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민진용의 獄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민진용의 獄事

민진용의 獄事 (閔晉鏞獄事)는 1844年(憲宗 10) 沒落한 老論 界 出身 人物 민진용 이 이원덕, 박순수 等을 包攝하여 은언군 이인의 鉏孫子 이원경 을 王으로 推戴하려다가 事前에 摘發된 事件이다. 主謀者는 모두 陵遲處斬을 當했고 이원경 (回評軍)은 賜死되었다.

順調 卽位後 朋黨政治가 崩壞되며 始作된 勢道政治는 牽制勢力의 不在로 國政紊亂을 招來했다. 社會·經濟的인 力量이 成長함에 따라 敎育機會가 늘어나고 知識人 이 量産되면서 急變하는 社會와 달리 舊態的인 政治와 制度 等 여러 社會矛盾에 對한 抵抗의 雰圍氣가 擴散되어 갔다. 安東金氏와 풍양曺氏 家門은 政爭만 일삼고 民生과 社會問題를 外面하자 民心이 洶洶해지며 洪景來의 亂 (1811)과 채수영의 난 (1817) 等 民亂이 일어났다. 아울러 ' 남응중의 謀反事件 (1836)' 等 沒落한 兩班出身들에 이어 특별한 政治勢力도 없는 中人出身들이 主導한 이番 謀反事件은 朝鮮後期의 不安한 社會相을 잘 보여주는 事件이다.

歷史的 背景

編輯

정순왕후 垂簾聽政

編輯

1800年 正祖의 治世가 끝나고 그와 反目했던 정순왕후 가 11살의 어린 純祖의 垂簾聽政을 하게 되었다. 그女는 먼저 社交剔抉을 내세운 辛酉迫害 (1801)를 통하여 靜的인 南人과 詩派를 肅淸하며 피바람을 일으켰다. 數百名이 죽고 정약용 等 많은 이들이 流配刑에 處해지며 時派와 南人은 再起不可能한 地境에 이르렀다. [1] 老論 僻派가 完全히 政權을 掌握했으나 1803年 (純祖 3)부터 가믐, 平壤과 咸興 그리고 鍾路, 昌德宮 等에 큰 불이 나며 [2] [3] 民心이 洶洶해지자 [4] 1804年에 정순왕후 가 一線에서 물러났다.

安東金氏 勢道政治

編輯

純祖의 親政이 始作되자 丈人 김조순 이 得勢하여 安東 金氏의 勢道政治가 始作되면서 牽制勢力이 없는 勢道政治가 朝鮮社會를 병들게 했다. 19世紀 들어 急激한 變化를 겪던 朝鮮은 國家紀綱과 삼정이 紊亂해졌고, 農土에서 遊離된 農民들은 流民이 되거나 賃金 勞動者로 轉落해갔다. [5] 兩極化가 極甚해지며 身分秩序가 瓦解되어갔고, 農村社會가 破綻地境에 이르자 洪景來의 亂 (1811)과 채수영의 난 (1817)을 비롯한 크고 작은 民亂이 全國的으로 일어나며 民心이 洶洶해졌다.

驍名世子 代理淸淨

編輯

1827年, 純祖는 安東金氏 勢力을 누르고 難局을 打開하고자 驍名世子 에게 代理淸淨을 命했다. [6] 그러나 驍名世子의 外戚인 풍양曺氏 勢力과 安東金氏 家門間에 다툼이 激化되며 戚臣政治의 弊害로 混亂만 加重되었다. [7] 代理淸淨 3年만에 驍名世子가 죽고 純祖의 親庭이 再開되자 安東金氏 家門에 依한 勢道政治가 再開됐다. 1834年에 헌종이 8살에 卽位하자 大王大妃 순원왕후 金氏의 垂簾聽政으로인해 安東金氏의 勢道政治가 이어지며 國政이 더욱 混濁한 樣相을 띄었다. [8]

남응중의 逆謀

編輯

1836年 (憲宗 2), 沒落한 兩班家 出身인 남응중이 天安에서 남경중·문헌주·남公言 等과 함께 戚臣들의 橫暴를 막고 새로운 王을 推戴하기 위한 叛亂을 謀議하였다. 이들은 正祖의 異腹同生인 은언군 (恩彦君)의 孫子를 王으로 推戴하고 청주성을 占領한후 이곳을 起點으로 大擧 叛亂을 일으키려하였다. 그러나 천기영(千璣英)李 告變으로 擧事 前에 發覺되었고, 그 結果 남응중 以下 모든 關聯者는 梟首(梟首)되었다. [9] 勢道政治로 인해 科擧制度가 有名無實해지며 出仕길이 막혀 沒落한 兩班들이 主導하여 일으킨 謀反事件이었다.

戚臣들의 政爭

編輯

驍名世子의 代理淸淨 時節에 풍양曺氏 一族이 調整에 大擧進出했으나 1830年에 驍名世子가 죽자 勢力이 萎縮되었다. 1834年, 어린 헌종이 卽位하자 순원王后 金氏가 垂簾聽政하였는데, 순원王后를 돕던 金逌根이 隱退하자 풍양曺氏 家門은 權力을 掌握하기 위해서 社交根絶을 名分삼아 天主敎徒가 많았던 安東金氏 勢力을 攻擊했다. [10] 이로인해 1839年에 發生한 己亥迫害로 많은 殉敎者가 發生했고 以後 풍양曺氏 家門이 調整에 대게 進出하였다. 1840年, 垂簾聽政이 끝나자 安東金氏의 勢力은 더욱 萎縮되었고 憲宗의 外祖父 조만영 을 爲始한 풍양曺氏 勢力이 政權을 掌握하였다. 그러나 趙萬永이 1846年에 死亡하자 政權은 다시 安東金氏 家門으로 넘어가고 말았다. [11]

事件 槪要

編輯

민진용은 老論 宰相 민응수 의 4代孫이었지만 그의 집안은 오래前에 沒落하여 中人이 되었고, 민진용은 無人으로 生活하였다. 민진용은 이원덕(李遠德), 박순수(朴醇壽) 等과 가깝게 지냈는데, 이원덕은 議員으로 은언군 이인의 庶子 李珖 의 知人이었고, 박순수는 養아버지 박종훈(朴宗薰)의 蔭德으로 淫書 로 官職에 올라 府使를 歷任했다. [12] 민진용은 醫術로 사람을 包攝해왔고, 이원덕, 박순수 等과 함께 이원경 을 推戴하려다가 1844年 8月 4日, 서광근의 告變으로 因해 事前에 發覺되었다.

이튿날 이원경은 强化(江華)로 圍籬安置되었다. 告變에서는 이원경을 推戴하기 위한 議長(義狀)에 數十餘 名의 선비가 署名하였고, 이원경度 ‘이미 아버님의 가르침을 받았으니 마음에 두고 잊지 않는다[기승부교 不忘寓心(旣承父敎不忘于心)]’는 手票(手標)를 關聯者에게 써서 주었다는 嫌疑가 가장 重要하게 擧論되었다. 捕盜廳에서의 1次 調査를 거쳐, 8月 11日에는 推鞠廳에서의 推鞠이 始作되었다. 이원덕(李遠德)의 꿈에 임금 자리를 象徵하는 곳에 이원경의 이름이 있었다는 等의 言及이 秋菊 過程에서 暴露되었다. 9月 3日, 이원경은 江華에서 다시 붙잡혀 와서 推鞠을 받았다. 9月 4日에는 민순용(閔純鏞) 等을 凌遲處死하도록 하였고, 9月 5日에는 이원경을 濟州(濟州)에 위리안치했다가 師事했다. 9月 9日 나머지 關聯者들에 對한 捕盜廳의 審問을 마지막으로 獄事는 마무리되었다. [13]

影響

編輯

1778年(正祖 2) 正祖의 異腹同生 은언군이 홍국영(洪國榮)과 함께 逆謀했다는 碧波(僻派)의 無辜에 따라 은언군의 아들 상계군 이 死亡하고, 다음해에 은언군의 一家는 江華府(江華府) 교동(喬洞)으로 追放되어 流配生活을 始作했다. [14] 1801年 辛酉迫害때 은언군은 그의 夫人 宋氏, 며느리 申氏와 함께 社史당한다. 以後 은언군의 後孫들은 채수영의 난 (1817年), 남應種의 獄事 (1836年) 때도 逆謀에 連類되어 困辱을 치루었다.

이番 逆謀事件에 은언군 의 孫子 이원경 (後날 回評軍)李 加擔하였다가 發覺되어 賜死되었고, 은언군의 一家는 罪人의 後孫이자 兄弟가 되었으며 宗親勢力은 크게 萎縮되었다. 이로 因해 後날 1849年에 銀援軍의 또다른 孫子 이원범이 哲宗으로 卽位했으나 外戚 勢道政權에 맞서 王室의 權威를 지키기가 어려운 狀況이 되어 버렸다. [13]

은언군 과 은언군 一家, 상계군 一家 等에 關聯된 資料는 大部分 洗草, 各自, 먹漆, 湮滅해버려 은언군 一家의 生涯에 對한 仔細한 狀況은 確認하기 힘들다. [15]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康俊晩 <韓國 近代史 散策 1> 人物과 思想史 2011.3.31 p44
  2. 임중웅 <王妃列傳> 선영사 2003年 p318
  3. [朝鮮王朝實錄] 純祖實錄, 順調 3年 1803年 12月 13日
  4. 이이화 <韓國史 이야기 15> 한길사 2009.4.10 p55
  5. 朴榮圭 <한卷으로 읽는 朝鮮王朝實錄> 熊進知識하우스 1996年 p467
  6. 純祖實錄 》 28卷, 純祖 27年(1827年 靑 道光(道光) 7年) 2月 18日
  7. [네이버 知識百科] 翼宗 [翼宗]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1827年 父王인 純祖의 命令으로 代理淸淨을 하면서...(중략)...세자빈인 조氏 一族들이 그 뒤 大擧 進出하여 安東金氏(安東金氏) 一派와의 政治的 勢力鬪爭이 始作되어 政局을 混亂狀態로 이끌어갔고, 이와 같은 事實은 支配層의 對立을 더욱 격화시켜 朝鮮 後期의 政治·經濟·社會 全般을 根本的으로 뒤흔들어 놓음으로써 民生을 塗炭狀態에 몰아넣고 말았다.
  8. 朴榮圭 <한卷으로 읽는 朝鮮王朝實錄> 熊進知識하우스 1996年 p472
  9. [네이버 知識百科] 남응중逆謀事件 [南膺中逆謀事件]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
  10. 朴榮圭 <한卷으로 읽는 朝鮮王朝實錄> 熊進知識하우스 1996年 p473
  11. 朴榮圭 <한卷으로 읽는 朝鮮王朝實錄> 熊進知識하우스 1996年 p474
  12. 朴宗薰의 夫人 李氏는 박순수의 罷養을 請하는 上疏를 올리기도 했다.
  13. [네이버 知識百科] 이원경獄事 [李元慶獄事]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14. [네이버 知識百科] 電界大院君 [全溪大院君]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
  15. [네이버 知識百科] 이원경獄事 [李元慶獄事]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이원경 獄事(李元慶獄事)는『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나 『日省錄(日省錄)』 等 年代記 史料에는 登場하지 않는다. 이원경은 哲宗에게 이福 兄이 되므로, 哲宗이 卽位한 以後의 年代記 史料는 모두 道삭(刀削)되었다. 따라서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이나 『捕盜廳登錄(捕盜廳謄錄)』의 審問 記錄을 參照해야 事件의 實體를 確認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