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바스크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스크語 (Basque) 또는 에右스카라어 (euskara)는 스페인 北部와 프랑스 南部, 피레네山脈 周邊의 바스크人 들이 쓰는 말이다.

바스크語
euskara
使用 國家 스페인 프랑스
使用 地域 바스크
言語 人口 約 70萬 名 (바스크語만 使用할 줄 아는 사람은 6,000名)
文字 로마字
言語 系統 孤立된 言語
公用語 및 標準
公用語로 쓰는 나라 스페인의 기 스페인 나바라 바스크
標準 Euskaltzaindia
言語 富豪
ISO 639-1 eu
ISO 639-2 baq (B)
eus (T)
ISO 639-3 eus 바스크語
바스크語 方言 分布

바스크語는 周邊의 어떤 言語와도 親族 關係가 證明되어 있지 않은 孤立된 言語 로, 인도유럽어족 言語에 둘러싸여 있으나 이들 言語로부터 借用語 를 除外한 基本 語彙에는 비슷한 點이 없으며, 以外에 同一 系統의 다른 言語도 存在하지 않는다. 言語學的 特異性이 일찍부터 注目을 끌어왔으며, 文法的 特徵( 陵格 의 存在 等) 때문에 캅카스 制御 等의 다른 少數言語들과의 比較硏究도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特別히 같은 系統이라 할 言語는 밝혀져 있지 않다.

바스크語는 라틴語가 이베리아에서 쓰이기 以前부터 使用되던 土着 言語의 殘滓로 推定되며, 이 境遇 유럽에서 印度유럽語族의 擴張에서 살아남은 唯一한 印度유럽移轉言語 가 된다. 이와 같은 言語的 特殊性은 바스크人 의 民族的 特殊性과 더불어 注目을 끈다. 오래前 消滅한 아퀴타니아어 (Aquitanian)와 함께 바스크語族 (Vasconic)을 이룬다.

名稱 編輯

바스크語의 自己 이름은 에右스카라 (Euskara)이며, 韓國語에서 쓰는 바스크(Basque)란 名稱은 프랑스語 이름이 英語를 거쳐 들어온 것이다. '에右스카라'라는 이름의 語源에 對해서는 確實한 定說이 없고 서너가지 假說이 있는 論爭거리이다.

프랑스語에서는 basque라고 불러왔으나 最近에는 原語를 尊重하여 euskara라는 이름도 쓴다. 바스크語를 가리키는 스페인語 名稱은 꽤 많은데, 가장 흔한 것이 엘 바스코(el vasco)이며 以外에 "la lengua vasca"나 "el euskera"라고도 쓴다. vasco, basque 等의 名稱은 라틴語 이름인 vascones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것은 다시 그리스 歷史家인 스트라본 이 처음 使用한 ουασκωνου? (ouask?nous)까지 溯及된다. [1] 바스쿠엔歲(Vascuence)라는 名稱은 否定的 語感이 있어서 바스크語 使用者들에게 歡迎받지 못한다.

歷史와 言語 系統 編輯

바스크語는 西部 유럽에 있는 單 하나의 非人道유럽系統 言語로 印度유럽어 系統인 周邊 言語들과의 比較硏究로는 옛 形態를 재구할 수 없고, 바스크語 方言들 間의 差異를 통해 옛 形態를 알아내고 있다. 바스크語의 起源에 對해서는 明確히 알려진 것이 없으나, 인도유럽어족을 쓰는 種族이 유럽으로 밀어닥치기 前의 土着民이 쓰던 말로 생각된다. 特히 古代 이베리아語 와의 關係가 注目된다.

아퀴타니아에서 發見되는 라틴語 碑文에서는 재구된 바스크 造語와 비슷한 낱말이 보인다. 例를 들어 사람이름인 네스카토(Nescato)나 키손(Cison)이란 單語는 現代 바스크語에서 各各 계집, 사내를 뜻하는 neskato와 gizon에 該當한다. 이 아퀴타니아에서 쓰이던 말은 아퀴타니아語라고 하며 피레네山脈 西쪽에서 로마에 依한 라틴語 擴散 以前에 쓰이던 言語로 보인다. 로마인은 이베리아 半島를 征服하여 土着語인 이베리아語와 타르테視아어는 사라졌으나, 아퀴타니아는 그다지 重要하게 여기지 않아 獨自的인 言語가 남았다. 以後 바스크語는 로망스語에 둘러싸이면서 相當한 낱말을 借用하게 된다. 初期에는 라틴語 에서, 그 다음은 프랑스 南部의 오크語 에 屬하는 가스콘어 , 그리고 이베리아 半島 北西쪽의 아라곤어 等과 接觸하면서 많은 낱말을 借用으로 받아들였다.

現況 編輯

 
바스크語 話者의 人口 比率 (2011年 基準)

20世紀에 들어 바스크語 復活 運動이 펼쳐져 바스크 地方에서는 積極的인 言語 敎育이 實施되고 있으나 如前히 後대로의 言語 傳達에 相當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바스크週 에서는 스페인語와 함께 公用語로 指定되어 있다. 2006年 調査에서, 바스크語를 할 줄 아는 成人의 人口는 바스크週 에서 48.5%, 프랑스領 바스크 에서 31.1%, 나바라週 에서 18.7%로 調査되었으며, 그 中 大略 3分의 1은 日常生活에서 바스크語를 잘 使用하지 않는 受動的 話者였다. [2]

音韻論 編輯

標準 바스크語의 소리組織度
입술소리 혀끝소리 혓바닥소리 목청소리
兩脣音 脣齒音 舌端音 齒莖音 後齒莖音 硬口蓋音 軟口蓋音
非强音 m
/m/
n
/n/
n, -in-
/?/
破裂音 p
/p/
b
/b/
t
/t/
d
/d/
tt, -it-
/c/
dd, -id-
/?/
k
/k/
g
/?/
破擦音 tz
/ts?/
ts
/ts?/
tx
/t?/
摩擦音 f
/f/
z
/s?/
s
/s?/
x
/?/
j
/?~x/
h
?, /h/
舌側音 l
/l/
ll, -il-
/?/
r소리 顫動音 r-, -rr-, -r
/r/
彈音 -r-
/?/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Trask, L. The History of Basque Routledge: 1997 ISBN  0-415-13116-2
  2. IV. Inkesta Soziolinguistikoa Gobierno Vasco, Servicio Central de Publicaciones del Gobierno Vasco 2008, ISBN  978-84-457-2775-1

外部 링크 編輯

  •   위키미디어 公用에 바스크語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 Joxe Azurmendi : Die Bedeutung der Sprache in Renaissance und Reformation und die Entstehung der baskischen Literatur im religiosen und politischen Konfliktgebiet zwischen Spanien und Frankreich. In: Wolfgang W. Moelleken, Peter J. Weber (Hrsg.): Neue Forschungsarbeiten zur Kontaktlinguistik. Dummler, 본 (獨逸) 1997. ISBN  978-3-537-864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