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러시아 차르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러시아 차르國

러시아의 옛 國號

러시아 차르國 ( 러시아語 : Русское царство 루스코예 차르스트步 [ * ] )은 1547年 모스크바 大公國 이반 4歲 차르 의 稱號를 使用하기 始作한 以後 1721年 표트르 大帝 러시아 帝國 을 宣言할 때까지 使用된 러시아 의 公式 國號이다. [1]

러시아 차르國
Русское царство

1547年 ~ 1721年
국기
17世紀의 旗발
문장
國葬
(1667年 ~ 1721年)
16세기부터 18세기 러시아의 영토      1500년      1600년 및      1689년
16世紀부터 18世紀 러시아의 領土
     1500年      1600年 및      1689年
수도 모스크바
(1547年 ~ 1712年)
상트페테르부르크
(1712年 ~ 1721年)
政治
政治體制 專制君主制
차르
1547年 ~ 1584年
1584年 ~ 1598年
1606年 ~ 1610年
1613年 ~ 1645年
1682年 ~ 1721年

이반 4歲 (初代)
표도르 1歲
바실리 4歲
미하일 1歲 표도르비치
표트르 1歲 (말대)
王朝
1547年 ~ 1598年
1613年 ~ 1721年

류리크 王朝
로마노프 王朝
立法府 젬스키 소보르
歷史
???이반 4歲의 戴冠式
?? 표트르 大帝의 帝國 宣言
1547年 1月 16日
1721年 10月 22日
지리
位置 유라시아
1719年 어림 面積 14,500,000 km²
人文
公用語 러시아語
데모님 러시아人
經濟
通話 루블
宗敎
國校 러시아 正敎會
기타
紀年法 율리우스력
現在 國家 러시아의 기 러시아

國號 編輯

初期에는 루스 차르國이라는 國號를 使用하였지만, [2] [3] 後期부터는 러시아 차르國으로 國號를 變更하였다. [4] [5] 一部 硏究者들은 西유럽 여러 나라에서 이 國家를 初期 國號인 루스 차르國이나 後記 國號인 러시아 차르國 代身 모스크바 차르國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라이벌 關係에 있던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의 政治的 利害 關係가 原因이라고 指摘이 있었다. [1] 이 말은 러시아의 歷史가 [6] 사이에서 頻繁하게 使用되었고, 러시아人 들에게도 널리 인정받고 있었다. [1] 차르國은 "러시아 旗발"李 아닌 "王國 旗발"을 갖고 있었고, 金色을 띤 雙頭 修理가 性 블라디미르 의 붉은 文章과 黃色의 直四角形 模樣이 합쳐진 것이 차르의 旗발이 되었다. [7]

歷史 編輯

류리크 王朝 (1547年 ~ 1598年) 編輯

第3의 로마 帝國 編輯

 
뇌제 이반 의 象牙 玉座.

모스크바 大公國 이반 3歲 東로마 帝國 의 마지막 皇帝의 조카딸 소피아 팔라이올로기나 와 結婚하였는데, 1453年 第2의 로마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 오스만 帝國 의 손에 陷落된 以後, 旣存에 쓰이던 대공을 意味하는 君主 稱號인 벨리키 크냐지 代身 皇帝 라는 뜻의 차르 를 君主의 呼稱으로 처음 使用하면서 러시아의 首都 모스크바 는 일찍이 基督敎 世界의 中心이었던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의 後繼者인 第3의 로마 이며 러시아의 차르 第3의 로마 皇帝 라고 主張하였으며, 同時에 東로마 帝國 의 使用 語彙, 意識, 稱號, 現在도 러시아의 國葬 으로 繼承되는 雙頭 修理 의 文章 等을 繼承하여 使用하게 되었다. 後繼者인 이반 4歲 는 卽位式 때 차르 로써 戴冠式을 擧行한 後 對內外的으로 차르 呼稱을 公式的으로 使用하였으며, 이때부터 차르 는 單純히 第3의 로마 皇帝 를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絶對權力을 휘두르는 專制君主로서의 意味도 包含하게 되었다.

이반 4歲 의 治世初期 編輯

차르 의 獨裁權力의 擴大는 이반 4歲 의 治世에 絶頂期를 맞아 그는 뇌제로써 歷史에 이름을 남기게 되었다. 離叛은 차르의 地位를 이제껏 볼 수 없을 程度로 상승시켰고, 精神的으로 不安定한 性格을 갖고 있었기에 無制限의 權力을 휘두를 수 있다는 危險을 무릅쓰고 있었다. 知的이며 精力的인 人物이었으나 이반은 被害妄想 및 躁鬱病의 發作으로 괴로워했고, 그의 統治方針度 極端的인 暴力的인 行動의 것이었다. 이반 4歲가 大公의 자리에 오른 것은 1533年 3살때였다. 슈이스키 家門 및 베리스키 家門은 攝政의 자리를 둘러싸고 熾烈한 派閥 다툼을 벌였고, 이 狀態는 離叛이 1547年 公式的으로 차르가 될 때까지 繼續되었다. 러시아의 帝國 志向을 反映해 離叛의 차르 戴冠式은 東로마 皇帝의 것을 모델로 功을 많이 들인 意識이었다. 側近 보야르 들의 補佐를 받으면서 그는 治世 初期 一連의 뛰어난 改革에 着手했다. 1550年代 離叛은 새로운 法典을 公布하고 軍隊를 改善한 뒤 地方統治機關을 再組織했다. 이러한 改革은 틀림없이 恒久的인 戰爭에 對應하기 위한 强國化 政策이었다.

이반 4歲의 外交政策 編輯

지기문트 폰 헬벨슈타인 男爵이 모스크바의 祭祀에 關한 記錄 을 1549年 出版할 때까지 西歐人에 있어 러시아는 매우 수수께끼가 많은 社會였다. 이 冊에서는 좀처럼 訪問하지 않고 不足한 報告書도 없던 나라에 對해 어느 程度의 知識과 理解를 갖게 하였다. 1630年代 러시아를 訪問한 아담 올레아리우스 는 이 나라에 關聯한 豐富한 情報를 생생한 모습으로 記述하여 傳했고, 그의 冊은 瞬息間에 유럽 여러 가지 言語로 飜譯되었다.

보다 더 詳細한 情報는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의 商人 들에 依해 傳해지게 되었다. 그들 中 한 名인 리처드 챈瑟러 는 1553年 北東航路를 航海해 白海 에 到着해 모스크바에 上陸했다. 그는 잉글랜드로 돌아간 後 세바스찬 카포트 , 休 윌로비 警 및 數名의 런던 商人들과 함께 모스크바 會社 를 設立했다. 이반 4世는 그들 商人을 엘리자베스 1歲 와 往復 書信을 交換하는 데 利用했다.

1530年代부터 1540年代에 걸쳐 國內가 混亂을 일으켰으나 러시아는 戰爭과 國家擴張을 進行했다. 離叛은 1552年 볼가江 中流의 카잔 韓國 攻擊해 이를 倂合 하고, 그 後 볼가江 카스피해 에가 만나는 地點에 있던 아스트라한 韓國 을 멸망시켰다. 이러한 나라, 地域을 支配下에 두게 되면서 러시아는 現在와 같은 多民族, 多宗敎의 國家로 變貌했다. 차르는 只今의 볼가 江 流域 全域에 支配를 미치고 中央아시아로의 발板을 얻었다.

北西部의 발트海 海域으로 擴張은 매우 곤란한 길이었다. 1558年 리보니아 로 攻擊해 들어간 離叛은 그 後 25年의 歲月을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 스웨덴 덴마크 와의 戰爭 에 虛費하게 되었다. 一時的인 優勢도 보람없이 離叛의 軍勢는 되밀려 러시아는 발트 海에서 霸權을 獲得하는 데 失敗했다.

러시아의 軍事的 關心이 리보니아에 集中하는 때를 利用해 크림 의 支配者 데보레트 기레이 는 12萬 名의 騎兵을 이끌고 여러 番 모스크바를 攻擊 했고, 1572年 某로디 戰鬪 에서 멈출 때까지 러시아에 對한 攻擊은 繼續되었다. 그러나 이어서 數十 年에 걸쳐 南部 國境地帶는 노가이 오르다 크림 韓國 의 掠奪을 받아 地域住民들이 連行되어 그들의 奴隸가 되었다. 臺 鹿砦 地帶 의 管理 및 經費에는 年間 數萬 名의 兵士의 配置를 必要로 해 그 負擔은 러시아를 消耗시켜 社會的, 經濟的 發展을 沮害했다.

誤프리치니크 編輯

 
17世紀 Krutitsy 의 宮殿.

1550年代 後半에 이르러 離叛은 自身의 助言者였던 政府 및 보야르에 對해 敵意를 갖게 되었다. 歷史家들은 그의 憤怒의 原因에 對해 이것이 政治的 對立, 個人的 憎惡, 精神的 不安定 中 어느 것에 依한 것인가를 決定하지 못했다. 1565年 차르는 國家를 그의 私的 領地 誤프리치니나 와 公的 國土 젬시치니나 의 2個로 分割한 다음, 誤프리치니나를 包含한 自身의 領土를 守護할 目的으로 誤프리치니크 라는 親衛隊를 創設하였다. 離叛은 誤프리치니크 를 利用해 自身에게 靜寂들로 判斷된다고 생각되는 보야르 , 商人, 더 나아가 平民들을 肅淸하거나 虐殺하는 等 러시아에서 恐怖에 뒤덮어진 10年의 期間이 始作되었고 노브고로드 大虐殺 (1570年)에서 頂點에 達했다.

誤프리치니나 에서의 政策과 誤프리치니크 의 活動으로 인해 離叛은 各 地域에서 指導的인 地位에 있던 보야르 家門이 갖고 있던 經濟的, 社會的 影響力을 破壞했으나, 그들은 러시아의 强國化를 維持하고, 가장 優秀한 國家의 管理, 運營能力을 갖춘 사람들이었다. 貿易은 衰退하고 農民들은 나날이 오르는 稅金과 暴力의 威脅을 避해 러시아에서 도망치려고 하였다. 農民들을 移動의 自由를 制限 하는 것을 마련해 그들을 붙잡아 두게 되면서 러시아의 農村社會는 法制化된 農奴制에 가깝게 되었다. 1572年 離叛은 마침내 誤프리치니나 體制를 抛棄하고 誤프리치니크 部隊 또한 解體한다.

通說에 依하면 吳프리치니나 體制는 戰爭의 人的, 物的 資源의 動員과 戰爭反對의 목소리를 억누르기 위한 것을 目的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런 理由로 離叛의 國外, 國內 政策은 러시아를 荒廢化시켜 動亂 時代( 러시아語 : Smutnoye vremya , 1598-1613)라고 부르는 社會紛爭과 內戰을 일으키게 만들고 말았다.

動亂 時代(1598年 ~ 1613年) 編輯

 
1600年頃 東쪽으로 擴張하기 前 러시아 차르國의 領域.
 
1595年 地圖에서 러시아 차르國이 차지하던 아시아 領土의 모습. Gerardus Mercator

이반 4歲의 後繼者가 된 이는 知的障礙가 있던 아들 표도르 였다. 事實上의 政治權力은 차르의 아내의 오빠였던 大貴族 보리스 고두노프 의 손으로 넘어갔다(보리스는 農奴가 1年에 한 番만 移動의 自由를 주어 섬기던 영주를 變更하는 琉璃의 날 을 廢止하였다). 표도르의 治世에서 아마 가장 重要한 事件은 1589年 모스크바 總大主敎 左의 設置였다. 總大主敎左의 創設은 러시아 正敎會 의 分離와 完全獨立을 目標로 하는 運動이 頂點에 達한 것을 標示하는 것이었다.

1598年 표도르 1歲 가 後繼者를 남기지 않고 逝去하자 러시아 차르國을 包含한 全 루스 地域을 다스렸던 王朝인 류리크 王朝 는 斷絶되었다. 보리스 고두노프 는 國家議會 젬스키 소보르 를 召集해 自身을 새로운 차르 로 選出시켰으나, 많은 보야르 派閥이 그의 차르 卽位에 對한 承認을 拒否했다. 또 大規模 收穫部族이 1601-1603年의 러시아 大飢饉 을 불러 일으켜, 러시아 社會에 不滿이 蓄積되는 途中에 1591年 죽은 것으로 알려진 이반 4歲 의 또 한 名의 아들이라는 우글리치 공 드미트리 란 이름을 가진 男子가 나타났다. 後에 假짜 드미트리 1歲 로써 알려지게 되는 이 僭稱者는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예수회 의 支援을 받아 러시아로 쳐들어와 進軍하면서 보야르 및 其他 勢力들의 支持를 얻게 되었다. 歷史家는 1605年 고두노프가 죽지 않았다면 이 危機를 넘기는 것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8] 結局 假짜 드미트리 1世는 모스크바에 入城해 고두노프의 아들 표도르 2歲 를 殺害하고 차르로써 卽位했다.

그 後 러시아 차르國은 動亂 時代 ( 러시아語 : Смутное Время )로 알려지게 되는 끊임없는 混沌의 時代에 들어서게 되었다. 차르에 依한 보야르에 對한 迫害, 都市民의 抑壓, 徐徐히 進行된 小作農들의 農奴로의 轉落이 있었고, 權力者를 차르 한 사람만으로 限定시켜 집중시키기 위한 國家的 努力은 많은 社會勢力에게 있어 決코 愉快한 것은 아니었다. 專制政治를 代身하는 體制를 만들어 내지 않는 것에 對해 不滿을 가진 러시아人 들은 次例로 나타난 참징者들의 아래에 結集되었다. 이 時期 政治的 活動의 最終目標는 이때 獨裁者에 對한 影響力을 獲得하여 獨裁者 그 自體를 代身하는 것이었다. 보야르는 自身들끼리 싸움을 繼續했고, 下層階級은 盲目的인 叛亂을 일으켜 外國軍이 首都 모스크바의 크렘린 을 占據했다. 이러한 狀況은 차르 獨裁主義 가 러시아의 秩序와 一體性을 回復하는 데 必要한 體制라는 것을 많은 사람들에게 믿게 만드는 바탕을 주게 되었다.

 
道路移替-세르기에바 라브라 에서 폴란드를 相對로 成功的인 防禦戰을 指揮하는 正敎會 修道僧들.(1609年 9月에서 1611年 1月까지).

大動亂은 차르의 자리를 둘러싸고 서로 對立하는 보야르 派閥들에 依한 陰謀 및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및 스웨덴을 비롯한 여러 周邊國의 介入, 이반 보로트니코프 가 이끄는 民衆 속의 過激 不滿分子 等에 依해 內戰 樣相을 띄게 되었다. 假짜 드미트리 1世와 그를 支持하는 폴란드軍 守備隊는 滅亡하고 보야르 바실리 슈이스키 가 1606年 차르가 되었다. 스스로의 地位를 維持하기 위해 슈이스키는 스웨덴과 同盟을 맺었고, 이것이 잉그리아 戰爭 을 일으키게 되었다. 繼續 나타나는 僭稱者 假짜 드미트리 2歲 亦是 폴란드人과 結託해 모스크바 에까지 到達해 투쉬노 時에 假짜 宮廷을 만들었다.

1609年 폴란드는 公式的으로 러시아에 介入 을 開始해 슈이스키를 사로잡고 크렘린을 占據했다. 一部 보야르가 폴란드와 和平條約을 맺고, 폴란드 王 지그문트 3歲 바사 의 아들 브와디스와프 4歲 를 차르로 推戴했다.

1611年 假짜 드미트리 3歲 가 스웨덴 占領地域에 나타났으나 얼마 안가 逮捕되어 處刑되었다. 폴란드 軍의 駐屯에 對한 不滿이 러시아人들 사이에 愛國心을 喚起시켰다. 商人 스토로가노프 가의 資金援助와 러시아 正敎會 의 祝福을 받은 義勇軍이 니즈니노브고로드 에서 組織되어 드미트리 抛쟈르스키 工作과 쿠지마 미닌이 이끌고, 크렘린에서 폴란드軍을 몰아내었다. 1613年 젬스키 소보르 는 보야르 미하일 1歲 를 차르로 選出하여 300年에 걸친 로마노프 王朝 에 依한 統治가 始作되었다.

로마노프 王朝 (1613年 ~ 1721年) 編輯

 
Andrey Ryabushkin . 보야르 두마 에 立會한 차르 미하일 .

새로운 王朝에 있어 가장 重要한 課題는 秩序의 回復이었다. 러시아 차르國에 있어 幸運인 것은 강대한 敵國 폴란드와 스웨덴이 서로 激烈하게 對立해 紛爭을 繼續하고 있어 러시아는 이것을 好機로 삼아 1617年 스웨덴과의 强化에 들어가는 데 成功했다. 1605年부터 이어진 폴란드-러시아 戰爭 (1605年-1618年) 은 1618年 데울리노 條約 에 依해 폴란드의 勝利로 終結되어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은 예전 1509年 리투아니아 大公國 이 喪失한 스몰렌스크 를 包含한 地域을 一時的으로 回復하는 데 成功했다.

로마노프 王家 의 初期 統治者들은 弱한 立場이었다. 미하일의 治世는 오랜 期間 1619年부터 모스크바 總大主敎의 자리에 있던 차르의 親父 피라레트 가 國政의 여러 가지를 專擔하고 있었다. 미하일의 아들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在位 1645-1676)도 처음엔 보리스 모로조프 에게 統治를 一任했다. 모로조프는 地位를 利用해 民衆을 壓制를 했기 때문에 1648年 모스크바에서 소금 暴動 이 일어나 更迭되었다.

러시아 차르國은 스몰렌스크를 폴란드로부터 奪還하는 데 失敗 해 1634年 다시 强化를 맺게 되었다. 폴란드 王 브와디스와프 4歲 바사 는 前任者 지그문트 3歲 바사 의 아들로써 예전 러시아의 보야르 들에 依해 차르 에 推戴 받았으나, 이 戰爭 때 講和條約에 依해 차르의 地位에 對한 要求權을 抛棄했다.

1649年 法典 編輯

獨裁政治는 動亂 時代 에도 存在하여 이어져 弱體 또는 不正한 차르 의 아래에서 中央政府에 依한 官僚制는 剛해졌다. 政府의 官吏들은 次例로 變한 차르 의 正統性 및 보야르 派閥에 依한 차르 地位를 둘러싼 陰謀 等에 相關없이 政府에 對한 忠誠에 힘썼다. 17世紀 들어 官僚制는 飛躍的으로 擴大되었다. 政府機關의 各 部署( 프리카스 의 數字는 1613年 22個였으나 17世紀 中葉에는 80個가 되었다. 各 部署는 자주 管轄地域이 겹쳐졌기 때문에 境界를 定하기 위한 다툼이 일어났으나, 中央政府는 地方總督을 통해 貿易, 製造 나아가 러시아 正敎會 等 國內의 모든 社會勢力을 支配해 規制하게 되었다.

1649年에 導入된 包括的인 會議法典은 러시아 社會에 對한 國家支配의 範圍를 法으로 表示했다. 이 法典이 나올 때까지의 러시아의 貴族 階級이었던 보야르 들은 國家에 隸屬된 從僕이라는 새로운 타입의 엘리트로 編入되고, 드보랸스트보라고 불리는 새로운 貴族階級을 形成했다. 國歌는 新舊 貴族에게 奉仕를 要求했으나, 그들의 任務는 基本的으로 遊牧民에게 襲擊 當하는 西部, 南部의 國境地帶를 守備하는 것이었다. 그 代身 貴族들은 領地와 小作農을 下賜 받았다. 16世紀 러시아 國家는 徐徐히 農民이 영주를 選擇해 移動하는 權利를 制限하게 되었다. 1649年 法典은 農民들을 土地에 묶여있게 만들었다.

러시아는 農奴制 를 完全히 正當化시켜 領主로부터 逃亡친 農民은 國家로부터의 도망친 者가 되었다. 領主는 農民에 對해 絶對的인 權力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國有地에 살던 小作農들은 農奴라고 보지는 않았다. 그들은 共同體 單位로 組織되어 納稅 및 其他 義務를 共同으로 負擔하였다. 다만 國有地 小作人은 農奴와 마찬가지로 耕作地에 묶여있었다. 都市의 中産階級이었던 商人과 職印은 稅金을 賦課하고 移動을 禁止 當했다. 모든 住民은 軍事의 徵兵과 特別課稅에 合쳐 區分되었다. 많은 러시아人 이 特定 居住口에 묶여 있었고, 1649年 法典은 移動의 自由를 빼앗아 사람들을 國家의 監視下에 두었다.

 
이반 高르柳시킨 소로코푸도프(Ivan Goryushkin-Sorokopudov). 옛 마을의 場날(1910).

이 法典 아래에서는 國家에 依한 課稅가 增加하거나 法的 規制가 强化되었기 때문에 大動亂 以後라고 말할 수 있을 程度로 社會的 不滿이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1650年代부터 1660年代에 걸쳐 逃亡친 農民의 數字는 激增했다. 그들의 가장 좋은 避難地 돈강 流域은 돈 코사크 가 支配하는 地域이었다. 이 땅은 1670年부터 1671年에 걸쳐 大規模 叛亂이 일어났다. 돈강 코사크 中 1名인 스텐카 라진 이 이 地域에서 일어난 富裕한 코사크 들을 이끌고 叛亂을 일으켰고, 自由와 土地를 要求하는 農奴들을 놓아주었다. 豫想外로 일으킨 叛亂은 볼가江 流域을 席卷하고 首都 모스크바 를 威脅했다. 차르 의 軍隊가 叛亂을 鎭壓하는 時點에서 이미 叛亂者는 볼가江 流域의 主要都市의 大部分을 占領했고, 그들 叛亂者의 武勇談은 러시아의 사람들을 매료시켜 後代까지 이야기로 傳해졌다. 라진은 公開場所에서 拷問 當하고 處刑되었다.

우크라이나 獲得 編輯

러시아는 17世紀를 거치면서 領域廓大를 持續했다. 南西部에서 그때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의 支配下에 있던 우크라이나 를 獲得했다. 자포리자 카자크 코사크 들은 群團을 組織해 폴란드 , 크림 카國 , 러시아 가 國境을 接한 邊境 地域에 密集해 있었다. 비록 登錄 카자크 群團으로 폴란드 軍에 從軍했음에도 不拘하고, 자포리자 카자크 들은 强力하게 獨立을 熱望했고, 폴란드에 對한 叛亂을 反復했다. 1648年 흐멜니츠키 蜂起 가 일어나자 폴란드 支配下에서 社會的, 宗敎的 壓迫에 괴로워하던 우크라이나의 農民들도 여기에 加擔했기 때문에 叛亂은 以前에는 없는 大規模가 되었다. 또 우크라이나人 들은 크림 칸國 과 同盟海 폴란드 支配에서 벗어나는 것을 目標로 했다. 그 後 크림 칸國 이 폴란드로 돌아서자 獨立을 지키기 어려운 우크라이나人 들은 他國에게 軍事援助를 要請할 必要에 直面했다.

1654年 우크라이나 指導者 步흐團 흐멜니츠키 는 러시아의 차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에게 우크라이나 地方에 對한 保護를 要請했다. 알렉세이의 承認은 1654年 페레野슬라프 條約 에서 醱酵되어 폴란드와 러시아의 長期間에 걸친 戰爭 을 일으키게 했다. 休戰條約이었던 1667年 안드루소보 條約 은 우크라이나를 드네프르 江 流域에 따라 2個로 分割해 西部地域을 폴란드令으로 되돌려주고, 東部地域을 카자크 酋長 의 自治領으로써 分離하여 차르 의 宗主權下에 歸屬시켰다.

 
芽胞리나리 바스네초프 . 러시아의 옛 마을 .

라스콜 編輯

러시아에 있어 男 西部地域의 擴大, 特히 東部 우크라이나의 倂合은 豫期치 않은 結果였다. 大部分 우크라이나人 正敎會 信者였으나, 그들은 로마 가톨릭 및 폴란드의 反宗敎改革과 깊이 關聯되어 그러한 經驗이 그들에게 西歐의 知的 交流를 갖게 만들었다. 키예프의 아카데미 를 통해 러시아는 폴란드 및 其他 中央 유럽의 나라들, 많은 正敎會 世界와 交流를 갖게 되었다. 우크라이나가 갖는 交流의 幅은 여러 가지 分野에서 러시아의 文化的 創造力을 刺戟하는 한便 러시아의 傳統的인 宗敎實踐 및 文化를 해쳤다. 러시아 正敎會 는 自身들의 儀禮書 및 宗敎實踐이 다르게 變化하게 된 原因을 콘스탄티노폴리스 와의 分離라고 보고 있었다.

모스크바 總大主敎 니콘 러시아 正敎會 의 禮式을 元來의 그리스 式과 一致 시키기로 決斷을 내렸다. 그런데 니콘의 러시아 正敎會 儀禮 改正案은 多數의 러시아人 들에게서 猛烈한 抗議를 받았다. 니콘에 依한 러시아 正敎會 의 禮式改正은 結局 1667年의 라스콜(敎會分裂)을 낳았다. 改革을 받아들여 受容하지 않는 사람은 구신도, 곧 고의식派 라고 불렸고, 그들은 니콘派의 敎會와 國家로부터 異端으로 斷罪되어 苛酷한 迫害를 받았다. 이 敎派의 有力한 指導者 中 1名이었던 우두머리 아바쿰 神父는 火刑에 處해졌다. 敎會分裂은 決定的인 것이 되어 많은 商人 및 小作農이 舊信仰信奉者派 敎會에 參與했다.

차르 의 宮程度 우크라이나 및 西歐의 影響에서 避하지 못했다. 1631年 우크라이나는 首席大主敎 페트로 某힐라 가 創設한 學術性이 높은 아카데미 를 통해 새로운 知識 및 思想의 傳達裝置의 役割을 해냈다. 이 새로운 知識의 流入은 바로크 스타일의 建築樣式 , 文學, 聖像 製作 等으로 結實을 맺었다. 기타 러시아와 西歐와의 直接 파이프가 된 것은 國際貿易의 進展과 그에 따라 增加한 外國人의 到來에 있었다. 차르 宮廷은 西歐의 進步한 技術에 興味를 表示하고 特히 軍事部分에서의 革新에 熱心이었다. 17世紀가 끝나갈 때까지 우크라이나, 폴란드, 그리고 西歐의 文化 浸透는(적어도 上流階級에 있어서는)러시아의 傳統文化로의 固執을 잃고, 拔本的인 西歐化 改革으로의 準備를 갖추게 되었다.

시베리아 開拓 編輯

 
바실리 수리코프 .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開拓 .

東쪽으로의 領域廓大는 比較的 抵抗을 받지 않는 채로 進行되었다. 1581年 商人 出身의 스트로가노프 家門은 毛皮 貿易에 關心을 갖고, 코사크 의 樹齡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 를 雇用해 서 시베리아 로 開拓을 開始했다. 예르마크는 시비르 韓國 을 倂合하여 러시아의 貴族들과 軍人으로 편입시키고 오비江 이르티시江 西쪽을 러시아領으로 宣言했다.

萬가제야 를 始作하는 據點으로 商人, 貿易業者, 探險家들이 오비 江, 예니세이 江 , 레나 江 에서 太平洋 沿岸 東쪽으로 進出했다. 1648年 코사크 세묜 디지뇨프 는 아메리카와 아시아 사이가 通行可能하다는 것을 알아 내었다. 17世紀 中盤 무렵 러시아人 아무르江 淸나라 의 邊境地帶에 到達했다.

淸나라 政府와의 紛爭 을 거치면서 러시아는 1689年 中國 과 和平을 맺었다. 네르친스크 條約 에 依해 러시아는 아무르 江 流域에 對한 要求를 撤回하였으나, 바이칼호 의 東쪽에 接하는 地域 및 北京 과의 貿易 루트를 獲得했다.

初期의 帝國 編輯

 
이리야 레핀 . 2名의 차르: 표트르 1歲 이반 5歲 .

18世紀 들어서면서 러시아는 靜寂으로 多少 孤立된 傳統的인 國家에서 보다 動的으로 部分的으로 西歐化된 러시아 帝國 으로 變貌했다. 이 變化의 原因을 표트르 大帝 의 善見城, 에네르기, 決斷力을 要求하는 것은 決코 要點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歷史家들은 표트르 個人이 러시아를 변화시켰다는 主張에는 反對했으나, 그가 2世紀에 걸쳐 持續한 러시아 帝國 의 基盤을 構築했다는 點에서는 一致된 見解를 보였다.

표트르의 治世에 러시아는 처음으로 유럽의 大國 中 하나로써 그 存在感을 誇示했다. 이 時代 러시아는 內外에서 帝國이라 불리는 內部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19世紀에는 霸權群으로써 政治面에서 中心的인 役割을 맡았음에도 農奴制 를 維持한 것은 經濟的 發展의 커다란 妨害가 되었다. 18世紀 後半 西유럽 産業革命 에 依한 經濟的 成長을 繼續할 때 한便에서 러시아는 帝國을 支撐하는 巨大한 權力이 束縛되어 徐徐히 衰退를 보이기 始作했다.

原本 文書 編輯

  • Grigory Kotoshikhin 's Russia during the reign of Alexey Mikhailovich (1665) is the indispensable source for those studying administration of the Russian tsardom
  • Domostroy is a 16th-century set of rules regulating everyday behaviour in the Russian boyar families.

參照 編輯

  1. " В некотором царстве, в некотором государстве..." Sigurd Shmidt, Doctor of history sciences, academician of Russian Academy of Sciences” . 2007年 10月 2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3月 22日에 確認함 .  
  2. Хорошкевич, А. Л. Символы рус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ости. -М. :Изд-во МГУ,1993. -96 с. :ил., фот. ISBN 5-211-02521-0
  3. https://books.google.co.kr/books?id=sWjzlWgadB0C&pg=PA340&redir_esc=y#v=onepage&q&f=false
  4. Зимин А. А., Хорошкевич А. Л. Россия времени Ивана Грозного. Москва, Наука, 1982
  5. Перевезенцев, С. В. Смысл русской истории, Вече, 2004
  6. Vernadsky V. Muscovite Tsardom . in 2 v. Moscow: Agraph, 2001 (Russian)
  7. “Russian Empire (<1917)” . Flags of the World . 2009年 12月 15日에 確認함 .  
  8. Ruslan Skrynnikov . Boris Godunov . Moscow: Nauka, 1983. Reprinted 2003. ISBN  5-17-0108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