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문주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문주왕

百濟의 第22代 國王 (??477)

문주왕 (文周王,?? ~ 477年 9月 , 在位: 475年 9月 ~ 477年 9月 )은 百濟 의 第22代 國王이다. 문주(汶洲), 門冤枉(文園王), 門연왕(文淵王) 또는 門연왕(汶淵王)이라고도 하며 개로왕 의 아들이다. 日本書紀 유랴쿠機(雄略紀)에는 蓋鹵王의 모제(母弟, 동생)로 記錄되어 있다. 이름은 南齊書 (南齊書) 백제전과, 梁書(梁書)에서는 茅島(牟都)로 記錄되어있고, 宋書 (宋書) 백제전에는 與도(餘都)로 記錄되었다. 卽位 前에, 父王(父王) 개로왕 을 도와 上佐平 (上佐平)을 지냈다. [1] 三國史記 》와 《 三國遺事 》에는 개로왕 의 아들이라 하나, 日本 側 記錄에는 개로왕 의 동생 說과 蓋鹵王의 아들 說이 있다.

문주왕
文周王
於羅暇
第22代 백제 國王
在位 475年 9月 ~ 477年 9月
前任 개로왕
後任 삼근왕
이름
扶餘도(扶餘都)
身上情報
出生日 未詳
死亡日 477年 9月
父親 개로왕 或은 毘有王
母親 未詳
配偶者 未詳
子女 삼근왕
宗敎 佛敎

生涯

編輯

生年月日과 出生地는 未詳이며, 《 三國史記 》와 《 三國遺事 》에 依하면 그의 이름은 門柱이다. 그런데 中國 南北朝時代 南朝의 司書인 良書에는 그의 이름이 茅島(牟都)로 記錄되어있고, 南朝의 다른 司書인 宋書 백제전에는 與도(餘都)라 한다.

三國史記 》와 《 三國遺事 》에 依하면 文周王은 蓋鹵王의 아들이라 한다. 그런데 日本 側 記錄에는 두 가지 說이 있다. 日本書紀의 柳라쿠兆에 依하면 文周王은 蓋鹵王의 동생이라 한다. 誤오치氏와 토요타氏 族譜에는 文周王의 別稱인 門冤枉은 蓋鹵王의 아들로 나타난다. 中國 側 記錄인 《 良書 》 백제전에는 文周王은 蓋鹵王의 아들이라 한다. 그의 어머니와 그의 出生에 對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文周王의 性格은 《 三國史記 》에 依하면, 決斷力이 不足하였으나 百姓을 사랑하였다고 記錄되어 있다. [2] 개로왕 의 太子가 되었으며, 卽位하기 直前에는 父王 개로왕 으로부터 上佐平 에 任命되어 政事에 參與하였다.

475年 高句麗 가 軍士를 일으켜 漢城 을 攻擊하자 門柱는 蓋鹵王의 命을 받아서 新羅 에 가서 援兵을 要請하였다. 軍士 1萬名과 함께 돌아와 高句麗의 軍隊가 물러갔으나, 首都 漢城이 破壞되었다. 一說에는 개로왕 이 自身의 죽음을 豫見하고 문주왕을 避身시킨 것이라는 說도 있다. 蓋鹵王이 죽자 뒤를 이어 卽位하였다.

475年 陰曆 10月, 首都를 漢城 에서 熊進 으로 옮겼다. 476年 여름 4月, 耽羅國 에서 土産物을 바쳐오자 王이 기뻐하여, 그 耽羅國 使臣을 報答으로 恩率(恩率) [3] 로 임명하였다. 耽羅王에게 백제의 높은 벼슬인 佐平(佐平) [4] 으로 임명하였다.

文周王은 477年 4月 아들 蔘根을 太子로 삼았는데, 9月에 當時 政權을 掌握했던 兵權佐平 海口 의 쿠데타에 依해 暗殺을 當했다. 海口의 쿠데타 理由는 알려진 것이 없다. 그의 뒤는 王族들의 推戴를 받은 아들 삼근왕 이 繼承하였다.

家計

編輯

《三國史記》, 《三國遺事》

編輯
개로왕
蓋鹵王
문주왕
文周王
곤지
昆支
삼근왕
三斤王
동성왕
東城王
武寧王
武寧王

《日本書紀》 [5]

編輯
毘有王
毗有王
문주왕
汶洲王
개로왕
蓋鹵王
(加須利君)
곤지
昆支
(軍君)
삼근왕
三斤王
武寧王
武寧王
동성왕
東城王

各州

編輯
  1. 百濟에서 內臣佐平이나 上佐平에 任命된 王族들은 全部 王의 동생이었던 것으로 보아, 蓋鹵王의 동생이라 보는 것이 더 바람직한 듯 하다.
  2. 性柔不斷 而亦愛民 百姓愛之, 《 三國史記 》權26.
  3. “三國史記/106문주왕” . 2015年 12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月 5日에 確認함 .  
  4. “26歲 담 王(聃 王) (453~483)” . 2014年 10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月 5日에 確認함 .  
  5. 이근우 (1994年). “『日本書記』에 引用된 百濟三書에 關한 硏究” . 《한국학중앙연구원 韓國學大學院》 . 2015年 12月 20日에 確認함 .  

같이 보기

編輯
前 代
개로왕
第22代 百濟 國王
475年 ~ 477年
後 臺
삼근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