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준태 (詩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김준태 (詩人)

김준태 (金準泰 ,1948年 7月 10日~)는 大韓民國의 詩人이다. 1980年 光州民主化運動 의 慘狀을 素材로 光州를 예수와 不死鳥라고 노래한 아아 光州여, 우리나라의 十字架女 라는 詩를 썼다. 이 詩는 1980年 6月 2日子 全南每日新聞 1面에 실려 世上에 널리 알려졌다. 이 新聞은 當時 新軍部 戒嚴에 依해 檢閱 되어 '아아 光州여'라는 題目으로 世上에 나왔다. [1]

當時 詩人은 高校 敎師로 在職했을 때인데, 抵抗詩를 新聞에 揭載한 탓에 軍事政權의 彈壓으로 强制 解職당하기도 했다. 現在 5.18 記念財團 理事長이다

生涯

編輯

1948年 全羅南道 海南에서 出生했다. 大學 1學年 在學中인 1969年 〈詩人(詩人)〉誌에 《始作(詩作)을 그렇게 하면 되나》 · 《어메리카》 · 《新김수영 (新金洙瑛)》 · 《서울驛》 · 《아스팔트》 等을 發表하고 全南日報 新春文藝에 《참깨를 털면서》가 當選함으로써 文壇에 登場하였다. 詩集으로 '참깨를 털면서', '나는 하느님을 보았다', '국밥과 希望', '불이냐 꽃이냐', '칼과 흙', '밭詩', '달팽이 뿔' 等과 英譯詩集 'Gwangju, Cross of Our Nation', 世界文學 奇行집 '世界文學의 巨匠을 만나다', 南과 北ㆍ海外同胞 詩人들의 統一時에 解說을 붙인 '白頭山아 훨훨 날아라'를 썼다.

朝鮮大學校 獨語獨文學科를 卒業했다. 全南高等學校 敎師 , 신북중學校 敎師, 광주매일 編輯局 副局長 , 光州每日新聞 編輯局 文化部 部長, 朝鮮大學校 招聘敎授 等을 지냈다.

아아 光州여, 우리나라의 十字架女

編輯

아아, 光州여 無等山이여

죽음과 죽음 사이에

피눈물을 흘리는

우리들의 永遠한 靑春의 都市餘


우리들의 아버지는 어디로 갔나

우리들의 어머니는 어디서 쓰러졌나

우리들의 아들은

어디에서 죽어 어디에 파묻혔나

우리들의 귀여운 딸은

또 어디에서 입을 벌린 채 누워 있나

우리들의 魂魄은 또 어디에서

찢어져 散散이 조각나버렸나


하느님도 새떼들度

떠나가버린 光州여

그러나 사람다운 사람들만이

아침저녁으로 살아남아

쓰러지고, 엎어지고, 다시 일어서는

우리들의 피투성이 都市餘

죽음으로써 죽음을 물리치고

죽음으로써 삶을 찾으려 했던

아아 痛哭뿐인 南道의

不死鳥餘 不死鳥餘 不死鳥餘


해와 달이 곤두박질치고

이 時代의 모든 山脈들이

엉터리로 우뚝 솟아 있을 때

그러나 그 누구도 찢을 수 없고

빼앗을 수 없는

아아, 自由의 旗발이여

살과 뼈로 응어리진 旗발이여


아아, 우리들의 都市

우리들의 노래와 꿈과 사랑이

때로는 波濤처럼 밀리고

때로는 무덤을 뒤집어쓸지언정

아아, 光州여 光州여

이 나라의 十字架를 짊어지고

無等山을 넘어

골고다 언덕을 넘어가는

아아, 온몸에 傷處뿐인

죽음뿐인 하느님의 아들이여


正말 우리는 죽어버렸나

더 以上 이 나라를 사랑할 수 없이

더 以上 우리들의 아이들을

사랑할 수 없이 죽어버렸나

正말 우리들은 아주 죽어버렸나


충장로에서 금남로에서

화정동에서 산수동에서 용봉동에서

지원동에서 陽動에서 계림동에서

그리고 그리고 그리고 ……

아아, 우리들의 피와 살덩이를

삼키고 불어오는 바람이여

속절없는 歲月의 흐름이여


아아, 살아남은 사람들은

모두가 罪人처럼 고개를 숙이고 있구나

살아남은 사람들은 모두가

넋을 잃고 밥그릇조차 對하기

어렵구나 무섭구나

무서워 어쩌지도 못하는구나


아아, 光州여 無等山이여

죽음과 죽음을 뚫고 나가

白衣의 옷자락을 펄럭이는

우리들의 永遠한 靑春의 都市餘

不死鳥餘 不死鳥餘 不死鳥餘

이 나라의 十字架를 짊어지고

골고다 언덕을 다시 넘어오는

이나라의 하느님 아들이여


예수는 한 番 죽고

한 番 復活하여

오늘가지 아니 언제까지 산다던가

그러나 우리들은 몇百 番을 죽고도

몇百 番을 復活할 우리들의 참사랑이여

우리들의 빛이여, 榮光이여, 아픔이여

只今 우리들은 더욱 살아나는구나

只今 우리들은 더욱 튼튼하구나

只今 우리들은 더욱

아아, 只今 우리들은

어깨와 어깨뼈와 뼈를 맞대고

이 나라의 無等山을 오르는구나

아아, 미치도록 푸르른 하늘을 올라

해와 달을 입맞추는구나


光州여 無等山이여

아아, 우리들의 永遠한 旗발이여

꿈이여 十字架女

歲月이 흐르면 흐를수록

더욱 젊어져 갈 靑春의 都市餘

只今 우리들은 確實히

굳게 뭉쳐 있다 確實히 굳게 손잡고 일어선다.

詩의 影響

編輯

詩人은 이 詩에서 光州를 '이 나라의 十字架를 짊어지고 골고다 언덕을 다시 넘어오는' 예수에 比喩하면서 '죽음으로써 죽음을 물리치고 죽음으로써 삶을 찾으려 했던 不死鳥'라고 노래했다. 이 詩는 나중에 專門이 外信으로 飜譯되어 5ㆍ18의 慘狀과 孤立無援이었던 光州의 狀況을 世界에 알리는 契機가 됐다. 以後 이 詩는 金 詩人도 모르는 사이에 美國 하버드대 英文科 敎授인 데이비드 맥캔 博士에 依해 詩集 'Gwangju, Cross of Our Nation'이라는 題目으로 領域돼 美國 等 英語圈 나라에 紹介됐다. 1980年 7月에는 日本 月刊誌 '세카이'(世界)에 詩 專門이 日語로 飜譯돼 실렸고, 臺灣 타이페이 州立喜 敎授에 依해 中國語로 飜譯돼 紹介됐다. 또 시카고 메리글로브臺 英文科 敎授였던 송재평(2013年 작고) 博士 等에 依해 金 詩人의 作品 數十 便이 領域됐다. [2]

各州

編輯
  1. “檢閱된 新聞” (聯合뉴스) . 2015年 5月12日에 確認함 .  
  2. “文化藝術로 形象化… '五月 光州' 永遠하라” (전남일보) . 2015年 5月18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