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돌리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돌리네 ( 獨逸語 : doline ), 溶蝕함지 (溶蝕陷地), 땅꺼짐 은 表面層의 崩壞로 인해 땅이 꺼지는 것이다. 一部는 카르스트 地形 炭酸鹽巖 의 化學的 溶解 [1] 또는 地下 浸潤 過程으로 發生한다. [2] 돌리네의 크기는 直徑과 깊이 모두 1 m에서 600 m 程度까지 다양하고, 그 形態도 흙으로 된 그릇 模樣에서 基盤巖의 골까지 多樣하다. 돌리네는 徐徐히 形成될 수도 있고 갑자기 나타날 수도 있으며, 全世界的으로 發見된다. [3]

돌리네는 카르스트 地形 에서 石灰巖의 溶蝕 作用으로 生成되는데, 돌리네에 내린 빗물은 싱크홀이라고 불리는 排水口를 통해 땅속에 스며든다. 돌리네의 地下에는 빗물을 貯藏할 수 있는 빈 空間이 存在하여 물이 잘 빠질 수 있다. 石灰巖은 溶蝕 作用을 통해 炭酸 칼슘 이 빠져나가고 石英 成分의 실트 粘土 , 모래 , 酸化鐵 , 알루미늄의 酸化物 等 물에 녹지 않는 成分들이 남아 붉은 色의 테라로사 를 形成한다. 돌리네 周邊에는 테라로사가 쌓여 싱크홀을 觀察할 수 없으나, 排水口 周邊이 젖어있어 싱크홀이 存在한다는 것을 推測할 수 있다. [4]

石灰巖 地帶에서 主成分인 탄산칼슘이 물에 녹으면서 깔때기 模樣으로 패인 웅덩이를 形成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窪地 안에서 耕作할 수 있는 土壤이 發達할 程度의 크기를 돌리네라고 한다. 돌리네의 底面에는 테라로사 라고 불리는 土壤이 發達된 곳이 많으며, 耕作地로 利用되고 있다. 또 돌리네와 돌리네가 連結되어 좁고 긴 窪地를 이루는 境遇를 우발레 라고 한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Lard, L., Paull, C., & Hobson, B. (1995). “Genesis of a submarine sinkhole without subaerial exposure”. Geology 23 (10): 949?951. Bibcode : 1995Geo....23..949L . doi : 10.1130/0091-7613(1995)023<0949:GOASSW>2.3.CO;2 .  
  2. “Caves and karst ? dolines and sinkholes” . British Geological Survey.  
  3. Kohl, Martin (2001). “Subsidence and sinkholes in East Tennessee. A field guide to holes in the ground” (PDF) . State of Tennessee. 2013年 10月 12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2月 18日에 確認함 .  
  4. 명남재 (2007). “물이 石灰巖地帶를 흐르면서 만드는 카르스트地形” . 《河川과 文化》 3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