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독성산성 戰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독성산성 戰鬪

壬辰倭亂의 一部

독성산성 戰鬪 (禿城山城戰鬪)는 京畿道 水原府 (現 烏山市 )의 독성산성 에서 權慄 이 벌인 戰鬪로 理致 戰鬪 以後 勝利를 거둔 戰鬪이다.

독성산성 戰鬪
壬辰倭亂 의 一部
날짜 1593年 1月 13日 ( 1592年 陰曆 12月 11日 )
場所
結果 朝鮮 의 勝利
交戰國
指揮官
權慄 全羅 監査 兼 巡察使
선거이
변이중 梳毛絲
造景 조방장
임희진 義兵將
변사정
처영 僧兵長
우키타 히데이에
兵力
1萬 名 2~3萬 名
被害 規模
不明 不明

背景

編輯

壬辰倭亂 初期에 벌어진 龍仁 戰鬪 에서 5萬 名의 남도근王軍이 潰滅당한 後 龍仁 戰鬪 參戰 長壽 中 唯一하게 被害를 입지 않았던 權慄 理致 戰鬪 에서 勝利한 後 壬辰年 末頃에 麾下 長壽 선거이 , 梳毛絲 변이중 , 조방장 造景 , 義兵將 임희진 변사정 , 僧兵長 처영 과 1萬 名의 軍士들을 이끌고 北上한다. 權慄 龍仁 戰鬪 의 前轍을 밟지 않기 爲해 水原 독성산성 으로 들어갔다. 當時 漢陽 에는 6萬 名의 日本軍이 駐屯하고 있었는데 漢陽 駐屯 日本軍 總司令官이자 第8陣 우키타 히데이에 權慄 독성산성 에 있으면 漢陽 의 後方 連絡網과 普及 推進로의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豫想해 2萬 名의 軍士를 뽑아 水原 에서 烏山 , 貫穿 , 龍仁 等地로 들어가는 길을 遮斷하고 攻擊을 開始했다.

戰鬪 過程

編輯

독성산성 이 攻擊을 받자 朝鮮軍은 少數 兵力을 打擊兆로 編成해 運用하고 隨時로 夜襲을 敢行함으로써 日本軍을 攪亂했다. 이에 日本軍은 城 안으로 가는 물줄기를 막아 독성산성 을 고립시키려 했다. 그러나 朝鮮軍이 堤防을 막고 있던 日本軍을 夜間에 奇襲하여 斷水를 遮斷했다. 그리고 全羅道 道士 최철견 이 義兵을 募集해 權慄 을 救援하기 위해 오자 日本軍은 戰意를 喪失하고 酸性에서 撤收했다. 이로써 京畿道 一部가 收復되었고 明나라 援軍이 오고 곳곳에서 義兵이 일어나는 가운데 1593年 이 가까워 갔다.

일화

編輯

독성산성의 食水가 不足하다는 것을 알게 된 倭軍은 持久戰(持久戰)을 펼치려 하였지만, 權慄은 敵이 보는 앞에서 말을 씻기며 倭軍을 嘲弄하였다. 이를 본 倭軍은 食水가 아직 있다고 誤認하여 退却하였다. 그러나 이때 말을 씻긴 것은 물이 아니라 쌀이었다.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