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무順流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무順流 (無楯類, Aplysiomorpha)는 "바다 토끼"라고 불리는 군소류( 軍所屬 ( Aplysia ) 種 및 關聯 속)로 알려진, 蛋白質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內部 조가비를 갖고 있는 中間 크기부터 아주 큰 후새류 까지의 蹼足類 를 일컫는 用語이다. 軍小祥과 아케라상과 로 이루어진 海洋 蹼足類 軟體動物 이다.

무順流
Aplysia californica
Aplysia californica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연체동물문
江: 腹足綱
(未分類): 二鰓類
(未分類): 職神經瘤
(未分類): 眞후새류 [1]
(未分類): 무順流
(Aplysiomorpha)

"바다 토끼"라는 用語는 이들이 둥근 模樣을 하고 있으며 머리 앞쪽으로 突出해 나온 2個의 긴 非公(rhinophore)李 恰似 토끼 의 귀처럼 생겼기 때문에 由來했다.

分類

編輯

오래된 敎科書와 웹사이트들은 아직까지 相當數가 무筍亞目(Anaspidea) 또는 무筍목(無楯目, Anaspidea)으로 부르고 있다. 元 著者인 피셔(P. Fischer) 과 以上의 分類 階級을 특정하지 않고 무順流를 記述했다. [2] 1925年 티엘레(Johannes Thiele)는 무順流를 亞目의 하나로 分類했다.

2005年 分類

編輯

그러나 무筍亞目 分類가 旣存의 속에 기초한 分類名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 分類名은 國際動物命名規約 (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 ICZN)의 規則에 依해 더 以上 有效하지 않다. 무筍亞目은 2005年 부쉐(Bouchet)와 로크루아(Rocroi)의 새로운 蹼足類 分類 에 依해 무順流(Aplysiomorpha)라는 名稱으로 代替되었다.

旣存에 分類名으로 使用했던 무筍목(Anaspidea)의 學名(學名, scientific name)은 "등딱지가 없는"( without a shield )이라는 그리스어 에서 由來한 것으로 두順流 후새류에서 發見되는 特徵的인 머리 保護 껍질이 없다는 것을 意味한다. 무筍類의 相當數가 홀쭉하며, 작은 外套腔과 함께 內臟과 더 줄어든 껍데기만을 갖고 있다. 一部는 껍질이 全혀 없다. 모든 種이 齒舌(radula)과 沙囊(gizzard plates)을 갖고 있다.

2010年 分類

編輯

2010年 요르거(Jorger)와 그의 共著者들 [1] 은 이 分類群(무順流(Anaspidea)라는 이름으로)을 眞후새류 로 옮겨서 分類했다.

  二鰓類   

下二鰓類 ( 비자고둥商과 包含) - 下二鰓類는 요르거(Jorger) 等의 硏究(2010年)에서는 別途의 分期君을 形成하지 않는다. [1]

  職神經瘤   

나側類

  眞후새류   

山各類

룬키나類

무順流

益族類 ( 무각益族類 , 유각益族類 )

두順流 s.s.

  汎유폐류   

고랑딱개비類

浪說類

글라키도르비스류

癌피볼라류

회오리고둥類

히그로筆라류

아코클리디움류

  眞유폐류   

病岸柳

수안類

대추귀고둥類

誤티나類

트리무스쿨루스류

寫眞

編輯

各州

編輯
  1. Jorger K. M., Stoger I., Kano Y., Fukuda H., Knebelsberger T. & Schrodl M. (2010). "On the origin of Acochlidia and other enigmatic euthyneuran gastropods, with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Heterobranchia". BMC Evolutionary Biology 10 : 323. doi:10.1186/1471-2148-10-323 .
  2. Fischer, P. (1883). 《Manuel de conchyliologie et de paleontologie conchyliologique fasc. 6》. Paris: Savy. 513?608쪽.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