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드림 팝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드림 팝 ( Dream pop ) [6] 은 1980年代에 나타난 얼터너티브 록 [1] 네오사이키델리아 [3] 下位 장르이다. 멜로디만큼이나 소리의 質感과 雰圍氣에 沒頭한다는 特徵이 있다. [7] 關聯 장르인 슈게이징 과 겹치는 部分이 많으며, 두 用語를 同義語로 取扱하기도 한다.

드림 팝
장르 뿌리
文化 뿌리 1980年代 初盤, 英國
使用 樂器
派生 장르
퓨전 장르
關聯 項目

特徵

編輯

드림 팝은 듣는 사람이 經驗하는 音樂 속의 "沒入"과 關聯이 있다고 여겨진다. [8] "드림 팝"이라는 用語는 밴드 A.R. 케인 의 알렉스 亞율리가 本人들의 音樂을 描寫하는 데 처음 使用했다. [9] 以後 音樂評論家 사이먼 레이놀즈 가 英國에서 막 생겨나고 있던 슈게이징 장르를 描寫하는 用語로 이를 받아들였다. 1990年代에 "드림 팝"과 "슈게이징"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였고 다만 地域的인 差異가 있었다. 英國에서 "슈게이징"이라 불리는 音樂은 美國에서 普通 "드림 팝"으로 불렸다. [10]

〈The AllMusic Guide to Electronica〉(2003)에서는 드림 팝을 "멜로디만큼이나 소리의 質感에도 依存하는, 얼터너티브 록의 夢幻的인 下位 장르"라고 定義한다. [7] 숨소리 섞인 보컬, 豐富한 기타 이펙트 , 密度 높게 프로듀스된 소리 等이 흔한 特徵이다. [7] [3] 드림 팝은 强烈한 록 리프보다는 質感과 雰圍氣에 集中하는 傾向이 있다. [11] 歌詞는 內的 省察이나 실존적 人 內容을 담고 있는 境遇가 많다. [11] 사이먼 레이놀즈의 見解에 따르면 드림 팝은 "恍惚하고 超越的인 經驗을 讚揚하며, 種種 藥에 醉한 것 같거나 신비스러운 心象을 使用한다". [3] 레이첼 펠더에 따르면 드림 팝 音樂家들은 社會에 對한 事實的 描寫 를 拒否하고 模糊하거나 幻覺的인 經驗에 置重하는 境遇가 많다. [12]

歷史

編輯

作家 네이선 와이즈만-트라우스는 드림 팝에 必須的인 "소리의 純粹한 物質的 特質에 對한 接近"은 필 스펙터 브라이언 윌슨 等이 팝 音樂 에서 처음 開拓했다고 說明하였다. 慣習的인 노래 構造를 뛰어넘어 反復, 톤, 質感을 實驗했던 벨벳 언더그라운드 의 1960年代와 1970年代 音樂 또한 장르의 發展에서 重要한 里程標이다. [12] 音樂 저널리스트 존 버그스트럼은 필 스펙터가 프로듀스한 月 오브 사운드 와 流動的인 編曲이 特徵인 조지 해리슨 의 1970年 앨범 《 All Things Must Pass 》를 드림 팝 장르의 先驅者로 評價한다. [13]

레이놀즈는 드림 팝 밴드들을 가리켜 “朦朧한 네오사이키델릭 그룹들의 물결”이라 불렀고, 콕토 트윈스 와 같은 밴드들의 "이 世上의 것이 아닌 것 같은 사운드스케이프"의 影響을 指摘했다. [3] 롤링 스톤 》 筆陣人 코리 그로는 “現代 드림 팝”李 1980年代 初盤 콕토 트윈스와 同時代 밴드들의 作業에서 祈願했다고 하는 反面, [14] 팝매터스 》의 AJ 라미레즈는 고딕 록 에서 드림 팝으로 이어지는 變化의 系譜가 있다고 指摘한다. [2] 그로는 데이비드 린치 안젤로 바달라멘티 가 作曲하고 프로듀스한 줄리 크루즈 의 1989年 앨범 《 Floating into the Night 》가 “[드림 팝 장르에] 신스 의 光澤을 膳物한” 重要한 發展이었다고 본다. [14]

1990年代 初盤에 Seefeel 과 같이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의 影響을 받은 몇몇 드림 팝 밴드는 테크노 의 特徵을 吸收하여 샘플과 시퀀서로 만든 리듬 따위의 要素를 使用하기 始作했다. [15] 올뮤직 앰비언트 팝 에 對해 "本質的으로 슈게이즈 現象이 지나간 자리에서 始作된 드림 팝 장르의 擴張"으로서 電子音樂的 質感이 特徵이라고 하였다. [5]

2009年에 생겨난 用語인 “ 漆웨이브 ”로 불리는 音樂 大部分은 드림 팝으로 여길 수 있다. [6] 〈그랜틀랜드〉 筆陣人 데이비드 실링의 見解에 따르면, “漆웨이브”라는 用語가 大衆化된 後에 벌어진 音樂 저널리스트들과 블로거들의 討論 結果 “슈게이징”이나 “드림 팝”과 같은 區別은 結局 “恣意的이고 無意味하다”는 게 드러났다. [16]

아티스트 目錄

編輯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Anon (n.d.). “Dream Pop” . 《 AllMusic 》.  
  2. Ramirez, AJ (2009年 10月 31日). " Bela Lugosi's Dead": 30 Years of Goth, Gloom, and Post-Post-Punk” . 《PopMatters》 . 2017年 1月 11日에 確認함 .  
  3. Reynolds, Simon (1991年 12月 1日), “Pop View; 'Dream-Pop' Bands Define the Times in Britain” , 《 The New York Times 》 (The New York Times Company) , 2010年 3月 7日에 確認함  
  4. Weiss, Dan (2012年 7月 6日). “Slutwave, Tumblr Rap, Rape Gaze: Obscure Musical Genres Explained” . 《 LA Weekly 》.  
  5. “Ambient Pop” . 《 AllMusic 》.  
  6. Abebe, Nitsuh (2011年 7月 22日). “Chillin' in Plain Sight” . 《 Pitchfork 》.  
  7. Bogdanov, Vladimir (2001). The AllMusic Guide to Electronica , Backbeat UK, ISBN  978-0-87930-628-1 , p. ix.
  8. Goddard, Michael et al (2013) Resonances: Noise and Contemporary Music , Bloomsbury Academic, ISBN  978-1-4411-5937-3
  9. King, Richard (2012). 《How Soon is Now?: The Madmen and Mavericks who made Independent Music 1975-2005》 . Faber & Faber. 206쪽. ISBN  978-0-571-27832-9 .  
  10. Tyler, Kieron (2016年 1月 17日). “Reissue CDs Weekly: Still in a Dream - A Story of Shoegaze” . 《The Arts Desk》.  
  11. Bogdanov, Vladimir (2001). 《All Music Guide to Electronica: The Definitive Guide to Electronic Music》 4板. Backbeat Books. ix쪽. ISBN  978-0-87930-628-1 .  
  12. Wiseman-Trowse, Nathan (2008年 9月 30日). 《Performing Class in British Popular Music》 . Springer. 148?154쪽.  
  13. Bergstrom, John (2011年 1月 14日). “George Harrison: All Things Must Pass” . 《 PopMatters . 2012年 4月 1日에 確認함 .  
  14. Grow, Kory (2014年 7月 25日). “Dream Team: The Semi-Mysterious Story Behind the Music of 'Twin Peaks ' . 《 Rolling Stone 》. Wenner Media. 2018年 6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8月 6日에 確認함 .  
  15. Reynolds, Simon (1994). “Quique - Seefeel review”. 《[[스핀 (雜誌)|]]》.  
  16. Schilling, Dave (2015年 4月 8日). “That Was a Thing: The Brief History of the Totally Made-Up Chillwave Music Gen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