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모스 符號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모스 符號 ( - 符號, 英語 : Morse code )는 한 種類의 信號發生裝置로 짧은 信號( · , 點 또는 短點)와 긴 信號( - , 線 또는 長點)를 適切히 調合하여 [1] 文字 記號를 表記하는 方式이다. 로마字 와 數字 또는 한글 字母를 表記한다. 자주 쓰인 文字(예: e)일수록 信號가 簡單( · )하다. 信號는 소리, 빛, 電流 等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읽을 때에는 點/線이나 돈 /쓰, 딧(dit)/다(dah)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스 符號 文字와 數字 차트. [1]

發明家 새뮤얼 핀리 브리즈 모스 가 考案하였으며, 1844年 最初로 美國의 볼티모어 워싱턴 D.C. 사이 前身 連絡에 使用되었다. 韓國에서도 오랜 동안 全身(電報)를 주고 받는데 使用되었고, 災難 信號 等으로 쓰이며, 아마추어 無線에서 連續波(CW) 通信 手段으로 使用하고 있다.

開發 및 歷史

編輯

1836年을 起點으로, 美國의 아티스트 새뮤얼 모스 , 美國의 物理學者 조지프 헨리 , 앨프리드 베일 前身 시스템을 開發하였다.

모스 코드가 開發되어 造作者들이 종이 테이프에 적힌 자국을 텍스트 메시지로 解釋할 수 있었다. 初期 코드에서 모스는 數字만을 電送할 計劃이었다. 그러나 이 코드는 앨프리드 베일이 一般 文字와 特殊 文字를 包含, 擴張시켰고 一般化되었다.

로마字에 對한 富豪 指定은 가장 많이 使用되는 글字일수록 가장 짧고 簡單한 符號가 되도록 定했다. 卽 많이 使用되는 글字일수록 打電하기 便하도록 割當 符號가 짧아진다는 것이다. 모스 符號의 길이가 짧은 것부터 順序대로 늘어놓으면, e i t a n s d h m r u b f g k l v w c j o p x z q y 가 된다. [ 出處 必要 ]

한글 電信 符號는 김학우 가 開發했으며, 使用 頻度와 한글 順序나 劃順을 함께 考慮하여 定했다. 가장 많이 쓰는 글字인 'ㅏ'에 點을 指定했고, 이에 對稱인 'ㅓ'에 線을 指定했다. 'ㅑ, ㅕ, ㅜ'에 各各, 두 點 '··', 세 點 '···', 네 點 '····'을 指定했다. 子音은 ㄷ, ㄱ, ㄴ, ㄹ 順으로 規則을 定해 各各 '-···, '.-··', '··-·', '···-'로 定했다.

送信

編輯

모스 符號는 수많은 方法으로 送信할 수 있다. 電報 와이어를 통한 電氣 펄스로 始作했으나 以後 짧고 긴 톤을 지닌 소리 톤으로서, 또 機械式이나 時刻 信號로서( 모스 信號燈 , 헬리오그래프 等의 裝置를 使用), 아니면 一般 플래시라이트나 自動車 警笛을 통해서도 送信이 可能하다.

케이블 코드

編輯

19世紀, 20世紀 初 海底 케이블 은 다른 形態의 모스 信號를 必要로 했다. 矢邊에 따라 電壓을 on/off 키 處理를 하는 代身 일정한 時間 동안 케이블에 露出되는 電壓의 兩極을 통해 dit/dah가 表現되었다. [2]

規則

編輯

符號의 使用은 國際 規約을 따른다. [3]

  1. 선(dash) 길이는 點(dot)의 3倍일 것,
  2. 한 字(로마字 또는 한글字母 文字)를 形成하는 線과 點 사이 間隔은 1點과 같을 것,
  3. 文字와 文字, 文字와 記號 사이 間隔은 3點과 같을 것,
  4. 單語와 單語 사이는 7點과 같을 것.

& 한글인 境遇 (音節)글字와 글字 사이는 5 短點 길이를 둔다.

다음 例에서 빼기 記號 -는 信號, 空白 文字 _는 信號가 없는 間隔을 나타내며, 記號 하나는 短點 하나의 길이를 뜻한다. 모든 線은 이어져있다.

예. CQ TEST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예. 못 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畿湖의 間隔이 定해져 있으므로 符號는 2陣法 體系를 따른다. 點과 線이 n개 있으면   個의 符號를 만들 수 있다.

英語 및 數字 모스 符號

編輯
文字 코드
A, a
B, b
C, c
D, d
E, e
F, f
G, g
H, h
I, i or ?, i (Turkish, Azerbaijani)
J, j
K, k

Prosign for
"Invitation to transmit"
L, l
M, m
N, n
O, o
P, p
Q, q
R, r
S, s , SZ, sz (Hungarian)
T, t
U, u
V, v
W, w
X, x
Y, y , J, j (Hungarian)
Z, z
0
1
2
3
4
5
6
7
8
9
A, a
Comma [,]
Question Mark [?]
?, ?
Exclamation Point [!]

KW digraph [a]
Slash / Fraction Bar [/]

DN digraph
Parenthesis (Open)

KN digraph
Prosign for exclusive invitation to transmit
?, ?
Ampersand [a] [&]

AS digraph
Prosign for wait
Colon [:]
Semicolon [;] [a]
D?, d?

BT digraph
Prosign for
new paragraph
Plus sign [+]

AR digraph
Also New Page Signal
Y, y , Minus Sign [-]
?, ? Underscore [_] [a]
?, ? RR, rr
Dollar sign [$] [a]

digraph [a]
At Sign [@]

AC digraph
End of work

SK digraph
?, ? , I, i , J, j (Italian) I, i E, e , ?, ? , ?, ? , ?, ? , LY, ly , ?, ? , DZ, dz , O, o , ?, ? , LL, ll , GJ, gj , GY, gy , LJ, lj
Invitation to transmit

Also used for K
Starting Signal
New Page Signal

AR digraph
Message separator [b]
Understood

Also used for ?
Wait

also proposed for
use as Ampersand [&]
A, a

Shared by A, A
A, a

Shared by A, Æ, ?
A, a

Shared by A, A
?, ?

Shared by A, Æ, ?
Æ, æ

Shared by A, Æ, ?
?, ?

Shared by ?, ?, C
?, ?

Shared by ?, ?, C
C, c

Shared by ?, ?, C
CH, ch

Shared by CH, ?, ?
đ, đ

Shared by đ, E, [c] ?
Not to be confused
with Eth (Ð, ð)
Ð, ð

Not to be confused
with D with stroke (đ, đ)
E, e E, e [c]

Shared by đ, E, [c] ?
E, e

Shared by E, Ł
?, ?

Shared by đ, E, [c] ?
?, ?
?, ?

Shared by CH, ?, ?, ?
?, ?
I, ı , Ł, ł

Shared by E, Ł
?, ?

Shared by ?, N
N, n

Shared by ?, N
O, o

Shared by O, O, Ø
O, o

Shared by O, O, Ø
Ø, ø

Shared by O, O, Ø
?, ? , S, s (Hungarian)
?, ?

Prosign for "Understood"
?, ? ?, ?

Shared by CH, ?, ?, ?
Þ, þ
U, u

Shared by U, ?
?, ?

Shared by U, ?
?, ?
?, ? ?, ?
  1. The character or symbol encoding is not in either ITU-R ?M.1172 [4] or ITU-R ?M.1677-1?. [5]
  2. Single-line decoding display may use printed "+" for message separator prosign.
  3. Although not strictly a Latin alphabet character, E is part of the ITU-R Morse code standard, and the only accented character included in the recommendation. [5]

한글 모스 符號

編輯
文字 富豪 文字 富豪
?-?? ?---
??-? ?
-??? ??
???-
-- ???
?-- ?-
--? -?
-?- ????
?--? ?-?
-?-? -??
-??- ??-
--?? --?-
--- -?--

數字 모스 符號

編輯
文字 富豪 文字 富豪
1 ??----, ??- 6 -????
2 ???---, ???- 7 --???, -???
3 ????--, ????- 8 ---??, -??
4 ?????- 9 ----?, -?
5 ?????? 0 -----, -

日本語 모스 符號

編輯

가나(이로하 順序)

編輯

이로하 順序대로 로마字 모스 符號를 맞춘 것이 基本이 되어 있기 때문에, 50音 順序가 아닌 이로하 노래 順序로 나타낸다.

文字 富豪 文字 富豪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濁點) ???
??-??- ? (反託點) ???--?

記號

編輯
文字 富豪
長音「 -????-
마침標 「 . ??-?-?-
쉼標 「 , --??--
段落「 ??-?-??
여는 括弧「 -?--?
닫는 括弧「 -?--?-
물음標「?」 ??--??
슬래시「/」 -??-?

비고:알파벳을 入力하려면 그 部分을 括弧로 묶는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International Morse code Recommendation ITU-R M.1677-1” . 《itu.in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October 2009 . 2011年 12月 23日에 確認함 .  
  2. Ken Beauchamp, History of Telegraphy ,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IET, 2001 ISBN  0852967926 page 150
  3. 아마추어無線 運用倫理와 運用節次. https://www.iaru-r1.org/wp-content/uploads/2019/10/IARU_아마추어無線-運用倫理와-운용절차.pdf
  4. Miscellaneous abbreviations and signals to be used for radiocommunications i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 Radiocommunication Sector . 《ITU.int》 (報告書). ITU Recommendation (Geneva, CH: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ITU-R M.1172.  
  5. International Morse Code Recommendation . Radiocommunication Sector . 《itu.int》 (報告書). ITU Recommendation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October 2009. ITU-R M.1677-1. 2012年 11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12月 23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