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델리 술탄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델리 술탄國

델리를 中心으로 印度를 支配하던 술탄國

델리 술탄國 ( 페르시아語 : ???? ????? , 우르두語 : ???? ????? , 힌디어 : ?????? ?????? )은 1206年 부터 1526年 까지 320年間 델리 를 中心으로 印度 亞大陸 大部分을 支配한 中世 印度 時期 이슬람 帝國이다. [3] [4] [5] 고르 帝國 南아시아 를 侵攻한 以後, 奴隸 王朝 (1206~1290), 할지 王朝 (1290~1320), 투글루크 王朝 (1320~1413), 사이이드 王朝 (1414~1451), 로디 王朝 (1451~1526)가 次例로 델리 술탄國을 支配했다. 델리 술탄國은 오늘날 印度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네팔 에 屬한 地域을 征服했다. [6]

델리 술탄國
???? ?????

 

 

1206年 ~ 1526年
 

 

국기
델리 술탄국의 최대강역.
델리 술탄國의 最大江域.
수도 라호르
(1206年~1210年)
바頭眼
(1210年~1214年)
델리
(1214年~1327年, 1334年~1506年)
다울라타바드
(1327年~1334年)
아그라
(1506年~1526年)
政治
政治體制 술탄國
술탄
1206年 ~ 1210年
1290年 ~ 1296年
1320年 ~ 1325年
1414年 ~ 1421年
1517年 ~ 1526年

아이바크 (初代)
잘랄 웃딘 할지
기야스 알딘 투글루크
키즈르 칸 사이이드
이브라힘 로디 (말대)
王朝
1206年 ~ 1290年
1290年 ~ 1320年
1320年 ~ 1413年
1413年 ~ 1451年
1451年 ~ 1526年

奴隸 王朝
할지 王朝
투글루크 王朝
사이이드 王朝
로디 王朝
立法府 투르칸-에-차할가니
歷史
???建國 1206年 6月 12日 [1]
??? 暗路下 戰鬪 1305年 12月 20日
???滅亡 1526年 4月 21日
人文
公用語 페르시아語 [2]
共通語 힌두스탄어
經濟
通話 打카
宗敎
國校 수니派 이슬람敎
其他 宗敎 힌두敎 , 자이나교
기타
現在 國家 인도 印度
파키스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네팔 네팔

고르 帝國 의 統治者였던 무함마드 고르 가 1191年 第1次 他라인 戰鬪 에서 라지푸트 聯盟軍에게 敗北했지만 1192年 第2次 他라인 戰鬪 에서 프리트비라子 3歲 가 이끄는 라지푸트 聯盟君을 潰滅시키면서 델리 술탄國의 基礎가 마련되었다. [7] 고르 王朝의 繼承國이었던 델리 술탄國은 元來 고르 帝國의 諸侯國이었으며, 타지 알딘 日디즈 , 쿠트브 웃딘 아이바크 , 바하우드딘 투그릴 , 나시르 앗딘 카바車 等 고르 帝國의 領土와 遺産을 물려받은 奴隸 將軍들이 나누어 다스렸다. [8] 1206年 무함마드 고르가 暗殺된 以後 일디즈와 아이바크는 고르 帝國이 征服한 印度 領土를 둘러싸고 對立했으며, 일디즈를 물리친 아이바크는 1206年 奴隸 王朝 를 設立했다. [9] 할지 王朝와 투글루크 王朝 時期에는 活潑한 征服 活動을 통해 남인도 地域까지 進出했다. [10] [11] [12] 델리 술탄國은 투글루크 王朝 時期 가장 큰 領土를 保有했는데,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 의 治世 동안 印度 亞大陸 大部分이 투글루크 王朝의 支配에 들어왔다. 1398年 中央아시아 에서 征服者 티무르 차가타이 칸國 , 일 칸國 , 킵차크 칸國 의 領土 大部分을 回復한 後 델리를 侵入해 掠奪한 後 델리 술탄國의 勢力은 弱해졌으며 같은 時期 비자야나가라 帝國 메와르 같은 힌두敎 國家들이 獨立했고 벵골 술탄國 바흐摩尼 술탄國 과 같은 새로운 이슬람 王朝가 델리 술탄國의 領土에 들어섰다. [13] [14] 1526年 티무르 王朝 바부르 파니파트 戰鬪 에서 로디 王朝 의 마지막 술탄이었던 이브라힘 로디 가 敗死하면서 델리 술탄國이 滅亡하고 무굴 帝國 이 들어서게 되었다. [15]

델리 술탄國의 樹立은 印度 亞大陸을 同時代 多國籍이고 多文化的인 이슬람 社會經濟圈에 편입시켰고, [16] 힌두스탄어 [17] 印度-이슬람 建築 을 더욱 鞏固하게 發展하는 것에 寄與했다. [18] [19] 델리 술탄國은 몽골 帝國 (차가타이 칸國)의 侵入을 막아낸 몇 안 되는 國家 中 하나였으며, [20] 이슬람 歷史上 몇 안 되는 女性 술탄( 라지아 술탄 )이 있었던 國家이기도 했다. [21] 델리 술탄國은 佛敎 , 힌두敎 를 비롯한 印度系 宗敎 에 一般的으로 非慣用的이었고, 이에 따라 大學과 圖書館을 包含한 힌두敎 社員과 佛敎 社員이 破壞되었고 술탄의 支配 동안 强制 改宗이 頻繁히 發生했다. [22] [23] [24] [25] [26] 몽골의 征服 戰爭 以後 中央아시아와 西南아시아 의 이슬람 軍人, 學者, 藝術家, 知識人, 敎役者, 丈人, 神祕主義者들이 印度 亞大陸으로 避難/移住했으며 이들은 印度-이슬람 文化 를 꽃피웠다. [27] [28]

歷史 編輯

奴隸 王朝 編輯

델리 술탄國의 첫 番째 王朝인 奴隸 王朝 는 아프가니스탄 地域을 根據地로 둔 구르 王朝 의 무하마드가 暗殺되자 그의 武裝이었던 아이바크 가 印度 北部 펀자브 地域과 갠지스 平原을 中心으로 獨立하여 세운 王朝이다. 아이바크 의 뒤를 이어 그의 奴隸이자 사위인 日투트微視 가 그 뒤를 이어 王朝를 다스렸는데 이 時期에 全盛期를 누렸다. 奴隸 王朝의 大部分의 술탄이 奴隸 出身이었기 때문에 奴隸 王朝라고 불린다. 1266年부터 1287年까지 술탄이었던 기야스 웃 딘 發斑 은 獨裁君主制를 强化하고 國防을 굳건히 하여 勢力을 떨쳤다. 그 後 奴隸 王朝는 여러 代에 걸쳐 黨爭과 內亂에 시달리다가 할지 王朝 에 依하여 滅亡하였다. [29]

할지 王朝 編輯

1290年에서 1320年까지 델리 술탄國을 統治한 할지 王朝는 大大的인 南進政策을 敢行하여 印度를 거의 征服했고 몽골의 侵入도 擊破하였다. 할지 王朝의 大大的인 攻擊으로 오리四肢驛과 신드地域一部, 印度 最南端을 除外한 印度의 大部分을 할지 술탄國이 占領했으나 極甚한 內紛과 王位爭奪戰으로 6代 30年 만에 할지 술탄國은 투글르크에 依해 滅亡한다.

투글루크 王朝 編輯

델리 술탄國의 세 番째 투르크系 이슬람 王朝는 투글라크 王朝로, 알라웃딘이 죽은 뒤 델리 술탄國의 王位繼承을 두고 發生한 最終的인 勝利者가 된 기야스웃딘 투글루크가 1320年에 王位에 오르면서 투글루크 王朝를 開創하였다. 투르크人의 解放奴隸를 아버지로 하고 印度人을 어머니로 한 기야스웃딘(在位 1320∼1325)은 스스로의 出生에서 투르크人 貴族의 印度化와 土着 힌두敎徒의 이슬람化라는 兩面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帝國의 國境을 벵골과 안드라 두 地方, 半島 南端部의 마두라 地方에까지 넓히는 데 成功했다. 그리고 다시 델리의 地上權(至上權)을 認定하는 수많은 힌두系 小王國을 統合해서 强力한 統一國家를 建設하려 했다.이 王의 親아들 무하마드 이븐 투글루크(在位 1325∼1351)는 帝國 領土의 擴大와 統治의 强化를 위해서 一連의 果敢한 政策을 實施했다. 卽, 그는 國庫의 安全確保를 目標로 財政改革을 實施하여 嚴格한 志操(地租)徵收制度의 實施와 信用貨幣의 導入에 依한 貨幣改革 等을 斷行했다. 그러나 이러한 剛勁한 政策은 結局 悽慘한 失敗로 그치고 말았다.1334년에서 1344年에 걸쳐 마두라, 벵골 等의 힌두 王國이 다투어 獨立을 宣言하고, 그 直後에는 데칸地方과 구자라트 地方에서 이슬람 將校들 自身이 反旗를 들었다. 투글루크 王朝는 구자라트의 叛亂鎭壓에는 成功했으나 데칸地方의 境遇는 그 制壓에 失敗하여, 그 地方에서는 이슬람系의 바흐摩尼 王朝가 成立하게 되었다.결국 무하마드 이븐 투글루크는 신드 地方의 叛亂軍 制壓을 위한 遠征 中 1351年에 暗殺되어, 투글루크 王朝는 새로 얻은 領土를 하나하나 잃어 갔다. 이리하여 그 後繼者 피로스샤 투글루크(在位 1351∼1388)가 統治하는 땅은 북인도만이 남게 되고 말았다. 그러나 이 무렵에 겨우 델리를 中心으로 한 북인도에 이슬람 文化가 깊이 定着됨으로써 周邊 나라에 비하여 比較的 安定된 統治가 展開되어 갔다. 그러나 피로스샤가 죽은 後 國力이 衰退하고 1398年 末부터 다음해 初에 걸쳐서 티무르가 이끄는 軍隊가 結局 1414年에 델리를 襲擊하여 사이이드 王朝를 創建한 티무르 部長 히즈르칸에게 점령당해 滅亡하였다.

사이이드 王朝 編輯

14世紀末 투글루크 王朝의 衰退를 틈타 貴族인 히즈르칸이 1414年 델리를 占領하여 술탄의 地位에 올라 사이이드 王朝를 開創하였다. 4大 37年間 不安定한 權力 基盤으로 델리 술탄國을 統治하다가 1451年 로디 王朝 에게 支配權을 빼앗겼다.

로디 王朝 編輯

以後 1451年에는 로디 王朝 가 델리 술탄國을 支配하였으나 1526年에 무굴 帝國 에 依해 로디 王朝 와 델리 술탄國이 滅亡하였다.

같이 보기 編輯

出處 編輯

  1. Peter Jackson, The Delhi Sultanate: A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 (2003), Cambridge University Press. p.28. ISBN  0521543290
  2. " Arabic and Persian Epigraphical Studies -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Archived 2011年 9月 29日 - 웨이백 머신 ". Asi.nic.in. Retrieved 2010-11-14.
  3. Shally-Jensen, Michael; Vivian, Anthony (2022年 11月 11日). 《A Cultural Encyclopedia of Lost Cities and Civilizations》 (英語). ABC-CLIO. 171쪽. ISBN  978-1-4408-7311-9 .  
  4. Delhi Sultanate , Encyclopædia Britannica
  5. A. Schimmel, Islam in the Indian Subcontinent, Leiden, 1980
  6. Chapman, Graham (2016年 1月 29日) [1990]. 〈Religious vs. regional determinism: India, Pakistan and Bangladesh as inheritors of empire〉. Chisholm, Michael; Smith, David M. 《Shared Space: Divided Space: Essays on Conflict and Territorial Organization》 (英語). Routledge. 106?134쪽. ISBN  978-1-317-35837-4 .  
  7. Sugata Bose ; Ayesha Jalal (2004). 《Modern South Asia: History, Culture, Political Economy》 (英語). Psychology Press. 21쪽. ISBN  978-0-415-30786-4 . It was a similar combin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imperatives which led Muhammad Ghuri, a Turk, to invade India a century and half later in 1192. His defeat of Prithviraj Chauhan, a Rajput chieftain, in the strategic battle of Tarain in northern India paved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Muslim sultante  
  8. K. A. Nizami (1992).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The Delhi Sultanat (A.D. 1206-1526)》 5 2板. The Indian History Congress / People's Publishing House. 198쪽.  
  9. K. A. Nizami (1992).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The Delhi Sultanat (A.D. 1206-1526)》 5 2板. The Indian History Congress / People's Publishing House. 198쪽.  
  10. Mahajan (2007). 《History of Medieval India》 . Chand. 121쪽. ISBN  9788121903646 .  
  11. Sugata Bose, Ayesha Jalal (1998). 《Modern South Asia: History, Culture, Political Economy》 . Psychology Press. 28쪽. ISBN  9780415169523 .  
  12. M.S. Ahluwalia (1999). 〈Rajput Muslim Relations (1200-1526 A.D.)〉. Shyam Singh Ratnawat; Krishna Gopal Sharma. 《History and Culture of Rajasthan (From Earliest Times upto 1956 A.D.)》. Centre for Rajasthan Studies, University of Rajasthan. 135쪽. OCLC  264960720 . The Khaiji rule proved much stronger for the Rajput principalities ... A new wave of invasions and conquests began, which ended only when practically the whole of India had been bought under the sway of the Delhi kingdom.  
  13. Hermann Kulke and Dietmar Rothermund, A History of India , 3rd Edition, Routledge, 1998, ISBN  0-415-15482-0 , pp.?187-190.
  14. Smith 1920 , Ch. 2, p. 218.
  15. Bates, Crispin (2013年 3月 26日). 《Mutiny at the Margins: New Perspectives on the Indian Uprising of 1857: Volume I: Anticipations and Experiences in the Locality》 (英語). SAGE Publications India. 3?4쪽. ISBN  978-81-321-1336-2 .  
  16. Asher & Talbot 2008 , 50?52쪽.
  17. Keith Brown; Sarah Ogilvie (2008),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 Elsevier, ISBN  978-0-08-087774-7 , ... Apabhramsha seemed to be in a state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Indo-Aryan to the New Indo-Aryan stage. Some elements of Hindustani appear ... the distinct form of the lingua franca Hindustani appears in the writings of Amir Khusro (1253?1325), who called it Hindwi ...  
  18. A. Welch, "Architectural Patronage and the Past: The Tughluq Sultans of India", Muqarnas 10, 1993, Brill Publishers, pp.?311-322.
  19. J. A. Page, Guide to the Qutb , Delhi, Calcutta, 1927, pp.?2-7.
  20. Pradeep Barua The State at War in South Asia , ISBN  978-0803213449 , pp.?29?30.
  21. Bowering et al.,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 ISBN  978-0691134840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Gul and Khan (2008) "Growth and Development of Oriental Libraries in India" , Library Philosophy and Practice ,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3. “Delhi sultanate | History, Significance, Map, & Rulers | Britannica” . 《www.britannica.com》 (英語). 2023年 11月 17日 . 2023年 12月 31日에 確認함 .  
  24. Richard Eaton, Temple Desecration and Muslim States in Medieval India - 구글 圖書 , (2004)
  25. Richard Eaton (September 2000). “Temple Desecration and Indo-Muslim States”. 《Journal of Islamic Studies》 11 (3): 283?319. doi : 10.1093/jis/11.3.283 .  
  26. Jackson, Peter (2000). 《The Delhi Sultanate: a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Cambridge studies in Islamic civilization Reprint版.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4329-3 .  
  27. Ludden 2002 , 67쪽.
  28. Asher & Talbot 2008 , 50?51쪽.
  29. 네이버 知識百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