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丹陽郡의 地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丹陽郡의 地質

( 丹陽炭田 에서 넘어옴)

본 文書에서는 大韓民國 忠淸北道 丹陽郡의 地質 單兩國가지질公園 (丹陽國家地質公園, Danyang National Geopark)에 對해 說明한다.

丹陽郡 단양읍 천동리 다리안溪谷 地域, 朝鮮 累層軍 萇山 硅巖層 선캄브리아기 화강片麻巖의 不整合 境界를 形成하는 玉童 單層

槪要

編輯

丹陽郡은 地體構造 上 沃川 褶曲帶 嶺南 肉塊 의 境界部에 位置해 있으며 小白山 地域을 除外하고는 大部分 沃川 褶曲帶에 屬해 있다. 따라서 丹陽郡의 地質은 大部分 古生代 에 形成된 堆積巖 地層 朝鮮 累層軍 平安 累層軍 으로 構成되어 있다. [1] 朝鮮 累層軍 에는 石灰巖 이 多數 包含되어 있어 丹陽郡 一帶에 카르스트 地形 丹陽 고수洞窟 , 丹陽 千東洞窟 等 여러 石灰巖 洞窟 들을 발달시키고 있다. 平安 累層軍 에는 無煙炭 이 包含되어 있어 丹陽炭田 을 形成하고 있으며 過去 이곳에서 石炭 이 採掘되었다. 丹陽 地域의 가장 크고 重要한 地質構造는 閣童 스러스트 單層 으로, 南漢江 과 거의 一致하게 北東-南西 走向으로 發達하는 이 斷層을 境界로 北西部에 朝鮮 累層軍 寧越層群이, 南東部에 平安 累層軍 朝鮮 累層軍 太白層群이 分布한다.

單兩國가지질公園

編輯

丹陽 國家脂質公園 (丹陽 國家地質公園, Danyang National Geopark)은 忠淸北道 丹陽郡 全 地域을 包含하는 大韓民國 國家脂質公園 으로, 2020年 7月 27日 指定되었으며 도담三峯 , 丹陽 고수洞窟 , 丹陽 溫達洞窟 , 丹陽 勞動洞窟 , 丹陽 千東洞窟 , 다리안 溪谷, 丹陽 龜潭峯 , 丹陽 舍人巖 , 丹陽 石門 , 腺癌溪谷(4個所), 두山滑空場, 迎春 北壁, 永川洞窟, 구봉八門, 여천리 카르스트 地形, 滿天下景觀, 단양읍 化石山地, 심곡리 衝上斷層臺 접촉부, 竹嶺千 堆積構造 및 褶曲, 황정산과 칠성암 等 25個 脂質名所로 構成된다. [2]

單兩國가지질公園 公式 사이트

선캄브리아기 變成巖과 小白山變成巖複合體

編輯
 
小白山 은 嶺南 肉塊의 선캄브리아기 變成巖으로 構成되어 있다.

선캄브리아기 變成巖 은 丹陽郡 東部 小白山 周邊 地域에만 分布한다. 이들은 所謂 小白山變成巖複合體 라 불리며 이들 變成巖類는 2次例의 廣域 變成 作用에 依해 形成된 決定(結晶) 片巖 류가 花崗巖化作用, 미그마타이트火 作用 및 混成作用을 받은 것으로서 變成 作用의 程度와 樣相에 따라 여러 巖石으로 區分된다. [3] 小白山은 오랜 歲月 風化 浸蝕된 結果로 基盤巖의 露頭 는 잘 觀察되지 않고 大部分 土壤化되었으며 드물게 比較的 風化에 强한 페그마타이트질 或은 巨晶質疑 巖石만이 남아 있다. [4]

율리層群 고선리層

編輯

玉童 地質圖幅(1966)에 依하면 선캄브리아기 의 變性堆積巖 地層 율리層群 (栗里層群)李 丹陽郡 영춘면 남천리 南東部 山岳 地域에 分布하고 있다. 율리層群 고선리層 花崗巖質片麻巖類 (PCEggn; Precambrian Goseonri Formation granitic gneiss)는 花崗巖質 巖石이나 마그마 起源이 아닌 變性堆積巖으로 推定되었다. 율리層群 고선리層 黑雲母片巖類 (PCEygo2; Precambrian Yuli group Goseonri Formation biotite and schist)는 暗灰色의 長石片巖과 石英片巖으로 構成된다. [5]

페그마타이트질 미그마타이트

編輯

페그타이트질 미그마타이트 (pm; pegmatitic migmatite)는 丹陽郡 영춘면 동대리 南東部와 의흥리에 分布한다. 이 巖石은 造山帶에서 變性堆積巖이 鎔融作用을 받아 生成된 것으로 보이며 朝鮮 累層軍 萇山 硅巖層 의 基底部에 變成作用을 주었다. 이 巖石은 大體로 白色의 優勢한 거定質(巨晶質)의 酸性巖이며 長石 石英 으로 構成되고 若干의 白雲母와 電氣石 을 含有한다. [5]

黑雲母 花崗巖質 片麻巖

編輯

黑雲母 花崗巖質 片麻巖 (PCEbggn; Precambrian biotite granite gneiss) 또는 葉理上 花崗巖 은 丹陽郡 東部 小白山 國立公園 一帶에 넓게 分布하는 變成巖類이며 西側部에서는 朝鮮 累層軍 萇山 硅巖層 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인다. [3] [1] 丹陽郡 단양읍 천동리 다리안 地域에는 沃川 褶曲帶에 屬하는 朝鮮 累層軍 의 최하부層인 萇山 硅巖層 과 嶺南 肉塊의 花崗巖質 片麻巖이 直接 接하고 있다. 그동안 이들 사이의 關係는 不整合 으로 推定되었으나 最近의 硏究는 이 境界가 軟性 傳單 運動에 依한 單層 接觸임을 指示한다. 黑雲母 花崗巖質 片麻巖의 前癌 및 長石 과 捕獲巖에 對한 Pb 連帶는 高原生代 人 2.16±0.15 Ga의 貫入時期를 指示한다. [6]

미그마타이트질 片麻巖

編輯

미그마타이트질 片麻巖 (PCEmgn; Precambrian migmatitic gneiss)은 竹嶺 附近과 丹陽郡 대강면 사동리~남조리 地域에 小規模로 對象(帶狀) 分布하며 石英, 黑雲母, 柘榴石 等으로 構成되고 護喪(縞狀) 및 葉狀(葉狀) 構造를 가진다. [3] [7]

班常辨正질片麻巖

編輯

班常辨正질片麻巖 (PCEpgn; Precambrian porphyroblastic gneiss, 斑狀變晶質片麻巖)은 小白山 頂上의 국망봉 一帶와 대강면 올산리 地域에 分布하며 다른 片麻巖類와 漸移的人 境界를 가진다. 主로 長石, 石英, 黑雲母 等으로 構成된다. [3]

古生代 初期에 形成된 朝鮮 累層軍 은 丹陽郡에서 가장 넓은 分布 面積을 보이며 石灰巖 層을 多數 包含하고 있어 丹陽郡 一帶에 廣範圍한 石灰巖 카르스트 地形과 石灰巖 洞窟 을 발달시키고 있다. 朝鮮 累層軍 太白層群 대강면 北西部, 단양읍 中西部에서 영춘면 을 지나 寧越郡 東部로 이어지며 北東-南西 方向으로 分布한다. 寧越郡 에서 이어지는 朝鮮 累層軍 寧越層群 은 漢江 北西部에 廣範圍하게 分布한다. 이 地域에서 두위봉型 朝鮮 累層軍은 大體로 北東 45°의 走向을 가지며 北西 50~60°의 傾斜를 갖는 等社 褶曲 構造를 보인다. [3] [1] 寧越郡 에서 이어져 왔으며 南漢江 과 거의 一致하게 發達하는 北東-南西 走向의 閣童 스러스트 單層 을 境界로 그 東(남)쪽에 太白層群이, 서(북)쪽에 寧越層群이 分布한다. [8]

아래 朝鮮 累層軍 下位의 各 地層들의 說明은 丹陽 地質圖幅(1967, 以下 丹陽度幅)에 따른다. 丹陽 地域에 分布하는 두위봉型 朝鮮 累層軍은 太白市, 寧越郡의 그것과는 若干 差異가 있으며 學者들 間에 地層의 地質 時代와 名稱, 層서 時代에 差異를 보인다. 代表的으로, 火절層 同點 硅巖層 은 丹陽 地域으로 오면서 암상의 變化가 甚하여 丹陽度幅에서는 이를 統合해 천동리層으로 設定했으나 김정환 等은 1992年 丹陽 地域의 地質構造 調査 當時 천동리層을 火절層과 同點層으로 細分하였다.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1962)은 丹陽 地域에서 織雲山 셰일層 의 存在를 認定하지 않고 두위봉 石灰巖層 (固城 石灰巖層)과 膜骨 石灰巖層을 막동 石灰巖層 으로 統合하였고, 이하영(1980)은 織雲山 셰일層을 認定하고 두위봉 石灰巖層과 膜骨 석회암층으로 區分하였다. [9] 丹陽度幅에서는 電子의 視角을 反映하여 朝鮮 累層軍이 막동 石灰巖層까지 標示되어 있고 그 위에 바로 平安 累層軍이 온다. 따라서 本 文壇에서는 同點 硅巖層 , 火절層 , 織雲山層 , 두위봉層 에 對해서는 說明하지 않는다. 이 地層들에 對해서는 朝鮮 累層軍 文書를 參考할 것.

두위봉型 朝鮮 累層軍 또는 朝鮮 累層軍 太白層群 은 下部에서 萇山 硅巖層 으로부터 막동 石灰巖層 까지 分布하며 中間에 石灰巖 層이 多數 包含되어 있어 고수洞窟 , 千東洞窟 , 勞動洞窟 等의 石灰巖 地形과 洞窟을 발달시키고 있다.

太白層群은 閣童 스러스트 單層 玉童 單層 사이에서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하고 北西쪽으로 경사져 있다. 太白層群 內에는 層理平行 傳單構造가 報告되어 있다. 소진현 外(2023)의 硏究 結果 묘봉層 , 火절層 , 두무骨層 에서 우수향 및 座首鄕 走向移動을 指示하는 層理平行 傳單構造와 葉理 가 多數 觀察되었으며, 地層들은 두 斷層에 依해 變形 分割(strain partitioning)의 樣相을 보여준다. 玉童 單層 은 우수향人 것으로 再確認되었다. [10]

코노돈트 化石帶

編輯

丹陽郡 地域의 朝鮮 累層軍 太白層群은 三陟炭田 地域과 달리 암상의 變化가 甚하고 多數의 衝上斷層 에 依해 甚하게 攪亂되어 있어 丹陽 地質圖幅(1967)에서 천동리層이 設定되었으나 金正煥 外(1992)는 천동리層을 同點 硅巖層과 火절層으로 區分하는 等 下部古生代層의 層序에 많은 混亂이 있었고 學者들마다 層序가 다르게 解釋되었다. 그리하여 1997年 丹陽 地域의 太白層群 層序를 定立하기 위해 코노돈트 化石 硏究가 遂行되었다. 13個 斷面에서 1,886個體의 코노돈트 化石이 採取되어 總 70屬 143種으로 分類되었다. 그 結果 旣存의 高聲 石灰巖層은 寧越郡에서 丹陽郡으로 延長되는 것이 아니라 丹陽郡 가곡면 以南에서 失音山(瑟陰散) 스러스트 斷層에 依해 캄브리아기, 一部 오르도비스기 地層이 反復 露出된 地層임이 밝혀졌다. [11]

萇山 硅巖層 과 16億年 差異의 다리안 不整合

編輯

萇山 硅巖層 (CEj; Cambrian Jangsan formation, 壯山 硅巖層)은 朝鮮 累層軍 中 가장 東쪽에 分布하는 것으로서 下位의 선캄브리아기 黑雲母 花崗巖質 片麻巖을 不整合 으로 덮는 朝鮮 累層軍 의 基底層이다. 竹嶺驛 附近에서 영춘면 동대리 東部에 이르기까지 매우 얇고 길게 北東 45~50°의 走向과 北西 40~60°의 傾斜路 發達하며 대강면 황정리에서 中生代 黑雲母 花崗巖에 依해 貫入 當하였다. 본 癌은 主로 灰白色 硅巖 石英 片巖 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黑雲母 花崗巖質 片麻巖과의 不整合 面을 따라서는 藥 5~6 m의 두께로 滑石질 雲母片巖(Talcmica schist)李 협재되어 있다. 이 片巖은 灰白色 乃至 灰綠色을 띠며 石英 粒子와 운모류 및 滑石 類들이 層理 에 平行하게 交互(交互)하여 片麻巖에 가까울수록 漸次 便利가 減少된다. 이 滑石질片巖 上位에는 2~3 m의 두께를 갖는 礫巖 이 놓이며 그 위에 본 層의 主要 구성암人 淡白色 硅巖 이 놓이며 이들은 組立 乃至 中立質疑 緻密 堅固한 괴相(塊狀) 硅巖이 優勢하나 層理에 平行하게 얇은 雲母臺(帶)가 發達下여석영 片巖의 構造를 갖는 部分도 있다. 본 層의 全體 두께는 60~80 m이나 北東쪽으로 갈수록 增加하여 寧越郡으로 넘어가기 直前의 영춘면 동대리에서는 200 m 以上이다. [3] [5] [1]

다리안 不整合 (Darian Umconformity)은 丹陽郡 단양읍 천동리 다리안[橋內] 觀光地 내 溪谷에 선캄브리아기 의 조립질 화강片麻巖과 古生代 朝鮮 累層軍 萇山 硅巖層 이 16億 4千萬年의 時間 間隔을 가지며 不整合 으로 接하고 있는, 地質學的으로 매우 重要하怪 稀貴한 노두이며 單兩國가지질公園의 脂質遺産이다. 화강片麻巖과 萇山 硅巖層의 層理面은 서로 平行해 過去에 不整合 으로 解釋되었으나 萇山 硅巖層 의 基底部의 驛들이 主로 硅巖 의 驛이고 두 巖石의 접촉부를 따라 約 20~30 cm 두께의 千매壓碎巖(phyllonite)으로 構成된 單層癌 이 存在하며 接觸面上에 水平의 單層朝鮮이 觀察되어 오늘날 두 巖石의 접촉부는 우수향 走向 移動 單層 으로 解釋된다. 이는 선캄브리아기와 캄브리아기 地層의 境界이자 韓國의 地體構造區 中 嶺南 肉塊와 沃川 褶曲帶의 警戒單層으로 解釋된다. [4] [12]

묘봉層 (CEm; Cmabrian Myobong shale formation, 猫峯層)은 萇山 硅巖層 上位에 整合 으로 놓이며 萇山 硅巖層 分布地域 바로 西쪽에서 대강면 황정리에서 영춘면 동대리에 이르기까지, 萇山 硅巖層과 비슷하게 北東 40~50°의 走向과 北西 60~70°의 傾斜路 發達한다. 본 地層의 主要 構成巖石은 綠灰色 및 暗灰色 셰일 , 粘板巖 等이고 沙質 셰일과 千枚巖 等이 隨伴되며 層理 의 發達이 顯著하다. 본 層의 두께는 60~100 m이다. [3] [1]

 
風村 石灰巖層 中에 發達하는 丹陽 千東洞窟 의 모습이다.

風村 石灰巖層 (Op; Pungchoen limestone formation, 豊村石灰巖層) 또는 大氣層 묘봉層 上位에 整合으로 놓이며 萇山 硅巖層 및 묘봉層 分布地域 바로 西쪽에서 대강면 황정리에서 영춘면 동대리에 이르기까지, 묘봉 셰일層과 비슷하게 北東 走向으로 發達한다. 본 層은 主로 石灰巖 돌로마이트 로 構成되어 있으며 特히 白色 石灰巖이 灰色 및 靑灰色 石灰巖과 互層(互層)으로 협재되어 있다. 본 地層의 두께는 250~300 m이다. [3] [1] 丹陽 千東洞窟 이 이 地層 中에 發達한다. [13] [4]

丹陽郡 대강면 용부원리 580-2 (N 36°55'03.59", E 128°22'54.00")에는 風村 石灰巖層 의 石灰巖이 再褶曲(refolding)되어 露出되어 있다. 風村 石灰巖層은 軟灰色의 돌로마이트질 石灰巖과 暗灰色의 이암이 交好하며 노두의 北西側부터 향사, 背斜, 向斜가 反復된다. [4]

천동리層

編輯
 
丹陽郡 대강면 용부원리 竹嶺로 道路邊, 중앙고속도로 두音敎 下部에 드러난 朝鮮 累層軍 의 노두로 거의 垂直으로 기울어 있다.
北緯 36° 55′ 03.1″ 東京 128° 22′ 36.2″ ? / ? 北緯 36.917528° 東京 128.376722° ? / 36.917528; 128.376722
 
丹陽郡 단양읍 장현리 勞動長현로 道路邊에 드러난 천동리層의 等斜褶曲(背斜)構造
北緯 36° 56′ 10.7″ 東京 128° 22′ 26.1″ ? / ? 北緯 36.936306° 東京 128.373917° ? / 36.936306; 128.373917

천동리層 (Oc; Ordovician Choendongri formation, 泉洞里層)은 風村 石灰巖層 上位에 整合으로 놓이며 風村 石灰巖層 分布地域 바로 西쪽에서 대강면 황정리에서 영춘면 동대리에 이르기까지, 風村 石灰巖層과 비슷하게 北東 走向으로 發達한다. 千東洞窟 (그러나 이 洞窟은 조금 더 東쪽인 風村石灰巖層 分布地域에 位置한다.)이 位置한 단양읍 천동리에서 그 名稱이 由來되었으며 大體로 灰色의 蟲食(蟲蝕) 石灰巖 이 優勢하며 泥灰巖 셰일 等이 石灰巖과 交互하고 본 層의 下部 및 中部에는 4~5枚의 얇은 沙巖 層이 협재된다. 본 層의 두께는 200~250 m이다. [3] [1] 이 地層은 元來 太白-三陟 地域에서 定義된 두위봉型 朝鮮 累層軍 火절層 同點 硅巖層 이 천동리層으로 함께 묶인 것이다. [5]

同點 硅巖層

編輯

丹陽 地質圖幅(1967)에서는 火절層과 同點層을 천동리層으로 묶었으나, 김정환과 고희재(1992)는 천동리層과 두무骨層 사이에서 60~100 m 두께로 發達하는 同點 硅巖層 을 認知하였다. [8]

대전리 硅巖層

編輯

대전리 硅巖層 (大田里 硅巖層)은 손치무(1975)가 設定한 地層으로 同點 硅巖層 에 該當한다. 이 地層은 丹陽郡 영춘면 남춘리에서 대강면 당동리까지 이어지며 그 以後 사라진다. 손치무의 硏究 結果 平安 累層軍 分布地域 東部인 단양읍 덕상리 溪谷 入口部에서도 대전리 硅巖層이 存在한다는 事實이 밝혀졌다. [14]

 
대강면 북상리 北上校(北上1길 3-1 附近) 아래 河川에 드러난 두무骨層
北緯 36° 55′ 27.0″ 東京 128° 20′ 35.5″ ? / ? 北緯 36.924167° 東京 128.343194° ? / 36.924167; 128.343194
 
단양읍 장현리 勞動長현로 道路邊의 두무骨層
北緯 36° 56′ 32.7″ 東京 128° 22′ 20.8″ ? / ? 北緯 36.942417° 東京 128.372444° ? / 36.942417; 128.372444

두무동層 (Odu; Ordovician Dumudong formation, 斗務洞層)은 主로 셰일 로 構成된 地層이다. 丹陽 地質圖幅(1967)에 依하면 두무동層은 下部의 천동리層과 整合的인 關係를 가지며 構成 巖石은 下部의 천동리層과 類似하나 硅巖層을 협재하지 않는다. 兜鍪骨層은 主로 셰일 石灰巖 層의 互層(互層)으로 構成된다. 셰일은 (綠)灰色을 띠는데 그 風化 表面은 黃褐色 또는 黃綠色으로 變色되었고 石灰巖 은 (靑)灰色을 띤다. 下部 層準에는 蟲食 石灰巖이 얇게 수 매 협재되기도 하며 上部 層準에는 얇은 石灰巖 礫巖이 협재된다. 손치무(1965)는 이 層이 主로 셰일과 石灰巖의 互層으로 構成되는 點을 考慮해 同點 硅巖層보다 若干 더 깊은 海底에서 堆積된 것으로 解釋하였다. 고바야시(1966)와 이하영(1970) 等은 이 地層에서의 三葉蟲 , 完足類, 코노돈트 의 化石을 基礎로 본 地層을 오르도비스기 下部에 對備하였다. 地層의 두께는 30 乃至 70 m이다. [3] [9] [1] 손치무(1975)에 依하면 두무동層은 영춘면 附近에서 主로 淡綠色 셰일로만 構成되어 있어 上部의 막동 石灰巖層 과의 境界가 뚜렷하다. [14] 丹陽郡 단성면 북상리, 竹嶺千의 北上校 一帶(36°55'27.67"N, 128°20'34.84"E)에는 위 寫眞과 같이 두무骨層의 石灰巖과 碎屑性 泥質巖이 交好하며 團塊上(nodular) 石灰巖과 軟性 褶曲 이 發達한다. [12]

막동 石灰巖層 (Omg; Ordovician Makdong, 莫洞 石灰巖層) 또는 膜骨層 (Makgol formation)은 朝鮮 累層軍 의 主要 石灰巖 地層으로 이 地層에 丹陽 고수洞窟 이 있다.

丹陽 地質圖幅(1967)에 依하면 막동 石灰巖層은 두무동層 위에 整合的으로 놓이고 그의 上部는 紅點層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인다. 竹嶺 單層 以南에서는 대강면 사인암리, 괴평리 地域에서 花崗巖 內에 루프 펜던트(Roof Pendent)로 남아 있다. 본 地層의 走向은 北東 40~50°, 警査는 北서 60~70°이나 竹嶺 單層 附近에서는 單層 의 影響으로 走向이 北西 10°로 變한다. 본 地層은 比較的 純粹한 良質의 石灰巖 으로 構成되며 石灰巖 사이에 얇은 層의 돌로마이트 가 수 매 협재된다. 石灰巖 은 一般的으로 灰色, 靑灰色의 緻密한 結晶質 石灰巖으로 代替로 葉理上(laminated), 板狀 構造가 發達하고 部分的으로 괴相(塊狀)을 이루나 下位의 두무동層 에서 볼 수 있는 蟲食 石灰巖 또는 石灰質代와 粘土層의 互層으로 이루어진 護喪 石灰巖은 협재되지 않는다. 가곡면 금곡리 北部에서는 두께가 20~30 cm인 石灰巖 礫巖 이 협재된다. 礫巖의 驛은 모두 石灰巖 으로 大部分 原圖가 不良한 角力(角礫)으로 그의 藏經은 3~4 cm 內外이다. 石灰巖 內에 협재되어 있는 돌로마이트 는 灰白色 또는 담灰色中立結晶質巖으로 普通 塊狀(塊狀) 構造로 發達되어 層理 의 發達이 不良하다. 이들은 얇은 層이며 5~6枚가 設定된다. 竹嶺 單層 隣接部와 그 以南富의 본 層은 中生代 黑雲母 花崗巖 의 貫入에 依해 再決定되어 等粒狀(等粒狀; 삭카로이달 救助 Saccaroidal texture)을 이루고 있다. 본 地層의 두께는 竹嶺 單層 以北에서는 300~350 m 이나 그 以南에서는 250~300 m로 多少 좁아진다. 단양읍 기촌리의 금곡國民學校 敎師(校舍) 뒤便에는 靑灰色 石灰巖이 잘 發達해 있고, 노동리 白光石灰巖鑛業所 內에는 향사 褶曲 構造가 잘 發達해 있다. 고바야시(1966)는 이 層 基底部에서 發達한 暗灰色 石灰巖에서 三葉蟲 및 其他 28種의 大型 化石을 記載하고 이를 北美 오르도비스기 下部 Canadian 通의 中部 乃至 下部에 對比시켰다. [3] [9]

손치무(1975)에 依하면 예미 地域과 달리 淡紅色 石灰巖이 협재되고 暗灰色의 板狀石灰巖이 優勢하지 않다. [14] 코노돈트 硏究(1997)로 丹陽 地域의 膜骨層은 膜骨層, 織雲山層 , 두위봉層 으로 區分되었다. [11]

丹陽 고수洞窟 두무骨層 과 막동 石灰巖層 地層 中에 發達한다. 막동 石灰巖層은 元來 下位의 地層들과 함께 고수洞窟에서 東쪽으로 約 2 km 들어간 금곡리에 分布하나 西쪽으로 50°傾斜진 고수리 逆斷層에 依해 變位되어 고수洞窟을 包含한 막동 石灰巖層은 平安 累層軍 함백산層 에 對하여 相對的으로 數百 m 上昇하여 단양읍 고수리에 다시 露出된다. 고수洞窟 周邊에서 막동 石灰巖層의 新鮮한 面은 靑灰色의 괴相(塊狀) 石灰巖으로 보이지만 風化 表面에서는 두께 1 cm 未滿의 두 가지 地層의 互層(互層)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現象은 아마도 各 層의 化學 成分이 서로 다르다는 것에 起因할 것이다. 이러한 風化 樣相 때문에 막동 石灰巖層은 層理 가 잘 發達된 石灰巖으로 取扱되며 고수洞窟 의 風化된 壁에서도 觀察된다. 막동 石灰巖層은 고수洞窟 附近에서 南-北 乃至 北東 40°의 走向과 北西 30~40°의 傾斜를 보인다. 막동 石灰巖層의 두께는 300 m이다. [15] [1] 丹陽 勞動洞窟 (단양읍 노동리 101-5, N 36°57'09.29", E 128°22'55.26")은 막동 石灰巖層 中에 發達한다. 洞窟에는 種有關, 鍾乳石, 석순, 석주, 洞窟珊瑚 等이 發達하며 現在는 出入이 禁止되어 있다. [4]

단양읍 노동리 山 46-1 (N 36°58'19.47", E 128°21'46.10")에는 南漢江 便 南側 道路가에 膜骨層 의 蟲食 石灰巖과 이암이 數十 m에 걸쳐 發達하며 이 石灰巖層은 潮間帶에서 生成된 石灰質모래가 海底에서 堆積된 것으로 解釋된다. [4] 이 道路는 단양역 에서 상진大橋 아래를 지나 단양읍 丹陽노동길 226-24까지 이어지는 1車線 鋪裝道路로 이 道路를 따라 帶同 累層軍과 膜骨層의 노두를 觀察할 수 있다. 洪水 時에는 出入이 統制된다.

丹陽郡 노동리 101-5 (N 36°57'43.30", E 128°21'54.06")에는 道路 工事로 인해 露出된 膜骨層 의 沈降背斜構造가 아래 2番째 寫眞과 같이 드러나 있다. 地質은 石灰巖 으로 構成되고 돌로마이트 가 협재된다. 이 노두에서는 葉理 層理 가 잘 區分되지 않는다. [4] [12]

高聲 石灰巖層

編輯
 
單兩國가지질公園 迎春北壁, 朝鮮 累層軍 高聲 石灰巖層/두위봉層
 
丹陽郡 영춘면 오사리 地方도 제595호선 道路邊의 高聲 石灰巖層/두위봉層

高聲 石灰巖層(Ogl; Ordovician Goseong limestone Formation, 古城層)은 막동 石灰巖層 床위에 關係 未詳으로 놓이고 平安 累層軍 紅點層에 依해 傾斜 不整合으로 덮이며 막동 石灰巖層 分布地域 바로 西쪽에서 北東 走向으로 發達한다. 迎春(1962), 玉童 地質圖幅(1966)에만 標示되어 있는 본 地層은 主로 石灰巖 돌로마이트 質 石灰巖과의 互層으로 構成되며 간간히 紅色 石灰巖 과 蟲食(蟲蝕) 石灰巖이 협재되어 있다. 局部的으로 甚한 褶曲 과 攪亂 構造를 볼 수 있다. 이 地層은 三陟炭田 西部의 織雲山層 두위봉層 에 對比되는 地層이나 본 高聲層 下部의 織雲山 셰일에 對比되는 地層이 發達이 斷續的(斷續的)이어서 1962年부터 織雲山 셰일層을 合하여 高聲層이라고 불러 왔다. 溫達洞窟 周邊에서 高聲層 下部는 暗灰色 乃至 綠灰色의 微晶質(微晶質) 石灰巖 셰일 의 互層으로 되어 있다. 高聲層 上部는 暗灰色 石灰巖 으로 構成되며 高聲層 中部에는 얇은 셰일 이 많이 협재되어 있다. 이 地層의 一般的인 走向은 北東 15°이고 警査는 西쪽으로 60°, 地層의 두께는 300 m 內外이다. 이 地層 中部에는 丹陽 溫達洞窟 이 發達하며 北西-南東 方向의 이 洞窟은 주굴 693 m, 지굴 832 m의 길이에 北西 30°方向의 節理 를 따라 溶蝕 作用이 이루어진 結果로 生成된 石灰巖 洞窟이다. 溫達洞窟의 株 通路는 斷層面을 따라 發達하는데 洞窟天障을 따라 막장까지 이어진 斷層線을 確認할 수 있다. [16] [4]

코노돈트 硏究(1997)로 旣存의 高聲 石灰巖層은 下部와 上部 層準으로 區分되었다. 下部 層準에서 Proconodonotus serratus , Proscandodus sp., Cordylodus proavus , Proscanodus notchpeakensis , Rotundaconus jingxiensis 가 産出되었고 이는 캄브리아기 火절層 Eoconodontus (E.) notchpeakensus 生層序帶에 該當한다. 上部 層準은 後記 트레마都市안에서 後記 亞레니지안(Aremigian)에 該當한다. 따라서 高聲 石灰巖層은 가곡면 대가리 以南 地域으로 延長되지 않으며 旣存의 '固城 石灰巖層'은 實際 高聲 石灰巖層이 아니라 캄브리아기, 一部 오르도비스기 地層이 衝上斷層 에 依해 反復 露出된 地層이다. [11]

丹陽郡 영춘면 商利의 丹陽 迎春北壁(道路名住所?: 丹陽郡 영춘면 北壁길 51-3)은 高聲 石灰巖層의 石灰巖 으로 構成된 絶壁이다.

 
매포읍 하괴리의 古生代 朝鮮 累層軍 흥월리層
北緯 37° 00′ 13.7″ 東京 128° 20′ 23.4″ ? / ? 北緯 37.003806° 東京 128.339833° ? / 37.003806; 128.339833

朝鮮 累層軍 寧越層群 寧越郡 丹陽郡 北西部에 廣範圍하게 分布하는 古生代 地層이다. 丹陽郡 內에서 이 地層은 모두 閣童 스러스트 單層 과 一致하게 發達하는 漢江 北西部에만 分布한다.

先흥월리層群

編輯

손치무(1975)는 閣童 衝上斷層 西部의 흥월리層 밑에 많은 石灰巖層이 놓여 있음을 밝히고 이를 선(先)흥월리층군으로 명명하였다. 先흥월리層群은 硅巖層, 石英片巖層 및 千枚巖層, 석회암층으로 構成된다. 硅巖層은 堤川 地質圖幅(1967)의 錦繡山 硅巖層과 同一한 것으로 褶曲 에 依해 反復 露出된 것이며 손치무는 이 硅巖層을 萇山 硅巖層 에 對備하였다. 淡褐色의 石英片巖層 및 暗灰色의 千枚巖層은 판上構造가 잘 發達하며 묘봉層 에 對比되었다. 石灰巖層은 그 大部分이 從來 삼태산層 으로 대충 뭉뚱그려졌으나 손치무는 이 地層을 單一層으로 볼 수 없다고 하여 石灰巖-A, B, C, D, E, F, G 7個 암상으로 區分하였다. 이 石灰巖層은 매포읍 매포리 도담驛 東側에서 한일시멘트에 依해 採取되고 있는 石灰巖에 該當하며 大略 두무동層 ~ 막동 石灰巖層 에 該當한다고 보았다. [14]

삼방산層 은 元來 寧越郡 地域에 分布하는 地層으로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段의 迎春 地質圖幅(1962)의 地質圖에는 영춘면 西部, 어상천면 과의 境界 地域에 分布하는 것으로 表記되어 있다. 손치무(1975)에 依하면 가곡면 여천리에 삼방산層의 綠色 片巖이 있다. [14]

 
朝鮮 累層軍 흥월리層 石灰巖 돌로마이트 로 構成된 도담三峯

흥월리層 (興月里層)은 主로 灰白色 中立結晶質 괴相(塊狀) 돌로마이트 로 構成되며 層理 의 發達이 좋지 않다. 地表의 風畵面은 暗黑色을 띠어 삼태산層 石灰巖 과 쉽게 區別되고 地形的으로 돌리네 를 形成한다. 적성면 애곡리와 매포읍 의 大部分 地域, 어상천면 영춘면 一部 地域에 조금씩 分布한다. 地層이 小規模로 分布하는 理由는 背斜 褶曲 構造로 인해 그의 上部만이 露出되어 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地層의 走向과 警査는 職치리 溪谷에서 大體로 北西 10°, 南西 60~70°이나 그의 南部에서는 地層이 甚하게 攪亂되어 不規則한 走向과 傾斜를 가지며 이中에 特히 北東 70°의 走向과 北西 50~60°의 傾斜가 優勢하다. 上部는 삼태산 石灰巖層에 依해 덮여 있다. [3] [1] 손치무 外(1975)에 依하면 두께 200 m의 흥월리層은 全部 돌로마이트 로 構成되어 있으며 가곡면 사평리 여울메기마을 東쪽 溪谷에서 帶同 累層軍 搬送層과 두무骨層 사이에 흥월리層의 돌로마이트 가 介在(介在)되어 있다. [14] 도담三峯 丹陽八景 에 該當하는 地質名所로 흥월리層 石灰巖 돌로마이트 로 構成되었다. 石灰巖 카르스트 地形이 만든 圓錐形 模樣의 봉우리로 南漢江 이 휘돌아 이룬 깊은 못에 風化 殘留 地形으로 存在하는 3個의 섬으로 이루어졌다. [17] [4] 丹陽 石門 은 朝鮮 累層軍 흥월리層의 石灰巖과 돌로마이트로 構成되어 있으며 石灰洞窟이 崩壞되고 洞窟의 天障의 一部가 남아 구름다리처럼 形成되었거나, 石灰巖이 地下水에 依해 浸蝕되고 남은 地形으로 推定된다. [18] [4]

 
朝鮮 累層軍 흥월리層 에 드러난 大規模 等斜褶曲(背斜)構造와 國道 제5호선

丹陽郡 단양읍 상진리 산 33-1 (N 36°57'43.30", E 128°21' 54.06")에는 위 寫眞과 같이 國道 제5호선 道路邊 切開四面에 約 150 m에 걸쳐 흥월리層 의 大規模 노두가 드러나 있다. 이 노두는 大規模 衝上斷層 과 謄寫 褶曲 , 巖脈 等 다양한 地質構造를 한 地點에서 볼 수 있는 稀貴한 脂質遺産으로 實際로 大學의 地質學科에서 現場 實習으로 訪問하고 있는 곳이다. 層理面은 北西 走向에 南西쪽으로 高脚 警査한다. [4] 적성면 애곡리-단양읍 상진리 간 山稜線을 따라 開設된 道路에는 아래 寫眞과 같이 흥월리層의 노두가 大規模로 드러나 있다.

삼태산層 과 石灰巖, 여천리 카르스트 地形

編輯

삼태산 石灰巖層 (os; Samtaesan limestone formation, 三台山石灰巖層) 또는 文曲層 은 大部分이 石灰巖 으로 構成되어 있어 漢江 西北部의 廣範圍한 石灰巖 카르스트 地帶를 形成하고 있는 石灰巖層이다. 적성면 어상천면 에서 가장 잘 發達하며 도담驛 東部에 位置한 石灰巖 鑛山들도 이들 삼태산層 分布地域에 位置한다. 어상천면 임현리 地域에서는 地層의 走向을 따라 貫入한 石英斑巖맥에 依해 切斷되어 捕獲巖으로 殘留하는 部分도 있다. 이 地域에서 走向은 北西 20~40°이며 警査는 北東 60~80° 또는 南西이다. 이 地層의 두께는 上限이 錦繡山 硅巖層으로 덮여 있어 正確한 두께를 알 수 없으나 200 m 以上으로 推定된다. [3] [19] [1] 손치무(1975)에 依하면 삼태산層은 흥월리層 과 漸移的이며 基底部는 石灰巖 이고 基底에서 10 m 以內에 두께 1~2 m 內外의 돌로마이트 層이 협재된다. 삼태산層의 石灰巖 은 쌍용시멘트( 雙龍C&E )에 依해 採取되고 있다. [14]

여천리 카르스트 地形 가곡면 여천리 一帶(N 37°00'48.06", E 128°22'04.22")에 發達하며 한일시멘트工場을 따라 올라가면 카르스트와 大體로 原形의 돌리네 地形이 觀察되며 이는 카카오맵 衛星寫眞으로도 보인다. [4] 영춘면 만종리 산 86, 노은재(N 37°05'51.79", E 128°23'07.16") 一帶에는 石灰巖이 風會되면서 部分的으로 溶蝕되어 石灰巖이 마치 塔 模樣을 이루며 남아 있는 地形인 카렌(karren) 地形이 테라로사 와 함께 發達한다. 그러나 認知度는 거의 없다. [4]

時代 未詳의 錦繡山 硅巖層

編輯

錦繡山 硅巖層 (kq, 錦繡山硅巖層)은 錦繡山 을 中心으로 丹陽郡과 堤川市 의 境界線을 따라 分布하는 硅巖層으로 生成 時期를 正確히 알 수 없으나 朝鮮 累層軍 삼태산 石灰巖層 위에 不整合 으로 놓이고 中生代 花崗巖에 依해 관입당했으므로 古生代 中生代 사이의 地層이다. 본 層은 主로 담灰色 또는 乳白色 硅巖 石英 片巖 으로 構成되고 暗灰色 및 담灰色 片巖, 粘板巖 , 千枚巖 等이 隨伴되며 前者는 下部에 發達하고 後者는 上部에 優勢하다. 그러나 粘板巖 , 千枚巖 류는 硅巖 層에 비해 小規模로 發達하며 단양읍 고평리 附近에 分布한다. 본 層은 大體로 南西~서 40~50°의 傾斜를 가지며 그 上限이 花崗巖에 依해 管入黨해 正確한 두께를 알 수 없으나 300 m 以上으로 計算된다. [3] [1]

甲山層

編輯

甲山層 (Og; gapsan formation)은 丹陽郡 어상천면 - 매포읍 - 堤川市 境界에 位置한 甲山(732.4 m)과 寧越郡 南面 토교리 南쪽에 位置한 歌唱山(818.6 m) 一帶에 分布하는 地層이다. 平昌 스러스트 單層 西便에서 甲山層으로 命名된 이 地層이 紅點層에 對比된다는 報告가 있었다. 甲山層은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1962)의 迎春圖幅에서 平昌 單層 西便에 길게 伸張된 模樣으로 朝鮮 累層軍 石灰巖과 돌로마이트 위에 놓이는 時代 未詳의 地層으로 처음 認知되었다. 이 地層의 下部는 主로 赤色의 組立 沙巖과 실트암으로, 中部는 담灰色 乃至 白色의 石灰巖 으로, 上部는 赤色 李嵒, 淡褐色 乃至 담灰色 石灰巖의 互層(互層)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李嵒은 石灰巖層 사이에 얇게 협재되고, 저變成 作用을 받아 一部 李嵒은 粘板巖 이나 千枚巖 으로 變하였다. 이 層의 石灰巖은 主로 海百合(가장 優勢), 蹼足類, 開形衝, 有孔蟲, 珊瑚, 紡錘蟲 等의 生物 破片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白色 乃至 담황갈색의 처트(chert)가 板狀(板狀) 또는 球形으로 많이 發達되어 있다. 본 地層이 나타나는 構造上의 位置에 依해 下部의 오르도비스기 石灰巖보다는 젊고, 中生代 쥐라紀 대보 造山運動 時期보다는 오래된 地層日 것으로 알려졌다. 以後 植物 化石 [20] [21] 과 紡錘蟲 化石이 産出되면서 甲山層의 地質時代는 古生代 石炭紀 下部 모스코비안에 該當하는 것으로 提案되었다. [22] [1]

古生代 後期에 形成된 平安 累層軍 丹陽郡 內에서 단양읍 , 대강면 , 단성면 境界 地域에서 漢江 과 平行하게 가곡면 향산리, 영춘면 商利까지 發達하여 丹陽炭田 을 形成하고 以後 寧越郡 으로 이어진다. 北東쪽(寧越 方面)으로 갈수록 地層의 分布 範圍가 넓어지는 傾向을 보인다. [1]

平安 累層軍 은 過去,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1962) 및 丹陽 地質圖幅(1967)에서는 밑에서부터 洪漸層, 使動層, 고방산層, 綠巖層으로 區分되었으나 이는 北韓 地域 平南 盆地의 層序를 따른 것으로 정창희 (1969, 1971)는 이 層序를 無效化시키고 平安 累層軍을 밑에서부터 灣港層 , 衿川層 , 將星層 , 함백산層 , 高한層, 桐高層으로 새로 區分하였으며 現在는 모든 硏究者가 이 層序를 따르고 있다. [23] 丹陽 地質圖幅(1967)에 依하면 竹嶺 單層 以南 地域, 卽 대강면 두음리와 장림리, 단성면 북상리, 대잠리 一部 地域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 紅點層과 使動層의 境遇 他 地域의 平安 累層軍 뿐만 아니라 竹嶺 單層 以北 地域의 것과도 크게 다르다. 竹嶺 單層 以南 地域의 平安 累層軍은 그 上部가 單層 들에 依해 切斷 或은 侵蝕되어 下部의 紅點層과 使動層만이 分布한다. [3]

區 洪漸層 (1962-1967)

編輯

洪漸層 (紅店層, Ch; Carboniferous Hongchoen Formation)은 朝鮮 累層軍 不整合 으로 덮는 平安 累層軍 最下位層으로 主로 덕절산(780.6 m)과 두악산(723 m) 東側에 發達하여 대강면 두음리, 단성면 북상리와 대잠리 等地에서 中生代 帶同 累層軍 搬送層 아래에 얇은 對象(帶狀)으로 分布하고 搬送層 向斜 褶曲 構造의 西側人 단성면 外中方里의 烽火臺(443.9 m) 周邊에도 小規模 分布한다. 본 地層의 主要 構成 巖石은 혼펠스 人 臺(帶)洪暗灰色紅褐色緻密癌, 얇은 層의 白色 硅灰石(硅灰石), 石灰巖 이고 暗灰色 또는 담灰色 沙巖과 黑色 셰일이 협재되며 他 地域의 紅點層에 비해 暗灰色이 優勢하다. 본 地層에 협재된 規誨癌은 2~3枚가 認知되며 普通 2~3 m의 두께이나 곳에 따라 多少 두꺼운 部分도 있다. 이 巖石은 덕절산 一帶와 회산리 南側에서 가장 잘 發達되어 그의 一部가 鑛石으로 採掘되었다. 灰白色 組立沙巖은 단성면 북상리 南側 덕절산 附近의 洪漸層 下部에 얇게 2~3枚 협재된다. 暗灰色 셰일은 덕절산 附近과 회산리 南側 山 안쪽에 發達된다. 대강면 괴평리 附近에서 測定한 이 地層의 두께는 250~300 m이다. 地層은 朝鮮 累層軍 과 비슷하게 北東 40~60°의 走向과 北西 30~50°의 傾斜를 가진다. 본 地層은 북상리 사깟봉(464.2 m) 附近에서 上位의 使動層에 依해 덮이며 덕절산 北西側에서 單層에 依해 朝鮮 累層軍 삼태산層과 接한다. [3] [1]

區 使動層 (1962-1967)

編輯

使動層 (寺洞層, Ps; Permian Sadong formation)은 洪漸層 上位의 地層으로 단성면 북상리 一部 地域에 極히 小規模로 分布된다. 主要 構成 巖石은 漆黑色 셰일, 黑色 沙巖, 灰白色 沙巖, 石灰巖 等이며 북상리 北側에서는 얇은층의 黑鉛 과 炭質(炭質) 셰일 이 협재된다. 두께 2~3 m의 灰白色 沙巖과 두께 1.5~2 m의 石灰巖이 협재되며, 얇은 層의 黑鉛 이 2~3枚 確認되나 모두 두께 30 cm 未滿이다. 본 地層은 竹嶺 斷層에 依해 地層이 多少 攪亂되어 單層 隣接部에서는 北西 20~70°의 走向을 가지며 그 南部에서는 北東 20~40°로 變하고 警査는 南西 40~70°또는 北西이다. 地層 두께는 約 80 m이다. [3] [1]

灣港層

編輯

灣港層 (?項層, Manhang formation)은 過去의 紅點層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鴻漸統(紅點層群)이란 이름은 平南 盆地 平壤 附近의 紅點(紅店)이라는 地名에서 由來한 것으로 平壤 附近의 石炭을 含有한 石炭紀-페름기 下部의 븕은색[紅]이 優勢한 地層을 指稱한 것이었으나 三陟炭田과 丹陽炭田의 '洪漸層'이라고 되어 있던 部分과 完全 같다고는 할 수 없어 정창희(1969)에 依해 旌善郡 고한읍 고한리의 灣港재 에서 이름이 由來한 灣港層으로 命名되었다. 地層의 走向은 北東 30~60°, 警査는 北서 30~50°이다.

  • 정창희 (1971)에 依하면 灣港層 은 丹陽炭田 東側에 0.5~1.5 km의 幅을 가지고 發達한다. 主로 紫色(?色) 셰일, 灰色 中立沙巖으로 構成되며 白色 沙巖과 綠色, 灰色 및 暗灰色 셰일 또는 이들의 互層(互層)으로 되어 있고 4 乃至 7枚의 담灰色 乃至 淡黃灰色의 石灰巖 을 렌즈上으로 협재한다. 이들 石灰巖 中에는 石炭紀 모스코飛雁 全般을 指示하는 紡錘蟲(푸줄리나, Fusulinidae)의 化石이 包含되어 있다. 丹陽 附近에는 暗灰色 및 綠灰色 셰일과 沙巖의 互層으로 되어 있으며 暗灰色 셰일 中에는 灰色 石灰巖 이 2枚 협재되어 있다. 이에도 同時代의 紡錘蟲 化石이 包含되어 있다. 丹陽炭田에서 灣項層의 두께는 200~500 m로 比較的 두껍다. [23]
  • 손치무(1975)에 依하면 영춘면 地域의 灣港層 은 表式地人 灣港재 와 달리 上部의 두꺼운 셰일層이 없으며 영춘면 에서는 褶曲 으로 反復 露出된 두무骨層 위에, 가곡면 보발리에서는 막동 石灰巖層 위에, 고수재 附近에서는 風村 石灰巖層 위에 直接 놓인다. 그리고 가곡면 사평리에서 漢江을 건너 여천리로 가는 고개 길가에도 灣港層의 綠色 셰일이 있고 그 밑에 將星層에 該當할 黑色 셰일이 있으며 麗川坑內에서는 이 黑色 셰일 밑에 함백산層으로 推定되는 沙巖이 나타나, 손치무는 이 一帶의 平安 累層軍이 逆轉되어 있음을 主張하였다. [14]
  • 灣港層은 主로 赤色 셰일과 淡綠色 組立沙巖으로 構成되는데 赤色 셰일이 特徵的이다. 沙巖은 얼핏 巖脈(石英斑巖 乃至 硅長巖)과 區別이 곤란하다. 赤色 셰일 中에는 白色의 石灰巖 層이 협재되어 있는데 大體로 렌즈上이어서 連續性이 弱하다. 두께는 最大 1 m이며 셰일 中에서 밀려나와 있다. 白色 石灰巖 中에는 紡錘蟲이 報告되어 있다. 단양읍 고수리 東方 2 km 地域에서 朝鮮 累層軍 高聲石灰巖層을 不整合 으로 덮으며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한다. 灣港層의 分布의 幅은 約 300 m이고, 그 두께는 200 m로 測定되며 단양읍 고수리에서 가곡면 덕천리로 가는 道路(고수재로)의 고개 附近에서는 衿川層에 依해 덮여 있다. 고수리-도담리 一帶에서는 逆斷層에 依해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 , 高聲 石灰巖層과 같이 數百 미터 上昇하여 元來의 分布知人 기촌리 西쪽의 고수洞窟 周邊에 2回 反復 露出된다. 고수洞窟 西쪽 700 m 道路邊 絶壁의 灣港層은 北東 20°의 走向에 西쪽으로 40°警査하나 走向과 傾斜에 局部的인 變化가 크다. [24]
  • 丹陽 地域의 灣港層 은 淡褐色, 담灰色 沙巖과 赤色, 綠色 셰일, 白色 또는 담灰色 結晶質 石灰巖으로 構成되고 下部에 赤色 셰일이 優勢하게 發達하며 地層의 두께는 기촌리에서 263 m 程度이다. 灣港層에서는 Neognathodus bothrops , Hindeodus minutus , Idiognathoides opimus , Idiognathoides sinuatus ,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 Diplognathodus orphanus , Declinognathodus lateralis , Declinognathodus noduliferus , Neogondolella clarki , Idiognathodus delicatus ,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等의 코노돈트 化石이 産出되며 그 地質時代는 아토칸(Atokan) 및 모르완(Morrowan)이고 이 化石들에 根據하여 灣港層에 Idiognathoides opimus Neognathodus bothrops 코노돈트 生層序帶가 設定되었다. [25]

衿川層 (黔川層, Geumcheon Formation)은 過去 使動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太白市 금천동 에서 이름이 由來된 衿川層 三陟炭田 에서 1969年 정창희 에 依해 처음 命名되었으며 過去 使動層 下部의 海成層 部分을 分離한 것이다. 地層의 警査는 大體로 北東 50~70°, 警査는 北서 20~70°이다.

  • 정창희 (1971)에 依하면 衿川層 은 暗灰色 中立沙巖 乃至 細粒沙巖을 두고 싱部에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이 있으며 暗灰色 石灰巖層을 2~3枚 협재함이 特徵이다. 이 石灰巖에는 後記 모스코祕案을 指示하는 紡錘蟲의 化石이 發見된다. 衿川層의 두께는 50~70 m 으로 얇지만 丹陽炭田 全 地域에 發達하며 단양읍 고수리에서는 週 分布帶 西쪽에 衝上斷層 에 依해 다시 露出된다. 衿川層은 灣港層을 整合으로 덮고 將星層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인다. [23]
  • 손치무(1975)에 依하면 衿川層은 단양읍 현천리에서 두무骨層 위에 놓이며 가곡면 여천리 대성炭座 坑內에서 衿川層은 朝鮮 累層軍 石灰巖 을 直接 덮고 있다. 衿川層 黑色 셰일 中의 石灰巖에서 石炭紀 의 有孔蟲化石이 産出되어 衿川層임이 밝혀졌다. [14]
  • 衿川層 은 從來의 使動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太白山地區 地下資源調査 當時의 地質圖(1962)에는 단양읍 고수리에서 가곡면 덕천리로 가는 고수재路에 灣港層(洪漸層)만이 드러난 것으로 되어 있으나 1993年 정창희의 調査에 依해 衿川層의 下部가 灣港層의 西側에 同伴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고수리 自動車 道路 고개 附近에서는 黑色의 셰일이 發見되고 暗灰色의 沙巖 도 發見된다. 注目할 만한 點은 셰일 中에 暗灰色의 石灰巖 層이 협재되는 것으로 石灰巖層은 3枚가 發見되는데 그 中의 한 層은 두께가 2 m에 達하며 여기서 石炭紀 의 紡錘蟲과 함께 珊瑚(珊瑚)의 化石이 發見되었다.(→따라서 衿川層은 海成層이다.) 衿川層은 그 西側에서 單層 乙 사이에 두고 막동 石灰巖層 과 接한다. 이곳의 막동 石灰巖層 쥐라紀 의 搬送層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여 있다. 衿川層 分布의 幅은 고수리 고갯길에서 250 m이고, 두께는 60 m이며 고수洞窟 南東쪽에서는 分布의 幅이 70 m, 두께 70 m이다. [24]
  • 이창진과 김기룡(1995)은 丹陽炭田 고수리 地域의 衿川層 中部의 石灰巖 層準에서 Ozawainella turgida , Neostaffella sphaeroidea , Beedeina schellwieni , Fusulina sp., Hanostaffella sp. 5屬 5種의 紡錘蟲(푸줄리나) 化石을 發見하였다. Hanostaffella 는 三陟炭田의 衿川層에서도 報告된 바 있으며 丹陽炭田 地域에서의 衿川層은 石炭紀 펜실베이니아歲 모스크바節( Moscovian , 모스코飛雁) 中部에 堆積된 것으로 보인다. [26]
  • 丹陽 地域의 衿川層 은 主로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과 細粒沙巖, 暗灰色 石灰巖으로 構成되며 一部 地域에서 石灰巖 內에 처트 가 發達하고 두께는 기촌리에서 92 m 程度이다. 衿川層 石灰巖에서 Neognathodus medexultimus , Neognathodus roundyi , Neognathodus dilatus , Gondolella bella ,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 Diplognathodus edentulus , Diplognathodus papilla n. sp. Park, Idiognathodus delicatus ,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等의 코노돈트 化石이 産出되었으며 地質時代는 中企 石炭紀 더모이네試案조이고 이 化石들에 根據하여 衿川層에 Neognathodus roundyi 生層序帶가 設定되었다. [25]
  • 丹陽郡 대강면 장림리 167番地 竹嶺千 河川邊(36°55'19.07"N, 128°20'53.83"E)에는 暗灰色 乃至 灰白色의 沙巖 으로 構成된 衿川層 노두가 드러나 있다. 노두의 衿川層 走向은 北東 25°, 警査는 北서 87°이며 水平의 單層朝鮮 이 發達하고 炊煙性 變形作用의 結果物인 안行商 印章斷熱이 發達한다. [12]

將星層 (長省層, Jangseong formation)은 三陟炭田의 太白市 장성동 에서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過去 使動層 上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衿川層 위에 不整合 으로 놓여 있으며 함백산層에 依해 整合으로 덮인다. 이 地層은 丹陽炭田의 主要 含炭層이다. 地層의 走向은 北東 50~70°, 警査는 北서 30~50°이다.

  • 정창희 (1971)에 依하면 將星層은 主로 黑色 셰일과 細粒質 沙巖으로 構成되며 數 枚의 石炭 層을 包含한다. 大體로 丹陽炭田 北部에서는 組立沙巖을 下半으로 하고 그 위에 石炭層 1枚를 含有한 輪廻層(輪廻層; cyclothem)을 4枚 겹친 三陟炭田의 將星層에 比較될 수 있겠으나 上部의 輪廻層은 수 每 더 작은 輪廻層으로 細分되는 境遇가 있다. 丹陽炭田의 南部로 감에 따라 沙巖은 세립질로 變하여 輪廻層의 特徵이 稀微해지게 된다. 본 層 上部에는 石炭層과 炭質셰일 및 셰일이 各各 數十 cm의 얇은 互層을 이루는 곳이 있으며 이런 境遇에는 州(主)炭層을 찾기 어렵다. 將星層의 下限은 衿川層 위에 오는 最下部 輪廻層(JA)의 基底 沙巖으로 하고 上限은 함백산層의 灰色 乃至 乳白色의 組立沙巖으로 된 基底 沙巖의 職下部로 한다. 將星層은 大體로 細粒質沙巖과 셰일로 되어 있어 輪廻層을 區別하기 쉽지 않으나 JA, JB, JC, JD 4個 輪廻層으로 區分할 수 있다. JD는 다시 3枚의 작은 輪廻層으로 細分된다. 各 輪廻層 中에는 1 乃至 2枚의 石炭層이 협재되어 있다. 三陟炭田에서는 JC의 石炭層이 가장 두꺼워 加行된다. 그러나 丹陽炭田에는 JC의 炭層은 局部的으로 採炭되지만 衿川層에 가장 가까운 JA의 炭層이 發達하여 있다. JB 中의 石炭層은 JC의 것과 비슷하여 發達이 局部的이다. JD에는 石炭層이 거의 發見되지 않는다. 石炭層 相反에는 植物 化石의 痕跡이 있으나 잘 保存된 것은 없다. 본 地層의 두께는 100~170 m이다. [23]
  • 丹陽炭田의 加行 對象 石炭層은 將星層에 包含된다. 將星層 內에는 그 上部에 週 加行 對象이 되는 1枚의 石炭層이 협재되며 이 石炭層 밑에 1~2枚의 石炭層이 있으나 炭層의 發達이 良好한 곳에서만 局部的으로 開發되었다. 丹陽炭田의 將星層의 두께는 石炭層의 發達과 密接한 關係를 가지고 있음이 採炭 및 石炭 開發 結果 確認되었다. 構造的인 變化가 없는 곳에서의 將星層 두께는 100 m 內外이나 곳에 따라 甚한 變化를 보여 어떤 地域에서는 30 m까지 줄어들기도 하고 300 m 以上으로 두꺼워지기도 하다. 將星層의 두께가 70 m 以下로 줄어드는 곳에서는 週 加行 對象이 되는 將星層 上部 石炭層을 包含한 將星層 上部 地層의 分布가 없는 곳이 大部分이며 將星層의 두께가 100 m 程度인 地域에서는 大體로 石炭層의 發達이 貧弱하고 丹沙(單斜) 構造를 이루는 것이 普通이다. 褶曲 構造에 依해 將星層의 두께가 늘어난 地域에서만 採炭 可能한 石炭層이 賦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
  • 將星層은 三陟 炭田의 使動層 上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衿川層을 不整合 으로 덮고 있지만 오랜 慣習으로 衿川層과 함께 使動層으로 묶여 왔다. 將星層은 元來 단양읍 기촌리에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하나 逆斷層에 依해 고수洞窟 附近과 고수리 고개에도 드러나 있다. 고수리 고개에는 검은色의 石灰巖 層을 협재韓 衿川層이 若干 얼굴을 내밀고 있지만 그 上位에 와야 할 將星層은 單層으로 잘려 없어지고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이 斷層을 激하고 衿川層과 接하여 있다. 고수洞窟 東方 400 m 附近과 洞窟 앞 금곡천 왼便에는 將星層이 分布되어 있다. 將星層은 暗灰色 셰일과 灰色 沙巖으로 構成되며 1枚의 石炭 層이 협재되어 있다. 고수리에서는 過去 將星層의 石炭이 開發되었으나 只今은 廢鑛되었다. 또 洞窟에서 南東쪽으로 800 m 되는 곳에도 衿川層이 灣港層과 將星層 사이에 협재되어 分布한다. 고수洞窟 入口의 駐車場에서 금곡천 건너便의 山을 보면 石炭層을 開發할 때 파낸 廢石더미 東쪽에 石灰巖이 보이는데 이 두 地點 사이에 고수리 單層이라 命名된 單層이 있다. 將星層은 그 分布의 幅이 100 m 內外, 두께는 80 m 程度이다. [24]
  • 박인수(1997)에 依하면 將星層은 衿川層 不整合 으로 덮고 主로 暗灰色 乃至 黑色 沙巖과 黑色 셰일, 石炭層으로 構成된다. 將星層의 黑色 셰일에서는 Tingia , Cordaites , Taeniopteris , Pecopteris 等의 植物 化石이 豐富하게 産出된다. 將星層의 두께는 기촌리에서 106 m 程度이다. [25]

함백산層 將星層 上位에 놓여 있으며 過去의 고방산層 下部에 該當한다. 丹陽 地域에서 함백산層의 走向은 大體로 北東 20~50°, 警査는 北서 30~80°이다. 乳白色 沙巖과 黑色 셰일로 構成되며 두께는 기촌리 一帶에서 100 m 程度이다. [25]

  • 정창희 (1971)에 依하면 함백산層 將星層 西便에 將星層과 平行하게 400~800 m의 幅으로 對象(帶狀) 發達하며 從來의 고방산層 分布帶와 거의 一致한다. 大部分 淡色의 沙巖 으로 構成된 地層이나 硅化 作用으로 硅巖 으로 變해 있다. 硅巖層은 風化에 强해 山 稜線部에 分布하며 乳白色이고 組立沙巖을 主로 하나 間或 두께 2~3 m의 黑色 셰일을 협재한다. 함백산層 基底에서 約 40 m 되는 곳에 石炭層이 發達되는 境遇가 있다. 본 層은 大體로 將星層과 整合的이며 아직 野外에서 不整合 을 指示하는 基底 礫巖層이 發見되지 않았다. 정창희는 三陟炭田의 白雲山 山政府 附近에서 硅巖 願力(圓礫)과 黑色 셰일의 角礫을 含有한 礫巖層이 將星層을 不整合 으로 덮는 部分을 보았으나 其他 地域에서는 漸移的이어서 不整合 을 認定할 수 없었다. 본 地層의 두께는 100~300 m이며 上部는 道士曲層에 依해 整合으로 덮인다. [23]
  • 손치무(1975)에 依하면 함백산層은 가장 넓게 分布하며 將星層 위에 있지만 灣港層 衿川層 , 朝鮮 累層軍 過度 直接 接하며 이러한 現象이 單層 에 依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고 하였다. [14]
  • 함백산層은 고방산層 下部에 該當하며 고수洞窟 附近에서는 고수리 單層 東側에 넓게 分布한다. 고수洞窟 의 出口는 雪眉氣骨에라는 溪谷에 있는데 이 雪眉氣骨 西側 50 m 以內에 고수리 單層이 있어 고수洞窟을 包含한 막동 石灰巖層은 고현리 單層을 사이에 두고 함백산層과 接하고 있다. 이곳의 함백산層은 고수리 單層 東方 400 m 에 있는 또다른 逆斷層 '사평리 單層'에 依해 잘린다. 함백산層은 主로 담灰色 乃至 白色의 組立 沙巖으로 되어 있다고 하나 沙巖은 變成되어 硅巖으로 變해 있다. 이는 아주 단단하며 構成 鑛物은 거의 모두가 石英 粒子이고 粒子들 사이는 細粒의 石英 粒子로 充電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는 硅酸이 沈澱되어 있다. 고수洞窟 駐車場에서 垂直距離로 50 m 더 높은 곳(海拔 200 m)에 있는 洞窟 出口에 接하여 함백산層의 노두가 發見되며 洞窟 出口 西側에는 막동 石灰巖層이 드러나 있다. 洞窟의 出口는 바로 고현리 斷層을 뜷고 나온 것이라고 하여도 좋을 것이다. 고현리 斷層과 사평리 單層 사이의 함백산層은 分布가 이들 斷層에 依해 規制되어 幅이 約 400 m, 地層의 두께는 200 m이다. 사평리 單層 東側의 함백산層은 分布의 幅이 最大 600 m, 地層 두께는 250 m이다. 사평리 單層 北端部 東側에는 道士曲層이 함백산層을 덮으며 分布한다. 함백산層의 走向은 南-北~北東 10°, 警査는 西側으로 40~50°이다. [24]

道士曲層

編輯

道士曲層 (咸白山層, Hambaeksan Formation)은 함백산層 上位의 地層이다.

  • 정창희(1971)에 依하면 道士曲層은 淡綠色을 띠는 組立沙巖을 主로 하고 灰色의 中立沙巖을 협재한다. 가곡면 사평리 附近에서는 單層으로 좁은 便으로 함백산層과 接한다. 본 地層의 두께는 300 m 內外이다. [23]
  • 道士曲層은 三陟炭田에서 고방산層의 中部 또는 一部 綠巖層으로 불리던 地層이다. 이는 사평리 斷層에 接하여 그 東쪽에 露出되며 함백산層을 整合으로 덮는다. 이 地層은 灰綠色 中立沙巖을 主로 하며 赤紫色의 셰일을 협재한다. 走向과 警査는 함백산層과 같고 地層의 두께는 150 m 以上이다. [24]

高한層 (고한리層)

編輯

高한層 (古汗層, Gohan Formation) 또는 고한리層 (古汗里層, Gohanri Formation)은 道士曲層 上位의 地層이다. 이 名稱은 元來 三陟炭田 地域의 旌善郡 고한읍 고한리에서 由來한 것이다.

  • 정창희 (1971)에 依하면 고한리層은 丹陽郡 가곡면 사평리 南쪽 3 km 地點에서 迎春 北西쪽 約 3 km 附近까지 道士曲層의 西쪽에 接하여 分布한다. 또한 사평리 東쪽 1.5 km를 지나는 單層 西側에 分布된 道士曲層에 接하여 約 5 km 分布한다. 본 層은 黑色 셰일, 暗灰色 組立沙巖, 淡綠色 中立沙巖 等으로 構成된다. 사평리 南方 1.5 km에는 가곡면 對代理에서 흘러나오는 比較的 넓은 溪谷이 있는데 이 溪谷을 건너는 車道에서 이 溪谷 上流로 500 m 程度 되는 곳에서 發見되는 高한層의 黑色 셰일 中에서 植物 化石이 發見된다. 본 地層의 두께는 200 m 內外이다. [23]
  • 손치무(1975)에 依하면 고한리層은 가곡면 향산리와 伽倻나루 사이의 道路上에서 볼 수 있으며 綠灰色의 판암으로 構成되고 伽倻나루 附近의 溪谷 入口에서 觀察 結果 고한리層이 朝鮮 累層軍 火절層 과 直接 接한다. [14]

東古層

編輯
 
丹陽郡 영춘면 사지원리 軍奸巧三거리 前面의 平安 累層軍 綠巖層 露頭

東古層 (東古層, Dong-go Formation)은 平安 累層軍 最上部 地層이며 地層의 이름은 三陟炭田 旌善郡 고한읍 고한리 東古炭鑛에서 由來되었다. 地質時代 古生代 페름기 ~ 中生代 트라이아스기 로 推定된다. 東古層은 丹陽炭田 中部에 分布하며 局部的으로 高한層을 不整合 으로 덮는 것으로 보이는 두께 1 m 未滿의 基底 礫巖層을 두는 곳이 있으나 調査가 더 必要하다. 본 層은 主로 淡綠色, 淡靑色, 暗灰色 等의 細粒沙巖으로 構成되고 그 中에 얇은 紫色 실트質沙巖 또는 紫色 셰일層을 협재한다. 곳에 따라 紫色 셰일의 不規則한 便(片)李 含有된 部分이 있다. 紫色暗層은 連續性이 不良하며 곳에 따라 여러 매의 姿色層이 發見되나 1~2매만이 협재되는 境遇도 있다. 基底 礫巖層을 構成하는 驛은 直徑이 15 cm에 達하는 것도 있으나 大部分은 4 cm 以下의 잔자갈로 驛은 규질암이 많으며 驛 사이에는 綠泥石 質 物質이 들어 있다. 본 層에는 斜層理 가 特히 잘 發達되어 있으며 單位層의 두께는 大部分 70 cm 未滿으로서 함백산層의 單位層에 비하면 小規模이며 斜層理의 層理 發達이 뚜렷하게 觀察된다. [23]

오늘날 通用되는 平安 累層軍 의 地質 系統表와 層序는 다음과 같다. 平安 累層軍을 對象으로 한 調査가 大部分 石炭 을 目的으로 하였기 때문에, 炭田(炭田)이란 名稱을 使用한다. [28] [29]

地質 時代 地域
三陟炭田 江陵炭田 旌善 - 平昌炭田 寧越炭田 丹陽炭田 報恩炭田 平南盆地 두萬分之
中生代 三疊紀
201.3?252.17 Mya
中世 237?247.2 Mya 아니시안 東古層 박지산層 東古層 太子圓筒
傳貰 247.2?252.17 Mya 咽頭안 상원산層
古生代
페름기
252.17?298.9 Mya
로핑기아 252.17?259.8 Mya 고방산통 송相通
과달루페
259.8?272.3 Mya
카피탄 高한層 (언별리層) 옥갑산層 高한層
워디안 道士曲層 망덕산層 道士曲層
로디안
時數랄里아
272.3?298.9 Mya
쿤쿠리안 함백산層 함백산層 함백산層 함백산層 鷄龍山桶
아르틴스키안 將星層 將星層 將星層 美炭層 將星層 將星層 사동통
사크마리안 밤치層 밤치層 밤치層 暗記桶
아셀吏案 立席桶
古生代
石炭紀
252.17?298.9 Mya
펜실베이니아
298.9?323.2 Mya
모스크바 衿川層 衿川層 衿川層 板橋層 衿川層 鴻漸統
灣港層 灣港層 灣港層 要鳳層 灣港層 灣港層
바시키르

中生代 帶同 累層軍 搬送層群

編輯

帶同 累層軍 搬送層群 (Jb; Jurassic Daedong supergroup bansong formation, 盤松層)은 丹陽郡 에서 寧越郡 까지 閣童 衝上斷層을 따라 北東-南西 方向으로 分布하는 中生代 쥐라紀 帶同 累層軍의 地層으로 山成不二? (1926) [30] 에 依해 처음 命名되었으며 丹陽郡 內에서는 단성면 北西部에서 漢江 을 따라 영춘면 사지원리 西部에 이르기까지 分布한다. 搬送層은 두터운 沙巖類와 셰일 類의 互層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比較的 얇은 礫巖層과 알코스 沙巖 等이 隨伴되고 搬送層 下部에는 數 枚의 炭層(炭層)李 협재된다. 搬送層의 두께는 300 m 以上이다. 搬送層은 朝鮮 累層軍 平安 累層軍 洪漸層 上位에 大槪 警査 不整合 으로 놓이나 丹陽郡 단성면 하방리~심곡리 地域에서는 搬送層 下部가 朝鮮 累層軍 平安 累層軍 正斷層 으로 接하고 있다. [3] [31] [1] 丹陽炭田 地域의 搬送層에서 나온 植物化石에 根據해 搬送層群의 地質時代는 트라이아스기 ~ 쥐라紀 로 推定된다. [7]

搬送層은 大槪 北西쪽으로 경사져 있으나 곳곳에서 褶曲 을 形成하며 單層 으로 인해 走向 方向으로 잘려나갔거나 重疊, 反復되기도 한다. 特히, 1990年의 調査 當時 적성면 애곡리 地域의 搬送層 上部에서 그 軸面이 北西쪽으로 傾斜진 燈檠향사(isoclinal syncline)가 確認되었다. 또한 가곡면 향산리와 영춘면 사지원리 地域에서 只今까지 알려지지 않은 衝上斷層 에 依해 搬送層이 重疊 分布되어 있음이 確認되었다. [31]

搬送層은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1962)에서 下部의 礫巖層원과 上部의 沙巖-셰일層원으로 區分되었으나, 丹陽 地質圖幅(1967)에서는 그냥 搬送層으로 區分하였다. 정창희(1971)는 搬送層群을 밑에서부터 사평리層, 현천리層, 덕천리層으로 區分하였고 그 以後의 硏究들은 모두 返送層群을 밑에서부터 사평리 礫巖(層), 현천리層, 덕천리層으로 區分하고 있다.

脂質遺産 및 露頭

編輯

단양읍 상진리 산 58-1 (N 36°58'36.33", E 128°21'02.90"), 南漢江 道路邊에는 不整合 面과 搬送層의 礫巖, 沙巖, 泥巖이 觀察되며 셰일 層에서 植物化石이 多數 觀察되고 甲殼類 化石도 드물게 算出된다. [4] 가곡면 향산리 700 (N 37°03'17.08", E 128°25'21.09")에는 平安 累層軍 綠巖層의 地層 위에 不整合 으로 靑灰色의 凝灰質沙巖이 分布한다. 河川에 100 m의 노두가 發達해 있으며 이 노두는 향산리 3層石塔에서 河川을 따라 올라가면 찾을 수 있다. [4] 단양읍 심곡리 山 38-1 (N 36°57'43.30", E 128°21'54.06")에는 古生代 朝鮮 累層軍과 中生代 帶同 累層軍이 分布하며 두 巖石의 關係가 單層 認知 不整合 인지는 明確히 알 수 없다. 노두의 왼쪽 南漢江 方向의 巖石이 凝灰巖이며 反對쪽 小河川을 따라 石灰質이암이 分布하고 있다. [4]

사평리 礫巖層

編輯

사평리層 (沙坪里層) 또는 사평리 礫巖層 (沙坪里 礫巖層)은 帶同 累層軍 搬送層群의 最下部 地層으로 平安 累層軍 朝鮮 累層軍 不整合 으로 덮으며 主로 礫巖 으로 構成된다.

  • 정창희 (1971)에 依하면 사평리層은 藏經 10~40 cm, 最大 80 cm의 原形 驛과 沙質의 氣質을 가지며 곳에 따라 驛質沙巖, 沙巖으로 變하거나 셰일 을 협재한다. 驛(礫)은 硅巖 이 大部分이고 花崗巖, 沙巖, 셰일, 石灰巖度 있다. 地層의 두께는 最大 300 m이다. [23]
  • 박수인과 정창희 (1975)에 依하면 사평리 礫巖層의 驛(礫)은 大槪 아원상이고 主로 硅巖 , 沙巖 으로 構成되며 起源 巖石은 朝鮮 累層軍 平安 累層軍 으로 推定된다. 또한 石灰巖 力(礫)에서 오르도비스기 石炭紀 코노돈트 와 紡錘蟲( 衿川層 에서 由來한 것으로 推定) 化石이 産出되었다. 사평리 礫巖層의 堆積 環境은 호성 環境이다. [32]
  • 정창희 와 박수인(1979)은 사평리層 礫巖의 石灰巖力(礫)에서 Ozawainella paratingi , Pseudostaffella gorskyi , Pseudostaffella kimi , Pseudostaffella dogensis , Neostaffella sphaeroidea cuboides , Neostaffella hanensis , Neostaffella papilioformis? Beedeina sp. 等의 紡錘蟲 化石이 發見되었으며, 이들 化石의 地質時代 石炭紀 모스크바節(Moscovian)이고 三陟炭田 및 丹陽炭田의 灣港層 衿川層 에서 産出되는 紡錘蟲과 同一한 種이다. 사평리層의 堆積物 一部는 平安 累層軍 灣港層 衿川層 에서 由來되었음이 분명하게 밝혀졌다. [33]
  • 단양읍 상진리 건너便 江岸에서 두께 160 m의 사평리 礫巖層은 朝鮮 累層軍 大석회암층君의 暗灰色 石灰巖 위에 놓여 있다. 사평리 礫巖의 最下部는 沙巖 이나 李嵒 이 全혀 包含되지 않고 紫色(?色)의 礫巖 으로만 構成된다. 가곡면 향산리 地域의 사평리 礫巖層은 平安 累層軍 高한層의 綠色 실트스톤 또는 斜層理 가 잘 發達된 沙巖 위에 놓이며 關係는 不明이다. 이 地域의 사평리 礫巖層은 凝灰質沙巖과 礫巖 이 交代로 나타나며 凝灰質沙巖에는 微弱한 層理 가 發達한다. 現天巧 附近의 사평리 礫巖層은 박층의 石灰巖 을 협재하고 灣港層으로 推定되는 地層 위에 不整合 (部分的으로 單層 )으로 놓인다. 下部로부터 두께 5.5 m의 礫巖, 26 m의 凝灰巖 , 7 m 以上의 礫巖 으로 構成되고 이보다 더 上位의 礫巖 은 江물에 잠겨 觀察되지 않으나 단양역 에서 約 1 km 南쪽에 있는 터널 附近에 나타나 있다. 最下部의 礫巖은 藏經이 10 m에 達하는 巨大한 石灰巖 巖塊들을 包含하고 있다. 영춘면 사지원리 下院部落의 사평리 礫巖層은 平安 累層軍 道士曲層의 沙巖 위에 놓이며 두께 28 m의 礫巖 위에 두께 90 m 以上의 綠色~靑灰色 凝灰巖代價 놓인다. 一部 地質圖에는 返送層 分布地域에 石英斑巖이 貫入한 것으로 表記되어 있는데 이는 石英斑巖이 아니라 사평리 礫巖層의 凝灰巖이다. 사평리 礫巖에 들어 있는 石灰巖 碎屑巖(clast)에서 紡錘蟲 化石 Ozawainella paratillgi , Ozawainella magna , Pseudostaffella gorskyi , Pseudostaffella kimi , Pseudostaffella dojensis , Neostaffella sphaeroidea , Neostaffella hanensis , Neostaffella papilioformis , Fusulinella jamesensis , Beedeina sp.科 코노돈트 化石 Hindeodella sp., Lonchodina? sp., Idiognathodus sp., Oistodus sp., 0repanodus sp., Scolopodus sp. 等이 算出되어 이 石灰巖 碎屑巖들은 平安 累層軍 灣港層과 衿川層 및 朝鮮 累層軍 에서 由來한 것으로 解釋된다. [31]
  • 전희영(1990)에 依하면 사평리層은 主로 礫巖으로 構成되며 沙巖과 셰일을 협재하고 朝鮮 累層軍 平安 累層軍 不整合 으로 덮는다. 礫巖의 石灰巖役의 試料에서 코노돈트 化石이 産出되었으며 이로부터 礫巖의 碎屑聖域은 平安 累層軍 에서, 炭酸鹽巖驛은 紅點層과 朝鮮 累層軍 에서 由來한 것으로 解釋되었다. [7]

현천리層

編輯

현천리層 (玄川里層) 또는 현천리 셰일層 丹陽郡 단양읍 현천리에서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사평리 礫巖層 위에 오는 黑色 李嵒~ 셰일 優勢대로 構成된다.

  • 정창희 (1971)에 依하면 현천리層은 사평리層을 整合 으로 덮으며 사평리層이 없는 곳에서 平安 累層軍 이나 朝鮮 累層軍 을 基底礫巖을 두고 不整合 으로 덮기도 한다. 현천리層은 主로 暗灰色 셰일 로 構成되며 灰色 乃至 白色의 沙巖 과 炭層을 협재한다. 현천리層의 두께는 20~100 m이며 쥐라紀 의 植物化石이 包含되어 있다. [23]
  • 현천리層에는 高角의 正斷層과 底角의 衝上斷層 및 逆轉褶谷이 發達한다. 단양읍 상진리의 南쪽 江邊에서 두께 70~80 m 현천리層은 黑色의 李嵒/셰일 또는 실트스톤으로 構成되며 수~數十 cm 두께의 情/逆漸移層理가 있는 沙巖 이 협재된다. 현천리層의 黑色 李嵒/셰일에는 植物 化石이 産出되며 數 枚의 無煙炭 層이 협재된다. [31]
  • 전희영(1990)에 依하면 黑色 셰일이 優勢하며 幅의 變化가 甚하고 두께 150 m의 地層 內에 1~2枚의 石炭 層이 협재된다. Euestheria 植物化石의 算出에 根據하여 聞慶炭田의 보림層, 金浦炭田의 통진層, 忠南炭田의 峨嵋山層과 백운사層에 對比된다. [7]

덕천리層

編輯

덕천리層 (德泉里層) 또는 덕천리 沙巖層 (德泉里 沙巖層)은 丹陽郡 가곡면 덕천리에서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이 上部의 地層은 發見되지 않았다.

  • 정창희 (1971)에 依하면 덕천리層은 현천리層을 整合 으로 덮으며 主로 灰白色의 沙巖 으로 構成되고 間或 暗灰色 셰일 을 협재한다. 地層의 두께는 300 m 以上으로 褶曲 單層 에 依해 反復되기도 한다. [23]
  • 덕천리層의 下部는 박층의 沙巖이 협재된 黑色 李嵒/셰일과 수~10 m 두께의 沙巖이 交互되며 上部는 數十 m 두께의 沙巖體와 그 사이에 介在되는 數 m 두께의 黑色 李嵒으로 構成된다. 적성면 애곡리의 덕천리層 下部는 黑色 셰일과 細粒凝灰質沙巖으로 構成되며 黑色 이암이 협재된다. 단양읍 별곡리의 덕천리層 下部는 數 m 두께의 沙巖體들과 黑色 이암이 交好하며 疫疾沙巖과 礫巖을 包含한다. 덕천리層 上部의 李嵒에서도 드물게 植物化石이 産出된다. [31]
  • 전희영(1990)에 依하면 長石質沙巖이 優勢하며 현천리層과의 境界는 漸移的이고 閣童 衝上斷層에 依해 朝鮮 累層軍 과 直接 接한다. 두께 300 m의 덕천리層은 主로 灰白色의 沙巖으로 構成되고 暗灰色의 셰일 및 沙質셰일을 협재하는데 여기서 植物化石이 發見되었다. [7]

植物化石

編輯

帶同 累層軍 搬送層 內에서는 다음과 같은 植物化石이 確認되었다. [31]

  • Coniopteris hymenophylloides
  • Cladophlebis raciborskii
  • Cladophlebis denticulata
  • Cladophlebis haiburnensis
  • Cladophlebis nampoensis
  • Cladophlebis argutula
  • Cladophlebis kogendoensis
  • Cladophlebis meniscoides
  • Cladophlebis williamsoni
  • Ctenis yamanarii
  • Marattiopsis muensteri
  • Ginkgoites sibirica
  • Ginkgoites hermelini
  • Annularipsis inopinata
  • Equisetites ferganensis
  • Pterophyllum nathorsti
  • Pterophyllum subaequale
  • Baiera lindleyana
  • Baiera gracilis
  • Baiera longifolia
  • Sphenobaiera spectabilis
  • Eretmophyllum saiganensis?
  • Czekanowskia setacea
  • Czekanowskia rigida
  • Pityophyllum longifoliurn
  • Podozamites lanceolatus
  • Podozamites gracilis
  • Schizolepis moelleri
  • Phoennicopsis sp.
  • Clenis sp.
  • Elatocladus sp.
  • Otozamites sp.
 
丹陽 舍人巖
 
舍人巖 案內板
北緯 36° 53′ 37.3″ 東京 128° 20′ 27.1″ ? / ? 北緯 36.893694° 東京 128.340861° ? / 36.893694; 128.340861
 
下仙巖 案內板
北緯 36° 54′ 28.7″ 東京 128° 18′ 34.8″ ? / ? 北緯 36.907972° 東京 128.309667° ? / 36.907972; 128.309667
 
單兩國가지질公園 下仙巖과 溪谷의 白堊紀 黑雲母 花崗巖
 
黑雲母 花崗巖의 一部가 國道 제59호선 위로 突出되어 있다.
北緯 36° 51′ 32.6″ 東京 128° 17′ 01.5″ ? / ? 北緯 36.859056° 東京 128.283750° ? / 36.859056; 128.283750
 
단성면 벌천리의 花崗巖
北緯 36° 51′ 35.0″ 東京 128° 17′ 03.2″ ? / ? 北緯 36.859722° 東京 128.284222° ? / 36.859722; 128.284222

中生代 白堊紀 에 貫入한 黑雲母 花崗巖 (Kbgr; biotite granite)은 丹陽郡 대강면 방곡리, 西部 올산리, 황렁리_ 직티리와 단성면 東部 벌천리, 가산리, 장회리, 龜潭峯 및 적성면 西部 성곡리 地域에 分布한다. 花崗巖은 선캄브리아기 黑雲母 花崗巖質 片麻巖과 朝鮮 累層軍 , 錦繡山 硅巖層을 貫入하고 있으며 丹陽郡 밖인 聞慶市 동로면 에서 中生代 의 帶同 累層軍 搬送層을 貫入하고 있다. 巖石의 主要 構成 鑛物은 石英 , 斜長石 , 正長石 , 黑雲母 다. [3] [1]

丹陽 龜潭峯

編輯

丹陽 龜潭峯 (丹陽 龜潭峰)은 丹陽郡 단성면 장회리의 絶壁 위의 바위가 거북이를 닮아 龜潭峯이라 하며, 이곳의 花崗巖은 板狀節理가 特異하게 形成되어 있다. 龜潭峯은 높은 山岳地形의 一部로 指標로 露出되는 過程에서 水平-垂直 節理를 形成하며 아름다운 絶景을 이루고 있다. 龜潭峯 花崗巖에는 우라늄 이 67~1378 ppm, 토륨 이 41~662 ppm 包含되어 있으며 SHRIMP 저어콘 U-Pb 年齡 測定 結果는 中生代 白堊紀 에 該當하는 90.4±0.5 Ma이다. [34]

丹陽 舍人巖

編輯

丹陽 舍人巖 (丹陽 舍人巖)은 남조천(一名 운계천)邊에 屛風처럼 넓은 花崗巖 바위가 板狀節理와 垂直節理를 이루고 있으며 이 地域의 花崗巖體는 上部에 토르를 비롯한 節理가 잘 發達하여 特異한 景觀을 形成한다. [35] 舍人巖 花崗巖에는 우라늄 이 73~9791 ppm, 토륨 이 42~2908 ppm 包含되어 있으며 SHRIMP 저어콘 U-Pb 年齡 測定 結果는 中生代 白堊紀 에 該當하는 90.4±1.5 Ma이다. [34] 丹陽 舍人巖은 斷層에 依해 절개된 露出面日 可能性이 있다. [4]

上仙巖, 中仙巖, 下仙巖

編輯

丹陽 地域 地層대비표

編輯
丹陽炭田 層序對比表
地質時代 小富信夫 (1942) Brill (1957) 太白山 (1962) 손치무 外 (1967) 정창희 (1971) [23] 손치무 (1975) 박정자 外 (1975) 최현일 (1990) [31]
白堊紀
火成巖類
分巖類
硅長巖
花崗巖
幽門斑巖
花崗斑巖
石英斑巖 石英斑巖
장석반癌
石英斑巖
장석반癌
- 石英斑巖
장석반癌
硅長巖
花崗斑巖
三疊紀 - 쥐라紀
帶同 累層軍 搬送層
沙巖 및 셰일
基底礫巖
上部層
下部層
沙巖-셰일층원
礫巖層원
덕천리 沙巖層
현천리 셰일層
사평리 礫巖層
덕천리層
현천리層
사평리層
덕천리層
사평리 礫巖
현천리層
덕천리層
현천리層
사평리 礫巖層
덕천리層
현천리層
사평리 礫巖
石炭紀 - 페름기
平安 累層軍
고방산통
사동통
鴻漸統
綠巖層
고방산層
使動層
洪漸層
綠巖桶
고방산통
사동통
鴻漸統
綠巖桶
고방산통
사동통
심곡리層
고수리層
東古層
고한리層
道士曲層
함백산層
將星層
衿川層
灣港層
白山層
新村層
皮內骨層
고한리層
함백산層
將星層
衿川層
灣港層
興校層
용산봉層
奉養層
기촌層
將星層
衿川層
灣港層
東古層
高한層
道士曲層
함백산層
將星層
衿川層
灣港層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朝鮮 累層軍
대석회암통
陽德桶
대석회암통
陽德桶
高聲 石灰巖層
막동 石灰巖層
두무동層
同點 硅巖層
風村 石灰巖層
묘봉層
萇山 硅巖層
朝鮮系 朝鮮系 상동層群 朝鮮系 대석회암통 막동 石灰巖層
두무동層
천동리層
묘봉層
萇山 硅巖層



堤川圖幅
적성면 北西部
迎春圖幅
매포읍 , 어상천면
적성면 中部, 영춘면 北西部
가곡면 中北部
丹陽度幅
적성면 南部, 매포읍 응實利
단양읍 , 가곡면 南部
단성면 , 대강면
玉洞圖幅
영춘면 東部
地層名 構成 巖石 두께 地層名 構成 巖石 두께 地層名 構成 巖石 두께 地層名 構成 巖石 두께


- 搬送層
(Jbs)
沙巖
셰일
無煙炭
- 搬送層
(Jbs)
沙巖
셰일
礫巖
無煙炭
- -
搬送層
(Jbc)
礫巖 -







- 綠巖層
(TRn)
沙巖 - 綠巖層
(TRn)
沙巖 - -
- 고방산層
(TRg)
셰일
沙巖
- 고방산層
(TRg)
沙巖 - -
- 使動層
(Ps)
黑色 셰일
沙巖
- 使動層
(Ps)
黑色 셰일
沙巖
石灰巖
炭質 셰일
黑鉛
80 -
- 洪漸層
(Ch)
셰일
沙巖
- 洪漸層
(Ch)
白色 規誨癌
石灰巖
沙巖
黑色 셰일
250~300 洪漸層
(Ch)
셰일
沙巖
-



錦繡山 硅巖層
(Kq)
硅巖
石英片巖
- - 錦繡山 硅巖層
(Kq)
硅巖
石英片巖
300 以上 -





삼태산層
(Ols)
石灰巖 - 삼태산層
(Os)
石灰巖 - 삼태산層
(Os)
石灰巖
돌로마이트
硅質巖
200 以上 -
흥월리層
(Odo)
돌로마이트 - 흥월리層
(Oh1)
돌로마이트 - 흥월리層
(Oh)
돌로마이트 - -





- 高聲 石灰巖層
(Ogl)
石灰巖 - - 高聲 石灰巖層
(Ogl)
石灰巖
돌로마이트질 石灰巖
100
- 막동 石灰巖層
(Om)
돌로마이트질 石灰巖
石灰巖
- 막동 石灰巖層
(Om)
石灰巖
돌로마이트
250~350 막동 石灰巖層 石灰巖
돌로마이트
500
- 두무동層
(Odu)
石灰巖
沙質 셰일
- 두무동層
(Od)
石灰巖 30~70 두무동層
(Odu)
石灰巖
暗灰色 셰일
220
- 同點 硅巖層
(Od)
硅巖 - 천동리層
(Oc)
硅巖
괴相 石灰巖
泥灰巖
沙巖
石灰質 셰일
돌로마이트질 셰일
200~250 同點 硅巖層
(Od)
硅巖 5~30




- 火절層
(CEw)
石灰巖
沙巖
沙質 셰일
- 火절層
(CEw)
石灰巖
셰일
200
- 風村石灰巖層
(CEp)
石灰巖 - 風村石灰巖層
(CEp)
돌로마이트
石灰巖
250~300 風村石灰巖層
(CEp)
石灰巖
돌로마이트
400
- 삼방산層
(cs)
沙巖
셰일
- 묘봉 셰일層
(CEm)
綠(癌)灰色 셰일
粘板巖
沙質 셰일
千枚巖
60~100 묘봉 셰일層
(CEm)
白色 石灰巖
粘板巖
200
- 萇山 硅巖層
(CEj)
硅巖 - 萇山 硅巖層
(CEj)
灰白色 硅巖
石英 片巖
60~80 萇山 硅巖層
(CEj)
乳白色 硅巖
처트
礫巖
200~300





- 페그마타이트질
미그마타이트
(pm)
花崗巖質 片麻巖
(PCEggn)
片麻巖 - 黑雲母 花崗巖質
片麻巖 (PCEbggn)
片麻巖 - 페그마타이트질
미그마타이트
(pm)
- -

丹陽郡의 褶曲

編輯

梅浦 複向斜臺

編輯

梅浦 複向斜臺는 丹陽郡 매포읍 一帶에 發達하는 향사 褶曲 構造로 삼태산層 이 向斜軸의 方向에 平行하게 發達하며 흥월리層 삼태산層 [14]

德상곡 褶曲帶

編輯

丹陽炭鑛 內에서는 數 個 條의 (德尙谷)謄寫 褶曲 構造에 따라 平安 累層軍 將星層이 넓은 分布를 가지며 이 地域에서 將星層의 두께는 300 m 以上으로 確認되고 同一 炭層이 數 回 反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

봉우等 褶曲帶

編輯

가곡면 사평리 所在 봉우等(695.7 m) 附近에서는 고방산통이 將星層 內 및 將星層 上位에 向斜軸을 따라 延長 分布되며 將星層 內에도 數 會議 褶曲 構造가 發達된다. [27]

태화산 褶曲帶

編輯

영춘면 오사리 北西部의 태화산(1027.5 m) 附近에는 數 會議 향사와 背斜 褶曲 構造에 依해 고방산層이 넓은 分布를 보이는데 向斜軸을 따라 帶同 累層軍 搬送層이 分布하는 곳도 있다. [27]

鷹峯 褶曲帶

編輯

鷹峯(鷹峯) 地域에서 灣項層과 衿川層이 數 次例에 걸쳐 향사와 背斜에 依해 反復 分布된다. [27]

丹陽郡의 單層

編輯

丹陽郡에 發達하는 主要 單層 으로는 玉童 單層 을 爲始한 北東-南西 走向의 單層들과 竹嶺 溪谷을 따라 發達하는 西北西 走向의 竹嶺 單層, 北쪽의 寧越郡 에서 내려온 寧越鱗片狀救助隊 의 스러스트 斷層들이 있다. 玉童 單層 閣童 스러스트 單層 寧越郡 으로, 竹嶺 斷層은 榮州市 로 延長된다. 丹陽 地域에서는 正斷層과 走向 移動 單層 그리고 多數의 스러스트 單層 을 觀察할 수 있다. [36] 丹陽郡 영춘면 地域의 境遇 最小限 4回의 變形作用을 겪었으며 그中 첫 番째 變形作用 때 玉童 單層 이 形成된 것으로 推定된다. [37] [8]

玉童 單層 大韓民國 江原道 旌善郡 예미리 에서 寧越郡 金삿갓面 옥동리 와 丹陽郡 東部를 지나 慶尙北道 尙州市 함창읍 까지 發達하는 延長 100km 以上, 北東-南西 走向의 單層 이다. 北部 地域에서 西쪽 地塊가 落下한 正斷層의 性格을 가지며, 선캄브리아기 의 基盤巖層과 그 上位의 古生代 朝鮮 累層軍 萇山 硅巖層 과의 境界를 따라 發達하고 있다. 丹陽郡 地域에서는 다음과 같은 特徵을 보인다. [38]

  • 영춘면 동대리?: 基盤巖類인 黑雲母 片巖과 萇山 硅巖層 사이에 發達하는 壓碎대 (mylonite zone)는 硅巖層을 납석화된 石英片巖으로 變形시켰으며 수발과 배틀재를 잇는 東西方向의 斷層을 따라서 約 1.5 km 變位되었다. 萇山 硅巖層 內에는 北東 18° 및 北西 38°의 傾斜를 갖는 小規模의 스러스트 單層 이 發達하고 있다.
  • 가곡면 보발리?: 萇山 硅巖層이 花崗巖質 片麻巖과 接하고 있으며 正確한 접촉부는 觀察되지 않지만 壓碎化된 片巖 類들이 境界線을 따라 分布하고 있다. 花崗巖質 片麻巖 內에는 黑雲母 片巖과 호상片麻巖이 捕獲巖體로 捕獲되어 있어 이 地域에서의 形成의 段階를 樹立할 수 있다. 卽, 1) 便巖類 內에 葉理 構造가 形成되고 2) 花崗巖質癌의 貫入이 있었다. 3) 萇山 硅巖層과 基盤巖類의 접촉부에 따라 傳單 運動 (shear movement)이 있었으며 4) 대보 造山運動 時期에 스러스트 運動의 影響을 받았다. 運動 感覺은 座首鄕(sinistral)이다.
  • 대강면 덕촌리?: 선캄브리아기 의 花崗巖質癌을 中生代 白堊紀 의 花崗巖이 貫入하고 있으며 貫入 접촉부를 따라 斷層 運動이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閣童 衝上斷層

編輯

閣童 스러스트 單層 (Gakdong Thrust Fault) 또는 閣童 衝上斷層 은 元來 寧越郡 地域 寧越鱗片狀救助隊 스러스트 單層 으로 丹陽에서 寧越을 거쳐 旌善까지 이어지는 北東-南西 走向, 延長 40 km 以上의 大規模 衝上斷層 이다. 이 斷層에 依해 古生代 오르도비스기 石灰巖 地層(寧越型 朝鮮 累層軍)李 中生代 쥐라紀 의 帶同 累層軍 搬送層 慰勞 衝上(衝上)되었다. 閣童 스러스트 斷層을 基準으로 北西部에 朝鮮 累層軍 寧越層群이, 南東部에 朝鮮 累層軍 太白層群과 平安 累層軍 , 帶同 累層軍이 分布하며 閣童 스러스트 單層 은 帶同 累層軍 搬送層群이 堆積된 後 대보 造山運動 의 結果로 形成된 것이다. 閣童 스러스트 單層의 警査는 北서 30~60°이다. [8] [27]

기타 衝上斷層

編輯

단양읍 기촌리, 노동리 一帶에는 도전리 스러스트 單層, 瑟陰散(失音山, 실錦山) 스러스트 單層, 기촌 스러스트 單層, 노동리 스러스트 單層 等 多數의 스러스트 單層 이 發達하여 平安 累層軍 의 地層이 複雜하게 攪亂되어 있다. [8] 단양읍 地域에는 東側부터 玉童 單層 , 노동리 스러스트 單層, 기촌 스러스트 單層, 瑟陰散 스러스트, 閣童 單層 이 發達해 있다. 瑟陰散 스러스트와 기촌 스러스트 單層 相反에는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 이 놓이지만, 노동리 스러스트 斷層은 平安 累層軍 將星層 分布誌 內에 發達한다. 이는 含炭層이 다른 地層에 비해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39] 김정환 等(1984)은 帶同 累層軍 搬送層 分布地域 東쪽에 發達하는 현천리 스러스트 單層, 도전리 스러스트 單層, 瑟陰散 스러스트 斷層이 搬送層에 依해 덮인다는 事實에 根據하여 中生代 에 搬送層이 堆積되기 前 造山 運動이 있었다는 證據로서 松林 變動(松林 造山運動)李 韓半島 南部에도 影響을 미쳤다고 推論하였다. [40]

  • 현천리 스러스트 單層 은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1962)에 依해 처음으로 認知되었고 閣童 衝上斷層에 가장 近接하여 있으며 단양읍 현천리에서 北東 30°走向으로 發達하는 單層으로 單聖域 附近을 지나는 竹嶺 單層의 以南 地域으로는 發達하지 않는다. 현천리 스러스트 單層의 相反에는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이 發達하며 石灰巖層 內에는 여러 弔意 小規模 스러스트 斷層들이 發達한다. 현천리 스러스트 單層 下半에는 平安 累層軍 灣港層과 衿川層, 將星層이 平行하게 分布한다. 帶同 累層軍 搬送層은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의 上部에서 본 斷層과 平行하게 發達하며 虎狼바위골 溪谷을 따라 追跡하여 보면 심곡터널 北쪽 赦免에서 그 走向이 北東 80°로 變化하며 현천리 스러스트 上, 下半의 地層들을 모두 덮는다. 심곡터널 北側 四面에는 主로 礫巖層이 分布하며 礫巖層 自體는 매우 부서져 있는데 이는 대보 造山運動 의 影響으로 보인다. [8] [40]
  • 도전리 스러스트 單層 은 瑟陰散 스러스트 單層의 相反으로부터 分岐된다. 搬送層의 礫巖層이 이 斷層을 덮으며, 고수리 마을의 西쪽에서 北쪽을 向하여 擴張되어 있다. 이 單層의 相反에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 이, 下半에 平安 累層軍 衿川層이 놓여 있다. 고수리에서 사평리로 넘어가는 道路邊의 頂上 南쪽 赦免에서 이 斷層은 搬送層의 礫巖層에 依해 덮이며 單層은 더 發達하지 않는다. [9] [40]
  • 幾千 스러스트 單層 은 도전리 單層으로부터 分期되었고 平安 累層軍 地域을 지난다. 이 斷層은 오르도비스기 막동 石灰巖層의 下部와 平安 累層軍의 地域에 나타나는 單層이다. [9]
  • 노동리 스러스트 單層 은 失音山 斷層에 겹쳐진 單層 가운데 가장 東쪽에 位置하는 스러스트 單層이다. 이 斷層은 北東쪽 迎春까지 擴張되고, 平安 累層軍에까지 나타난다. [9]
  • 瑟陰散(失音山, 실錦山) 스러스트 單層 단양읍 노동리에 所在한 실錦山(瑟陰散, 671.3 m)을 지나는 北東 20° 走向의 單層으로 朝鮮 累層軍 두무동層 막동 石灰巖層 또는 高聲 石灰巖層이 平安 累層軍 灣港層, 使動層, 고방산層 慰勞 衝上되어 있다. 單層 東側에서 平安 累層軍의 一部를 소멸시켰으며 西側에서는 朝鮮 累層軍의 下部를 소멸시켰다. 이 單層의 北部 延長은 帶同 累層軍 搬送層에 依해 덮여 地表에서 消滅된다. 走向은 北東 20°, 警査는 北서 60°이다. 이 斷層은 相反에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이, 下半에 上部 平安 累層軍 이 있다. 瑟陰散 스러스트 斷層은 사평리-根幹禹 다리 사이의 救仁寺 가는 三거리에서 若干 北쪽에 位置한 향산리 마을會館 뒤쪽 赦免에서 搬送層 沙巖에 依해 덮인다. [27] [40] [1]
  • 아평 스러스트 單層 은 실錦山 스러스트 斷層에서 分離되어 北北東 方向으로 延長되다가 帶同 累層軍 搬送層에 依해 被覆된다. 單層의 이름은 가곡면 사평리의 아평 마을에서 由來되었다. 이 斷層에 依해 平安 累層軍 灣港層에서 고방산層에 이르는 地層이 平安 累層軍 綠巖層 위로 衝上되었다. 單層의 警査는 北西로 30~60°이다. [27] [1]
  • 심곡리 스러스트 單層 단양읍 심곡리 山 36 (N 36°57'19.71", E 128°20'41.52")에 드러난 衝上斷層 으로 이곳은 朝鮮 累層軍 膜骨層 平安 累層軍 洪漸層이 不整合 으로 接하는 地域 隣近에 分布하여 古生代 地層의 스러스트 運動에 依한 것으로 推定되며 閣童 스러스트 斷層과 密接한 關係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4]

고수리 斷層과 丹陽 고수洞窟

編輯

丹陽 고수洞窟 周邊에는 西쪽에서부터 고개 單層, 고수리 單層, 사평리 單層이라고 命名된 3個의 逆斷層이 發達한다. 이 斷層들에 依해 朝鮮 累層軍 上部와 平安 累層軍 의 地層들이 衝上(thrust)되어 막동 石灰巖層 과 洪漸層( 灣港層 ), 使動層, 고방산層이 各 2回 反復 露出된다. 이들 3個의 單層들은 閣童 스러스트 單層 과 走向이 거의 一致하며 閣童 單層 南東쪽 가까이서 平行하게 달리다가 丹陽郡 北部에서 閣童 스러스트 斷層에 合流된다. 그러므로 이들 斷層은 閣童 單層의 支流(支流)에 該當하는 것으로 보아도 좋다. [15]

  • 고수리 單層 丹陽 고수洞窟 이 位置한 단양읍 고수리 一帶에서 洞窟 部落이 位置한 안固守 마을을 지나 雪眉氣骨이라고 불리는 溪谷의 西側 50 m以內에서 雪眉氣骨에 거의 平行하게 北北東-南南西 方向으로 發達한 單層 이다. 이 斷層은 雪眉氣骨 上流의 고개를 넘어 南漢江 에 이른다. 고수리 斷層은 안固守 마을에서 南쪽으로는 勾股修交의 東쪽을 지나 石炭 廢石이 쌓인 赦免을 지나 南進하는데 이곳에서 測定된 單層의 警査는 西쪽으로 50°이다. 이로 보아 고수리 斷層은 北東 10°의 走向을 가지고 西쪽으로 50°程度 敬事한 逆斷層이다. 고수洞窟 의 入口는 고수리 斷層에서 約 60 m 西쪽에 있고, 그 出口는 고수洞窟 入口보다 垂直 距離로 約 40 m 높은 곳에 있으며 고수리 斷層과 거의 近接하여 있다. 이렇게 보면 고수洞窟은 고수리 單層 相反人 막동 石灰巖層 속에 있는 것이다. 고수리 單層의 落差는 1,500 m로 計算된다. [15]
  • 고개 單層 은 고수리 北西쪽, 단양읍 도담리 東部에 位置한 고갯길 西쪽을 따라 北東 20°의 走向과 西쪽으로 50°剄死하는 逆斷層이다. 이 斷層은 衿川層 (使動層 下部) 위에 놓여 있던 將星層 (使動層 上部)과 함백산層 (고방산層 下部)을 잘라서 하늘 높이 솟아 오르게 하여 結局 削剝 消失되게 하였는데 그 落差는 約 600 m 로 計算된다. [15]
  • 사평리 單層 은 고수리 單層 東쪽 約 400 m에 位置하며 이는 大體로 함백산層(고방산層 下部) 內에 생긴 逆斷層으로 보아도 좋다. 다만 고수리 南쪽에서 將星層, 衿川層, 灣港層의 一部와 接하여 있다. 이 斷層은 北東 10°의 走向을 가지고 단양읍 노동리 北西部에서 고수리를 지나 가곡면 사평리로 이어지며 西쪽으로 約 50°剄死하는 逆斷層이다. 單層의 落差는 約 700 m일 것으로 計算된다. [15]

竹嶺 單層

編輯

竹嶺 單層 (Jukryeong Fault)은 竹嶺 을 中心으로 중앙고속도로 와 平行하게 北서 70°의 走向으로 發達하는 總 延長 23 km의 座首鄕 走向 移動性 單層 이다. 錦繡山 硅巖層 分布 地域(적성면)에서 水平 落差(變位)가 500 m이며 東쪽으로 갈수록 增加하여 竹嶺驛 附近에서는 1800 m에 達한다. 이 斷層은 大規模 褶曲 과 聯關되어 生成된 것으로 보이는데 西部로 가면서 落差가 크고 東部로 가면서 褶曲으로 變하는 힌지 單層(Hinge Fault)으로 보인다. 竹嶺 單層의 變位量은 3.3~3.6 km이다. [41] [3] [27] [8] [1]

化石

編輯

丹陽 地域에서는 산호류, 코노돈트 等의 化石이 發見되었다. <韓國畫石島감> 에 依하면 丹陽郡에서 發見된 化石은 다음과 같다. [42]

산호류

編輯
  • Arachnastrea manchurica Yabe and Hayasaka, 1916 (衿川層, 고수리)
  • Neogondella clarki (Koike) (灣港層 上部, 고수재 附近 國道邊)
  • Declinognathodus lateralis (Higgins & Bouckaert) (灣港層 下部, 고수재 附近 國道邊)
  • D. noduliferus (Ellison & Graves) (灣港層 下部, 고수재 附近 國道邊)
  • N. medadultimus Merrill (고수재 附近 國道邊)
  • N. roundyi (Gunnell) (고수재 附近)

紡錘蟲

編輯
  • Xenostaffella koreaensis Cheong (衿川層 上部, 丹陽炭田 태화산)
  • Fusulinella danyangensis Cbeong (衿川層 上部, 丹陽炭田 勞動炭鑛)

丹陽郡의 鑛物과 地下資源

編輯
 
丹陽郡 적성면 애곡리의 버려진 鑛山 發破作業 案內 標識板 - "이 地域은 鑛山 發破作業 地域으로써 危險 區域이오니 事前許諾없이 出入을 禁함"
北緯 36° 58′ 51.7″ 東京 128° 19′ 45.6″ ? / ? 北緯 36.981028° 東京 128.329333° ? / 36.981028; 128.329333

丹陽郡 에는 石灰巖 外에도 無煙炭 및 黑鉛 鑛床(鑛床)을 비롯하여 黑重石, , , 桐, 亞鉛 , 輝水鉛石( 몰리브데넘 ), 螢石 鑛床 等이 發達되어 있으며, 金屬 鑛床의 大部分은 1945年 以前에 開發된 것이다. 이들을 採鑛하는 鑛山은 現在 모두 廢鑛되어 있다. 단성면 外중방리 地域의 삼태산層 과 搬送層과의 접촉부에서 幅 0.3~5 m, 延長 850 m의 스카른 광화代가 確認되었다. [3] [43]

2022年 9月 23日 午前 10時 15分 頃 적성면의 白雲石 鑛山 坑道에서 巖石 一部가 무너지는 事故가 發生하여, 1名이 心停止 狀態로 救助되어 病院으로 옮겨졌다. [44] 白雲石 鑛山이라는 說明으로 보아 돌로마이트를 包含하는 朝鮮 累層軍 흥월리層 을 採掘하는 鑛山으로 보인다.

無煙炭

編輯

丹陽郡에 分布하는 石炭層은 平安 累層軍 使動層 內에 있는 것과 帶同 累層軍 搬送層에 있는 것으로 區別할 수 있다. 平安 累層軍 使動層의 石炭層은 단성면 북상리와 대강면 장림리 사이 中央線 鐵道沿邊에 小規模로 分布한다. 그러나 地表 調査의 結果에 依하면 본 地域은 서로 直交하는 竹嶺 斷層과 실錦山 斷層이 通過하는 外各部를 占하고 있는 것으로서 甚하게 褶曲 되어 있어 暗層의 發達이 採掘에 適當치 않으리라 믿어진다. [3]

  • 奉養鑛業所(鳳陽鑛業所)?: 丹陽部 가산면(佳山面) 가산리에 位置한다. 단양역 에서 12 km 距離이며 過去 龍頭黑鉛鑛業所 所屬이었던 것이 1962年 狂성광업株式會社에서 引受하여 丹陽 地域 內에서 거의 唯一한 無煙炭 採掘 鑛山이다. 본 鑛山은 帶同 累層軍 搬送層 內에 있는 含炭層(含炭層)을 採掘하며 生産量의 約 30%는 品質이 좋은 塊炭(塊炭)이다. 塊炭은 熱量이 7,000 cal에 達하는 것도 있다. [3]

어상천 亡家니즈鑛床

編輯

어상천 亡家니즈鑛床 丹陽郡 어상천면 임현리에 位置한 망간 鑛床으로 朝鮮 累層軍 흥월리層 삼태산層 에 貫入한 石英斑巖맥과 單層 破碎帶를 따라 産出되는 票성광상(表性鑛床)이다. 鑛石은 酸化 亡家니즈 鑛物과 이에 隨伴되는 方解石 , 石膏 , 針鐵石 , 石英 , 絹雲母 等 脈石鑛物로 構成된다. [45] [46]

螢石 (螢石) 鑛床은 古生代 朝鮮 累層軍 의 石灰巖層과 中生代 黑雲母 花崗巖과의 接觸部에 位置한 熱水 交代 鑛床이다. 단성면 가산리와 적성면 하진리 附近을 비롯하여 수個所에서 發見된다. [3]

  • 우일螢石鑛山(宇一螢石鑛山)?: 단양읍 고평리(N 36°54'30", E 128°15'30")에 位置하며 1969年 태흥鑛業株式會社에서 引受하여 開發하였던 鑛山이다. 鑛床은 石灰巖이 熱水交代된 것으로 一帶의 地質은 甚한 褶曲과 單層이 發達하고 있다. [43]
  • 龜尾螢石鑛山(九尾螢石鑛山)?: 단양읍 구미리(九尾理; 現 단성면 外중방리) 南西 溪谷에 位置하며 忠州-丹陽 間 國道 제36호선 에서 約 800 m 떨어져 있다. 본 鑛床은 朝鮮 累層軍 삼태산層 石灰巖 層 內에 黑雲母 花崗巖을 交代하여 形成되어 있다. 鑛床을 胚胎(胚胎)하는 石灰巖層의 走向은 大體로 北東 40 乃至 75°이나 鑛體의 走向은 거의 東-西 方向이다. 鑛體의 警査는 北西쪽으로 約 40 乃至 75°이다. [3] [43]

炙鐵 鑛床

編輯

炙鐵(赤鐵) 鑛床은 錦繡山 硅巖層의 最下部에 있는 雲母 片巖層 內에 發達한다.

  • 丹陽鐵鑛山(丹陽鐵鑛山)은 적성면 및 堤川市 수산면 에 位置하며 단양읍에서 約 11 km 떨어진 적성면 하진리에서 南漢江 을 渡江하여야 한다. 1962年 國立地質調査所에서 分析된 鑛石의 大略的 品位는 다음과 같다― 酸化 철(II) 47.26%, 0.001%, 0.55%.

黑重石(黑重石) 및 몰리브데넘 鑛床은 선캄브리아기 花崗巖質 片麻巖 및 미그마타이트질 片麻巖 內에 賦存하는 鑛床으로 現在는 모두가 廢鑛되었다.

  • 迷路鑛山(未老鑛山)?: 대강면 迷路리에 位置한 本 鑛山은 몰리브데넘 을 主로 하는 鑛床으로 黑重石, 비스무트 , 黃鐵石 等이 隨伴된다. 이는 中生代 黑雲母 花崗巖과 接觸하고 있는 花崗巖質 片麻巖 內의 접촉부에 賦存하고 있으며 남-北 方向의 석영맥 內에 있다. 석영맥의 幅은 30 cm에 達하는 곳도 있으나 大體로 15 cm 內外이다. 鑛石을 包含하는 석영맥은 黑雲母 花崗巖의 貫入 접촉부에 發達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黑雲母 花崗巖의 殘溜溶液(殘溜溶液)에 依한 것으로 생각된다.

稀有金屬鑛床

編輯

稀有金屬을 包含한 半花崗巖 및 페그마타이트의 試料에 對해 化學分析을 實施한 結果, 페그마타이트에서만 리튬 이 優勢할 뿐 試料들에서 나이오븀 이 最大 64 ppm, 베릴륨 이 最大 115 ppm 程度만 들어있고 나머지는 그 量이 매우 적어 稀有金屬의 經濟的 價値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5萬 地質圖”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 “單兩國가지질公園 槪要” . 單兩國가지질公園 公式 사이트.  
  3. “丹陽 地質圖幅說明書 (丹陽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7年.  
  4. 정대교; 신승원; 정은지; 신동복; 유현민; 백인성; 강희철; 김현주; 임현수; 김종선; 造形性; 김민철 (2016年). 《忠淸圈 脂質遺産 發掘 및 脂質遺産 價値評價 事業》. 大寒地質學會 .  
  5. “玉洞 地質圖幅說明書 (玉童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6年.  
  6. 권성택; 이진한; 박계헌; 전은영 (1995年). “丹陽 천동리 地域 沃川代/嶺南肉塊의 接觸關係와 所謂 花崗巖質 片麻巖의 Pb-Pb 連帶 (Nature of contact between the Ogcheon belt and Yeongnam massif and the Pb-Pb age of granitic gneiss in Cheondong-ri, Danyang)”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4 (2): 144-152.  
  7. 전희영 (1990年). “地史硏究?: 丹陽炭田地域 中生代 含炭堆積盆地의 生層序硏究”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8. 金正煥; 고희재 (1992年 1月).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丹陽地域의 地質構造)”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25 (1): 61-72.  
  9. 강계숙 (1997年). “忠淸北道 丹陽郡 一帶에 分布하는 下部 古生代層의 CONODONT 化石群과 그의 生層序 (忠淸北道 丹陽郡 一帶에 分布하는 下部 古生代層의 코노돈트 화석군과 그의 生層序)” .  
  10. 소진현; 김고은; 緖餘은; 배상열; 최호석; 김영석 (2023年 12月). “Kinematic interpretation of layer-parallel shearing structures in Danyang a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丹陽地域 層理平行 傳單救助의 運動學的 特性과 地體構造的 意味)” . 《 大寒地質學會 59 (4): 551-567. doi : 10.14770/jgsk.2023.040 . ISSN  2288-7377 .  
  11. 서광수 (1997年 4月). “丹陽-寧越地域에 分布하는 下部 古生代層에서 産出되는 코노돈트화석군과 生層序 Stratigraphy and Conodonts from the Paleozoic Sequences in the Danyang and Yongweol Areas, Korea.)” . 공주대학교 .  
  12. 정수호; 권오상; 김태형; Naik Sambit Prasanajit; 이진현; 손효錄; 김영석 (2020年). “丹陽地域 地質·지형자원의 價値와 지오투어리즘 觀點에서의 活用方案 (Value of Geologic·Geomorphic Resources of Danyang-gun and Its Application from Geotourism Perspective)”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53 (1): 45-69. doi : 10.9719/EEG.2020.53.1.45 . ISSN  2288-7962 .  
  13. 홍시환; 최무웅; 이금수; 金炳佑 (1990年). “天動洞窟의 洞窟環境에 關한 硏究” . 《韓國洞窟學會》 23 (24): 1-41.  
  14. 손치무 (1975年 9月). “Geological Structure in the vicinity of Yeongchun (永春附近의 地質構造)” . 《 大寒地質學會 11 (31): 145-165.  
  15. “고수洞窟의 地質에 關한 硏究” . 《韓國洞窟學會》. 1993年.  
  16. 정창희 ; 金炳佑; 김추윤 (1994年). “온달굴 地帶의 自然地理 環境” . 《韓國洞窟學會》 36 (37): 38-67.  
  17. “도담三峯” . 單兩國가지질公園 公式 사이트.  
  18. “石門” . 單兩國가지질公園 公式 사이트.  
  19. “太白山地區 地下資源 調査報告書?: 石灰石便”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2年.  
  20. Reedman, A. J. (1975年 6月). “The Age of the Gabsan Formation 甲山層의 地質時代)” . 《 大寒地質學會 11 (2): 139-143.  
  21. 전희영 (1979年 9月). “Some Plant Fossils, Linopteris neuropteroides and Linopteris sp. cf. L. neuropteroides, from the Gabsan Formation, Korea (甲山層에서 發見된 植物化石 Linopteris neuropteroides와 Linopteris sp. cf. L. neuropteroides)” . 《 大寒地質學會 15 (3): 192-200.  
  22. 박수인; 이희권; 李相憲 (2000年). “講院 地域에 分布하는 石灰石 資源의 特性과 賦存環境: 忠北 歌唱山 地域의 甲山層을 中心으로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Carbonate Rock Resources in Kangwon Area: The Gabsan Formation around the Mt. Gachang Area, Chungbuk, Korea)” . 《韓國地區科學會》. 437-448쪽.  
  23. 정창희 (1971年 6月).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N. Chungcheong-do, Korea (丹陽炭田의 層序 및 古生物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7 (2): 63-85.  
  24. 정창희 (1993年 1月). “고수洞窟의 地質에 關한 硏究” . 《韓國洞窟學會》 32 (33): 63-76.  
  25. 박수인 (1997年 4月). “忠北 丹陽 地域에 分布하는 後記 石炭紀 地層에서 産出되는 코노돈트의 層서.고생물학적 硏究 (Conodont faun and its biostratigraphy of the late carboniferous strata of Danyang area, Chunghuk)” . 강원대학교 .  
  26. 이창진; 김기룡 (1995年 4月). “丹陽炭田 衿川層에서 發見되는 紡錘蟲 (Fusulinids from the Geumcheon Formation in Danyang Coalfield , Korea)” . 《韓國地區科學會》 16 (2): 144-151.  
  27. 김정소 (1981年 6月). “Ge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丹陽炭田의 地質)” . 《 大寒地質學會 17 (2): 131-133.  
  28. 金文起; 이용일 (2017年 4月). “The stratigraphy and correlation of the upper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 A review (韓半島 南部의 上部 古生代 平安累層群의 層序와 對備)” . 《 大寒地質學會 53 (2): 321-338. doi : 10.14770/jgsk.2017.53.2.321 .  
  29. 韓國地區科學會 (2001). 《地球科學槪論》. 서울: 교학연구사.  
  30. 山成不二? (1926) 江原道 購片構造 理學評論 pp. 572-590
  31. 최현일 (1990年). “丹陽地域 大同地層의 層序와 堆積環境”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32. 박수인; 정창희 (1975年 3月). “A Study on the Jurassic Sapyeongri Conglomerate in the Vicinity of Danyang, N. Chungcheongdo, Korea (忠北 丹陽 附近의 쥬라紀 沙坪里 礫岩에 關한 硏究)” . 《 大寒地質學會 11 (1): 24-37.  
  33. 정창희 ; 박수인 (1979年 6月). “Fusulinids from the Limestone Gravels of the Jurassic Sapyeongri Formation, Danyang Coalfield, Korea 忠北 丹陽 附近의 쥬라紀 沙坪里層의 石灰岩礫에서 ?出되는 紡錘蟲에 關한 硏究)” . 《 大寒地質學會 15 (2): 168-182.  
  34. 엄현우; 김윤섭; 정원석; Bui Vinh Hau (2019年 6月). “丹陽 脂質公園 龜潭峯-舍人巖 脂質名所 花崗巖의 SHRIMP 저어콘 U-Pb 年齡과 地球化學 (SHRIMP Zircon U-Pb Age and Geochemistry of Granites in the Gudambong-Sainam Geosites, Danyang Geopark)” . 《韓國巖石學會》 28 (2): 143-156. doi : 10.7854/JPSK.2019.28.2.143 .  
  35. “舍人巖” . 單兩國가지질公園 公式 사이트.  
  36. 김호근; 박종호; 손문영 (2021年 4月). “丹陽脂質公園의 地質工學的 理解와 必要性” . 《大寒地質工學回》: 72.  
  37. 金正煥; 李在鎔; 남길현 (1992年). “丹陽炭田, 迎春地域의 地質構造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Yeongchun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5 (2): 179-190.  
  38. 金正煥; 고희재; 기원서 (1989年). “玉洞單層(玉洞斷層) (The Okdong Fault)”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 285-291쪽.  
  39. 金正煥 (2017年 2月). “古刹?: 우리나라 構造地質學 發展의 발자취 (Footprints of structural geology in Korea?: Review)” . 《 大寒地質學會 53 (1): 5-33. doi : 10.14770/jgsk.2017.53.1.5 .  
  40. 金正煥; 이제용; 남길현 (1994年 2月). “Pre-Jurassic Thrust Movement in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丹陽炭田 地域에서의 先쥬라기 드러스트 運動)” . 《 大寒地質學會 30 (1): 35-40.  
  41. 崔再源; 金正煥 (2000年 10月). “丹陽 地域에 發達하는 竹嶺 單層의 特性 硏究” . 《 大寒地質學會 》: 61.  
  42. 양승영; 윤철수; 김태완 (2003). 《韓國畫石島감》.  
  43. 김수영 (1990年). “稀有金屬鑛物資源調査硏究?: 茂朱 및 丹陽地域, Nb-Ta-Be-Li 페그마타이트에 對한 鑛床 및 試錐探査 硏究”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44. “忠北 丹陽 白雲石 鑛山서 巖石 崩壞...1名 心停止” . YTN . 2022年 9月 23日.  
  45. 김수진; 김성훈 (1982年). “語尙州鑛山(魚上川鑛山)의 망간鑛石(鑛石)에 臺(對)韓 鑛物學的(鑛物學的) 및 成人的硏究(成因的硏究) (Mineralogy and Genesis of Manganese Ores from the Eosangcheon Mine,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5 (4): 205-219.  
  46. 이재영; 황덕환 (1984年). “어상천망간鑛山 母巖의 地球化學 (Geochemistry of the Country Rock of Eosangcheon Manganese Deposit)”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7 (1): 1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