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미하일 불가코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미하일 불가코프

미하일 불가코프 (Mikhail Afanasyevich Bulgakov, 러시아語 : Михаи?л Афана?сьевич Булга?ков , 1891年 5月 15日 ~ 1940年 3月 10日 )는 소비에트 聯邦 劇作家 이다.

미하일 불가코프
Михаил Булгаков
作家 情報
本名 미하일 牙婆나시예비치 불가코프
Михаи?л Афана?сьевич Булга?ков
出生 1940年 3月 10日 ( 1940-03-10 )
러시아 帝國 키예프
死亡 1940年 3月 10日 ( 1940-03-10 ) (48歲)
蘇聯 러시아 소비에트 聯邦 社會主義 共和國 모스크바
國籍 소련의 기 蘇聯
職業 小說家 , 劇作家 , 醫師
學歷 키예프 大學校 醫科大學
署名

生涯

編輯

미하일 牙婆나시예비치 불가코프는 1891年 5月 15日 러시아 帝國 키예프 에서 키예프 神學校 敎授의 아들로 태어나 키예프 大學校 醫大를 卒業하고 醫師로 勤務했다.

革命 後부터 모스크바에서 여러 新聞과 雜誌에서 칼럼을 쓰기 始作했다. 主로 소비에트 政權에 批判的인 作品을 썼는데 그로 인해 스탈린 治下에서 그의 戱曲 作品들은 여러 番 上演이 禁止되는 아픔을 겪었다. 結局 그는 1930年 3月, 스탈린과 소비에트 政府에게 自身이 蘇聯을 떠날 機會를 주거나 劇場에서 生計를 위한 일을 할 수 있도록 許諾해 달라고 呼訴하는 便紙를 쓴다. 한 달 後에 스탈린은 불가코프에게 電話를 걸어 劇場 일을 할 수 있도록 許可해 준다. 그 後 불가코프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에서 助監督으로 일하게 되었지만, 그의 作品들을 出刊할 수는 없었다.

첫 作品 <透理費가(家)의 날>(1926)은 그의 長篇 < 白衛軍 (自衛軍)>을 土臺로 하고 革命直後의 內戰時代의 키예프 를 舞臺로 백軍將校(白軍將校)의 한 집안의 이山(離散)과 崩壞를 描寫한 것인데, 哀切한 抒情과 노여움에 찬 諷刺와 유머, 그리고 숨막힐 듯한 劇的 緊張 속에서 反革命軍의 破滅이라는 必然性을 追求한 것이다. 이 밖에 反革命 陣營의 精神的 頹廢를 主題로 한 <逃亡>(1928), 史劇 <몰리에르> <最後의 나날>( 알렉산드르 푸시킨 ) 等의 作品이 있다.

1938年, 戱曲 <바툼>李 스탈린이 中心人物이라는 理由로 상연 禁止되자 그는 1929年에 執筆을 始作했다가 中斷했던 長篇小說 ≪巨匠과 마르가리타(Мастер и Маргарита)≫를 다시 쓰기 始作한다. 이 作品의 自身의 모든 熱情을 쏟아부은 불가코프는 1940年 2月에 作品을 脫稿하고 한 달 後인 3月 10日 모스크바에서 숨을 거둔다. 그러나 이 小說은 出刊되지 못하고 27年이 지난 1967年이 되어서야 出刊될 수 있었다.

조이카의 아파트

編輯

불가코프의 <조이카의 아파트>는 1920年代 모스크바를 背景으로 한다. 이 時期의 러시아는 스탈린의 獨裁 下에서 呻吟하고 있었다. 불가코프는 <조이카의 아파트>를 통해 소비에트 社會의 底流에 綿綿히 흐르고 있는 不淨腐敗를 暴露한다.

俗物的인 35歲의 未亡人 女主人公 조이카의 아파트는 낮에는 平凡한 衣裳室이지만, 밤마다 紊亂한 파티가 벌어진다. 沒落한 貴族이자, 조이카의 戀人인 吳볼리야니노프, 약삭빠른 詐欺꾼 亞메치스토프, 下女 魔뉴시카를 두고 다투는 中國移民者 街卒린과 헤루빔 等 파티에 參席한 사람들은 모두 어딘가 우스꽝스럽고 畸形的이다. 불가코프는 러시아 社會 全體를 象徵하는 空間인 조이카의 아파트에서 일어나는 一連의 事件들을 통해서 多數의 民衆을 위한 革命이 結局은 또 다른 支配와 被支配의 關係를 만들었음을 보여준다.

參考 文獻

編輯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본 文書에는 知識乙만드는지식 에서 CC-BY-SA 3.0 으로 配布한 冊 紹介글을 基礎로 作成된 內容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 정막래 驛, 2009年, 지만지, ISBN  978-89-6228-263-4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