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락토페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락토페린

트랜스페린의 一種인 蛋白質

락토페린 ( 英語 : lactoferrin , LF ) 또는 樂土트랜스페린 ( 英語 : lactotransferrin , LTF )은 트랜스페린 패밀리에 屬하는 蛋白質로 다양한 機能을 遂行한다. 락토페린은 構想 糖蛋白質 로 分子量은 大略 80 kDa 이다. , 唾液 , 눈물 , 코 分泌物 等의 다양한 分泌液에 廣範圍하게 存在하며 好中球 特異顆粒 에도 들어 있다. [5] 一部 샘꽈리細胞 에 依해서도 分泌된다. 락토페린을 얻는 方法으로는 젖에서 錠劑를 거치거나 再組合 을 利用하는 方法이 있다. 젖 中에는 사람의 初有 (分娩 後 얼마 되지 않은 時期의 母乳)에서 濃度가 가장 높으며(7g/L), 그 뒤를 사람의 母乳(成熟乳, 1g/L)와 牛乳(150mg/L)가 따른다. [6]

LTF
使用 可能한 構造
PDB 動原體 檢索: PDBe RCSB
識別子
다른 이름 LTF , GIG12, HEL110, HLF2, LF, lactotransferrin
外部 ID OMIM : 150210 MGI : 96837 HomoloGene : 1754 GeneCards : LTF
RNA 發現 패턴
Bgee
人間 (動原體)
最上位 發現
最上位 發現
追加 參照 發現 데이터
BioGPS
n/a
위키데이터
人間 보기/편집 쥐 보기/편집

락토페린은 免疫界 의 一部로서 項微生物 活性을 가지며 主로 粘液 에서 先天免疫界 의 構成員으로서의 役割을 遂行한다. [6] 特히 新生兒가 殺菌 能力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7] [8] 락토페린은 DNA , RNA , 多糖類 , 헤파린 等의 物質과 相互作用하며 이러한 리간드 들과 複合體를 이뤄 生物學的 機能을 遂行하기도 한다. 락토페린 補充을 통해 呼吸器 感染 의 危險을 줄일 수 있다는 事實이 無作爲 大棗 試驗들의 메타 分析을 통해 알려져 있다. [9] 그러나 營養 補充制에 쓰이는 락토페린의 生産은 醫藥品과 같은 嚴格한 規制 節次의 對象이 아니기 때문에 온라인上에서 販賣되는 락토페린 補充制의 品質은 問題가 될 餘地가 있다. [10]

歷史

編輯

소의 젖에 철을 包含하고 있는 붉은 蛋白質이 나타난다는 것은 1939年부터 報告되었으나 [11] 充分한 純度로 抽出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제대로 特徵을 記述할 수는 없었다. 이 蛋白質에 對한 첫 詳細한 硏究는 1960年 前後로 이루어졌다. 이 硏究에서는 分子量, 等電點 , 狂吸收 스펙트럼에 關한 情報와 蛋白質 分子當 鐵 原子 두 個가 存在한다는 事實을 밝혀냈다. [12] [13] 牛乳에서 抽出해냈으며 철을 包含하고 있고, 構造的으로나 化學的으로 血淸 트랜스페린 과 비슷했기 때문에 1961年 락토페린으로 命名되었다. 좀 더 이른 時期의 資料들에서는 樂土트랜스페린이라는 이름도 使用되었다. 以後의 硏究들에서는 락토페린이 牛乳에만 存在하는 것이 아니라는 事實을 알아냈다. 락토페린의 港微生物 作用 亦是 1961年에 알려졌으며, 이 作用이 철에 結合하는 락토페린의 能力과 關聯이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14]

救助

編輯

락토페린 遺傳子

編輯

11種의 哺乳類에서 最小 60個의 락토페린 遺傳子 序列이 알려져 있다. [15] 大部分의 種에서 終結 코돈 은 UAA이며 생쥐 ( Mus musculus )에서는 UGA이다. 終結 코돈 削除, 揷入, 突然變異는 暗號化 部分에 影響을 미치며 暗號化 部分의 길이는 2,055 ~ 2,190 뉴클레오타이드 雙 사이에서 달라진다. 種 間의 遺傳子 多形性은 種 內의 락토페린 多形性보다 훨씬 더 다양하며, 멧돼지의 遺傳子 多形性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序列에도 差異가 있는데, 아미노산 變異 部位의 個數가 사람 에서는 8個, 생쥐에서는 6個, 鹽素 ( Capra hircus )에서는 6個, ( Bos taurus )에서는 10個, 멧돼지 ( Sus scrofa )에서는 20個로 드러났다. 이런 變異는 서로 다른 種類의 락토페린 肝의 機能的 差異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15]

사람의 락토페린 遺傳子 LTF 3番 染色體 의 3q21-q23 遺傳子자리 에 位置하고 있다. 황소 의 境遇 暗號化 序列은 17個의 엑손 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길이는 大略 뉴클레오타이드 34,500雙이다. 황소의 락토페린 遺傳子를 構成하는 엑손은 트랜스페린 패밀리에 屬하는 다른 遺傳子들의 엑손과 그 크기가 비슷하지만, 인트론 의 크기는 다르다. 엑손 크기와 各各의 엑손이 蛋白質 分子의 도메인에 分布하는 樣相이 비슷하다는 事實은 락토페린 遺傳子의 進化的 發達이 複製를 통해 일어났다는 것을 示唆한다. [16] 락토페린 暗號化 遺傳子의 多形性에 對한 硏究는 乳腺炎 에 抵抗性을 가지는 家畜 品種을 選別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17]

分子 構造

編輯

락토페린은 을 細胞 內로 이동시키며 血中 철 濃度와 바깥으로의 分泌量을 調節하는 트랜스페린 蛋白質의 一種이다. 사람과 다른 哺乳類의 젖, [13] 血漿 , 好中球 에 들어 있으며 哺乳類의 거의 모든 外分泌額( 唾液 , 쓸개汁 , 눈물 , 利子 液 等)에 包含되어 있는 主要 蛋白質이다. [18] 사람의 젖에 들어 있는 락토페린의 濃度는 初有에서는 7g/L, 成熟乳에서는 1g/L까지 다르게 나타난다. [6]

X線 回折 을 통해 락토페린이 700個 程度의 아미노산을 包含하는 하나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에 基本을 두고, 上洞人 두 個의 構想 도메인 人 N-로브(lobe), C-로브를 形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로브는 아미노산 殘基 1-333에, C-로브는 345-692에 對應하며 두 도메인은 짧은 알파 나선 으로 連結되어 있다. [19] [20] 두 로브는 60?°C와 90?°C의 서로 다른 溫度에서 두 次例 變成된다. [21] N-로브와 C-로브의 相同性은 33-41%로 서로 높은 水準의 相同性을 가지고 있다. [22] 各各의 로브는 두 個의 서브도메인(N1, N2와 S1, S2)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서브도메인 하나當 하나의 철 結合 部位와 하나의 글리코失火 部位를 가지고 있다. 蛋白質의 글리코失火 程度는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락토페린의 分子量度 76 ~ 80kDa 사이에서 달라진다. 락토페린의 安定性은 글리코失火 程度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23]

 
사람 芽胞락토페린

락토페린의 等電點 은 8.7로 鹽基性 蛋白質에 屬한다. 鐵이 豐富한 홀路락토페린과 철을 包含하지 않고 있는 芽胞락토페린의 두 가지 形態로 存在한다. 두 形態의 三次 構造가 다른데, 芽胞락토페린은 N-로브의 열린 形態와 C-로브의 닫힌 形態가 特徵的이다. 反面 홀로락토페린은 두 로브가 모두 닫힌 形態이다. [24]

各 락토페린 分子는 , 亞鉛 , 九里 , 其他 다른 金屬 이온 두 個와 可逆的으로 結合할 수 있다. [25] 結合할 수 있는 다른 金屬 이온에는 Al 3+ , Ga 3+ , Mn 3+ , Co 3+ 等이 있으나 이들에 對한 親和性은 철에 비해 훨씬 낮다. [26] 鐵 이온이 結合하는 데에는 두 個의 타이老身 殘基, 한 個의 히스티딘 殘基, 한 個의 아스파르트산 殘氣가 必要하며 重炭酸鹽 이온의 結合에는 아르지닌 殘氣가 必要하다. [21]

락토페린은 鐵과 結合하여 불그스름한 複合體를 形成한다. 철에 對한 락토페린의 親和性은 트랜스페린보다 300倍 더 크다. [27] 弱酸性 溶液에서는 親和性이 增加한다. 따라서 炎症 이 생기면 젖酸 과 다른 山들이 蓄積되어 組織의 pH 가 減少하면서 트랜스페린에서 락토페린으로 鐵 이온의 移動을 促進한다. [28] 낮은 pH에서 철에 對한 親和性이 維持되는 이러한 락토페린의 特性은 細菌의 代謝 活動으로 인해 pH가 4.5 밑으로 떨어진 酸性 環境에서도 락토페린이 細菌 增殖을 抑制하는 데에 重要하게 作用한다. [26] 母乳 의 락토페린에서 飽和 철 濃度는 10-30%로 推定된다. (100%는 모든 락토페린 分子가 2個의 鐵 原子와 結合한 狀態를 뜻한다.) 락토페린은 鐵, 亞鉛, 구리의 移動뿐만 아니라 이들의 攝取를 調節하는 데에도 關與한다. [29] 亞鉛과 구리 이온이 적게 存在할 때는 락토페린의 철 結合 能力에 影響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能力을 높여 주기도 한다. [30]

重合體 形態

編輯

血漿과 分泌液에서의 락토페린은 單量體 에서 사량體 까지 다양한 形態의 重合體로 存在한다. 生體內 ( in vivo )와 生體外 ( in vitro )에서 모두 重合되는 傾向이 있으며 特히 높은 濃度에서 더 그런 傾向이 크다. [28] 몇몇 硏究에서는 生理學的 條件에서 락토페린의 주된 形態는 사량體 形態로, 蛋白質 濃度가 10 -5 M일 때 單量體:사량體 비가 1:4 程度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31] [32] [33]

락토페린의 올리고머 狀態는 그 濃度에 依해 決定된다는 主張이 있다. 또한 락토페린의 重合 은 Ca 2+ 이온의 存在에 크게 影響을 받는다. 特히 Ca 2+ 가 存在할 때 락토페린 濃度가 10 ?10 ~ 10 ?11 M일 때는 單量體가 주된 形態가 된다. 反面 락토페린의 濃度가 10 ?9 ~ 10 ?10 M을 넘어가면 單量體가 사량體로 바뀌게 된다. [31] [34] 血液 內 락토페린의 역가 는 이 過渡期(單量體에서 사량體로 變할 때)의 濃度에 對應하며, 따라서 血液 內의 락토페린은 單量體와 사량體 兩쪽 모두의 形態로 나타나게 된다. [35]

락토페린 펩타이드

編輯
 
사람 락토페리신

락토페린 펩타이드 (lactoferrin peptide)는 락토페린이 包含하고 있는 여러 港微生物 펩타이드 로, 蛋白質分解酵素 에 依해 加水分解 되어 形成되며, 僞裝關係 나 微生物 感染 部位에서 主로 나타난다. 따라서 락토페린을 經口 投與했을 때 張 內腔에서 락토페린 펩타이드가 만들어진다. [36] 락토페린 펩타이드는 락토페린의 N-로브에서 祈願한다. [22] 港微生物 活性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양이온性과 疏水性이 共通的으로 드러난다. [37] 가장 많이 硏究된 락토페린 펩타이드는 락토페린1-11 (Lf1-11), 락토페리신 (Lfcin), 樂土페람핀(Lfampin)이다. [36] 이들은 모두 抗菌, 抗바이러스, 抗眞菌, 項寄生蟲, 抗癌 活性을 다양하게 나타낸다. [22]

Lf1-11은 락토페린 N-1의 아미노산 殘基 中 첫 11個의 殘氣들로 構成된 올리高펩타이드 이다. 親水性 疏水性 部分을 모두 가지고 있어 陽電荷를 띄고 있고, 여러 細菌의 細胞膜에 作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모든 種들에서 等電點이 11을 넘어 양이온性이 매우 높으며 疏水性 盞器인 발린 이나 트립토판 等이 保存되어 있다. [37] 사람 Lf1-11(hLF1-11)은 單核球 를 標的으로 多樣한 免疫調節 效果를 일으키는데, 骨髓細胞型過酸化酵素 (MPO)의 酵素 活性을 抑制한 뒤 單核球로 뚫고 들어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 MPO 抑制劑인 4-아미노벤조산 하이드라지드는 hLf1-11이 單核球의 炎症 反應과 單核球- 大食細胞 分化 過程에 미치는 影響을 模倣하여 비슷하게 作用한다. [38]

락토페리신은 陽電荷를 띄며 兩親罵聲 을 가지는 펩타이드로 港微生物, 抗癌 作用을 한다. 락토페린이 펩신 에 依해 消化되면 17-41番 아미노산 殘氣로 이루어진 락토페리신이 形成된다. 兩親罵聲을 띄는 것은 鹽基性 아미노산인 라이신 아르지닌 , 疏水性 盞器인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이 모두 豐富하기 때문이다. [22] 모든 種의 락토페리신은 分子 內에 二黃化 結合 다리를 包含하고 있다. 사람 락토페리신은 두 番째 二黃化 結合으로 인해 소 락토페리신보다 그 길이가 두 倍 程度 길다. [37]

락토페람핀은 락토페린 L1 서브도메인에 位置한 268-284番 아미노산 殘氣로 構成되며 立體 構造上에서 락토페리신과 가까이 位置하고 있다. [22] 양이온性, 兩親罵聲을 띈다는 點은 락토페리신과 同一하지만 사슬의 길이와 아미노산의 配列이 다르기 때문에 그 構造도 크게 다르다. [37]

生體 內 發現

編輯

락토페린이 처음 發現되는 것은 修正 以後 2-4歲抛棄로 以後에는 發生機 주머니倍 時期까지 繼續된다. 以後 着想 이 이루어진 時點부터 妊娠 中盤까지는 락토페린이 檢出되지 않고, 나중에 好中球 , 生殖系 消化系 를 이루는 上皮細胞 에서 락토페린이 發見된다. [39] 成人에서는 血漿 내 락토페린의 大部分이 好中球에서 由來한다. [40] 以外에도 子宮內額, 分泌物, 精液 , 唾液 , 쓸개汁 , 胰子液 , 작은창자 의 分泌物, 의 分泌物, 눈물 等 大部分의 粘膜 分泌物에서 락토페린이 發見된다. 콩팥 集合管 에서도 락토페린을 發現하여 分泌하고, 먼쪽세관에서 再吸收한다. 적은 量의 락토페린만이 小便 으로 排泄되며, 따라서 泌尿器의 防禦 體系에서도 重要할 것으로 생각된다. [26]

젖샘 으로 遂行한 硏究에 따르면, 락토페린은 젖샘에서 合成되지만 트랜스페린은 血淸 에서 由來한다. 그런데 트랜스페린은 젖샘 分泌細胞의 基底膜 , 特히 毛細血管 近處에도 높은 濃度로 存在하므로, 트랜스페린을 血液에서 젖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受容體 가 媒介하는 通過細胞外排出 棋戰이 作用할 것이라고 硏究에서는 主張한다. 受容體-트랜스페린 複合體는 小包 에 싸여서 細胞 안으로 들어간 後 細胞膜으로 移動하고, 通過細胞外排出을 통해 젖샘꽈리 의 內腔으로 放出된다. [41] 한便 락토페린은 通過細胞外排出을 통해 腦血管障壁 을 通過하여 로 移動할 수 있다. [42] 腦의 신경아膠細胞 에서 合成되거나 血液에서 循環하는 腫瘍壞死因子 알파 는 이 腦血管障壁을 通한 通過細胞外排出 過程을 增加시킨다. [43]

락토페린의 量은 種마다 다르다. 假令 사람의 젖에서 락토페린은 알파-落트알부민 에 이어 두 番째로 量이 많은 乳淸蛋白질 이지만 트랜스페린의 量은 0.05mg/ml 程度로 매우 적다. [41] [44] 그러나 토끼 에서는 락토페린 代身 트랜스페린이 젖샘에서 合成되며, 젖의 唯一한 철 結合 蛋白質이다. 反芻動物 과 같은 다른 一部 哺乳類 의 젖에는 락토페린과 트랜스페린이 모두 存在한다. [41]

락토페린 發現의 調節 亦是 種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같은 種에서도 組織이나 細胞마다 다른 方式을 使用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 成長因子 , 燐酸化酵素 經路 等 多樣한 信號傳達 經路가 關與한다. [45] 젖샘에서는 프로락틴 , 生殖組織에서는 에스트로겐 에 依해 調節이 이루어진다. 子宮內膜 에서의 合成 調節에는 에스트로겐과 表皮成長因子 가 關與한다. [26]

機能

編輯

락토페린은 先天免疫界 에 屬한다. 鐵 이온에 結合하여 鐵을 移動시키는 主된 生物學的 機能과 別個로, 락토페린은 抗菌, 抗바이러스, 項寄生蟲, 抗癌, 抗알레르기, 觸媒 로서의 活性을 가지고 있다. [46] 이 機能들 中 多數는 락토페린과 마찬가지로 트랜스페린 패밀리에 屬하며 鳥類 의 락토페린 同族體人 誤報트랜스페린 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는 락토페린의 여러 가지 機能들이 鎭火 가 일어날 때 保存되었다는 것을 示唆한다. [22]

 
락토페린(왼쪽의 더 큰 蛋白質)과 大腸菌 ( E. coli )의 시데로포어 (오른쪽의 더 작은 蛋白質)를 나타낸 그림. 시데로포어는 크기가 작은 킬레이트제 의 一種으로 Fe 3+ 이온과 强하게 結合한 後 特異的인 受容體를 통해 細菌 細胞 內로 Fe 3+ 이온을 運搬한다. [47] 락토페린은 免疫界에 屬하는 蛋白質이며 細菌 感染을 防禦하는데, 細菌 蛋白質보다 철에 더 잘 結合하기 때문에 細菌이 宿主의 철을 利用하지 못하게 만든다. [48]

港微生物 活性

編輯

락토페린의 주된 役割은 遊離 狀態의 철을 枯渴시켜 細菌 成長에 必須的인 氣質을 除去하는 것이다. [49] 락토페린의 港微生物 作用은 微生物 細胞 表面에 特異的인 受容體 가 存在한다는 事實로도 說明된다. 락토페린은 細菌 細胞壁의 脂質多糖類 에 結合하고, 락토페린의 酸化된 철 部分이 過酸化物 을 形成하여 細菌을 酸化시킨다. 散花歌 일어나면 細菌의 막 透過性에 影響을 미쳐 細胞가 破壞(龍해)되게 만든다. [49]

락토페린이 食作用 의 促進과 같은 鐵과 關聯되지 않은 다른 項微生物 棋戰을 일으키기는 하지만 [50] 위에 쓰여 있는 細菌의 外膜에 作用하는 方式이 가장 主로 일어나고 많이 硏究되어 있다. [51] 甚至於 막 透過性에 支障을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락토페린이 細胞 內部로 뚫고 들어가기도 한다. 細胞壁에 락토페린이 結合하는 方式은 特異的인 펩타이드 락토페리신 과 關聯되어 있다. 락토페리신은 락토페린의 N-로브에 位置하고 있으며 다른 蛋白質인 트립신 을 利用해 切斷하여 生體外에서 락토페리신을 生産할 수 있다. [52] [53] 락토페린의 港微生物 作用 棋戰에 對해서, 락토페리신은 陽性子 ATP加水分解酵素 를 表迹으로 하여 細胞膜의 陽性子 移動을 妨害하고, 이를 통해 生體外에서 細菌에 致命的인 效果를 낸다고 報告된 바 있다. [54]

한便 에서 락토페린은 位螺旋菌 ( H. pylori )이 附着되는 것을 防止하여 消化系 疾患을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준다. 소의 락토페린은 사람의 락토페린보다 위螺旋菌에 對해 더 活性이 크다. [55]

抗바이러스 活性

編輯

充分한 强度를 가진 락토페린은 DNA와 RNA 基盤의 廣範圍한 사람이나 動物 바이러스에 作用한다. [56] 作用하는 바이러스에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1과 2, [57] [58] [59] 巨大細胞바이러스 , [60] HIV , [58] [61] C型 肝炎 바이러스 , [62] [63] 한타바이러스 , 로타바이러스 , 폴리오바이러스 1型, [64] 呼吸器細胞融合바이러스 , 마우스 白血病 바이러스 , [53] 摩耶로 바이러스 等이 있다. [65] COVID-19 에 對한 活性이 있을 것으로 推測되지만 立證되지는 못했다. [66] [67] [68] [69]

락토페린의 抗바이러스 活性 棋戰 中 가장 많이 硏究된 것은 標的 細胞로부터 바이러스 粒子가 떨어지도록 만드는 方式이다. 많은 바이러스는 細胞膜의 地質蛋白質 에 結合하여 細胞 內로 뚫고 들어가는 傾向이 있다. [63] 락토페린은 같은 地質蛋白質에 結合하여 바이러스 粒子가 붙지 못하도록 만든다. 철이 없는 狀態의 芽胞락토페린이 홀路락토페린보다 이 機能을 더 잘 遂行한다. 또한 락토페린의 港微生物 活性을 만드는 락토페리신은 抗바이러스 活性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56]

細胞膜과의 相互作用에 더해 락토페린은 肝炎 바이러스 等의 바이러스 粒子에 直接 結合하기도 한다. [63] 이 棋戰은 로타바이러스에 對한 락토베린의 抗바이러스 活性에 依해서도 確認되었다. [53]

또한 락토페린은 바이러스가 細胞 안으로 뚫고 들어온 뒤의 바이러스 複製를 抑制한다. [53] [61] 이러한 間接的인 抗바이러스 效果는 락토페린이 自然殺害細胞 , 顆粒球 , 大食細胞 ( 重症急性呼吸器症候群 等의 바이러스 感染 初期에 重要한 役割을 遂行하는 細胞들)에 影響을 미쳐 發生한다. [70]

抗眞菌 活性

編輯

락토페린과 락토페리신은 白鮮 (링웜)과 같은 여러 皮膚 疾患의 原因이 되는 模唱白癬菌 ( Trichophyton mentagrophytes )의 生體外 成長을 抑制한다. [71] 또한 사람의 口腔 性器 에서 感染을 일으키는 機會感染 病原體인 칸디다 알비칸스 ( Candida albicans , 酵母 形態의 二倍體 眞菌 )에도 作用한다. [72] [73] 플壘코나卒 은 칸디다 알비칸스에 對해 오랜 期間 使用되어 왔는데, 이로 因해 플루코나졸에 耐性을 가진 菌株 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락토페린을 플壘코邏卒과 組合하여 使用하면 플壘코나卒 耐性 칸디다 알비칸스 菌株에 對해서 使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칸디다 글라브라타 ( C. glabrata ), 칸디다 크루歲이 ( C. krusei ), 칸디다 派臘實로시스 ( C. parapsilosis ), 칸디다 트로피칼리스 ( C. tropicalis ) 等의 다른 칸디다속 眞菌에 對해서도 使用할 수 있게 된다. [72] 抗眞菌 活性은 칸디다 培養 時 락토페린을 使用한 뒤 플壘코邏卒을 投與했을 때도 나타났으나, 反對의 順序로 使用했을 때는 效果가 나타나지 않았다. 락토페리신의 抗眞菌 活性은 락토페린보다 컸다. 特히 合成 펩타이드 1-11 락토페리신은 自然의 락토페리신보다 칸디다 알비칸스에 對한 效果가 훨씬 컸다. [72]

免疫界가 弱化되어 있고 아프타性潰瘍 을 앓고 있는 쥐에게 물과 함께 락토페린을 投與했을 때 입의 칸디다 알비칸스 菌株의 數와 혀의 損傷 程度가 減少했다. [74] 動物에게 락토페린을 經口 投與 했을 때도 僞裝關係 近處의 組織에서 病原性 生物들의 數가 減少했다. 락토페린, 라이소자임 , 이트라코邏卒 을 包含한 混合物로 다른 抗眞菌劑 에는 耐性을 가진 HIV 陽性 患者들에서 칸디다 알비칸스를 完全히 撲滅시킬 수도 있다. [75] 이렇게 다른 藥물들이 效率的으로 作用하지 못할 때 項眞菌 作用을 보이는 것이 락토페린의 特徵이며, 特히 HIV에 感染된 患者들에게 價値가 크다. [76] 抗菌, 抗바이러스 作用과 對照的으로 락토페린의 抗眞菌 作用 棋戰에 對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락토페린은 칸디다 알비칸스의 細胞膜 에 結合하여 細胞自滅사 와 類似한 過程을 誘導하는 것으로 보인다. [73] [77]

抗癌 活性

編輯

소 락토페린(bovine lactoferrin, bLF)의 抗癌 效果는 쥐에서 遂行한 , , 잘록창자 , 發癌 實驗을 통해 立證되었다. 抗癌 效果의 棋戰은 아마 사이토크롬 P450 1A2( CYP1A2 )와 같은 phase I의 酵素를 抑制하는 것으로 推定된다. [78] 또한 햄스터 를 利用한 다른 實驗에서 bLF는 口腔癌 의 發病率을 50%까지 낮춘다는 結果가 나왔다. [79] 近來에 들어서는 bLF가 요구르트 , , 調製粉乳 , 化粧品 等의 成分으로 使用되고 있다. [79]

酵素 活性

編輯

락토페린은 RNA를 加水分解 시키며 피리미딘 特異的 分泌型 리보뉴클레이스 를 抑制한다. 特히 젖의 RNase는 RNA 遺傳體를 破壞하여 쥐에서 乳房癌 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레트로바이러스 逆轉寫 를 妨害한다. [80] 母乳의 RNase 濃度가 다른 人口 集團에 비해 훨씬 낮은 서인도 파르시人 女性의 乳房癌 比率은 平均보다 3倍假量 높게 나타난다. [81] 따라서 젖의 리보뉴클레이스, 特히 락토페린은 發病機轉 에 重要한 役割을 遂行하고 있을 可能性이 있다.

락토페린 受容體

編輯

락토페린 受容體 는 락토페린의 細胞內移入 에 重要한 役割을 하며, 락토페린을 通한 鐵 이온의 吸收를 促進한다. 나이가 들수록 샘창자 에서는 락토페린 受容體의 遺傳子 發現 이 增加하고, 빈창자 에서는 減少한다고 알려져 있다. [82] 이러한 特異的인 락토페린 受容體는 活性化된 사람의 T細胞 , 血小板 , 巨大核細胞 , 도파민性 神經細胞, 中腦 微細血管 等에서 發現된다. [42] 락토페린 受容體는 락토페린을 內在化하며 細胞 內部에서 락토페린은 30~40% 分解되고, 남은 락토페린은 再活用된다. [42]

該當過程 에 關與하는 酵素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因山 脫水素酵素 (GAPDH)는 락토페린 受容體로도 기능한다는 事實이 밝혀져 있다. [83] 低密度 地質蛋白質 受容體 關聯 蛋白質 (LRP) 亦是 락토페린에 對한 높은 親和性을 보이며, 이로 因해 락토페린을 除去하는 役割을 한다. [42]

뼈에서의 機能

編輯

리보뉴클레이스가 豐富한 락토페린은 어떻게 락토페린이 뼈에 影響을 미치는지 調査하기 위해 使用되어 왔다. 락토페린은 뼈의 交替에 肯定的인 效果를 준다고 알려져 있는데, 뼈의 吸收를 줄이고 뼈의 形成을 늘리는 것을 돕는다. 뼈 吸收 表紙者( 디옥시피리디놀린 , N-末端 텔로펩타이드 ) 濃度 減少와 뼈 形成 表紙者( 오스테오칼신 , 알칼리성 因山加水分解酵素 )의 濃度 增加를 통해 이 事實이 밝혀졌다. [84] 또한 破骨細胞 形成이 減少했는데, 이는 前炎症性 反應은 줄고 抗炎症 反應은 增加하며 [85] 뼈 吸收가 減少한다는 것을 뜻한다. 卵巢 를 摘出한 쥐에서 락토페린을 經口 投與했을 때, 뼈의 質量이 保存되고 骨密度 와 뼈의 强度가 改善되는 效果가 나타났다. [86]

核酸과의 相互作用

編輯

락토페린의 重要한 特徵 中 하나는 核酸에 結合하는 能力이 있다는 것이다. 젖에서 抽出된 蛋白質 分劃은 3.3% RNA를 包含하고 있다. [31] 그러나 蛋白質은 單一 가닥 DNA보다 二重 가닥 DNA에 더 잘 結合한다. 락토페린이 DNA와 結合하는 能力은 親和性 크로마토그래피 를 통해 락토페린을 分離하고 精製하는 데에 利用된다. 이때 固定된 狀態의 DNA가 들어 있는 吸收劑 ( 아가로오스 等)를 包含하고 있는 컬럼을 固定된 狀態의 單一 가닥 DNA와 함께 쓴다. [87]

臨床的 重要性

編輯

診斷的 價値

編輯

눈물의 락토페린 濃度가 쇼그렌 症候群 과 같은 眼球가 乾燥해지는 疾患에서 減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8] 쇼그렌 症候群이나 다른 形態의 眼球乾燥症의 診斷을 改善하기 위해 눈물의 락토페린 濃度를 測定할 수 있는, 微細流體 技術을 活用한 迅速하고 携帶性이 좋은 現場 診療 檢査法이 開發되어 오고 있다. [89]

락토페린과 칼프로텍틴 은 代辯에서 安定한 狀態로 存在하며 적은 量의 大便 標本만 가지고도 ELISA 같은 非侵襲적 檢査를 통해 測定할 수 있다. 두 表紙者 모두 僞裝關係 粘膜에 炎症이 있는 境遇 올라간다. [90] 特히 代辯 락토페린(fecal lactoferrin, FLA)은 腸炎으로 因해 好中球에서 發現되는 代理 表紙者(surrogate marker)로, 炎症性 腸疾患 이 있는 患者들에서 올라가며 腹痛 泄瀉 가 있는 境遇에서 慢性 炎症性 腸疾患 患者를 選別, 診斷하는 데에 높은 敏感度와 特異度 를 보인다. [91] [92] 또한 炎症性 腸疾患과 過敏性 腸 症候群 을 區別하는 데에도 有用하다. [93]

囊胞性 纖維症

編輯

사람의 肺와 唾液은 다양한 港微生物 物質들을 包含하고 있는데, 이 中 하나가 하이포티오시아네이트 와 락토페린을 生産하는 樂土퍼옥시데이스 시스템이다. 囊胞性 纖維症 患者에서는 하이포티오시아네이트가 存在하지 않는다. [94] 先天免疫系의 一部인 락토페린은 細菌의 生物膜 形成을 막는다. [95] [96] 殺菌 活性 消失과, 락토페린 活性 減少로 인한 生物膜 形成의 增加가 囊胞性 纖維症 患者에게서 發見된다. [97] 락토페린은 囊胞性 纖維症에서의 抗生劑 感受性을 바꿀 수 있다. [98] 이러한 發見은 락토페린이 사람의 防禦 體系, 特히 肺에서 重要한 役割을 한다는 事實을 證明한다. [99] 락토페린과 하이포티오시아네이트는 유럽 醫藥品靑 (EMEA) [100] 美國 食品醫藥局 (FDA)에서 稀貴醫藥品 資格을 인정받았다. [101]

壞死性 腸炎

編輯

壞死性 腸炎 未熟兒 , 特히 出生 時 體重 1500g 未滿인 初低體重兒에게 흔하면서도 致命的인 合倂症이다. [102] 프로바이오틱 追加 與否에 關係없이, 警句로 락토페린을 補充했을 때 副作用 없이 敗血症 과 壞死性 腸炎(2期 또는 3期)의 後期 發病을 줄일 수 있다는 낮은 水準의 根據들이 있다. [103]

齒周 疾患

編輯

에 包含된 락토페린은 齒周 疾患을 일으키는 細菌인 齒周病菌 等의 病原性 微生物에 對한 抗菌 活性을 나타낸다. 소 락토페린을 攝取하면 치疇曩 안에 있는 齒周病菌의 數를 줄이고 齒周 疾患의 症狀을 改善할 수 있다. [104] 락토페린은 齒周病菌이 分泌하는 脂質多糖類 를 中和하고 腫瘍壞死因子 알파 (TNF-α)의 生産을 抑制하여 炎症 이나 齒周 組織의 破壞를 防止한다. [105] 또한 前炎症性 사이토카인 生産을 감소시키고 齒周病菌의 微生物膜 生成을 막아 浮腫 , 炎症 , 齒周낭의 깊이, 齒齦炎 指數(gingival index), 齒面細菌膜 指數(plaque index)를 모두 감소시킨다. [47]

技術

編輯

分離와 精製

編輯

락토페린은 港微生物 活性이나 免疫 反應 調節과 같은 여러 機能을 하지만, 牛乳의 락토페린 含量은 比較的 적어 락토페린을 生産하는 데에 費用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牛乳의 락토페린은 人體에게 異種(異種)의 蛋白質이므로 抗原 으로서의 反應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生物學的 活性이 있는 많은 量의 락토페린을 어떻게 얻을지에 對한 硏究가 恒常 注目을 받아 왔다. [106]

양이온 交換 크로마토그래피 , 幕을 통해 락토페린을 吸着하여 分離하는 方法, 磁氣場 을 利用해 自省 을 가지는 나노粒子 를 操作하는 方法 等이 락토페린을 分離, 精製하는 데에 使用된다. [106]

나노技術

編輯

락토페린은 나노技術에 潛在的으로 다양하게 適用할 수 있는 螢光 金 퀀텀 클러스터의 合成에 使用되어 왔다. [107] 이렇게 락토페린이 使用된 理由는 그 構成의 特徵(시스테인 殘基 34個, 티로신 殘基 22個) 때문이다. 一例로 락토페린을 利用하여 合成한 機能性 金 퀀텀 클러스터를 利用하여 ppm 水準 濃度로 存在하는 구리 이온(Cu 2+ )을 選擇的으로 感知할 수 있다. [108]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012223 - 앙상블 , May 2017
  2. GRCm38: Ensembl release 89: ENSMUSG00000032496 - 앙상블 , May 2017
  3. “Human PubMed Referenc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Mouse PubMed Referenc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Masson, P. L.; Heremans, J. F.; Schonne, E. (1969年 9月 1日). “Lactoferrin, an iron-binding protein in neutrophilic leukocytes” .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130 (3): 643?658. doi : 10.1084/jem.130.3.643 . ISSN  0022-1007 . PMC  2138704 . PMID  4979954 .  
  6. Sanchez L, Calvo M, Brock JH (May 1992). “Biological role of lactoferrin” .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67 (5): 657?61. doi : 10.1136/adc.67.5.657 . PMC  1793702 . PMID  1599309 .  
  7. Levin RE, Kalidas S, Gopinadhan P, Pometto A (2006). 《Food biotechnology》 . Boca Raton, FL: CRC/Taylor & Francis. 1028쪽. ISBN  978-0-8247-5329-0 .  
  8. Pursel VG (1998). 〈Modification of Production Traits〉 . Clark AJ. 《Animal Breeding: Technology for the 21st Century (Modern Genetics)》. Boca Raton: CRC. 191쪽. ISBN  978-90-5702-292-0 .  
  9. Ali AS, Hasan SS, Kow CS, Merchant HA (October 2021). “Lactoferrin reduces the risk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linical Nutrition ESPEN》 45 : 26?32. doi : 10.1016/j.clnesp.2021.08.019 . PMID  34620326 . S2CID  238475090 .  
  10. “Lactoferrin supplements could aid in the recovery of COVID19 & oth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 《EurekAlert!》 (英語) . 2022年 2月 18日에 確認함 . However, Dr Merchant argues that lots of low cost lactoferrin supplements being sold online are not of desired quality because with it being a biomolecule that is classed as a nutritional supplement, the production of lactoferrin isn’t legally enforced to follow the same strict regulatory process as for medicines.  
  11. M. Sorensen and S. P. L. Sorensen, Compf. rend. trav. lab. Carlsberg (1939) 23, 55, cited by Groves (1960)
  12. Groves ML (1960). “The Isolation of a Red Protein from Milk”.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82 (13): 3345. doi : 10.1021/ja01498a029 .  
  13. Johansson B, Virtanen AI, Tweit RC, Dodson RM (1960). “Isolation of an iron-containing red protein from human milk” (PDF) . 《Acta Chem. Scand.》 14 (2): 510?512. doi : 10.3891/acta.chem.scand.14-0510 .  
  14. Naidu AS (2000). 《Lactoferrin: natural, multifunctional, antimicrobial》 . Boca Raton: CRC Press. 1?2쪽. ISBN  978-0-8493-0909-0 .  
  15. Kang JF, Li XL, Zhou RY, Li LH, Feng FJ, Guo XL (June 2008). “Bioinformatics analysis of lactoferrin gene for several species” . 《Biochemical Genetics》 46 (5?6): 312?22. doi : 10.1007/s10528-008-9147-9 . PMID  18228129 . S2CID  952135 .  
  16. Seyfert HM, Tuckoricz A, Interthal H, Koczan D, Hobom G (June 1994). “Structure of the bovine lactoferrin-encoding gene and its promoter”. 《Gene》 143 (2): 265?9. doi : 10.1016/0378-1119(94)90108-2 . PMID  8206385 .  
  17. O'Halloran F, Bahar B, Buckley F, O'Sullivan O, Sweeney T, Giblin L (January 2009). “Characteris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dentified in the bovine lactoferrin gene sequences across a range of dairy cow breeds”. 《Biochimie》 91 (1): 68?75. doi : 10.1016/j.biochi.2008.05.011 . PMID  18554515 .  
  18. Birgens HS (April 1985). “Lactoferrin in plasma measured by an ELISA technique: evidence that plasma lactoferrin is an indicator of neutrophil turnover and bone marrow activity in acute leukaemia”. 《Scandinavian Journal of Haematology》 34 (4): 326?31. doi : 10.1111/j.1600-0609.1985.tb00757.x . PMID  3858982 .  
  19. Baker HM, Anderson BF, Kidd RD, Shewry SC, Baker EN (2000). 〈Lactoferrin three-dimensional structure: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function〉. Shimazaki K. 《Lactoferrin: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ctoferrin: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held in Sapporo, Japan, 18?22 May 1999》 . Amsterdam: Elsevier. ISBN  978-0-444-50317-6 .  
  20. Baker EN, Baker HM (November 2005). “Molecular structure, binding properties and dynamics of lactoferrin”.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62 (22): 2531?9. doi : 10.1007/s00018-005-5368-9 . PMID  16261257 . S2CID  218464085 .  
  21. Elzoghby, Ahmed O.; Abdelmoneem, Mona A.; Hassanin, Islam A.; Abd Elwakil, Mahmoud M.; Elnaggar, Manar A.; Mokhtar, Sarah; Fang, Jia-You; Elkhodairy, Kadria A. (2020年 12月). “Lactoferrin, a multi-functional glycoprotein: Active therapeutic, drug nanocarrier & targeting ligand” . 《Biomaterials》 263 : 120355. doi : 10.1016/j.biomaterials.2020.120355 . ISSN  0142-9612 . PMC  7480805 . PMID  32932142 .  
  22. Giansanti, Francesco; Panella, Gloria; Leboffe, Loris; Antonini, Giovanni (2016年 9月 27日). “Lactoferrin from Milk: Nutraceut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 《Pharmaceuticals》 9 (4): 61. doi : 10.3390/ph9040061 . ISSN  1424-8247 . PMC  5198036 . PMID  27690059 .  
  23. Hakansson A, Zhivotovsky B, Orrenius S, Sabharwal H, Svanborg C (August 1995). “Apoptosis induced by a human milk protei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2 (17): 8064?8. Bibcode : 1995PNAS...92.8064H . doi : 10.1073/pnas.92.17.8064 . PMC  41287 . PMID  7644538 .  
  24. Jameson GB, Anderson BF, Norris GE, Thomas DH, Baker EN (November 1998). “Structure of human apolactoferrin at 2.0 A resolution. Refinement and analysis of ligand-induced conformational change”.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D》 54 (Pt 6 Pt 2): 1319?35. doi : 10.1107/S0907444998004417 . PMID  10089508 .  
  25. Levay PF, Viljoen M (1995). “Lactoferrin: a general review”. 《Haematologica》 80 (3): 252?67. PMID  7672721 .  
  26. L. Adlerova, A. Bartoskova, M. Faldyna (2008). “Lactoferrin: a review” (PDF) . 《Veterinarni Medicina》: 457-468.  
  27. Mazurier J, Spik G (May 1980). “Comparative study of the iron-binding properties of human transferrins. I. Complete and sequential iron saturation and desaturation of the lactotransferri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629 (2): 399?408. doi : 10.1016/0304-4165(80)90112-9 . PMID  6770907 .  
  28. Broc JH, De Sousa M (1989). 《Iron in immunity, cancer, and inflammation》. New York: Wiley. ISBN  978-0-471-92150-9 .  
  29. Shongwe MS, Smith CA, Ainscough EW, Baker HM, Brodie AM, Baker EN (May 1992). “Anion binding by human lactoferrin: results from crystallographic and physicochemical studies”. 《Biochemistry》 31 (18): 4451?8. doi : 10.1021/bi00133a010 . PMID  1581301 .  
  30. Sharma, Rajan; Chakraborty*, Dibyendu; Gupta, Parul (2015年 4月 12日). “Bovine lactoferrin and its functions in animals A Review” . 《Agricultural Reviews》 (英語) 36 (4): 321?326.  
  31. Bennett RM, Davis J (January 1982). “Lactoferrin interacts with deoxyribonucleic acid: a preferential reactivity with double-stranded DNA and dissociation of DNA-anti-DNA complexes”. 《The Journal of Laboratory and Clinical Medicine》 99 (1): 127?38. PMID  6274982 .  
  32. Bagby GC, Bennett RM (July 1982). “Feedback regulation of granulopoiesis: polymerization of lactoferrin abrogates its ability to inhibit CSA production”. 《Blood》 60 (1): 108?12. doi : 10.1182/blood.V60.1.108.108 . PMID  6979357 .  
  33. Mantel C, Miyazawa K, Broxmeyer HE (1994).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olymerization during iron saturation of lactoferrin, a myelopoietic regulatory molecule with suppressor activity〉. 《Lactoferrin Structure and Function》.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357 . 121?32쪽. doi : 10.1007/978-1-4615-2548-6_12 . ISBN  978-0-306-44734-1 . PMID  7762423 .  
  34. Furmanski P, Li ZP, Fortuna MB, Swamy CV, Das MR (August 1989). “Multiple molecular forms of human lactoferrin. Identification of a class of lactoferrins that possess ribonuclease activity and lack iron-binding capacity” .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170 (2): 415?29. doi : 10.1084/jem.170.2.415 . PMC  2189405 . PMID  2754391 .  
  35. Vilchez, Juan Antonio; Albaladejo-Oton, Maria Dolores (2017年 9月 29日). 《New Trends in Biomarkers and Diseases: An Overview》 (英語). Bentham Science Publishers. 102-103쪽. ISBN  978-1-68108-495-4 .  
  36. Sinha, Mau; Kaushik, Sanket; Kaur, Punit; Sharma, Sujata; Singh, Tej P. (2013). “Antimicrobial Lactoferrin Peptides: The Hidden Players in the Protective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Protein” . 《International Journal of Peptides》 2013 : 390230. doi : 10.1155/2013/390230 . ISSN  1687-9767 . PMC  3608178 . PMID  23554820 .  
  37. Bruni, Natascia; Capucchio, Maria Teresa; Biasibetti, Elena; Pessione, Enrica; Cirrincione, Simona; Giraudo, Leonardo; Corona, Antonio; Dosio, Franco (2016年 6月 11日).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ferrin-Related Peptides and Applications in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 《Molecules》 21 (6): 752. doi : 10.3390/molecules21060752 . ISSN  1420-3049 . PMC  6273662 . PMID  27294909 .  
  38. Does, Anne M. van der; Hensbergen, Paul J.; Bogaards, Sylvia J.; Cansoy, Medine; Deelder, Andre M.; Leeuwen, Hans C. van; Drijfhout, Jan W.; Dissel, Jaap T. van; Nibbering, Peter H. (2012年 5月 15日). “The Human Lactoferrin-Derived Peptide hLF1-11 Exerts Immunomodulatory Effects by Specific Inhibition of Myeloperoxidase Activity” . 《The Journal of Immunology》 (英語) 188 (10): 5012?5019. doi : 10.4049/jimmunol.1102777 . ISSN  0022-1767 . PMID  22523385 .  
  39. Ward, P. P.; Mendoza-Meneses, M.; Mulac-Jericevic, B.; Cunningham, G. A.; Saucedo-Cardenas, O.; Teng, C. T.; Conneely, O. M. (1999年 4月). “Restricted spatiotemporal expression of lactoferrin during murine embryonic development” . 《Endocrinology》 140 (4): 1852?1860. doi : 10.1210/endo.140.4.6671 . ISSN  0013-7227 . PMID  10098524 .  
  40. Iyer, S.; Lonnerdal, B. (1993年 4月). “Lactoferrin, lactoferrin receptors and iron metabolism” .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47 (4): 232?241. ISSN  0954-3007 . PMID  8491159 .  
  41. Sanchez, Lourdes; Lujan, Luis; Oria, Rosa; Castillo, Helena; Perez, Dolores; Ena, Jose Manuel; Calvo, Miguel (1992年 5月 1日). “Synthesis of Lactoferrin and Transport of Transferrin in the Lactating Mammary Gland of Sheep” . 《Journal of Dairy Science》 (英語) 75 (5): 1257?1262. doi : 10.3168/jds.S0022-0302(92)77875-8 . ISSN  0022-0302 .  
  42. Fillebeen, C.; Descamps, L.; Dehouck, M. P.; Fenart, L.; Benaissa, M.; Spik, G.; Cecchelli, R.; Pierce, A. (1999年 3月 12日). “Receptor-mediated transcytosis of lactoferrin through the blood-brain barrier” .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4 (11): 7011?7017. doi : 10.1074/jbc.274.11.7011 . ISSN  0021-9258 . PMID  10066755 .  
  43. Fillebeen, Carine; Dehouck, Benedicte; Benaissa, Monique; Dhennin-Duthille, Isabelle; Cecchelli, Romeo; Pierce, Annick (2002年 1月 18日). “Tumor Necrosis Factor-α Increases Lactoferrin Transcytosis Through the Blood-Brain Barrier” . 《Journal of Neurochemistry》 (英語) 73 (6): 2491?2500. doi : 10.1046/j.1471-4159.1999.0732491.x .  
  44. Donovan, Sharon M. (2019). “Human Milk Proteins: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Significance” . 《Human Milk: Composition, Clinical Benefits and Future Opportunities》 (英語) 90 : 93?101. doi : 10.1159/000490298 . PMID  30865978 .  
  45. Teng, Christina T. (2002). “Lactoferrin gene expression and regulation: an overview” .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 Biochimie Et Biologie Cellulaire》 80 (1): 7?16. doi : 10.1139/o01-215 . ISSN  0829-8211 . PMID  11908645 .  
  46. Adlerova L, Bartoskova A, Faldyna M (2008). “Lactoferrin: a review” (PDF) . 《Veterinarni Medicina》 53 (9): 457. doi : 10.17221/1978-VETMED . 2020年 1月 9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22年 7月 16日에 確認함 .  
  47. Berlutti, Francesca; Pilloni, Andrea; Pietropaoli, Miriam; Polimeni, Antonella; Valenti, Piera (2012年 1月 27日). “Lactoferrin and oral diseases: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in periodontitis” . 《Annali di Stomatologia》 2 (3-4): 10?18. ISSN  1824-0852 . PMC  3314318 . PMID  22545184 .  
  48. Levay PF, Viljoen M (January 1995). “Lactoferrin: a general review” (PDF) . 《Haematologica》 80 (3): 252?67. PMID  7672721 .  
  49. Farnaud S, Evans RW (November 2003). “Lactoferrin--a multifunctional protein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Molecular Immunology》 40 (7): 395?405. doi : 10.1016/S0161-5890(03)00152-4 . PMID  14568385 .  
  50. Xanthou M (1998). “Immune protection of human milk”. 《Biology of the Neonate》 74 (2): 121?33. doi : 10.1159/000014018 . PMID  9691154 . S2CID  46828227 .  
  51. Odell EW, Sarra R, Foxworthy M, Chapple DS, Evans RW (March 1996). “Antibacterial activity of peptides homologous to a loop region in human lactoferrin”. 《FEBS Letters》 382 (1?2): 175?8. doi : 10.1016/0014-5793(96)00168-8 . PMID  8612745 . S2CID  30937106 .  
  52. Kuwata H, Yip TT, Yip CL, Tomita M, Hutchens TW (April 1998). “Bactericidal domain of lactoferrin: detection, quantit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ferricin in serum by SELDI affinity mass spectrometry”.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45 (3): 764?73. doi : 10.1006/bbrc.1998.8466 . PMID  9588189 .  
  53. Sojar HT, Hamada N, Genco RJ (January 1998). “Structures involved in the intera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fimbriae and human lactoferrin”. 《FEBS Letters》 422 (2): 205?8. doi : 10.1016/S0014-5793(98)00002-7 . PMID  9490007 . S2CID  25875928 .  
  54. Andres MT, Fierro JF (October 2010). “Antimicrobial mechanism of action of transferrins: selective inhibition of H+-ATPase” .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54 (10): 4335?42. doi : 10.1128/AAC.01620-09 . PMC  2944611 . PMID  20625147 .  
  55. Jellin JM, Batz F, Hitchens K (2007). 《Natural Medicines Comprehensive Databas》 10板. Therapeutic Research Faculty. 915쪽. ISBN  978-0-9788205-3-4 .  
  56. van der Strate BW, Beljaars L, Molema G, Harmsen MC, Meijer DK (December 2001). “Antiviral activities of lactoferrin”. 《Antiviral Research》 52 (3): 225?239. CiteSeerX  10.1.1.104.745 . doi : 10.1016/S0166-3542(01)00195-4 . PMID  11675140 .  
  57. Fujihara T, Hayashi K (1995). “Lactoferrin inhibits herpes simplex virus type-1 (HSV-1) infection to mouse cornea”. 《Archives of Virology》 140 (8): 1469?1472. doi : 10.1007/BF01322673 . PMID  7661698 . S2CID  4396295 .  
  58. Giansanti F, Rossi P, Massucci MT, Botti D, Antonini G, Valenti P, Seganti L (2002). “Antiviral activity of ovotransferrin discloses an evolutionary strategy for the defensive activities of lactoferrin”.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 Biochimie et Biologie Cellulaire》 80 (1): 125?130. doi : 10.1139/o01-208 . PMID  11908636 .  
  59. Krzyzowska M, Chodkowski M, Janicka M, Dmowska D, Tomaszewska E, Ranoszek-Soliwoda K, 外. (January 2022). “Lactoferrin-Functionalized Noble Metal Nanoparticles as New Antivirals for HSV-2 Infection” . 《Microorganisms》 10 (1): 110. doi : 10.3390/microorganisms10010110 . PMC  8780146 . PMID  35056558 .  
  60. Harmsen MC, Swart PJ, de Bethune MP, Pauwels R, De Clercq E, The TH, Meijer DK (August 1995). “Antiviral effects of plasma and milk proteins: lactoferrin shows potent activity against bo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 human cytomegalovirus replication in vitro”.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72 (2): 380?388. doi : 10.1093/infdis/172.2.380 . PMID  7622881 .  
  61. Puddu P, Borghi P, Gessani S, Valenti P, Belardelli F, Seganti L (September 1998). “Antiviral effect of bovine lactoferrin saturated with metal ions on early steps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fec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30 (9): 1055?1062. doi : 10.1016/S1357-2725(98)00066-1 . PMID  9785469 .  
  62. Azzam HS, Goertz C, Fritts M, Jonas WB (February 2007). “Natural products and chronic hepatitis C virus”. 《Liver International》 27 (1): 17?25. doi : 10.1111/j.1478-3231.2006.01408.x . PMID  17241377 . S2CID  7732075 .  
  63. Nozaki A, Ikeda M, Naganuma A, Nakamura T, Inudoh M, Tanaka K, Kato N (March 2003). “Identification of a lactoferrin-derived peptide possessing binding activity to hepatitis C virus E2 envelope protei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8 (12): 10162?10173. doi : 10.1074/jbc.M207879200 . PMID  12522210 .  
  64. Arnold D, Di Biase AM, Marchetti M, Pietrantoni A, Valenti P, Seganti L, Superti F (February 2002). “Antiadenovirus activity of milk proteins: lactoferrin prevents viral infection”. 《Antiviral Research》 53 (2): 153?158. doi : 10.1016/S0166-3542(01)00197-8 . PMID  11750941 .  
  65. Carvalho CA, Sousa IP, Silva JL, Oliveira AC, Goncalves RB, Gomes AM (March 2014). “Inhibition of Mayaro virus infection by bovine lactoferrin”. 《Virology》. 452-453: 297?302. doi : 10.1016/j.virol.2014.01.022 . PMID  24606707 .  
  66. Chang R, Ng TB, Sun WZ (September 2020). “Lactoferrin as potential preventative and adjunct treatment for COVID-19” .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56 (3): 106118. doi : 10.1016/j.ijantimicag.2020.106118 . PMC  7390755 . PMID  32738305 .  
  67. Wang Y, Wang P, Wang H, Luo Y, Wan L, Jiang M, Chu Y (December 2020). “Lactoferrin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Review)” .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20 (6): 272. doi : 10.3892/etm.2020.9402 . PMC  7664603 . PMID  33199997 .  
  68. Mirabelli C, Wotring JW, Zhang CJ, McCarty SM, Fursmidt R, Pretto CD, 外. (September 2021). “Morphological cell profiling of SARS-CoV-2 infection identifies drug repurposing candidates for COVID-19”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8 (36). doi : 10.1073/pnas.2105815118 . PMC  8433531 . PMID  34413211 .  
  69. Rosa L, Tripepi G, Naldi E, Aimati M, Santangeli S, Venditto F, 外. (September 2021). “Ambulatory COVID-19 Patients Treated with Lactoferrin as a Supplementary Antiviral Agent: A Preliminary Study” .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10 (18): 4276. doi : 10.3390/jcm10184276 . PMC  8469309 . PMID  34575388 .  
  70. Reghunathan R, Jayapal M, Hsu LY, Chng HH, Tai D, Leung BP, Melendez AJ (January 2005). “Expression profile of immune response genes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 《BMC Immunology》 6 : 2. doi : 10.1186/1471-2172-6-2 . PMC  546205 . PMID  15655079 .  
  71. Wakabayashi H, Uchida K, Yamauchi K, Teraguchi S, Hayasawa H, Yamaguchi H (October 2000). “Lactoferrin given in food facilitates dermatophytosis cure in guinea pig models”. 《The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46 (4): 595?602. doi : 10.1093/jac/46.4.595 . PMID  11020258 .  
  72. Lupetti A, Paulusma-Annema A, Welling MM, Dogterom-Ballering H, Brouwer CP, Senesi S, Van Dissel JT, Nibbering PH (January 2003). “Synergistic activity of the N-terminal peptide of human lactoferrin and fluconazole against Candida species” .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7 (1): 262?7. doi : 10.1128/AAC.47.1.262-267.2003 . PMC  149030 . PMID  12499200 .  
  73. Viejo-Diaz M, Andres MT, Fierro JF (April 2004). “Modulation of in vitro fungicidal activity of human lactoferrin against Candida albicans by extracellular cation concentration and target cell metabolic activity” .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8 (4): 1242?8. doi : 10.1128/AAC.48.4.1242-1248.2004 . PMC  375254 . PMID  15047526 .  
  74. Takakura N, Wakabayashi H, Ishibashi H, Teraguchi S, Tamura Y, Yamaguchi H, Abe S (August 2003). “Oral lactoferrin treatment of experimental oral candidiasis in mice” .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7 (8): 2619?23. doi : 10.1128/AAC.47.8.2619-2623.2003 . PMC  166093 . PMID  12878528 .  
  75. Masci JR (October 2000). “Complete response of severe, refractory oral candidiasis to mouthwash containing lactoferrin and lysozyme”. 《AIDS》 14 (15): 2403?4. doi : 10.1097/00002030-200010200-00023 . PMID  11089630 .  
  76. Kuipers ME, de Vries HG, Eikelboom MC, Meijer DK, Swart PJ (November 1999). “Synergistic fungistatic effects of lactoferrin in combination with antifungal drugs against clinical Candida isolates” .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3 (11): 2635?41. doi : 10.1128/AAC.43.11.2635 . PMC  89536 . PMID  10543740 .  
  77. Andres MT, Viejo-Diaz M, Fierro JF (November 2008). “Human lactoferrin induces apoptosis-like cell death in Candida albicans: critical role of K+-channel-mediated K+ efflux” .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52 (11): 4081?8. doi : 10.1128/AAC.01597-07 . PMC  2573133 . PMID  18710913 .  
  78. Tsuda H, Sekine K, Fujita K, Ligo M (2002). “Cancer prevention by bovine lactoferrin and underlying mechanisms--a review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80 (1): 131?6. doi : 10.1139/o01-239 . PMID  11908637 .  
  79. Chandra Mohan KV, Kumaraguruparan R, Prathiba D, Nagini S (September 2006). “Modulation of xenobiotic-metabolizing enzymes and redox status during chemoprevention of hamster buccal carcinogenesis by bovine lactoferrin”. 《Nutrition》 22 (9): 940?6. doi : 10.1016/j.nut.2006.05.017 . PMID  16928475 .  
  80. McCormick JJ, Larson LJ, Rich MA (October 1974). “RNase inhibition of reverse transcriptase activity in human milk”. 《Nature》 251 (5477): 737?40. Bibcode : 1974Natur.251..737M . doi : 10.1038/251737a0 . PMID  4139659 . S2CID  4160337 .  
  81. Das MR, Padhy LC, Koshy R, Sirsat SM, Rich MA (August 1976). “Human milk samples from different ethnic groups contain RNase that inhibits, and plasma membrane that stimulates, reverse transcription”. 《Nature》 262 (5571): 802?5. Bibcode : 1976Natur.262..802D . doi : 10.1038/262802a0 . PMID  60710 . S2CID  4216981 .  
  82. Liao Y, Lopez V, Shafizadeh TB, Halsted CH, Lonnerdal B (November 2007). “Cloning of a pig homologue of the human lactoferrin receptor: expression and localization during intestinal maturation in piglets” .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Molecular & Integrative Physiology》 148 (3): 584?90. doi : 10.1016/j.cbpa.2007.08.001 . PMC  2265088 . PMID  17766154 .  
  83. Rawat P, Kumar S, Sheokand N, Raje CI, Raje M (June 2012). “The multifunctional glycolytic protein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is a novel macrophage lactoferrin receptor”.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90 (3): 329?38. doi : 10.1139/o11-058 . PMID  22292499 .  
  84. Bharadwaj S, Naidu AG, Betageri GV, Prasadarao NV, Naidu AS (September 2009). “Milk ribonuclease-enriched lactoferrin induces positive effects on bone turnover markers in postmenopausal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 (9): 1603?11. doi : 10.1007/s00198-009-0839-8 . PMID  19172341 . S2CID  10711802 .  
  85. Bharadwaj S, Naidu TA, Betageri GV, Prasadarao NV, Naidu AS (November 2010). “Inflammatory responses improve with milk ribonuclease-enriched lactoferrin supplement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Inflammation Research》 59 (11): 971?8. doi : 10.1007/s00011-010-0211-7 . PMID  20473630 . S2CID  3180066 .  
  86. Guo, Hui Yuan; Jiang, Lu; Ibrahim, Salam A.; Zhang, Lian; Zhang, Hao; Zhang, Ming; Ren, Fa Zheng (2009年 5月). “Orally administered lactoferrin preserves bone mass and microarchitecture in ovariectomized rats” . 《The Journal of Nutrition》 139 (5): 958?964. doi : 10.3945/jn.108.100586 . ISSN  1541-6100 . PMID  19321577 .  
  87. Rosenmund A, Kuyas C, Haeberli A (November 1986). “Oxidative radioiodination damage to human lactoferrin” . 《The Biochemical Journal》 240 (1): 239?45. doi : 10.1042/bj2400239 . PMC  1147399 . PMID  3827843 .  
  88. Ohashi Y, Ishida R, Kojima T, Goto E, Matsumoto Y, Watanabe K, Ishida N, Nakata K, Takeuchi T, Tsubota K (August 2003). “Abnormal protein profiles in tears with dry eye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136 (2): 291?9. doi : 10.1016/S0002-9394(03)00203-4 . PMID  12888052 .  
  89. Karns K, Herr AE (November 2011). “Human tear protein analysis enabled by an alkaline microfluidic homogeneous immunoassay”. 《Analytical Chemistry》 83 (21): 8115?22. doi : 10.1021/ac202061v . PMID  21910436 .  
  90. Lamb, C. A.; Mansfield, J. C. (2011年 1月 1日). “Measurement of faecal calprotectin and lactoferrin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 《Frontline Gastroenterology》 (英語) 2 (1): 13?18. doi : 10.1136/fg.2010.001362 . ISSN  2041-4137 . PMID  23904968 .  
  91. Kane, Sunanda V.; Sandborn, William J.; Rufo, Paul A.; Zholudev, Anna; Boone, James; Lyerly, David; Camilleri, Michael; Hanauer, Stephen B. (2003). “Fecal lactoferrin is a sensitive and specific marker in identifying intestinal inflammation” .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98 (6): 1309?1314. doi : 10.1111/j.1572-0241.2003.07458.x . ISSN  0002-9270 . PMID  12818275 .  
  92. Walker, Thomas R.; Land, Michelle L.; Kartashov, Alex; Saslowsky, Tracee M.; Lyerly, David M.; Boone, James H.; Rufo, Paul A. (2007年 4月). “Fecal Lactoferrin Is a Sensitive and Specific Marker of Disease Activity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美國 英語) 44 (4): 414?422. doi : 10.1097/MPG.0b013e3180308d8e . ISSN  0277-2116 .  
  93. Zhou, Xing-lu; Xu, Wen; Tang, Xiao-xiao; Luo, Lai-sheng; Tu, Jiang-feng; Zhang, Chen-jing; Xu, Xiang; Wu, Qin-dong; Pan, Wen-sheng (2014年 7月 7日). “Fecal lactoferrin in discrimin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from Irritable bowel syndrome: a diagnostic meta-analysis” . 《BMC Gastroenterology》 14 (1): 121. doi : 10.1186/1471-230X-14-121 . ISSN  1471-230X . PMC  4105129 . PMID  25002150 .  
  94. Moskwa P, Lorentzen D, Excoffon KJ, Zabner J, McCray PB, Nauseef WM, Dupuy C, Banfi B (January 2007). “A novel host defense system of airways is defective in cystic fibrosis” .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5 (2): 174?83. doi : 10.1164/rccm.200607-1029OC . PMC  2720149 . PMID  17082494 .  
  95. Singh PK, Schaefer AL, Parsek MR, Moninger TO, Welsh MJ, Greenberg EP (October 2000). “Quorum-sensing signals indicate that cystic fibrosis lungs are infected with bacterial biofilms”. 《Nature》 407 (6805): 762?4. Bibcode : 2000Natur.407..762S . doi : 10.1038/35037627 . PMID  11048725 . S2CID  4372096 .  
  96. Singh PK, Parsek MR, Greenberg EP, Welsh MJ (May 2002). “A component of innate immunity prevents bacterial biofilm development”. 《Nature》 417 (6888): 552?5. Bibcode : 2002Natur.417..552S . doi : 10.1038/417552a . PMID  12037568 . S2CID  4423528 .  
  97. Rogan MP, Taggart CC, Greene CM, Murphy PG, O'Neill SJ, McElvaney NG (October 2004). “Loss of microbicidal activity and increased formation of biofilm due to decreased lactoferrin activity in patients with cystic fibrosis”.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90 (7): 1245?53. doi : 10.1086/423821 . PMID  15346334 .  
  98. Andres MT, Viejo-Diaz M, Perez F, Fierro JF (April 2005). “Antibiotic tolerance induced by lactoferrin in clinical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s from cystic fibrosis patients” .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9 (4): 1613?6. doi : 10.1128/aac.49.4.1613-1616.2005 . PMC  1068597 . PMID  15793153 .  
  99. Rogan MP, Geraghty P, Greene CM, O'Neill SJ, Taggart CC, McElvaney NG (February 2006). “Antimicrobial proteins and polypeptides in pulmonary innate defence” . 《Respiratory Research》 7 (1): 29. doi : 10.1186/1465-9921-7-29 . PMC  1386663 . PMID  16503962 .  
  100. “Public summary of positive opinion for orphan designation of hypothiocyanite/lactoferrin for the treatment of cystic fibrosis” (PDF) . 《Pre-authorisation Evaluation of Medicines for Human Use》. European Medicines Agency. 2009年 9月 7日. 2010年 5月 30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1月 23日에 確認함 .  
  101. “Meveol: orphan drug status granted by the FDA for the treatment of cystic fibrosis” .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年 11月 5日. 2009年 12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1月 23日에 確認함 .  
  102. Manzoni, Paolo; Meyer, Michael; Stolfi, Ilaria; Rinaldi, Matteo; Cattani, Silvia; Pugni, Lorenza; Romeo, Mario Giovanni; Messner, Hubert; Decembrino, Lidia (2014年 3月 1日). “Bovine lactoferrin supplementation for prevention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very-low-birth-weight neonat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Early Human Development》 (英語) 90 : S60?S65. doi : 10.1016/S0378-3782(14)70020-9 . ISSN  0378-3782 .  
  103. Pammi M, Suresh G (March 2020). “Enteral lactoferrin supplementation for prevention of sepsis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preterm infants” .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 CD007137. doi : 10.1002/14651858.CD007137.pub6 . PMC  7106972 . PMID  32232984 .  
  104. 近藤一?; 小林哲夫?若林裕之?山?恒治?岩附慧二?吉江弘正 (2008). “?周炎患者におけるウシラクトフェリン?口投?の影響”. 《日本?科保存??誌》 (特定非?利活動法人日本?科保存??) 51 (3): 281?291. ISSN  0387-2343 . NAID  110007151243 .  
  105. 川添?希; 宮?睦美?山野?三?石角篤?田中?二?牧野武利?犬伏俊博,Emanuel Braga Rego?丹根一夫?高田隆 (2009). 〈大豆レシチンによるリポソ?ム化ラクトフェリン?口投?がリポポリサッカライド誘導?周組織破?に及ぼす抑制?果〉. 第3回ラクトフェリンフォ?ラム?行委員?編. 《ラクトフェリン2009 :ラクトフェリン?究の新たな展開と臨床へのメッセ?ジ》. 東京: 日本??館. 79-83쪽. ISBN  978-4-89044-685-8 .  
  106. Cui, Shixiu; Lv, Xueqin; Sun, Guoyun; Wu, Wenyang; Xu, Hong; Li, Yuelong; Liu, Yanfeng; Li, Jianghua; Du, Guocheng (2022年 3月). “Recent advances and prospects in purification and heterologous expression of lactoferrin” . 《Food Bioengineering》 (英語) 1 (1): 58?67. doi : 10.1002/fbe2.12003 . ISSN  2770-2081 .  
  107. Xavier PL, Chaudhari K, Verma PK, Pal SK, Pradeep T (December 2010). “Luminescent quantum clusters of gold in transferrin family protein, lactoferrin exhibiting FRET” (PDF) . 《Nanoscale》 2 (12): 2769?76. Bibcode : 2010Nanos...2.2769X . doi : 10.1039/C0NR00377H . PMID  20882247 .  
  108. Zhang, Guomei (2013年 6月 1日). “Functional gold nanoparticles for sensing applications” . 《Nanotechnology Reviews》 (英語) 2 (3): 269?288. doi : 10.1515/ntrev-2012-0088 . ISSN  2191-9097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