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데바나가리 文字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데바나가리 文字

( 데바나가리 에서 넘어옴)

데바나가리 文字 (????????, /d?e:v?n?????i/ )는 古代 印度 에서 發達한 文字 이다. 아부기다 로서, 音節文字 알파벳 의 特徵을 두루 갖췄다. 산스크리트語 를 비롯하여, 팔리어 , 프라크리트어( en:Prakrit ) 等을 옮겨적는데 쓰였다. 現代 印度 言語 가운데 힌디어 , 카슈미르語 , 마라티語 , 네팔語 等 印度의 여러 臺言語의 記錄, 印刷 等에 쓰이고 있다.

데바나가리 文字
데바나가리 문자로 쓴 리그베다 문서. (19세기 초)
데바나가리 文字로 쓴 리그베다 文書. (19世紀 初)
元來 이름 ????????
類型 아부기다
表記 言語 산스크리트語 , 힌디어 , 카슈미르語 , 마라티語 , 네팔語
使用 時期 ~ 現在
系統 遠視 시나이 文字
 페니키아 文字
  아람 文字
   브라美 文字
    굽타 文字
     梵字 (나가리 文字)
      데바나가리 文字


데바나가리


데바나가리 文字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  ?  d  ?  e  ?  h

起源

編輯

데바나가리는 아람 文字 에서 갈라져 나온 브라흐미 文字 에서 그 起源을 찾을 수 있다. 紀元前 3世紀 무렵부터 使用되었던 브라흐미 文字는 6世紀 무렵에 여러 文字로 分化되기 始作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가 7世紀 무렵에 생겨난 나가리 文字 로 이는 只今의 데바나가리 文字의 原形이다.

'나가리'(naagarii; ?????)는 '나가라'(nagara; ???) 卽 '都市의 文字'라는 뜻이다. 여기에 '神'이란 뜻인 '데바' (deva; ??? = 新)가 接頭語로 붙어 神聖視된 것이 데바나가리란 이름의 由來이다.

特徵

編輯

데바나가리 文字의 주된 特徵으로 各 文字가 文字 윗部分의 一直線에 이어진채로 쓰인다는 點을 꼽을 수 있다. 現代語에서는 이 水平線이 낱말 單位로 그어져 있으나, 산스크리트語 傳統 書法에서는 모든 文章에 이 水平線을 그었다.

데바나가리는 닿소리 를 나타내는 글字가 特定 홀소리 (一般的으로는 音價 /a/ )를 隨伴하는 音節로 읽혀지는 아부기다 文字이다. 이것을 딸림 모음 이라고 하는데, 引渡의 言語에는 -a라는 홀소리가 매우 많이 쓰이기 때문에 基本形이 되었다. a소리 以外의 母音을 나타내려 할 때는 닿소리 文字에 別途의 홀소리記號를 붙인다.

데바나가리는 33個의 닿소리 文字와 10 種類의 홀소리 文字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아홉 種類의 모음 符號와 비음, 茂盛基音 嗜好에 省略을 나타내는 몇가지 記號, 數字 10個로 構成되어 있다. 쓰는 順序는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라틴, 키릴 文字

編輯

A a = 아(a) А а
A a = 아우(a) Я я
B b = 베(be) Б б
C c = 쩨(ce) Ц ц
C c = 체(ce) Ч ч
D d = 데(de) Д д
Ð ð = 에드(eð)? ?
Dz dz = 제(dze) ? ?
Dj dj = 쥐(dje) ? ?
E e = 에(e) Е е
E e = 에(e) Э э
F f = 에프(ef) Ф ф
G g = 게(ge) Г г
? ? = 게(?e)? ?
H h = 下(ha)? ?
I ı = 으(ı) Ы ы
? i = 이(i) И и
I i = 이(i) ? ?
J j = 제(je) Ж ж
K k = 카(ka) К к
L l = 엘(el) Л л
Ll ll = 엘리(ell) ? ?
M m = 엠(em)М м
N n = 엔(en) Н н
N n = 에니(en) ? ?
O o = 오(o)
O o = 오우(o) O o
P p = 페(pe) П п
Q q = 쿠(ku) ? ?
R r = 에르(er) Р р
S s = 에스(es) С с
? ? = 에시(e?) Ш ш
T t = 테(te) Т т
U u = 禹(u) У у
U u = 禹(u) ? ?
V v = 바프(vaff) В в
W w = 웨(we) ? ?
X x = 下(xa) Х х
Y y = 입실론(ypsilon) Й й
Y y = 입실론(ypsilon) ? ?
Z z = 제타(zeta) З з
Þ þ = 쏘르든(þorn) ? ?
A a = 애(a) ? ?
O o = 外(o) ? ?
U u = 위(u) ? ?

홀소리

編輯

홀소리는 닿소리 위나 아래, 또는 옆에 記號로서 붙는다. 記號가 없으면 基本값의 홀소리가 난다.

글字 /p/에 홀소리 記號가 붙은 모습 유니코드 이름 IPA
? ? (붙지 않음) a /?/
? ?? aa /?/
? ?? i /?/
? ?? ii /i/
? ?? u /?/
? ?? uu /u/
? ?? vocalic r /r?/ ( 산스크리트語 에서는 /r??/ )
? ?? vocalic rr /r?/ (산스크리트語에서는 /rː?/ )
? ?? vocalic l /l?/ (산스크리트語에서는 /l??/ )
? ?? vocalic ll /l?/ (산스크리트語에서는 /lː?/ )
? ?? candra e
? ?? short e /e/
? ?? e e(/ː/)
? ?? ai /?/ (산스크리트語에서는 /ai/ )
? ?? candra o
? ?? short o /o/
? ?? o o(/ː/)
? ?? au /?/ (산스크리트語에서는 /au/ )

다른 記號

編輯
/p/에 붙은 모습 유니코드 이름 機能 IPA
?? virama 母音을 없앰. [p]
?? candrabindu 母音을 비음 化함. [p??]
?? anusvara 母音을 비음 化함. [p??]
?? visarga 母音 뒤에 소리없는 숨을 내쉼. [p?h] / [p???]
?? nukta 페르시아語에서 借用한 소리를 나타냄. (예: ph + nukta = f)
?? avagraha 長母音을 나타냄. [p?ː]

닿소리

編輯
글字 유니코드 이름 로마 文字 戰死 IPA
? ka k k
? kha kh k?
? ga g ?
? gha gh ??
? nga ? ŋ
? ca c t? / c
? cha ch t?? / c?
? ja j d? / ?
? za jh z / z
? nya n ?
? tta ? ? / ??
? ttha ?h ?? / ???
? dda ? ? / ?
? ddha ?h ?? / ??
? nna ? ?
? ta t t?
? tha th t??
? da d d?
? dha dh d??
? na n n? / n
? pa p p
? pha ph p?
? ba b b
? bha bh b?
? ma m m
? ya y j
? ra r ? / r
? la l l
? lla ? ?
? va v v / ?
? sha ? ?
? ssa ? ?
? sa s s
? ha h h / ?

數字

編輯
? ? ? ? ? ? ? ? ? ?
0 1 2 3 4 5 6 7 8 9

유니코드

編輯

데바나가리 文字는 유니코드 U+0900 ~ U+097F에 割當되어 있다.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U+090x ? ? ? ? ? ? ? ? ? ? ? ? ? ? ? ?
U+091x ? ? ? ? ? ? ? ? ? ? ? ? ? ? ? ?
U+092x ? ? ? ? ? ? ? ? ? ? ? ? ? ? ? ?
U+093x ? ? ? ? ? ? ? ? ? ? ? ? ? ? ? ?
U+094x ? ? ? ? ? ? ? ? ? ? ? ? ? ? ? ?
U+095x ? ? ? ? ? ? ? ? ?? ?? ?? ?? ?? ?? ?? ??
U+096x ? ? ? ? ? ? ? ? ? ? ? ? ? ? ? ?
U+097x ? ? ? ? ? ? ? ? ? ? ? ? ? ? ? ?

컴퓨터 入力法

編輯

펠드下위스 表記法

編輯

펠드下위스( 네덜란드語 : Fran Velthuis )가 1991年   에 入力하기 위해 만든 入力法.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