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羅針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羅針盤 (羅針盤, 文化語 : 羅針板, 英語 : compass )은 航空이나 航海 等에서 方向을 알기 위해 쓰는 器具이다. 指南針 (指南針)이라고도 한다. 磁石 地球 의 磁氣場에 整列되는 것을 利用한 磁氣羅針盤과 地球의 自轉軸을 檢出하는 자이로스코프 를 利用한 前輪羅針盤, 그리고 人工衛星 의 無線電波를 利用하는 GPS 羅針盤 3種類가 있다.

水準器가 附着된 羅針盤

種類

編輯
 
第1次 世界 大戰 때 使用된 軍用 羅針盤

두 種類의 羅針盤이 存在한다. 磁氣羅針盤은 地磁氣 長과 相互作用하는 磁石이 地球의 自祝을 向하는 것을 利用한다. [1] 이러한 自己 羅針盤 中 單純한 것들은 慣性基準界 內에서 自祝에 基盤한 方向을 알려준다. 이러한 方向을 磁北極 或은 磁南極 理라 한다.

한便 回轉羅針盤은 빠르게 도는 바퀴가 摩擦에 依해 멈추는데, 地球의 自轉 때문에 回轉軸의 方向이 地球의 回轉軸과 平行하게 됨을 利用한다. 이 때 慣性基準界 안에서 決定되는 北쪽과 南쪽을 各各 眞北 과 振男이라 한다.

天測羅針盤은 天體를 觀測하여 方向을 判別한다.일반적으로 羅針盤이라고 불리지는 않지만, 方位起點을 찾아내는 裝備가 있다. 어떤 GPS 受信機는 一定 距離 떨어진 두 個 或은 세 個의 안테나를 가지고 있고, 船舶 或은 飛行機에 附着되어 方位起點을 알아낸다. GPS 衛星으로부터 受信되는 電波를 利用해 各 안테나의 正確한 相對位置를 알 수 있으므로 設置된 方向을 基準으로 方位起點을 알아낼 수 있다.

單一 GPS 受信祈禱 羅針盤으로 쓰일 수 있는데, 이는 아주 느린 速度로 움직이더라도 位置의 變化(COG, Course Over Ground)를 통해 움직임의 方向을 把握하고, 이를 바탕으로 防衛를 把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運航 方向과 다른 바람이나 海流影響 때문에 相當量의 誤差가 생길 수 있다.

磁氣羅針盤

編輯

磁氣羅針盤은 磁化된 指針이 지磁氣場에 反應하여 方向이 바뀌도록 되어 있다. 自己 北쪽에 反應할 수 있는 磁性體라면 무엇이든 羅針盤으로 쓰일 수 있다. 羅針盤은 一般的으로 北쪽, 南쪽, 東쪽과 西쪽의 基本 防衛를 나타낸다. 羅針盤은 獨立 自己막대 또는 바늘이 北쪽과 南쪽을 가리킬 수 있도록 軸에 자유롭게 回傳되게 固定되어있거나, 流體 안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磁氣羅針盤의 原理

編輯

羅針盤은 自己 北쪽을 가리키는 指針으로 作用하는데, 이는 磁針이 지磁氣場을 따라 整列되기 때문이다. 磁氣場이 磁針에 토크를 作用하여 바늘의 한 끝을 地球의 北쪽 刺戟으로 잡아당기고, 反對쪽을 南쪽 刺戟으로 잡아당긴다. 磁針은 摩擦이 적은 回戰點에 놓여 있고, 高級 羅針盤은 保釋 베어링에 固定되어 쉽게 돌아갈 수 있게 되어 있다. 羅針盤이 水平으로 놓였을 때, 몇 秒間의 振動 以後 羅針盤의 한 끝이 北쪽 刺戟을 가리킨다. 磁石, 或은 羅針儀 北極은 北半球地球의 北쪽에 이끌리는 쪽을 말한다. [2] [3] [4] 羅針儀 北極은 恒常 色깔, 夜光 페인트, 화살標 等으로 標示되어 있다. 專門家用 羅針盤은 바늘 代身 디스크로 固定된 回戰點에 莫大磁石이 固定되어 있고 方位起點과 角度가 標示되어있다. 더 나은 羅針盤은 液體로 되어있는 것으로, 바늘이나 디스크가 液體가 채워진 容器 안에 있어 減殺振動 以後 바늘이 北쪽을 가리키게 되는데, 一般的인 羅針盤에 비해 빠르며 바늘을 效果的으로 保護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에서 地圖 위의 防衛는 眞北, 卽 地球의 回轉軸을 基準으로 한다. 地球의 自祝과 큰 差異가 없긴 하나 地質學的 軸이 若干 다르므로 羅針盤은 眞北을 가리키지 못하며, 羅針盤이 가리키는 北쪽을 磁北이라고 한다. 羅針盤의 地面에서의 位置에 따라 眞北極과 磁氣北極의 角度差가 달라지며 이를 自己 偏角이라고 한다. 磁氣 偏角은 大部分의 地圖에 그려져 있어 羅針盤의 位置를 補正할 수 있게 한다.

自祝 近處의 地域에서는 지磁氣場의 差異가 커 磁氣 偏角이 매우 크므로 磁氣 羅針盤이 쓸모가 없다. 그래서 다른 裝備를 利用한다. 自祝의 位置는 時間에 따라 움직이는데, 이는 人間의 時間으로 생각해도 그렇게 큰 變化는 아니다. 最近 몇 年間 큰 變化가 있었다. 地球上 어느 位置에 있는 觀察者라도 自己 偏角이 있으며 이는 位置에 따라 다르고, 時間에 따라 달라진다. 赤道에 가까울수록 磁氣 偏角이 적다. 어떤 磁氣 羅針盤은 磁氣 偏角을 克服하는 메커니즘을 包含하여 眞方向과 自己 方向을 相對的으로 나타내도록 設計되어있다. 이러한 羅針盤의 使用者는 그 地域에서의 磁氣 偏角을 正確히 알고 羅針盤을 調整해야한다.

歷史

編輯

最初의 羅針盤은 磁鐵石 으로 製作되었다. 古代人들은 天然 磁石이 自由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놓였을 때 恒常 같은 方向을 가리키는 것을 發見했다. 三國史記에 新羅 羅針盤의 磁石을 唐나라에서 要請한 記錄이 있다. [5] 以後의 羅針盤은 天然 磁石으로 磁化된 철 바늘로 만들어졌다.

羅針盤 以前의 航海術

編輯

羅針盤 導入 以前에 航海士들은 目的地의 方向은 主로 天體의 位置를 觀察하거나 特徵的인 構造物을 觀察함으로써 現在의 位置와 目的地의 方向을 決定하였다. 날씨가 흐릴 때 바이킹 은 菫靑石이나 複屈折 決定을 利用하여 太陽의 方向과 高度를 알아냈다. 그들의 天文學的 知識은 이 情報를 통해 그들의 方向을 알아내기 充分했다. [6] 바이킹들보다 南쪽에 살던 유럽人들은 이러한 技術을 몰랐으므로 羅針盤이 發明되고야 惡天候에서 方向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뱃사람들이 陸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까지 安全하게 移動할 수 있게 해 주었고, 바다를 통한 交易이 늘어나 大航海時代로 이어지게 된다.

風水地理에서의 使用

編輯

自己는 本來 航海用이 아니라 風水地理나 未來를 점치는 데 使用되었다는 說도 있다. 最初의 磁氣 羅針盤 亦是 航海를 위해 設計되지 않았으며, 風水地理의 原則에 따라 周邊의 環境과 建物이 調和를 이루며 整列되도록 하는 데 使用되었으며, 尹도 라는 특수한 器具에 끼워 使用하였다. 이러한 初期의 羅針盤은 地球의 磁氣場에 따라 整列되는 天然 磁石-磁鐵鑛-을 使用하여 만들어졌다. [7]

메소아메리카 에서 크로서 Krotser 과 코 Coe 올멕 文化의 赤鐵石 遺物을 發見하고, 放射性 炭素 年代 測定 結果 紀元前 1000~1400年 前의 遺物이란 事實이 밝혀졌다. 이로부터 天文學者 존 칼슨은 紀元前 1000年 以前 올멕에서 磁針을 利用한 風水 點을 施行했다는, 只今은 事實로 밝혀진 假說을 세웠다. 天文學者 존 칼슨은 올멕 文明이 아마 磁鐵石을 적어도 紀元前 1000年前부터 神聖한 場所를 찾는 風水地理的 目的으로 썼다는 假說을 세웠으며, 萬若 이것이 참이라고 밝혀진다면 中國人들이 2000餘年 前에 風水地理에 自省을 使用한 것에 앞선다. [8] 칼슨은 올멕 文明의 사람들이 方向을 찾는 類似한 遺物을 天文學的 或은 風水地理的 目的으로 使用하였으며, 길을 찾는 目的으로는 使用하지 않았다고 豫想했다. 遺物은 한쪽 끝에 홈이 파인 磁鐵石 막대로, 언제나 北쪽으로부터 35.5度의 位置를 가리키나 모든 部分이 있었을 境遇 北쪽과 南쪽을 가리켰을 것으로 생각된다. 칼슨의 主張은 그 遺物이 實際로는 裝身具였으며 羅針盤으로 쓰기 爲해 만든 것은 아니라는 다른 硏究者들의 主張으로 反駁되었다. 몇 가지 다른 赤鐵石이나 磁鐵石 遺物이 콜럼버스 以前의 멕시코와 과테말라 遺跡地에서 發見되었다. [9] [10]

航海用 羅針盤

編輯

羅針판은 新羅의 라에서 비롯되었으며 海上을 통한 貿易이 發達한 新羅의 發明品으로 알려져 있다 [11] 비록 現在의 記錄은 但只 中國의 羅針盤 使用이 유럽이나 中東보다 앞서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歷史學의 一般的인 正論 [12] [13] 은 아랍이 中國으로부터 羅針盤을 傳播받고, 다시 이를 유럽에 傳播했다는 것이다. [14]

中國의 羅針盤

編輯
 
漢나라의 南쪽을 가리키는 국자. 漢나라 時代의 국자 羅針盤이 磁化된 磁鐵石이라고 推測한다. [15]

羅針盤이 正確히 언제 發明되었는지에 對해서 意見差異가 있다. 이에 對한 證據가 되는 古代 中國語 參照文獻이다.

  • 自己에 對한 最初의 中國 文書는 紀元前 4世紀 鬼谷子 (鬼谷子)의 文獻이다. "天然磁石은 철을 끌어당긴다." [16] 이 冊은 淸州의 사람들이 그들의 位置를 "南쪽 바늘"을 利用하여 알 수 있었다고 말한다. [17]

몇 몇 著者들은 이것이 羅針盤의 最初使用을 나타낸다고 主張한다.

  • 天然磁石으로 斟酌되는 숟가락에 對한 첫 番째 言及은 中國의 後漢 때에 王充 (王充)이 지은 《 論衡 》에서 書記 70~80年代에 進行했던 同位線上의 地點을 標示하는 作業에 關聯되어있다. 正確히는 "하지만 南쪽 指示 숟가락이 땅위에 올려저 있으면, 安定된 支店으로 南쪽을 가리킨다." 라고 言及되어있다. 本文에 따르면, 著者 왕충의 숟가락은 個人的인 觀察에 依한 現象으로 說明한다.
  • 첫 番째로 磁氣偏差에 對한 說明은 880年의 《館氏지리몽 管氏地理指蒙 》에서 登場한다. 비슷한 時期의 다른 文獻 에도 磁氣偏差를 暗示하는 敍述이 있다. 이 磁氣偏差에 對한 事實들을 얻기 위해서는 羅針盤의 使用이 必要하다. [18]
  • “神祕한 바늘”로 불리는 自省을 띈 바늘에 對한 言及은 923-926年 後唐 의 馬戶(馬縞)에 依해서 쓰여진 《중화고今週 中華古今注 》에서 볼 수 있다. 바늘의 模樣은 올챙이模樣과 比較되었고, 이는 국자磁石에서 바늘자석으로의 變化의 中間 形態로 볼 수 있다. [19]
  • 初期의 方向을 찾기 위한 正確한 自己方向 測定 器具는 宋나라 時代 1040-1044年의 冊에 記錄되었다. 正確히는 “南쪽을 가리키는 물고기”라고 說明되어 있는 그릇의 물에 떠 있는 南쪽을 가리키는 철 조각에 對한 說明이 있다. 《 武經總要 》는 “軍隊가 어두운 날씨나 밤이 되었을 때 方向을 區分할 수가 없고 自身의 位置를 把握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그들은 南쪽을 가리키는 물고기를 만들어 使用할 수 있다"고 말한다. [20] 이것은 金屬 아마도 鐵을 加熱하여 얻을 수 있으며, 현대에 알려진 熱殘留磁化 現象을 利用하였다. 이 現象으로는 弱한 世紀의 磁化度밖에 얻지 못한다. 中國人들이 誘導와 殘留磁氣를 利用하여 磁石을 얻는 동안 유럽에서는 1600年代 까지는 이러한 發見이 나타나지않았다. 西方에서는 윌리엄 길버트 가 《磁石에 關하여 De Magnete 》에서 처음 言及한다. [21]
  • 反駁의 餘地가 없이 確實하게 磁化바늘에 對해서 言及한 것은 1088年의 中國文學에서이다. [22] 宋나라 時代의 博識한 科學者 沈括 에 依해서 씌여진 夢溪筆談이라는 冊이 그 文學이다. 이 冊은 仔細하게 흙占쟁이가 어떻게 바늘에 磁鐵石을 문지름으로써 自省을 얻어 한 줄의 緋緞실에 매단다고 言及하였다. 또한 이 바늘이 어떠한 때는 南쪽, 그 外에는 北쪽을 가리킨다는 事實 또한 분명하게 짚어내었다.
  • 가장 먼저 航海에 羅針盤을 利用한 분명한 記錄은 1117年에 北送 의 주욱(朱彧) 지은 冊 《萍州可談 萍洲可談 》에 있다. 그 本文은 다음과 같다. “이날 밤에는 배를 세울 데가 없었다. 별과 北斗七星을 보고 배를 運行해 갈 수 밖에 없었다. 萬若 어둡다면 물위에 띄운 指南부침(指南浮針)을 써서 南北을 가릴 수 있다. 밤이 되어 烽火불을 켜자 8隻의 배가 모두 이를 따랐다.” [23]

磁石 羅針盤을 軍隊行軍에 使用한 것은 1044年 以前이지만, 航海時代에 羅針盤을 使用하였다는 反駁의 餘地가 없는 證據는 1117年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商用的인 中國의 羅針盤은 물위에 自省바늘을 띄워놓는 形態였다. [24] 宋나라時代부터 元나라時代까지 中國人들은 물이 必要 없는 羅針盤을 만들어 내었다. 하지만 以前의 물을 使用한 羅針盤 만큼 中國에서 널리 使用되지는 않았다. [25] 이것에 對한 證據는 《 士林狂氣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冊은 1325年에 진원정(陳元?)에 依해서 出版되었지만, 그 內容은 1100年과 1250年 사이에 만들어졌다. [25] 中國의 乾燥 羅針盤은 걸어놓는 形態였다. 거북이 模樣으로 工藝 된 나무로 만들어진 骨格은 板子를 利用하여 거꾸로 걸어 그 안에 磁鐵石을 蜜蠟을 利用하여 固定시켰다. 그 狀態로 磁鐵石이 地球磁氣場에 힘을 받아 回轉하면 거북이 꼬리에 달린 바늘은 恒常 磁北을 가리키게 된다. [25] 하지만 유럽의 羅針盤의 指針면 위에 回戰 點을 利用하여 箱子模樣으로 만든 羅針盤 形態는 16世紀에 워코우란 日本人 船長의 電波로 使用하기 始作하였다. [26] 中國人들의 매다는 디자인의 羅針盤은 18世紀까지 잘 使用되었다. [27] 그런데, 크로이츠(Kreutz)에 依하면 乾式 바늘(回戰點을 固定한 나무 거북이를 利用한 設計) 에 對한 文獻은 1150年부터 1250年 사이에 한가지 밖에 存在하지 않는다고 한다. 甚至於 그 文獻에는 明確하게 中國航海士들이 이 乾式羅針盤을 使用하였다는 暗示가 없으며 물을 使用한 羅針盤을 16世紀까지 使用하였다고 主張한다. [24]

 
明나라時代의 航海 羅針盤

48房위 羅針盤을 바다航海에 처음으로 使用한 記錄은 元나라 時代의 外交官이었던 주달관 이 쓴 《 眞臘風土記 》에 있다. 그는 1296年 溫州 에서부터 앙코르 톰 으로의 航海를 仔細하게 記錄하였다. 그의 배가 溫州에서 出港할 때 船員이 恒常 같은 方向인 南西 22.5度를 가리키는 바늘을 가지고 탔다고 한다. 그들이 베트남의 都市인 바리아(Baria)에 到着하고 난 뒤, 船員이 가지고 탔던 "쿤 센 바늘"은 , 南西 52.5를 가리키고 있었다고 한다. [28] 明나라의 將軍인 정해의 "마오쿤 地圖"로 알려진 航海指導는, 정해의 旅行에 關하여 바늘에 對한 記錄을 仔細하게 해놓았다. [29]

中國의 첫 番째 羅針盤 發明 以後에 羅針盤의 擴散에 對해서 論爭이 있다. 크로이츠(Kreutz)에 따르면 현대 學者들의 見解는 中國의 發明이 유럽의 첫 番째 羅針盤에 對한 言及보다 150年 앞서다는 것이다. [14] 하지만 擴散에 對해서는 論難의 餘地가 있다. 왜냐하면 아랍人들이 羅針盤에 있어서 西方과 東洋의 仲介者 役割이 아니기 때문이다. 유럽의 記錄(1190年代)李 무슬림의 記錄(1232年, 1242年, 그리고 1282年) [30] 보다 앞서다는 點이다.

中世 유럽의 羅針盤

編輯
 
《自己에 關한 書簡》에 그려진 14世紀 피터 페레그리누스의 피봇羅針盤.

14世紀의 피봇 羅針盤(pivoting compass) 바늘은 피터 페레그리누스 Peter Peregrinus 의 《自己에 關한 書簡 Epistola de magnete 》(1269)을 따라한 것이다. 알렉산더 네캄 Alexander Neckam 은 프랑스에서 英國으로 다시 되돌아 온 後, 사이렌체스터에 있는 아우구스티니아 修道院에 들어가기 前에, 1187年에서 1202年 사이에 쓰인 《道具에 關하여 De utensilibus 》와 《物性論 De naturis rerum [31] 의 本文에 있는 英國 海峽의 地域에서의 磁氣 羅針盤 使用에 對해 報道했다. [32] [33] 1269年, 페레그리누스는 天文學的 目的을 위해 그가 以前에 《自己에 關한 書簡》에서 航海를 위해 했던 乾式 羅針盤에 對한 有名한 描寫처럼 流動 羅針盤(floating compass)을 描寫했다. [31] 地中海에서의 羅針盤의 導入은 처음엔 그저 물이 있는 그릇 안에 떠다니는 自省 포인터였을 뿐이었지만, [34] 推測航法의 方法으로 漸漸 發展되었고다. 마침내 포르톨라노 海圖의 發展은 13世紀의 後半部의 겨울에 더 많은 航海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35] 地中海의 겨울은 깨끗이 갠 하늘이 드물다는 古代의 慣習 때문에 10月과 4月 사이의 航海가 減少한 反面, 航海 시즌의 延長은 漸次的이지만 一貫된 增加를 낳아 1290年 늦은 1月과 2月에 비로소 始作할 수 있었으며 12月에 끝이 났다. [36] 이 일은 적어도 몇 달은 經濟的으로 相當히 重要했다. 그 例로써, 베네치아 扈衛隊들이 레반트 地域으로의 往復旅行을 1年에 한番이 아닌 두 番 可能하게 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37]

同時에, 13世紀 十 몇年間 地中海부터 英國海峽까지의 商業的 航海들 德分에 地中海와 北유럽 사이의 交通 또한 增加하였으며, 여기서 重要한 事實은 羅針盤이 비스케이 萬(Biscay Bay)을 가로지르는 것을 더 安全하고 쉽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38] 그러나 크로이츠(Kreutz)와 같은 批判家들은 羅針盤에 依한 航海의 始作이 더 나중인 1410年이라고 생각했다. [39]

 
航海士의 羅針盤.

現在, 크로이츠에 따르면, “새 證據의 發見이 없는 以上, 羅針盤에 關한 中國人의 言及이 그 어떤 유럽人보다 150年이나 앞섰다”라고 한다. [14] 그러나 그 記錄이 이슬람(1232, 1242, 1282) [30] 보다 유럽이 먼저 記錄(1190)했다는 證據 때문에 생긴 아랍人들의 東西洋 仲裁人으로써의 機能 失敗는 혼란스러운 疑問을 남겼다. 中國 航海 羅針盤의 出現(1117)李 유럽과 時間的으로 近接하다는 것과, 初期 羅針盤의 模樣이 물이 차있는 그릇에 自省 바늘이 浮遊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슬람의 羅針盤

編輯

이슬람 世界의 물고기 模樣 鐵製 羅針盤에 關한 初期의 言及은 1232年에 發刊된 페르시아 童話冊에서부터 나왔다. [30] 이 물고기 模樣은 典型的인 初期 中國의 디자인이다. 물이 담겨있는 그릇에서의 自省 바늘의 形態 羅針盤에 關한 아랍의 初盤 言及은 1282年에 예멘 술탄의 天文學者 알 아슈라프 Al-Ashraf 로부터 始作되었다. 그는 羅針盤을 天文學的인 目的으로 使用한 첫 番째 사람이기도 하다. [40] 그가 아랍의 航海에서 40年 程度 먼저 羅針盤을 使用했다는 目擊을 描寫한 以後로, 몇몇 學者들은 아랍 世界에서 먼저 나타났다는 쪽으로 意見을 내세우고 있다. [30]

1300年, 이집트 天文學者와 이븐 사이먼(Ibn Sim??n)의 時間 알림원이 쓴 또 다른 아랍의 論文은 乾式羅針盤이 메카의 方向을 찾기 爲한 "카바(Qibla, Kabba) 指標"로 使用되었다고 描寫한다. 하지만 사이먼의 羅針盤은 페레그리누스의 羅針盤처럼 指針面이 없었다. [31] 14世紀에, 시리아의 天文學者와 이븐 알 샤티르(Ibn al-Shatir)의 時間記錄員(1302-1375)李 全 世界的인 해時計와 磁氣 羅針盤을 包含하는 時間記錄 裝置를 發明했다. 그는 살라트에서 祈禱할 時間을 찾을 目的으로 그 裝置를 發明했다. [41] 아랍 航海士 또한 이 時期에 32方向 羅針盤을 導入했다. [42]

引渡의 羅針盤

編輯

人道에서 羅針盤은 航海의 目的으로 使用되었으며, 기름이 들어 있는 컵에서의 鐵製 물고기 位置 때문에 마샤 얀트라(matsya yantra)로 불리고 있다. [43]

中世 아프리카의 羅針盤

編輯

中國의 羅針盤이 소말리아와 스왈리히 都市王國에 있는 東아프리카 貿易센터까지 位置하는 실크로드에서 貿易을 통해 東아프리카까지 갔다는 證據가 있다. 또한, 스왈리히 海洋 商人과 航海士들이 羅針盤을 所有했던 적이 있고, 그 羅針盤들을 스왈리히에서 다우 선(삼각형의 큰 돛을 단 아랍의 倍)의 航海에 使用했다는 證據가 있다. [44]

設計

編輯

磁石 바늘

編輯

羅針盤을 만들기 爲해서는 磁石막대가 必要하다. 이는 地球磁氣場에 依해서 鐵과 같은 金屬의 自省이 整列되어 者化되면 된다. 하지만, 이러한 過程은 弱한 磁性의 磁石밖에 提供하지 못한다. 따라서 다른 方法을 必要로 한다. 그 例로, 磁鐵石을 反復的으로 철 막대기에 같은 方向으로 문질러 더 剛한 磁石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 自省을 띈 막대를 摩擦이 적은 固定點위에 자유롭게 回轉할 수 있도록 하면 地球 磁氣場方向으로 整列되는 것이다. 이제 北쪽과 南쪽을 區分할 수 있도록 막대기에 標示를 해주어야 한다. 普通 慣習的으로 北쪽方向을 標示한다.

바늘과 그릇 裝置

編輯

바늘을 磁鐵石에 문지른다면 바늘은 磁化될 것이다. 코르크조각에 이 바늘을 집어넣고 그릇에 물을 받아 그 물위에 바늘이 꼽아진 코르크 조각을 띄워놓으면 羅針盤이 된다. 이 方法은 乾式 羅針盤이 約 1300年에 發明되기 前까지 널리 使用되었다.

羅針盤의 防衛

編輯
 
蘇聯軍人의 손목 羅針盤. 反時計方向의 防衛를 使用하고 있다.

元來 羅針盤은 東西南北 4가지方向으로 標示되어 있다. 以後에 中國은 24個 유럽은 32個의 등間隔 區間을 더 나누어 羅針盤의 指針면에 標示하였다. 이를 防衛 라고 한다. 現代에는 時計方向으로 한 바퀴를 360個의 同一한 區間으로 쪼갠 360度 體系가 使用되고 있다. 19世紀에 유럽人들은 grad, grade 또는 gon이라고 부르는 體系를 使用하였다. 이는 直角을 100grads로 두어 한 바퀴를 400個의 區間으로 나눈 것이다. 또한 이를 10倍로 다시 나누어 한바퀴가 4000decigrades가 되는 單位를 軍隊에서 使用하기도 했었다. 많은 數의 軍事體系는 프랑스의 “millieme”體系를 使用하고 있다. 이는 라디안單位를 1000倍한 것으로(1바퀴 黨 6283milliradian). 이는 半지름이 1km이고 角이 1milliradian인 부채꼴의 弧의 길이는 1m가 되기 때문에 計算에 便利하다는 利點이 있다. 러시아 皇室은 원을 600個의 區間으로 나눈 體系를 使用하였다. 蘇聯 聯邦은 이를 10倍 더 잘게 쪼개어 “mils”란 單位를 붙여 蘇聯聯邦과 바르샤바 협정국, 東獨逸에서 使用되었다. 이 體系는 反時計方向으로 增加하며 아직도 러시아에서 使用되고 있다.

羅針盤 均衡 맞추기

編輯

地球의 磁氣場이 均一하지 않고 緯度에 따라서 變하기 때문에 地球 磁氣場 變化에 바늘이 기울어 바늘이 指針面과 만드는 摩擦에 依해서 不正確한 方向을 알려주는 것을 防止하기 위해서 生産 時에 均衡을 맞추는 것이 必要하다. 많은 羅針盤 生産者들은 5個의 區域에서 均衡을 맞춘다. 첫 番째 區域은 北半球에서 始作하여 5個의 地域에 걸쳐 오스트레일리아까지 包含한다. [45] 몇몇의 羅針盤들은 特別한 바늘을 利用하여 特定 地區 位置에서의 磁氣場 에서도 正確한 磁北을 가리키도록 한다. 다른 羅針盤들은 '라이더‘라 불리는 작은 미끄러짐 均衡 裝置를 가지고 있다. 이 裝置는 地球 長期醬의 位置에 따른 變化에 依해서 바늘이 기우는 것에 反對의 힘을 加해주어 誤差가 생기는 것을 防止한다. [45]

羅針盤 誤差修正

編輯
 
羅針함을 內藏한 배의 航海 操縱 羅針盤. 두個의 鐵製 九老 强磁性 物體에 依한 誤差를 없애고 있다. 이 羅針盤은 博物館에 展示되어있다.

다른 自己裝置들과 마찬가지로 羅針盤 또한 自省物質의 影響을 받는다. 羅針盤은 周邊에 自省物質들을 例를 들어 自動車 모터, 電氣 回路 周邊에서 使用하면 그들이 만들어내는 磁氣場에 依해서 正確性이 떨어진다. 自動車나 트럭과 같은 移動手段에 依해서 羅針盤에 誤謬가 생기는 境遇가 많다. [46] 바다에서는 배의 羅針盤은 배의 金屬들과 電子 裝置들의 自己攪亂으로부터 羅針盤 機首方向(compass heading)과 自己 機首方向(magnetic heading)사이의 角度差가 생겨나는데 이를 磁氣偏差 라고 한다. 배가 흔들리면서 羅針盤이 回轉하는 힘을 받아 方向이 틀어지는 誤差가 發生하기도 한다. 이러한 羅針盤의 偏差를 修正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方法이 있다. 첫 番째는 期數抛棄선 또는 防衛 機船 이라고 불리는 線을 利用하는 方法이다. 防衛 機船이란 羅針盤 안쪽에 쳐 놓은 線으로 배의 이물 方向을 가리킴으로써 羅針盤의 誤差를 修正할 수 있다. 두 番째로 永久磁石에 依한 效果는 羅針盤의 內部에 裝着되어 있는 작은 磁石에 依해서 修正 될 수 있다. 세 番째로 羅針盤 周邊의 强磁性 物質에 依한 誤差는 두 個의 鐵로 만든 具를 羅針函 兩쪽에 裝着함으로써 解決할 수 있다. 네 番째는 비슷한 過程으로 一般 航空 航空機의 羅針盤을 補正하는 데 使用된다. 이는 自己(磁氣) 羅針盤 自車(自差) 修正 카드를 羅針盤위 또는 아래에 裝着하는 것이다. Flux gate라는 電子 羅針盤은 自動으로 이 調整을 하며 프로그램에 依하여 修正될 수 있다.

使用 方法

編輯
 
羅針盤의 基準틀을 地圖에 맞춘다 (D - 地域의 磁氣 偏角).
 
DOT를 利用하여 實際方位와 羅針盤의 防衛의 差異를 補正하는 寫眞.

磁氣的 羅針盤은 地理的 北極에서 大略 100마일 程度 떨어진 磁北極을 가리킨다. 이 羅針盤의 使用者는 磁北極을 찾아 偏差와 磁差를 補正하여 北쪽을 決定할 수 있다. 偏差는 刺戟들 사이에서 北極의 實際 地理的 方向과 子午線의 方向사이의 角度로 正義 된다. 大部分의 大洋의 偏差 값들은 1914年에 計算되어 公式으로 定해졌다. [47] 自車는 羅針盤이 金屬이나 電流에 依해 發生하는 磁氣場에 反應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羅針盤의 位置를 잘 調整하거나 羅針盤 아래 補完 磁石의 位置를 調節함으로써 補正될 수가 있다. 航海士들은 이러한 측정法이 磁差를 完全히 除去시킬 수 없다는 것을 예전부터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그들이 알고 있는 自己方位를 利用해 羅針盤의 方位를 測定하는 段階를 追加的으로 實行하였다. 그 後 그들은 배를 그 다음 羅針盤 눈금에 맞추고 다시 測定하여 結果들을 圖式化하였다. 이러한 方法으로, 그 地域들을 航海하기 위해 羅針盤을 使用할 때 찾아 볼 수 있는 洑情表가 만들어질 수 있었다. 航海士 같은 專門人들은 正確한 測定에 對해 神經을 써야하지만, 一般 사람들은 磁北極과 實際 北極(地理的 北極)의 差異를 憂慮할 必要가 없다. 磁氣的 偏差가 極甚한 地域을 除外하면, 어떤 사람이 自身이 豫想한 距離와는 다른 方向으로 걸어가는 것을 防止할 수 있다. 旅行한 거리(時間 或은 速度)와 自己 防衛를 正確히 記錄하면, 그는 旅行한 길을 모두 그릴 수 있고 始作點으로 스스로 돌아 올 수 있을 것이다. [48]

 
方位角을 알아내기 위해 프리즘 羅針盤을 使用하는 모습.

地圖(領土 協會)와 結合된 羅針盤 航海는 다른 方法을 要求한다. 角度 羅針盤을 使用하여 目的地로 到達하는 地圖 防衛나 實際 防衛(磁北極이 아닌 實際 北極을 가르킴)를 얻기 위해, 羅針盤의 가장자리는 目的地와 現在 位置의 連結을 위해 地圖에 달려있다. 羅針盤 다이얼의 밑에 있는 方向汽船은 실北極과 나란히 하기 위해 羅針盤 바늘은 完全히 無視하고 經度에 標示된 先(或은 地圖위의 地平線)과 一直線이 됨으로써 回轉한다. [49] 實際 防衛나 地圖 防衛의 結果는, 目的地를 向한 方位角으로써 뒤따르는 指標의 角度나 DOT 線에서 읽혀질 것이다. 萬若 磁北極 方位나 羅針盤 防衛가 必要하다면, 羅針盤은 地圖와 羅針盤 둘 모두의 調和를 위해 防衛를 使用하기 前에 自己便車의 量에 依해 調整될 것이다. 例를 들어, 地圖 위에서 目的地로 두 番째 寫眞의 큰 山이 選擇되었다. 이 때 羅針盤은 地域的 磁氣 偏差를 위해 스케일을 調整하게 둘 것이다. 萬若 올바로 補正된다면, 羅針盤은 自己 防衛 代身 實際防衛를 提供할 것이다.

現代 손바닥 크기의 角度 羅針盤은 바닥板에 恒常 DOT 바늘을 갖고 있다. 使用者의 航路나 方位角의 進行을 살펴보기 위해, 或은 物體가 眞짜 目的地를 向하고 있는지 確實히 하기 위해, 새로운 羅針盤 읽기 方法이 눈으로 볼 수 있는 目標物에 導入되었다. 바닥板에 있는 DOT 바늘이 目標物을 向해 가리킨 後에, 羅針盤은 캡슐 안에서 羅針盤 바늘이 DOT 바늘 위에 겹쳐지게 한다. 그 結果로 나타난 防衛는 目標地點을 向한 自己 防衛이다. 또다시, 使用者가 實際 防衛 或은 地圖 防衛를 使用한다면, 그리고 羅針盤이 自動制御나 선 補正 機器가 없다면, 使用者는 自己方位를 實際 防衛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追加的으로 磁差를 더하거나 빼야한다. 子車의 正確한 값은 偏差가 主로 指導나 온라인의 다양한 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는 것 日誌라하더라도 場所 依存的이고 時間帶에 따라 다양하다. 萬若 旅行者가 올바른 길을 따라 가고 있다면, 羅針盤의 올바른 (實際) 指示 防衛는 指導에서 얻은 實際 方位와 거의 一致한다.

이는 羅針盤을 읽을 때 誤差를 만들어 낼 것이다. 바늘이 扁平하게 잘 놓여 있는지를 보기 爲해 바늘을 가까이서 보아야 하고, 바늘이 자유롭게 이리 저리 흔들리는지, 바늘이 羅針盤의 케이스와 부딪히지 않는지 보기 위해 살짝 기울여보아야 한다. 萬若 바늘이 한 方向으로 기울면, 바늘이 水平으로 길게 될 때까지 反對 方向으로 조심스럽게 살짝 기울여 보아라. 羅針盤 周圍에 놔둘 物件으로 避해야 할 것은 磁石과 電子機器들이다. 電子機器로부터 나오는 磁氣場은 바늘이 地球의 磁氣場을 向해 가리키지 못하도록 妨害를 하며 손쉽게 망가뜨린다. 地球의 自然的 自省은 0.5 가우스로 相當히 弱하고, 家電製品들의 磁氣場은 그를 超過하며 羅針盤 바늘을 制壓한다. 剛한 磁石이나 磁性을 띠는 妨害要因에 露出되는 것은 가끔 磁北極을 가리키는 바늘이 다른 곳이나 完全 反對를 가리키게 만든다. 羅針盤을 쓸 때에는, 磁鐵石처럼 磁性을 띠는 미네랄을 包含한 바위와 같은 鐵이 豐富한 곳은 避하라. 이는 모든 磁性을 띠는 미네랄 含有 바위를 말하는 게 아니라 어두운 表面과 金屬光澤을 가진 바위를 말한다. 바위나 地域이 羅針盤을 妨害하는지를 알아보려면, 그 地域으로부터 나와 바늘이 움직이는지를 보면 된다. 萬若 움직인다면, 바위나 地域이 羅針盤에 妨害를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자리를 避해야한다.

各州

編輯
  1. The Earth's magnetic field is approximately that of a tilted dipole. If it were exactly dipolar, the compass would point to the geomagnetic poles , which would be identical to the North Magnetic Pole and South Magnetic Pole ; however, it is not, so these poles are not equivalent and the compass only points 360' off at the geomagnetic poles .
  2. Serway, Raymond A.; Chris Vuille (2006). 《Essentials of college physics》 . USA: Cengage Learning. 493쪽. ISBN  0-495-10619-4 .  
  3. Emiliani, Cesare (1992). 《Planet Earth: Cosmology, Geology, and the Evolution of Life and Environment》 .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8쪽. ISBN  0-521-40949-7 .  
  4. Manners, Joy (2000). 《Static Fields and Potentials》 . USA: CRC Press. 148쪽. ISBN  0-7503-0718-8 .  
  5. Lowrie, William (2007). 《Fundamentals of Geophys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1쪽. ISBN  9780521675963 . Early in the Han Dynasty, between 300-200 BC, the Chinese fashioned a rudimentary compass out of lodestone... the compass may have been used in the search for gems and the selection of sites for houses... their directive power led to the use of compasses for navigation  
  6. Gabor Horvath; 外. (2011). “On the trail of Vikings with polarized skylight”.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66 (1565): 772?782. doi : 10.1098/rstb.2010.0194 .  
  7. “National High Magnetic Field Laboratory: Early Chinese Compass” . Florida State University. 2011年 8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2月 5日에 確認함 .  
  8. John B. Carlson, "Lodestone Compass: Chinese or Olmec Primacy?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an Olmec Hematite Artifact from San Lorenzo, Veracruz, Mexico", Science , New Series, Vol. 189, No. 4205 (5 September 1975), pp. 753-760 (1975)
  9. A. P. Guimaraes, "Mexico and the early history of magnetism", Revista Mexicana de Fisica , Vol. 50, pp. 51-53 (2004)
  10. “保管된 寫本” . 2012年 7月 1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함 .  
  11. Needham, Joseph (1986). 《The Shorter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6쪽. ISBN  9780521315609 . the introduction of the mariner's compass on Chinese ships some time before 1050, possibly as early as 850  
  12. Needham, Joseph. 《Cambridge University Pre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3쪽. Thus the possibility presents itself that... it may have formed part of one of those transmissions from Asia which we find in so many fields of applied science  
  13. McEachren, Justin W. 《General Science Quarterly, Volumes 5-6》.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7쪽. From the Chinese, the Arabs in all probability learned to use the magnetic needle, and in this round-about fashion it was brought to Europe  
  14. Kreutz, p. 367
  15. Selin, Helaine (1997).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Springer. 541쪽. ISBN  9781402045592 . The device described by Wang Chong has been widely considered to be the earliest form of the magnetic compass  
  16. http://www.gutenberg.org/cache/epub/7209/pg7209.html
  17. Needham p. 190
  18. Needham, Joseph (1970). Clerks and Craftsmen in China and the W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43?244. ISBN  978-0-521-07235-9 . "The geomantic book Kuan Shih Ti Li Chih Meng... has the first account of it... the Chiu Thien Hsuan Nu Chhing Nang Hai Chio Ching... includes an implicit reference to declination"
  19. Needham p. 273-274
  20. Needhamn, p. 252
  21. Temple, p. 156.
  22. Li Shu-hua, p. 182f.
  23. Temple, Robert (2007). The genius of China: 3,000 years of science, discovery & invention (3rd ed.). London: Andre Deutsch. pp. 162?166. ISBN  978-0-233-00202-6 .
  24. Kreutz, p. 373
  25. Needham p. 255
  26. Needham, p. 289.
  27. Needham, p. 290
  28. Zhou
  29. Ma, Appendix 2
  30. Kreutz, p. 370
  31. Schmidl, Petra G. (1996?1997). “Two Early Arabic Sources On The Magnetic Compass”. 《Journal of Arabic and Islamic Studies》 1 : 81?132.   http://www.uib.no/jais/v001ht/01-081-132schmidl1.htm#_ftn4 Archived 2014年 9月 2日 - 웨이백 머신
  32. Neckam, Alexander (1863). 《Alexandri Neckam De Naturis Rerum Libri Duoi》. Longman, Roberts, and Green. xi쪽.  
  33. Gutman, Oliver (2003). 《Liber Celi Et Mundi》. BRILL. xx쪽. ISBN  9789004132283 . probably whilst teaching theology at Oxford before entering the Augustinian abbey at Cirencester in 1202  
  34. Kreutz, p. 368?369
  35. Lane, p. 606f.
  36. Lane, p. 608
  37. Lane, p. 608 & 610
  38. Lane, p. 608 & 613
  39. Kreutz, p. 372?373
  40. Emilie Savage-Smith (1988), "Gleanings from an Arabist's Workshop: Current Trends in the Study of Medieval Islamic Science and Medicine", Isis 79 (2): 246-266 [263]
  41. ( King 1983 , 547?8쪽)
  42. G. R. Tibbetts (1973), "Comparisons between Arab and Chinese Navigational Techniques",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36 (1): 97-108 [105-6]
  43. 《The American journal of science - Google Books》 . 1919 . 2009年 6月 30日에 確認함 .  
  44. The Earth and Its Peoples: A Global History, Volume 2 By Richard Bulliet, Pamela Kyle Crossley, Daniel Headrick, Steven Hirsch, Lyman John. pg. 381
  45. Global compasses , MapWorld.
  46. Johnson, G. Mark (2003年 3月 26日). 《The Ultimate Desert Handbook》. McGraw-Hill Professional. 122쪽. ISBN  0-07-139303-X .  
  47. Wright, Monte, Most Probable Position, University Press of Kansas, Lawrence, 1972, p.7
  48. Johnson, G. Mark (2003年 3月 26日). 《The Ultimate Desert Handbook》. McGraw-Hill Professional. 149쪽. ISBN  0-07-139303-X .  
  49. Johnson, G. Mark (2003年 3月 26日). 《The Ultimate Desert Handbook》. McGraw-Hill Professional. 134?135쪽. ISBN  0-07-139303-X .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