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구현 (프로게이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김구현 (프로게이머)

프로게이머

김구현 (金久鉉, 1990年 10月 18日 ~ )은 大韓民國 의 前職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 이다. 프라임 所屬이었다. GooJila 라는 아이디를 使用하며, 種族은 프로토스 이다.

김구현
(金久鉉)
基本 情報
出生 大韓民國 大邱廣域市 南區
性別 男性
國籍 大韓民國
活動 情報
種族 프로토스
아이디 GooJila
別名 (붉은 셔틀의) 曲藝師, 金九, 球質라, 김구열
所屬팀 STX SOUL (2006 ~ 2011年 9月 11日)
空軍 ACE (2011年 10月 24日 ~ 2013年 10月 23日)
프라임 (2013年 10月 31日 ~ 2014年 4月 10日)

生涯 編輯

2006年 上半期 드래프트에서 SouL(現 STX SouL)의 3次 地名으로 入團해 그 해 프로리그에서 新人賞을 受賞했다.

처음으로 進出한 個人리그인 곰TV MSL 시즌4에서 決勝까지 破竹之勢로 올라가며 선보인 아찔한 셔틀리버 플레이로 스타덤에 올랐다. 김구현의 特有의 緊張感 넘치는 셔틀曲藝 플레이는 그에게 '붉은 셔틀의 曲藝師'라는 別名을 얻어주었다. 붉은 셔틀이란 體力이 빨간色으로 매우 낮은 狀態인, 곧 터져버릴 것 같아 보는 이들의 緊張感을 造成하는 셔틀을 意味한다. 김구현은 세 種族戰에서 고른 勝率을 보이는 萬能 플레이어이나 뛰어난 셔틀리버 플레이로 刻印된 이미지 때문에 特히 저그前에 特化된 選手로 評價된다.

現存하는 프로토스 유저들 中 戰略的인 플레이를 가장 잘 驅使하는 選手들 中 한 名이다. 2008年 最高의 活躍을 펼쳤던 여섯 名의 프로토스 選手들을 가리키는 '六龍'의 一員이다 (김구현, 송병구 , 김택용 , 도재욱 , 허영무 , 윤용태 ). 2009年 後半期에 저그의 强勢로 인한 六龍의 總體的인 不振 때문에 그 意味가 退色된 面도 없지 않아 있지만 MSL에서는 김구현, 도재욱 스타리그에서는 송병구 等이 活躍하며 反轉을 꾀하고 있다. 리쌍에게는 매우 弱하나 택뱅을 相對로는 剛한 面을 보이고 있다.

新韓銀行 프로리그 10-11 4,5R에서 連敗를 하며 不振에 빠져있다가 6R에서 김구현 自身만의 플레이로 차명환 을 잡아내고 幻想的인 셔틀리버 플레이로 相對戰績에서 0:6으로 밀리는 김명운 을 잡아내며 不振을 털어내는듯 했으나 그 後 連霸는 繼續되었고, 김구현은 6强 PO에서까지 不振을 털어내지 못하며 STX Soul 의 준PO 進出은 다시 挫折되었다.

2011年 4月 ABC마트 MSL 2011 에서 박상우 , 金起炫 에게 연이어 敗하며 32强에서 탈락하였고, 온게임넷 에서도 24强에서 테란 選手들인 강정우 염보성 에게만 各各 1競技와 敗者戰에서 敗하며 2連敗로 脫落한 以後 스타리그에서 모습을 감추었으며, 同年 7月까지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만 모습을 보였다.

2011年 7月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金俊昊 , 이경민 에게 연이어 敗하며 2連敗로 탈락했다. MBC게임 의 弊國으로 인해 이것이 김구현의 MSL 連續 進出 回數를 10回에서 접어야만 했다.

2011年 9月 22日, 單 한 名만을 募集하는 2011年 8回次 空軍 e스포츠病 典型의 最終 合格者로 選定됐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1R 中盤부터 空軍 ACE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그러나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부턴 空軍 에이스의 解體로 프로리그에 參加하지 않게 되면서 프로리그에 出戰하지 못하게 됐다.

그 뒤 他 部隊로 옮겨 져서 남은 軍生活을 했었다가 2013年 10月 23日 除隊했다.

2013年 10月 31日 프라임 으로 電擊 入團했었으나 出戰은 거의 하지 않았고, 2014年 4月 10日에 隱退했다.

主要 記錄 編輯

全的 編輯

通算戰績 (12.08.06 基準, 스타2 戰績包含)

京畿 勝-牌 勝率
臺 테란 136 78 ?58 57.4%
臺 저그 156 82 ?74 52.6%
代 프로토스 133 68 ?65 51.1%
總合 425 228 ?197 53.6%

김구현의 對 저그前 成績 編輯

  • 2006年 - 3錢 1勝 2敗 (33.3%)
  • 2007年 - 14錢 10勝 4敗 (71.4%)
  • 2008年 - 21錢 14勝 7敗 (66.7%)
  • 2009年 - 32錢 16勝 16敗 (50.0%)
  • 2010年 - 49錢 24勝 25敗 (49.0%)
  • 2011年 - 32錢 16勝 16敗 (50.0%)
  • 2012年 - 6戰 1勝 5敗 (16.6%)

個人리그 編輯

메이저 個人리그 準優勝 1回 [1]

  • 2005年 第16回 커리지 매치 立像
  • 2006年 스카이 프로리그 2006 後期리그 新人王
  • 2007年 2007 서울 國際 e스포츠 페스티벌 스타크래프트 256强戰 32强
  • 2008年 곰TV MSL 시즌4 準優勝 (1:3 이제동 )
  • 2008年 아레나 MSL 2008 8强
  • 2008年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32强
  • 2008年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2008 스타크래프트 部門 4位
  • 2008年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36强
  • 2008年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3位
  • 2008年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 16强
  • 2008年 BATOO 스타리그 08~09 16强
  • 2009年 로스트社가 MSL 2009 32强
  • 2009年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强
  • 2009年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16强
  • 2009年 아발론 MSL 2009 16强
  • 2010年 NATE MSL 2009 4位
  • 2010年 大韓航空 스타리그 2010 Season 1 3位
  • 2010年 하나대투증권 MSL 2010 32强
  • 2010年 빅파일 MSL 2010 16强
  • 2010年 大韓航空 스타리그 2010 Season 2 16强
  • 2010年 WCG 2010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部門 準優勝 (銀메달) (0:2 李泳鎬 )
  • 2010年 박카스 스타리그 2010 8强
  • 2010年 2010 大韓民國 e-스포츠 對象 프로토스 最優秀 選手賞
  • 2011年 피디팝 MSL 2010 8强
  • 2011年 ABC마트 MSL 2011 32强
  • 2011年 진에어 스타리그 2011 24强

各州 編輯

  1. MSL 1回 準優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