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류홍 影幀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류홍 影幀

( 류홍영情 에서 넘어옴)

류홍 影幀 (柳泓 影幀)은 서울特別市 鍾路區 서울歷史博物館 에 있는 朝鮮時代 류홍(柳泓,1483-1551)李 1506年 아버지인 류순정(柳順汀, 1459-1512)과 함께 中宗反正(中宗反正)을 成功으로 이끈 공으로 靖國功臣(靖國功臣) 4等에 책록(冊祿)된 것을 記念하여 製作한 肖像畫이다. 2004年 10月 30日 서울特別市의 有形文化財 第193號로 指定되었다.

류홍영情
(柳泓影幀)
대한민국 서울特別市 有形文化財
種目 有形文化財 第193號
( 2004年 10月 30日 指定)
數量 1幅
時代 朝鮮時代
管理 서울歷史博物館
位置
住所 서울特別市 鍾路區 새문안로 55 (신문로2街, 서울歷史博物館)
座標 北緯 37° 34′ 14″ 東經 126° 58′ 14″ ? / ? 北緯 37.57056° 東京 126.97056° ? / 37.57056; 126.97056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槪要 編輯

류홍(柳泓,1483-1551)李 1506年 아버지인 류순정(柳順汀, 1459-1512)과 함께 中宗反正(中宗反正)을 成功으로 이끈 공으로 靖國功臣(靖國功臣) 4等에 책록(冊祿)된 것을 記念하여 製作한 肖像畫이다. 그러나 中宗實錄을 보면 아버지인 류순정과 달리 류홍의 境遇는 國家에서 立脚圖形(入閣圖形)하였다는 記錄은 없는 點으로 보아 國家에서 公式的으로 製作한 肖像畫는 아닌 것으로 推定된다. 그림의 主人公인 류홍은 어려서부터 武藝를 익혔으며, 中宗反正 當時 아버지 순정을 따라 反正軍(反正軍)으로 活動하였다. 以後 井州牧師,忠淸道病魔社,경상우도兵馬使,全羅道水軍節度使,北兵使 等 汴京의 將帥職을 두루 歷任 하고 末年에는 訓鍊院都正을 거처 同知中樞府事가 되었다.

이 肖像畫는 류홍이 靑團領(靑丹領)을 입고 烏紗帽(烏紗帽)를 쓴 채 敎義(交椅)에 앉아 있는 모습을 그렸다. 얼굴은 류순정의 影幀보다는 若干 어두운 살색이 漆해져 있으나 耳目口鼻는 鮮妙(線描)만으로 規定되어 時代的으로 姑息(古式)을 보여준다. 鬚髥은 옅게 나있어 젊은 모습을 보여주는데, 눈매와 다문 입가는 美丈夫(美丈夫)로서 一生을 勇猛한 武裝(武將)으로서 살아갔던 그의 履歷을 實感케 한다. 靑布(靑袍)의 주름 處理는 先染機(渲染氣) 없이 鮮妙(線描)만으로 處理되어 있지만 父親의 肖像畫보다는 주름線을 물결치듯 律動感 있게 處理하여 畫家의 裝飾的인 欲求를 보여준다. 가슴에는 胸背 없이 角杯만 차고 있다. 이 肖像畫가 그려지기 1年 前인 1505年(燕山君 11)에 以前의 中國 明나라 洪武예제(洪武禮制)를 따라 1品에서 3品까지만 胸背를 달게 한 制度를 1品에서 9品까지 擴大하고 사슴?돼지?거위?기러기등 朝鮮的인 文樣을 使用하게 한 바있다. 그런데 이 肖像畫에서는 4品 以下의 職級은 胸背를 달지 않는 紅무예제에 따라 表現된 點으로 보아 燕山君臺의 胸背制度는 中宗反正으로 말미암아 1年 만에 原狀復歸된 것으로 推定된다. 또한 아버지인 류순정 影幀에는 團領,烏紗帽,表具 等에 如意頭紋(如意 頭紋)李 表現되어 있으나, 이 影幀의 境遇는 이런 文樣 없이 單純하게 表現 되어 있다.

姿勢는 左岸7粉面(左顔七分面)으로 왼쪽의 어깨가 오른쪽의 어깨에 비하여 기울기가 緩慢해진 것을 볼 수 있다. 옷의 外形이 둥글게 부풀어 오르고 若干 角이 진 線으로 描寫되어 있으며, 옷주름은 釘頭鼠尾描(釘頭鼠尾描)로 簡潔하게 表現한 點은 朝鮮 初期 肖像畫에 典型的으로 보이는 威嚴과 權威의 表現이다. 團領의 옆은 트여 그 사이로 帖裡(帖裏)와 內功(內工)李 내비치고 銀粧刀 찬 모습이 보인다.

바닥에는 류순정 影幀과 달리 中國式의 菜田(彩氈)李 깔려 있지 않다. 菜田의 使用은 職級과 關聯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의 왼쪽에는 6代孫인 式(寔)李 ‘分醫靖國功臣嘉義大夫同志中 추부사겸오위도총부부총관훈련원도정 鎭山群류홍畫像(奮義靖國功臣嘉義大夫 同知中樞府事兼五衛都摠府副摠管訓鍊 院都正晋山君柳泓畵像)이라고 쓴 標題가 있다.

<류홍 影幀>은 本格的인 功臣賞은 아니지만, 肖像畫의 質的인 面에서 볼 때 端正하면서도 剛直한 武官의 性格을 잘 描出해 낸 佳作(佳作)으로서 공신도상과의 形式上의 差異를 比較해볼 수 있는 資料的 價値와 함께 描寫力度 認定된다.

參考 文獻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