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麻谷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麻谷寺

忠淸南道 공주시의 査察, 曹溪宗 第6敎區 本社

麻谷寺 (麻谷寺)는 大韓民國 忠淸南道 公州市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東쪽 山허리에 있는 절이다. [1] 大韓佛敎 曹溪宗 第6敎區 本寺이기도 하다. 2018年 , ' 山寺, 韓國의 山地僧院 '이라는 名稱으로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 에 登載되었다.

麻谷寺
麻谷寺 前景
宗派 大韓佛敎 曹溪宗
位置
마곡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마곡사
麻谷寺
麻谷寺(大韓民國)
所在地 忠淸南道 公州市 사곡면 麻谷寺로 966 (운암리)
座標 北緯 36° 33′ 32″ 東京 127° 00′ 45″ ? / ? 北緯 36.55889° 東經 127.01250° ? / 36.55889; 127.01250
山寺, 韓國의 山地僧院
유네스코 世界遺産
英語 名*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登錄 區分 文化遺産
基準 III
指定番號 1562-5
地域 ** 아시아·太平洋
指定 歷史
2018年   (42次 政府間委員會 )
웹사이트 山寺, 韓國의 山地僧院 홈페이지
* 世界遺産目錄에 따른 正式名稱.
** 유네스코에 依해 區分된 地域.

歷史 編輯

639年( 新羅 선덕여왕 7年)에 中國 唐나라 留學에서 3年餘만에 돌아온 자장 (慈藏)이라는 律士(律師)가, 高句麗 영류왕 (高句麗 榮留王)· 百濟 武王 (百濟 武王)을 謁見(謁見)韓 後, 各各 季節上의 春秋期에 접어들면서 643年( 保障王 1)에 高句麗 領土의 昭陽江 (昭陽江)으로 건너가 月精寺 (月精寺)와, 646年( 선덕여왕 14)에 通度寺 (通度寺)를 創建할 때, 善德女王에게 土地 200結을 받아 電塔 等을 세우고, 먼저 그보다 더욱 나아가 자장 (慈藏) 律士는 結局 百濟 領土의 錦江 (錦江)까지 건너가, 640年( 武王 41)에 이곳(麻谷寺)도 함께 아직 조그만 庵子 대여섯채 等으로써 처음 創建(創建)했다고 傳한다. 그後 約200年餘가 지난, 統一 新羅 時代의 末期였던 888年( 진성여왕 1)에 道詵 (道詵)이라는 局社(國師)가 重建하였으며, 또한 後날 高麗 時代의 明宗 2年 때(1172年)에 遠景 (元敬)이라는 船社 (禪師)가 重修하였고, 또한 열여섯 해가 지난 後엔, 이미 入籍하여 世上 떠난 원경國師 (元敬國師, 明宗 13年(1183年)에 入寂)가 남긴 首弟子(首弟子)였던 楯桷(淳覺)이라는 禪僧 (禪僧)李 1188年(明宗 18)에 거듭 再建(症窓 및 重建)하였다. 그뒤 1191年(明宗 21)에, 또한 그 亦是 원경國師 (元敬國師)가 남긴 首弟子(首弟子)였던 利가 되는, 보철 和尙(保澈 和尙)이라는 僧侶 가 主席(講論)할 때 스님의 法文을 듣기 위해 모인 사람이 三代처럼 빽빽하게 많아서, 本格的으로 麻谷寺라는 절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한다.

920年代를 전후한 나말여초 時代( 統一 新羅 末期와 高麗 初期)의 混亂期에 僧侶 (僧侶)들이 이 庵子 및 절間 等을 모두 등지며, 그렇게 各各의 餘他의 他地로 떠나가면서, 事實上으로 庵子 및 節( 査察 )이 모두 斃死(撤廢)되고, 結局 한때 이곳도 於焉 約200年餘 假量 동안은 相當한 收受가지의 擄掠질을 일삼았던 盜賊(도둑)의 巢窟이 되었는데, 高麗 時代의 明宗 2年(1172年)에 局社 遠景 (元敬) 스님이 武藝 (武藝)에 能通(能通)韓 僧侶 (僧侶)들을 뿌려, 盜賊 무리(도둑떼)를 몰아낸 後, 원경國師 (元敬國師)는 自身의 首弟子(首弟子)인 수우(水雨) 스님 等과 함께 本格的인 절間( 査察 )의 再建(重建 및 增築)을 始作하여, 於焉 4年 後 1176年(明宗 6)에는 同僚 一行(同僚 一行)이었었던 知訥 (知訥, 後날의 普照國師 )한테는 節( 査察 )의 各 懸板 이름 等의 붓글씨( 書藝 )까지 擔當을 付託하는 等 모두 함께 遠景·수우·知訥 3名이서 大規模 企劃의 不辭 增築(不死 査察 重建)을 擴大的으로 벌여, 1178年(明宗 8)에 드디어 節( 査察 )의 中窓(增設)의 完了를 했다. 그리하여 呂末先初 時代( 高麗 末期와 朝鮮 初期)에까지 健在하게 되면서, 特히 朝鮮 時代에 들어서는 世祖 (世祖)가 이 절에 擧動(擧動)까지 해서 영산전(靈山殿)이라는 懸板을 親筆로 남기기도 하고, 自身이 타고 온 가마 1臺를 두고 갔다고 한다.

1592年(宣祖 25年)의 壬辰倭亂 때 倭軍들의 廣闊한 襲擊 等으로 인한 火災 等으로 인하여, 大部分 殿閣이 消失되었다가, 1651年( 孝宗 2年)에 大雄殿, 영산전, 大寂光殿 等을 症窓(重建)했다. 近代에 들어서는 舊韓末 時代의 1896年(高宗 33年)에는 白凡 金九 (白凡 金九) 先生이, 黃海 安岳(치하포)에서 지난 1895年(高宗 32年)의 명성황후 弑害(明成皇后 弑害)에 加擔한, 對馬島 (對馬島)의 軍事 間諜 (軍事 間諜)이었었던, 日本軍 將校 出身의 쓰치다 [2] 조스케(土田讓亮)를 죽이고 安岳郡 大同江 (大同江)에 던지며, 京畿 仁川刑務所에 投獄되었다 結局 脫獄한 뒤에 이곳으로 避身해서 元宗이라는 法名으로 出家 生活을 했다. 只今 대광保全 앞 香나무는 當時 金九 先生이 直接 심은 것이라고 傳한다. [3]

特徵 編輯

다양한 時代의 文化財가 한 자리에

麻谷寺 周邊의 물과 山의 形態가 太極 兄이라고 해서 <擇里志>나 <鄭鑑錄> 等 여러 감여서에서는 이곳을 戰亂을 避할 수 있는 十勝之地의 하나로 꼽았다. 그래서인지 麻谷寺에는 時代를 超越한 여러 文化財가 있다. 그 가운데서도 麻谷寺에서는 特히 눈여겨보지 않으면 지나치기 쉬운 殿閣의 懸板 들을 찬찬히 吟味해서 볼 必要가 있다.

먼저 볼 것이 神品四賢 의 하나로 꼽히는 金生의 글씨로 傳해지는 大雄寶殿의 懸板 글씨인데, 큰 글씨임에도 꽉 차 보이고 豁達한 기운이 느껴진다. 두 番째 懸板은 영산전이다. 世祖어필이라 懸板 한쪽에 쓰여 있어 在位 中 溫陽이나 俗離山 으로 擧動할 때 麻谷寺에 들러 쓴 것으로 보인다. 세 番째는 豹菴 姜世晃의 대광保全 懸板이다. 강세황은 詩書畫 모두에 能한 藝苑의 總帥로 神位 金弘道 의 스승이었다.

以外에도 심검당은 正祖 때 淸白吏였던 조윤형 先生의 글씨이고, 寮舍에 붙은 麻谷寺 懸板은 近代의 書畫家인 海岡 김규진 이 그림을 곁들여 쓴 글씨이기도 하다.

所長 文化財 編輯

創建 當時에는 30餘 칸의 大寺刹이었으나, 現在는 大雄寶殿( 寶物 第801號), 대광保全(寶物 第802號), 영산전(寶物 第800號), 四天王門, 解脫門 等이 남아 있다. [1]

麻谷寺는 忠南 에서 훌륭한 절집들을 한꺼번에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곳으로 大韓民國 寺刹의 28本山 가운데 하나이며 忠南 의 모든 査察 을 管轄하는 큰 절이다. 예로부터 춘마곡이라 하여 周圍의 봄 景觀이 빼어나며 溪谷이 깊어서 《 擇里志 》, 《 鄭鑑錄 》 等의 地理誌나 祕記에서도 兵亂을 避할 수 있는 十勝之地 의 하나로 이 一帶를 꼽고 있다. 오늘날 麻谷寺에는 五層石塔(寶物 第799號)? · 英算定(寶物 第800號)? · 大雄寶殿(寶物 第799號)? · 대광保全(寶物 第802號)? · 解脫門? · 天王門? · 冥府殿? · 응진전? · 심검당? · 國師堂? · 梅花當? · 흥성루? · 수선사? · 對向角? · 영각? · 古方 等 建物과 幀畫? · 全的? · 版本들이 있다.

寶物 編輯

忠淸南道 有形文化財 編輯

忠淸南道 文化財資料 編輯

公州 10景 編輯

公州文化院, 公州禮銃, 鄕土史學者, 言論人, 寫眞作家 等으로 構成된 公州 10景 選定委員會에서 選定한 公主 10景 候補地 15個所를 對象으로 設問調査를 實施한 結果 最終 選定된 公州 10景 에 麻谷寺가 選定되었다. [4]

寫眞 編輯

體驗 및 施設 編輯

템플스테이 編輯

麻谷寺에서는 내·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運營하고 있다.

같이 보기 編輯

外部 링크 編輯

各州 編輯

  1. 社會 I·文化財 > 門 火 再 > 重要 文化財 > 忠淸南道 > 麻谷寺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2. 소 요시아키라 (宗 義達)가 심어놓은 間稅(細作)로, 미우라 고로 (三浦梧?)의 離間 關聯 四柱를 받으며, 지난 1895年(高宗 32年) 當時의 명성황후 弑害(明成皇后 弑害)에 加擔한, 對馬島 (對馬島)의 軍事 間諜 (軍事 間諜)이었었던, 日本軍 尉官 將校 中尉 出身의 쓰치다 조스케(土田讓亮).
  3. 白凡 金九, 白凡逸志, 도진순 註解, 돌베개, 1997, 412쪽
  4. ' 公州 10景' 誕生!” . 뉴스타운. 2012年 7月 2日 . 2014年 10月 18日에 確認함 .  

交通 編輯

參考 文獻 編輯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