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라인홀드 니부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라인홀드 니부어

칼 폴 라인홀드 니부어 ( Karl Paul Reinhold Niebuhr , 1892年 6月 21日 ~ 1971年 6月 1日 ) 或은 니버는 改新敎 神學者 이며 基督敎 倫理 學者이다. 基督敎 信仰을 現實的인 現代 政治 社會 에 椄木시킨 基督敎 現實主義 로 有名하다. 現代 정의로운 戰爭( just war ) 思想에 크게 寄與하였다. 동생은 그리스도와 文化 라는 冊으로 有名한 리차드 니부어 이다.

라인홀드 니부어
Karl Paul Reinhold Niebuhr
作家 情報
出生 1892年 6月 21日
美國 미주리州 라이트(Wright)
死亡 1971年 6月 1日 ( 1971-06-01 ) (78歲)
美國 매사추세츠 스탁브릿지
(Stockbridge)
國籍 미국의 기 美國
職業 神學者
宗敎 改新敎
活動期間 1915年 ~ 1971年
장르 基督敎神學 著述
配偶者 우르술라 케셀 콤프턴(Ursula Kessel-Compton)

生涯

編輯

神學敎育

編輯

美國 미주리州 라이트 市 (Wright city)에서 獨逸 宣敎師인 구스타프 니부어(Gustav Niebuhr)牧師의 아들로 태어났다. 구스타프 牧師는 福音主義 改革敎會(Evangelical and Reformed Church)의 神學을 따르는 北美 福音主義 시노드(Evangelical Synod of North America)의 牧師(Pastor)였다. 그는 동생인 헬무트 리처드 니부어 (Helmut Richard Niebuhr)와 함께 아버지와 같은 길을 걷기로 決心하였다. 一理노이州 의 엘름허스트 大學(Elmhurst College) [1] 에 入學하여 1910年 에 卒業하였다. 後에 미주리州 세인트루이스 (St. Louis)에 있는 이든 神學校 (Eden Seminary)에서 工夫하였고, 다시 예일 大學校 (Yale University)에서 1914年 신학사 學位(Bachelor of Divinity Degree, 略稱 B.D.)를 받고 알파 시그마 파이回(Alpha Sigma Phi Fraternity)의 會員이 되었다. 改新敎 牧師 按手를 받은 [2] 것은 1915年 이다.

牧會

編輯

勞動運動 支持

編輯

獨逸 福音主義 宣敎 委員會(the German Evangelical Mission Board)는 그를 디트로이트 (Detroit)로 보냈다. 到着 當時 信徒의 數는 65名이었으나 1928年 그곳을 떠날 때에는 700名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增加는 當時 自動車 産業의 붐에 이끌린 새로운 人口의 流入에 힘입었다. 産業化가 勞動者들에게 끼친 非道德化에 괴로워하여 헨리 포드 를 批判하였고, 說敎를 통해 勞組를 組織하도록 돕거나 工場의 組立 라인이 招來하는 非人間的인 勞動條件과 잘못된 勤勞慣行에 關한 글을 썼다.

KKK와의 對決

編輯

KKK (Ku Klux Klan)李 1915年 에 復活하여 1920年代 에 中西部와 西部의 主要都市에서 威勢를 떨쳤다. 미시간州의 7萬 (KKK)會員 折半假量이 디트로이트에 살았는데, 1924年 에는 市長 選擧에서 그 會員이 當選될 뻔한 일도 있었다. 白人과 黑人의 緊張에 더하여, 東部 및 西南部 유럽으로부터 漸增하는 移住民들까지 끼어서, 都市 全體가 社會的인 激變에 휩싸였다. 이 組織은 새로이 流入되는 사람들에 對해 競爭力을 갖지 못한 白人 下層民들에게 特히 剛한 影響力을 行使하였다. 니부어는 KKK를 批判하였다. 그는 이를 "宗敎的인 自尊心을 가진 사람들이 발전시킨 否定的인 社會現象의 하나"라고 보았다. [3]

平和主義

編輯

1923年 유럽 을 訪問하여 知識人들과 神學者들을 만났다. 프랑스 의 占領下에 있던 獨逸 의 狀況에 失望하였고, 第1次 世界大戰 때 取했던 平和主義者 의 立場이 더욱 確固해졌다.

1928年 디트로이트를 떠나 뉴욕 에 있는 뉴욕 유니언 神學校 (Union Theological Seminary)의 敎授가 되었고 1960年 까지 生의 나머지 大部分을 그곳에서 보냈다. 이곳에서 많은 世代의 學生들에게 影響을 끼쳤다. 나치 의 國家暴力(유대人 迫害)에 對抗하여 告白敎會 (Confessing Church)를 세운 獨逸의 루터敎會 神學者 디트리히 본회퍼 (Dietrich Bonhoeffer)도 그 中 한 사람이다.

生涯 全般에 걸쳐 著述과 出版活動을 繼續하였으며, 1941年 부터 1966年 까지 雜誌 《基督敎와 危機》(Christianity and Crisis)의 編輯者로서 일했다.

家族

編輯

1931年 英國의 神學者 우르술라 케셀 콤프턴 (Ursula Kessel-Compton)과 結婚하였다. 膝下에 아들과 딸이 各各 1 名 있다.

業績

編輯

政治活動

編輯

1930年代 美國 社會黨 ( Socialist Party of America )의 戰鬪的인 分派의 리더였다. 美國 共産黨 (Communist Party of the USA, CPUSA)李 統一戰線 計劃을 採擇하도록 도왔다. 政治的으로 反對者였던 루이스 왈드만(Louis Waldman)에 따르면 甚至於 젊은이들 사이에서 軍事的인 訓鍊을 이끌기도 하였다.

第2次 世界大戰 이 勃發하자 그의 自由主義的 思想의 뿌리인 平和主義에 重大한 變化가 생겼다. 自由主義的인 同僚들로부터 距離를 두기 始作했고 戰爭을 擁護하게 되었다. 곧 和解의 同志會( Fellowship of Reconiliation ) [4] 를 離脫하였고 그들을 剛하게 批判하였다. 結局 基督敎 現實主義( Christian Realism )라고 불리는 運動을 일으켰다. 基督敎 現實主義는 同時代 基督敎人들의 理想主義보다 훨씬 强勁한 政治的態度를 取했다. 2次 世界大戰에서 美國의 積極的인 活動과 反共産主義 그리고 核武器 開發을 支持하였다.

哲學的 著述

編輯

1952年 에 《美國 歷史의 아이러니》에서 自身의 政治, 이데올로기, 道德, 宗敎的 鬪爭에 對해 썼다. 젊은 時節 몸담았던 自由主義 敵人 社會福音主義 (social gospel liberalism)을 批判하고 代案을 摸索하였다. 한동안 마르크스주의 와 基督敎를 融合하는 試圖를 하였지만 여러 가지 政治的인 經驗과 基督敎的 價値의 깊은 뿌리가 이데올로기 偏向的 姿勢를 버리도록 하였다. 自身의 固有한 政治的 智慧와 改革主義 神學의 어거스틴 思想을 結合시켰다. 1939年 에딘버러代學校( Edinburgh University )의 기포드 講演( Gifford Lectures )에 招聘되었는데 이때 自身의 思想의 精髓를 表現하였다. [5]

그의 政治, 思想的 活動은 世界史의 가장 힘든 時期에 이루어졌다. 두 番의 世界大戰과 大恐慌 等을 몸소 體驗했으며 人間의 不正의(injustice)와 그러한 不正義를 漸增시키는 시스템을 무너뜨려야할 必要性에 對해서 著述하였다. 유럽에서 파시즘 의 可恐할 威脅과 2次 世界大戰의 恐怖를 目睹하고 이에 對抗하기 위해서는 基督敎人이라도 힘으로 맞서야 한다고 보았다. 이로부터 얻은 敎訓을 擴張하여 民衆들에게 權力을 가져다줄 수 있는 民主主義를 만들고 他人에 對한 人間의 支配를 없앨 必要性을 力說하였다.

社會的 正義를 소리높여 외치는 熱烈한 民主社會主義 者(democratic socialist)였다. 한때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뉴딜 政策 (New Deal)李 實現不可能하다고 批判하였지만 前後에는 實用主義的인 姿勢를 取하여, 뉴딜 政策과 民主黨 의 '活力넘치는 中道'( Vital Center ) [6] 라는 槪念을 支持하였다. 福祉 資本主義( Welfare capitalism ) 登場에 큰 役割을 했다.

智慧를 바라는 祈禱

編輯
主여, 우리에게 恩惠를 내려주소서. 그리하여, 바꿀 수 없는 일을 받아들이는 冷靜함과, 바꿀 수 있는 일을 바꾸는 勇氣를, 그리고 이 두 가지를 分別하는 智慧를 許諾해주소서.

平穩을 비는 祈禱 〉(serenity prayer)의 著者이다. 今週協會(Alcoholics Anonymous, AA)에서는 이를 若干 바꿔서 使用하고 있다. 以前까지는 全혀 論難의 餘地가 없었으나 近來 祈禱文의 眞正한 著者에 對해서 多少間 論爭이 發生하였다. 니부어는 自身이 그 著者임을 分明히 밝힌 바 있다. [7]

咀嚼

編輯
  • Leaves from the Notebook of a Tamed Cynic (1930)
  • 道德的 人間과 非道德的 社會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1932)
  • 基督敎 倫理 解析學 (Interpretation of Christian Ethics, 1935)
  • 悲劇을 넘어서 (Beyond Tragedy, 1937)
  • 人間의 本性과 運命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 1941)
  • 빛의 子女와 어둠의 子女 (The Children of Light and the Children of Darkness, 1944)
  • Faith and History (1949)
  • 美國 歷史의 아이러니 (The Irony of American History , 1952)
  • Christian Realism and Political Problems (1953)
  • The Self and the Dramas of History (1955)
  • Love and Justice (1957)
  • Pious and Secular America (1958)
  • The Structure of Nations and Empires (1959)
  • The Essential Reinhold Niebuhr (1987)
  • Remembering Reinhold Niebuhr. Letters of Reinhold & Ursula M. Niebuhr (1991)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니부어를 기리는 銅像이 세워져 있다.
  2. 正式으로 牧師가 된
  3. Kenneth T. Jackson, The Ku Klux Klan in the City , 1915-1930.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reprint, Chicago: Elephant Paperback, 1992, pp.129,134-138, 142.
  4. 平和主義的인 神學者와 牧師들의 모임
  5. 이때의 講演內容을 冊으로 펴낸 것이 바로 《 人間의 本性과 運命 》이다.
  6. 美國 歷史가 아서 슐레진저( Arthur M. Schlesinger )가 니부어의 影響을 받고 創案하였음
  7. 平穩을 비는 祈禱의 原著者(The Origin of our Serenity Prayer)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