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녹둔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녹둔도 (鹿屯島, 文化語 : 록鈍刀, 러시아語 : Ноктундо )는 豆滿江 河口 에 있던 섬으로 朝鮮 의 領土였다. 17世紀 말 ~ 19世紀 秒 사이 [1] 豆滿江 의 堆積作用으로 인해 江 東쪽의 沿海州 (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에 붙어 陸地가 되었으며, 1860年 베이징 條約 으로 外滿洲 를 淸나라에서 빼앗은 러시아帝國 이 占領하였다.

녹둔도
다른이름: 록鈍刀, 鹿屯島, Noktundo, Roktundo, Ноктундо
지리

位置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하산스키群
座標 北緯 42° 22′ 58″ 東京 130° 42′ 20″ ? / ? 北緯 42.38278° 東京 130.70556° ? / 42.38278; 130.70556

實效 支配
러시아의 기 러시아

領有權 主張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지리

編輯

早産(造山)棟에서 南쪽으로 約 4 km 떨어져 있었던 녹둔도는 둘레가 8 km 남짓 [2] 되고 面積은 約 3~4 km 2 ( 汝矣島 面積 의 1.1~1.3倍) [3] [4] 였던 것으로 推定된다. [5] 이 섬에서 朝鮮人들은 벼, 兆, 옥수수, 보리 等을 栽培하였고, 섬 周邊에서는 鰱魚, 붕어, 黃魚, 숭어 等이 主로 잡혔다고 記錄되어 있다.

歷史

編輯
早産步 , 서수라晉 과 녹둔도 (《 大東輿地圖 》 2첩 1面)

녹둔도는 1430年代에 世宗大王 6陣 을 開拓 [6] 한 以後 土城과 木柵을 쌓았고, 以前에 '社차마度'라 하던 것을 世祖 때 '녹둔도(鹿屯島)'라 부르게 되었다. 1583年(宣祖 16) 경흥부 現地 軍事들의 軍糧(軍糧)李 不足하자 녹둔도에 軍事用 屯田(屯田)을 造成하였고, 農民들은 배를 타고 이 섬에 들어와 農事를 지었는데, 兵士 若干을 두어 防備하도록 하였다. 1587年(宣祖 20年) 李舜臣 早産步 萬戶(造山堡 萬戶)를 겸해 鹿島 屯田社(鹿島屯田事)로서 녹둔도의 屯田을 管理하였다.

1860年 10月 18日 베이징 條約 으로 外滿洲 를 모두 獲得한 러시아 帝國 沿海州 에 붙은 녹둔도까지 無斷으로 占領하였고, 以後 소비에트 聯邦 을 거쳐 러시아聯邦 의 領土가 되었다.

朝鮮 政府는 러시아 帝國 이 이 땅을 占領했다는 事實을 뒤늦게 안 뒤 1880年代 에 數次例 淸나라 에 抗議하였다. [7] 러시아 帝國 과 修交한 1884年 부터 10餘 次例에 걸쳐 러시아에 녹둔도의 返還을 要求했고, [8] 1885年 에는 淸나라와 러시아에 3國의 共同 減髻案(勘界案)을 提議했으나 無視當했다. [8] 1890年 에는 漢城( 서울 ) 駐在 러시아 公使를 불러 녹둔도의 返還을 再次 要求하였으나 러시아 側은 아무런 會報도 하지 않았다. [5]

現況

編輯

1984年 11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비에트 聯邦 사이의 國境 會談에서 녹둔도 問題가 論議될 것인지 關心을 끌었다. [5] 그러나, 兩國은 國境協定(1985年)과 國境設定議定書(1990年)를 締結하면서 豆滿江 을 境界로 合意했다. [7] 當時 協商過程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은 녹둔도 問題를 提起했지만, 現在 豆滿江 水路 의 中間線을 國境으로 合意함으로써 結果的으로 豆滿江 駐水路의 東쪽에 位置한 녹둔도에 對한 蘇聯 의 領土權을 認定하고 말았다. [7] [9]

2000年 가을에는 서울대 地理敎育科 이기석 敎授陣이 現地探査를 試圖했으나 軍事機密 地域이라는 理由로 探査時間이 3時間으로 制限된데다 갈대의 키가 2m에 이르는 等 現地의 惡條件 때문에 別 所得없이 돌아와야 했다.

같이 보기

編輯

一般 主題

編輯
지리
領有權 條約

韓國 領土의 다른 紛爭 地域

編輯

各州

編輯
  1. 北韓·蘇聯 國境紛爭에 國內學界 千名 京鄕新聞, 1984.11.23.
  2. 世宗實錄 地理誌 咸吉道 길注目 慶源都護府 篇에서는 " 豆滿江 이 社차마度(沙次?島)에 이르러 갈라져 5里 程度쯤 흘러서 바다로 들어간다."고 記錄하고 있다.
  3. 이이화 (2009年 10月 5日). “못박힌 鐵條網 앞에서 肝도·녹둔도를 記憶하다.” . 京鄕新聞.  
  4. 녹둔도의 面積이나 크기는 記錄마다 제各各이다. 現在 러시아 는 豆滿江 河口 32 km 2 를 軍事地域으로 設定하고 出入을 統制하고 있는데, 이 땅 全部를 녹둔도로 보는 見解(서울대 이기석 敎授)도 있다. 東亞日報(2004.6.10.) 위 記事.
  5. 北韓·蘇聯 豆滿江 國境會談 背景 東亞日報, 1984.11.15.
  6. 世宗實錄 30年(1448年) 8月 27日 첫 番째 記事 咸吉道 경흥부(慶興府) 녹둔도(鹿屯島)가 소나무가 잘 되는 곳으로 記載되어 있다.
  7. <地平線> 녹둔도 韓國日報, 2008.8.8.
  8. 領土紛爭 現場을 가다 <10> 잊혀진 섬 녹둔도 東亞日報, 2004.6.10.
  9. 咸鏡北道 나선시 行政區域도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