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레스터 B. 피어슨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레스터 B. 피어슨

( 레스터 볼스 피어슨 에서 넘어옴)

레스터 볼스 "마이크" 피어슨 ( Lester Bowles "Mike" Pearson , OM , CC , OBE , 1897年 4月 27日 ~ 1972年 12月 27日 )은 캐나다 政治人 이다.

레스터 피어슨
Lester Bowles Pearson
캐나다 美國 駐在 大使
任期 1944年 12月 9日 ~ 1946年 2月 8日
大統領 루스벨트 美國 大統領
트루먼 美國 大統領
總理 캐나다 總理

캐나다 第14代 總理
任期 1963年 4月 22日 ~ 1968年 4月 20日
前任 존 디펜베이커
後任 피에르 트뤼도

身上情報
出生日 1897年 4月 23日 ( 1897-04-23 )
出生地 캐나다 온타리오州 토론토
死亡日 1972年 12月 27日 ( 1972-12-27 ) (75歲)
死亡地 캐나다 온타리오州 오타와
學歷 토론토 大學校 ( B.A. )
옥스퍼드 大學校 (B.A.)
옥스퍼드 大學校 ( M.A. )
經歷 政治人 , 外交官 , 敎授 , 歷史가
正當 캐나다 自由黨
配偶者 매리언 피어슨
子女 제프리 , 패트리샤
宗敎 캐나다 監理敎會 캐나다 聯合 敎會
署名
賞勳 1957年 노벨 平和賞 受賞

成長

編輯

레스터 피어슨은 토론토 의 뉴턴브룩(Newtonbrook)에서 태어났다. 토론토 大學校 빅토리아 칼리지에서 歷史學 을 專攻으로 1919年 에 學部를 나온 後, 奬學生으로 옥스퍼드 大學校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工夫했다.

1925年 에 碩士課程을 마치고 옥스퍼드 大學校를 나온 그는 캐나다로 돌아와 母校인 토론토 大學校의 歷史學 敎授가 되어 1928年 까지 學生들을 가르치다 公職生活을 始作했다.

外交官

編輯

外務考試를 優秀한 成績으로 合格한 그는 캐나다 外務部 1等 書記官이 되었다. 1945年 에는 週 美國 大使가 되었고, 같은 해에 샌프란시스코 에서 열린 유엔 憲章 調印式에 參席하기도 하였다.

1948年 自由黨 에 들어가 外務長官을 지내다가, 1949年 北大西洋 條約 機構 (NATO)의 調印에서 캐나다를 代表하였다.

그는 外交官, 政治人으로서 뛰어난 足跡을 남겼다. 國際紛爭 조정가 役割을 하며 活躍한 것이 第一 크게 認定받고 있다. 1951年 에는 NATO의 議長으로, 1952年 에는 유엔 總會 議長 으로 뽑혔다. 韓國 戰爭 休戰 때도 유엔 高等辦務官 役割을 했고 무엇보다 第2次 中東 戰爭 이라고도 불리는 수에즈 運河 紛爭을 平和的으로 解決하여, 그 功勞로 1957年 노벨 平和賞 을 받았다.

政治人

編輯

1958年 自由黨 競選 끝에 自由黨의 黨首가 되었다. 그 後 1963年 4月 22日 總選에서 自由黨이 勝利함에 따라 피어슨은 第14代 캐나다 總理에 就任했다. 就任 後 피어슨은 美國 및 英國 과의 關係 改善에 集中하였으며, 特히 1965年 1月에는 캐나다-美國 自動車 協定을 이끌었다. 한便 1964年 1月에는 캐나다 總理로는 最初로 프랑스 를 公式 訪問하기도 했다.

그러나 美國의 베트남 侵攻 當時 린든 B. 존슨 行政府를 批判하고, 美國 側의 派兵 要求도 拒絶했다. 1965年 4月 2日 템플 大學校 에서의 講演에서 그는 美國의 통킹灣 에 爆擊과 북베트남 侵攻을 非難했다. 이에 린든 존슨 大統領은 憤怒하여 피어슨 總理를 自己 別莊인 大統領 專用 別莊 캠프데이비드 로 불러내서 "우리집 居室에 와서 카펫 위에 오줌갈기지 마라!" (Don't you come into my living room and piss on my rug)라고 고함쳤다고 알려져 있다.

피어슨이 總理로 在任하던 當時 사호的으로는 캐나다 內 英語 使用者와 프랑스語 使用者들 사이의 葛藤이 高調되었다. 프랑스系 캐나다人 들 사이에서는 自身들이 同等한 權利와 機會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프랑스系가 大多數를 차지하는 퀘벡州 에서는 分離獨立 運動이 일어났다. 反面 經濟는 好況期를 謳歌하여 피어슨 政府는 社會福祉 事業을 推進할 수 있었다.

피어슨은 1968年 4月 21日 에 總理職을 辭任하였다. 같은 해 8月에는 世界銀行 그룹 의 總裁로 選出되었다. 1972年 12月 27日 오타와 의 外郭 록클리프 파크(Rockcliff Park)에 있는 自宅에서 으로 死亡하였다.

事後

編輯

1984年 토론토 國際 空港은 피어슨을 記念하는 意味로 토론토 피어슨 國際空港 으로 名稱을 바꾸었고, 캐나다 外交部 廳舍는 '피어슨 빌딩'으로 불린다.

每해 北美 내셔널 하키 리그 (NHL) 正規 시즌 最高의 選手에게 주어지는 레스터 피어슨 上(Lester B. Pearson Award)도 토론토 大學校 代表 하키 選手 및 코치로 活躍했던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토론토 大學校 亦是 그가 本校 出身임을 기리기 위해 每해 最高의 國際 學生들에게 全額奬學金人 레스터 B. 피어슨 國際 學生 奬學金(Lester B. Pearson International Student Scholarship)을 授與한다. [1] 現在까지 4名의 韓國人이 授與 받은 바 있다.

2004年 피어슨은 캐나다 放送 (CBC) 이 캐나다 國民을 對象으로 한 設問調査 "歷代 偉大한 캐나다 人物"(The Greatest Canadian)에서 6位에 올랐다. [2]

徐薰

編輯

各州

編輯
  1. “The Lester B. Pearson International Scholarships” (캐나다 英語) . 2023年 9月 3日에 確認함 .  
  2. “The Greatest Canadian” . 2004年 10月 2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4年 10月 27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編輯
前任
존 디펜베이커
캐나다의 第14代 總理
1963年 4月 22日 ~ 1968年 4月 20日
後任
피에르 트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