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文化 統治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文化 統治 (文化統治)는 3·1 運動 以後 一齊 가 朝鮮의 反撥을 撫摩시키기 위해서 旣存의 武斷 統治 方式을 버리고 내세운 새로운 植民地 統治方式을 말한다. [1] 表面的으로는 朝鮮人에 對한 差別을 緩和하는 等 여러 宥和政策을 實施했지만, 이는 惡辣한 植民地 政策을 隱蔽하고 美化하려는 僞裝手段일뿐이었다. [2] 實狀은 彈壓과 監視, 民族文化 抹殺, 經濟的 收奪을 强化하기 위한 高度化된 欺瞞的인 植民 統治 方式에 不過하다. [1]

憲兵警察制를 普通 警察로 代替했으나 이 期間 동안 警察의 數는 더욱 늘어났으며, 日本의 植民統治에 批判的 內容의 記事를 실은 新聞 言論社에 對하여 停刊과 廢刊, 記事削除 等이 이루어졌다. 民族 運動을 막기 위해 韓民族을 欺瞞하고 분열시키는 性格이 剛했으며 苛酷한 植民統治를 對外的으로 隱蔽시키고 國際 輿論의 惡化를 막기 위한 性格이 짙었다. 또한 이 期間에도 朝鮮人들에 對한 拷問과 彈壓은 如前했다. 經濟 大恐慌 太平洋 戰爭 等을 거치면서 朝鮮에 對한 統治方式이 民族抹殺統治 로 變更됨에 따라 文化 統治는 事實上 終結되었다.

背景

編輯

3·1運動 의 展開로 인해 높아진 朝鮮人들의 獨立意志와 反日精神이 높아져갔다. 日帝가 非暴力注意 運動이었던 3·1運動에 對한 武力 鎭壓과 報復虐殺을 恣行하자 國際輿論의 惡化되었다. 이런 國際 輿論을 撫摩시키기 위해 旣存의 武斷統治를 버리고 文化統治를 實施했다.

朝鮮總督으로 赴任한 사이토 마코토(齊藤實)는 '文化의 發達과 民力(民力)의 充實'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文化政策을 實施하였다. [3]

文化 統治로 바뀌게 된 背景은 겉보기에는 對外的 狀況과 여러 政治的 狀況이 맞물리면서 一連的으로 聯關되어 일어난 것 같지만 根本的으로는 文化統治로의 統治製劑 變換에 가장 큰 影響을 준 事件은 3·1運動이라고 할 수 있다.

朝鮮總督

編輯

朝鮮總督 사이토 마코토(齊藤實)는 日本人 軍人이 맡던 朝鮮 總督 자리에 對해 文官 任命 制限을 撤廢했다. 그러나 日本은 文化 政治를 내세운 以後부터 解放이 된 1945年까지 朝鮮 總督 자리에 文官을 임명한 적이 한 番도 없었다. [4]

警察制度

編輯

日本은 武力統治에 對한 朝鮮人의 反撥을 撫摩시키기 위해 憲兵警察制度를 普通警察制度로 變更하였다. 하지만 이름과 制服만 바뀌었을뿐 實質的으로는 警察人力과 施設을 늘렸다. 文化 政治를 내세운 첫 해인 1920年만 해도 警察官署의 數는 1918年보다 3.6倍, 警察官의 數는 3.4倍에 達했다. [5] 民族運動을 더욱 效率的으로 彈壓하기 위해서 治安에 必要한 裝備, 維持費 等을 歲拜로 증가시켰다. 더불어 高等警察制度를 實施함으로써 오히려 憲兵警察制度때 보다 더욱 甚하게 우리 民族에 對한 監視를 强化하고 獨立運動家들을 彈壓했다.

民族新聞의 發行 許容

編輯

民族新聞(朝鮮語 民間 新聞) 3種의 發行을 許可하였다. 日帝는 檢閱, 停刊 等의 措置를 利用, 民間 新聞을 親日 言論化 시키려 努力했지만, 民間 新聞들은 베를린올림픽 손기정의 日章旗 削除 事件에서 보듯이 日帝의 統治下에서도 朝鮮 民族의 精神을 高揚하고 士氣를 높이려 애썼다. 植民統治 末에는 中日戰爭과 第 2次 世界大戰으로 인해 日本帝國 全體가 戰時 非常體制에 突入하면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對한 總督府의 牽制와 彈壓이 심해졌다. 結局 1940年 두 新聞 모두 폐간당했다. 廢刊 時킨以後 1945年 解放과 함께 復刊했다.

地方 行政에 朝鮮人 參與

編輯

地方 制度 改正, 도 評議會等의 各種 行政機關을 設置하여 朝鮮人을 참여시킨다고 하였으나 實際로 選擧權 制限, 一部 親日派(親日派)와 富裕한 財産家만이 參與함으로써 實權없는 諮問機關 水準에서 그쳤다.

敎育機會의 擴大

編輯

敎育 機會의 擴大는 名目上일 뿐 오히려 日本과 關聯된 內容을 朝鮮人들에게 가르치는데 利用되었으며 初等 敎育과 中等 敎育까지만 支援했을뿐, 植民統治에 威脅이 될 수 있다는 理由로 高等敎育은 가르치지 않았다. 또한 敎育을 해주겠다고 여러 學校가 當時에 設立되기는 하였으나 土地調査事業 때 移住해 온 日本人들의 子女가 主로 入學하였고 朝鮮人들의 就學率은 낮았다.(당시 朝鮮의 傳統敎育機關인 書堂 은 日本에 依해 强制로 없어지거나 變質되었기에 書堂은 言及하지 않겠다.)

治安 維持法

編輯

또한 日帝는 笞刑令을 없애 朝鮮人에게 非人間的인 刑罰을 내리지 않겠다고 했지만 獨立 運動을 彈壓하기 위해 治安 維持法을 制定하여 强力한 彈壓을 展開하였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네이버 知識百科] 文化政治 [文化政治] (두산百科)
  2. 서재복 <敎育哲學 및 敎育史> 學이黨 2006年 p194
  3. [네이버 知識百科] 文化政治 [文化政治] (두산百科)
  4. [네이버 知識百科] 文化 政治 - 3 · 1 運動 以後 朝鮮 總督府가 내세운 欺瞞的인 統治 政策 (韓國史 事前 2 - 歷史 事件·文化와 思想, 2015. 2. 10., 김한종, 이성호, 門女警, 송인영, 이희근, 최혜경, 이승수).....먼저 日帝는 主로 日本軍 司令官이 맡아 하던 朝鮮 總督 자리를 日本人 文官이 맡을 수 있도록 制度를 고쳤다..(중략)...실제로 日本은 文化 政治를 내세운 以後부터 解放이 된 1945年까지 朝鮮 總督 자리에 文官을 임명한 적이 한 番도 없었다.
  5. [네이버 知識百科] 文化 政治 - 3 · 1 運動 以後 朝鮮 總督府가 내세운 欺瞞的인 統治 政策 (韓國史 事前 2 - 歷史 事件·文化와 思想, 2015. 2. 10., 김한종, 이성호, 門女警, 송인영, 이희근, 최혜경, 이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