에는 校長이 없고 敎師들의 自治 行政에 依해 學校가 運營된다. 이 또한 슈타이너의 '三重的 社會秩序(社會 三元化)'와 關聯된 事項이다. 社會 三元化에 立脚하여 學校를 살펴보면, 敎師는 學校에 屬하지만 各 敎師들은 獨自的으로 行動한다. 卽, 創意的인 學生들을 育成하기 위해서는 敎師 또한 틀에 박혀있어서는 안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選擇權 및 自由가 保障되어야 한다. 따라서, 校長 없이 敎師들의 會議에서 民主的으로 意思를 決定한다. 每週 열리는 全體 會議를 통해서 授業과 關聯한 情報를 주고받기도 하고, 學校 行政 諸般에 關聯된 事項들을 決定하기도 한다. [28] 그리고, 敎師들은 學校 運營과 關聯된 事項들을 學父母와 積極的으로 相議한다. 學父母 亦是 學校 行事에 參與하고 學校와 關聯한 事項에 協調 및 協力한다. 여기에 學生들도 빠질 수 없는데, 이렇게 敎師-學生-學父母가 緊密하게 連結되어 ‘敎育 家族’을 構成하고, 이들이 발도르프 學校를 이끌어나간다. 要約하자면, 敎育行政的人 側面에서 발도르프 學校는 相互依存的인 主體들의 合意에 依해 民主的이고 自治的으로 運營되는 形態의 學校라 할 수 있다. [29]

各州 編輯

  1. 크리스토퍼 클라우더, 마틴 로슨, 《아이들이 꿈꾸는 學校》, 박정화 옮김, 서울:양철북, 2006, p.6(머리말)
  2. 정윤경, 《발도르프 敎育學》, 서울:학지사, 2004, p.25.
  3. Abbildung ubernommen aus Wolfgang G. Vogele, Der andere Rudolf Steiner - Augenzeugenbrichte, Interviews, Karikaturen, 2005, S. 116
  4. 정윤경, 《발도르프 敎育學》, 서울:학지사, 2004, pp.29-31.
  5. Agnes Noble, Educating Through Art-The Steiner School Approach , trans. Petal J. Robert-Leijon, Edinburgh: Floris Book, 1996, p.82 (정윤경, 《발도르프 敎育學》, 학지사:서울, 2004, p.30에서 再引用)
  6. 디트리히 에스테를, 《발도르프學校에서 認知學은 무엇인가?》, 李正姬 옮김, 義王:섬돌出版社, 2010, p.19.
  7. 최은미, 《발도르프 敎育의 理解》, 서울:敎育아카데미, 2011, p. 27.
  8. 神智學 - 두산百科 , 2013. 04. 25. 確認
  9. 정윤경, 《발도르프 敎育學》, 서울:학지사, 2004, p.35 各州 參照.
  10. 정윤경, 《발도르프 敎育學》, 학지사:서울, 2004, pp.131-147.
  11. 최은미, 《발도르프 敎育의 理解》, 서울:敎育아카데미, 2011, pp. 81-88.
  12. Ein Puppenspiel zum Marchen Frau Holle der Gebruder Grimm - Waldorfkindergarten Trier
  13. 身體의 特性 部分은‘물질체’에 該當된다.
  14. 電子의 特性 部分을 ‘에테르體’, 後者의 特性 部分을 ‘아스트랄體’와 ‘自我’라고 한다.
  15. 여기에서의 ‘權威’는 外部的 抑壓에 依한 것이 아니라 自發的으로 우러나오는 敬畏心, 尊敬心과 같은 것이다.
  16. “保管된 寫本” . 2013年 4月 2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4月 28日에 確認함 .  
  17. 에포크 授業은 발도르프 敎育에서 重視하는 ‘리듬’을 考慮한 것인데, 발도르프 敎育에서는 하루, 一週日, 한 달, 節氣, 季節 等의 週期에 따라 敎育內容을 造作한다.
  18. EBS, <EBS 獨逸의 발도르프 學校 DVD 1>
  19. Monatsfeier in der freien Waldorfschule Trier, Germany
  20. 송현아, <公演藝術로서의 오이리트美(Eurythmie)>, 啓明大 敎育大學院, 2004, pp.4-5.
  21. 최은미, 《발도르프 敎育의 理解》, 서울:敎育아카데미, 2011, p. 134.
  22. 정윤경, 《발도르프 敎育學》, 학지사:서울, 2004, p.200.
  23. 크리스토퍼 클라우더, 마틴 로슨, 《아이들이 꿈꾸는 學校》, 박정화 옮김, 서울:양철북, 2006, pp.145-146.
  24. 박정민, <初等 1·2學年 過程을 中心으로 본 우리나라 敎育과 발도르프 敎育의 比較·分析>, 창원대학교 學位論文, 2009, p.26.
  25. 최은미, 《발도르프 敎育의 理解》, 서울:敎育아카데미, 2011, pp.117-122.
  26. 발도르프 學校와 一般 學校의 授業 內容이 다르기 때문에 獨逸의 境遇에는 例外的인 境遇를 除外하고, 발도르프 學校의 卒業을 正規學校 卒業과 同等한 것으로 認定하지 않는다. 그러나 職業學校 卒業과 同等한 資格을 附與 받을 수 있는 다양한 方案은 提供된다.
  27. 최은미, 《발도르프 敎育의 理解》, 서울:敎育아카데미, 2011, pp.151.
  28. 요하네스 키르쉬, 《발도르프 敎育學》, 李正姬 驛, 서울:아르케, 2004, p.82.
  29. 요하네스 키르쉬, 《발도르프 敎育學》, 李正姬 驛, 서울:아르케, 2004, p.83.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