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國花속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國花속

菊花科의 下位 속에 對한 分類群

國花속 (菊花屬, Chrysanthemum )은 菊花科 에 屬하는 多年生 植物이다. 觀賞用으로 널리 쓰이는 國花(Chrysanthemum x morifolium)는 國花속의 交雜種이다.

國花속
국화
國花
生物 分類 ??
界: 植物界
(未分類): 속씨植物群
(未分類): 鎭靜雙떡잎植物群
(未分類): 國花群
목: 국화목
과: 菊花科
亞科: 國花亞科
族: 길뚝개꽃族
亞族: 쑥鵝足
속: 國花속
( Chrysanthemum )

학명이名

Chrysanthemum subsect. Dendranthema (DC.) DC. ex Kitam.
Neuractis Cass.
Pyrethrum sect. Dendranthema DC.
Leucanthemum (Tourn.) L.
Dendranthema (DC.) Des Moul.

  • 本文 參照

特徵

編輯

觀賞用으로 널리 栽培하는 여러해살이풀 로 많은 園藝品種이 있다. 줄기는 밑部分이 木質化하며, 잎은 어긋나고 偶像으로 갈라진다. 꽃은 頭狀花로 줄기 끝에 피는데 中央은 管狀花, 周邊部는 舌狀花이다. 舌狀花는 암술만 가진 單性花이고 管狀花는 癌手術을 모두 가진 兩性花이다. 꽃은 노란色·白色·빨간色·보라色 等 品種에 따라 다양하고 크기나 模樣도 品種에 따라 다르다. 오래 栽培해 오는 동안 많은 變種이 開發되었으며, 꽃의 크기에 따라 18cm 以上인 것을 大輪(大輪), 9cm 以上인 것을 中輪, 그 以下의 것을 小輪으로 區別한다. 또, 꽃잎의 形態에 따라 후물(厚物)·官物(官物) 및 鑛物(廣物)로 크게 나눈 다음 細分하기도 한다. 꽃을 말린 것을 베개 속에 넣으면 頭痛에 效果가 있고, 이불솜에 넣으면 그윽한 香氣를 즐길 수 있으며, 菊花술〔延命酒〕을 담가 먹기도 한다. [1]

分類

編輯

國花속에는 韓國의 自生植物이 없고, 大部分 東아시아, 그中에서도 中國에 많이 自生한다. 흔히 우리나라 自生植物人 九節草, 감國種類를 國花속 ( Chrysanthemum )으로 分類하여 表記되는데 이는 잘못된 表記이다. 數十年前 分類學者들에 依해, 只今보다 더 많은 種을 包含하고 있던 國花속을 여러속으로 가르게 되면서 九節草도 國花속이 아닌 山國俗( Dendranthema )으로 分類되었으나,현재는 다시 山國俗이 國花속에 統合되면서 九節草,甘菊種類도 다시 國花속으로 돌아왔다.

由來

編輯

菊花는 梅花 · 蘭草 · 대나무 와 함께 일찍부터 四君子 의 하나로 指稱되어 왔다. 뭇꽃들이 다투어 피는 봄·여름에 피지 않고 날씨가 차가워진 가을에 서리를 맞으면서 홀로 피는 菊花의 모습에서 韓國의 先人 들은 孤高한 氣品과 節槪를 지키는 君子의 모습을 發見하였던 것이다.(사군자는 韓國의 先人들이 發見한게 아니라 中國에서 들어온 것..) 그래서 菊花를 일컬어 傲霜孤節(傲霜孤節)이라고 한다. 中國 에서는 陶淵明 (陶淵明)李 菊花를 가장 사랑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무숙 (周茂叔)은 〈愛蓮說(愛蓮說)〉에서 "國花지은일자야(菊花之隱逸者也)"라고 하였다. 菊花는 君子 가운데서도 '隱遁하는 선비'의 이미지에 잘 符合되는 것으로 評價 받는다.

菊花가 언제 韓國에 傳來되었는지 正確히는 알 수 없으나 朝鮮 世宗 강희안 (姜希顔)이 지은 《양화소록(養花小錄)》에는 高麗 忠肅王 때 中國의 天子가 보낸 것으로 記錄되어 있다. 中國에서는 陰曆 9月 9日, 곧 重陽節에 菊花酒를 가지고 높은 곳에 오르는 風習이 있었다고 하는데, 韓國도 9月 9日에 民間에서 菊花酒를 담가 먹는 風習이 있었다. 高麗歌謠 〈동동(動動)〉 9月齡에 "9月 9日에 아으 藥이라, 먹논 黃化(黃花)告知 안해 드니 새셔가만 下隸라, 아으 動動다리"라고 하였으니, 重陽節 에 菊花酒를 담가 먹었고 그것을 藥酒로 認識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高麗時代에 이미 韓國에도 國花가 있었음도 알 수 있다. [2]

品種

編輯

國花속은 普通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多少 木質化하고 겨울이면 地上部가 말라 죽으며 뿌리로 월동한다. 꽃은 頭狀花로 가을에 피는데 舌狀花와 管狀花로 되며, 지름은 작은 것이 1cm, 큰 것은 3 ~ 5cm이다. 現在 韓國의 山과 들에서 自生하는 野生 菊花속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山菊

山과 들에서 자라며, 줄기는 높이 1 ~ 1.5m이고 위쪽에서 가지를 많이 치며 흰털이 나 있다. 10 ~ 11月에 가지 끝에서 多數의 頭狀花가 피는데, 지름 1.5cm 程度이고 舌狀花는 黃色이다.

甘菊

山菊과 비슷하나 꽃이 좀 커서 지름 2.5cm 程度이다.

뇌향국화

양지바른 山地에서 자라며, 높이 40 ~ 80cm이고 잎에는 香氣가 있다. 10 ~ 11月에 白色 舌狀花와 黃色 管狀花로 된 頭狀花가 가지 끝에 多數 핀다. 頭狀花는 지름 3 ~ 5cm이다.

山九折草

山과 들에서 자라며, 높이 10 ~ 60cm이다. 頭狀花는 元줄기 끝과 가지 끝에 1個씩 피며 지름 3 ~ 6cm이고, 꽃은 普通 白色이지만 붉은 빛이 도는 것도 있다.

갯國花

바닷가에서 자라며 높이 30 ~ 40cm이고, 10 ~ 11月에 黃色의 작은 頭狀花가 가지 끝에 모여 핀다.

栽培 菊花는 꽃송이의 크기에 따라서 大國(大菊)·中國(中菊)·小國(小菊)으로 나누며, 開化期에 따라 秋菊(秋菊)·동국(冬菊)·夏菊(夏菊) 等으로 나눈다. 小菊은 꽃잎의 形態도 여러 가지이고, 꽃色도 다양해서 懸崖作이나 盆栽作으로 適當하다. 開化期에 依한 分類는 主로 切花用 品種에 適用한 것인데 推鞠은 一般的인 開化期를 가지는 것이고, 東國은 初겨울에 꽃이 피는 것, 夏菊은 낮時間의 길이에 關係없이 溫度만 알맞으면 언제든지 꽃이 피는 것이다. [3]

栽培

編輯

菊花는 切花用·花盆用·花壇用으로 나누어지는데 花盆用은 다시 포트멈과 觀相國으로 區分되고, 花壇用으로는 主로 쿠션멈이 있다.

折花生産은 露地(路地)에서뿐만 아니라 溫室과 하우스의 促成栽培, 短日處理로 開化期를 빠르게 하는 빛가림(遮光) 栽培, 長日處理로 開化期를 늦추는 前兆抑制栽培 等이 있다.

이 中 빛가림 栽培는 가을菊花를 여름철 葬日期間 동안에 빛가림으로 單一을 만들어 줌으로써 꽃눈 分化를 遺棄시켜 開化를 促進시킨 것이다. 빛가림은 收穫豫定日 50 ~ 60日 前부터 始作한다. 밤의 길이는 4時間이 되고 낮의 길이는 10時間이 되도록 하여 單一條件을 만들어 준다. 빛가림 中에는 溫度가 높이 올라가 꽃눈 發達에 좋지 못한 影響을 줄 뿐 아니라 病害의 危險도 크므로, 지나치게 溫度가 올라가지 않도록 注意해야 한다.

前兆抑制栽培는 가을菊花나 겨울菊花를 12月 下旬 以後에 꽃피게 하여 收穫하려고 할 때 利用하는 抑制栽培이다. 噴湧栽培 中 觀相國은 大輪·入國·懸崖·席部作 및 목部作 等으로 나뉘는데, 大量生産이 制限되어 營利的인 生産이 活潑하지 못하며, 噴湧으로는 포트멈이 많이 生産된다.

포트멈은 美國에서 가을菊花로부터 開發된 品種으로 줄기의 길이에 따라 單警鐘·重警鐘·章警鐘으로, 또한 單一處理를 받기 始作하여 꽃이 피기까지의 期間에 따라 8駐國花·10駐國花·13駐菊花로 나뉜다. 이 포트멈은 前兆에 依한 開化抑制와 빛가림에 依한 開化促進 處理를 時期에 따라 調節함으로써 年中 生産이 可能하며, 生育期間이 比較的 짧아 75 ~ 90日 만에 市場에 出荷할 수 있는 長點이 있다. [4]

繁殖

編輯

菊花는 눈꽃이 포기나누기 로 繁殖시킨다. 절火災배를 하기 위한 推鞠의 促成栽培, 夏菊의 露地栽培, 東國의 小輪種 等은 同志 秋分 에 抛棄턱에서 나오는 새筍을 나누어 심는다. 그 밖에 推鞠의 普通栽培는 4 ~ 5月, 電照栽培는 7 ~ 8月, 東國의 普通栽培는 9月에 꺾꽂이 한다.

觀相國 栽培에서는 大國의 大輪作이나 小國의 懸崖作 및 盆栽작은 겨울에 포기나누기를 하며, 大國의 入國작은 4月 下旬에서 5月 上旬에 눈꽂이를 한다. 꺾꽂이 할 흙은 개울 모래가 좋으며, 꺾꽂이純銀 줄기를 6cm 內外로 자른 것에 잎을 2個 程度 남겨 꽂는다. 꽂을 때 호르몬劑를 쓰기도 하며, 꽂은 다음에는 해가림을 하고, 물주기에 힘쓰면 3週日 만에 뿌리를 내린다. [5]

下位 種

編輯

2020年 2月 基準으로, 플랜츠 오브 더 월드 온라인 은 다음의 種을 分類하였다: [6]

  • C. aphrodite Kitam.
  • C. arcticum L.
  • C. argyrophyllum Ling
  • C. arisanense Hayata
  • C. chalchingolicum Grubov
  • C. chanetii H.Lev.
  • C. crassum (Kitam.) Kitam.
  • C. cuneifolium Kitam.
  • C. daucifolium Pers.
  • C. dichrum (C.Shih) H.Ohashi & Yonek.
  • C. foliaceum (G.F.Peng, C.Shih & S.Q.Zhang) J.M.Wang & Y.T.Hou
  • C. glabriusculum (W.W.Sm.) Hand.-Mazz.
  • C. horaimontanum Masam.
  • C. hypargyreum Diels
  • 甘菊 ( C. indicum ) L.
  • C. integrifolium Richardson
  • C. japonicum (Maxim.) Makino
  • C. × konoanum Makino
  • 山菊 ( C. lavandulifolium ) Makino
  • C. leucanthum (Makino) Makino
  • C. longibracteatum (C.Shih, G.F.Peng & S.Y.Jin) J.M.Wang & Y.T.Hou
  • C. maximoviczii Kom.
  • C. miyatojimense Kitam.
  • 國花 ( C. × morifolium ) (Ramat.) Hemsl.
  • C. morii Hayata
  • C. naktongense Nakai
  • C. ogawae Kitam.
  • C. okiense Kitam.
  • C. oreastrum Hance
  • C. ornatum Hemsl.
  • C. parvifolium C.C.Chang
  • C. potentilloides Hand.-Mazz.
  • C. rhombifolium (Y.Ling & C.Shih) H.Ohashi & Yonek.
  • C. × rubellum Sealy
  • C. × shimotomaii Makino
  • C. sinuatum Ledeb.
  • C. vestitum (Hemsl.) Kitam.
  • C. yantaiense M.Sun & J.T.Chen
  • C. yoshinaganthum Makino
  • 가는잎九節草 ( C. zawadskii ) Herbich
  • C. zhuozishanense L.Q.Zhao & Jie Yang

過去의 種:

  • Chrysanthemum carinatum = Ismelia carinata
  • Chrysanthemum cinerariifolium = Tanacetum cinerariifolium
  • Chrysanthemum coccineum = Tanacetum coccineum
  • Chrysanthemum coronarium = 쑥갓 ( Glebionis coronaria )
  • Chrysanthemum frutescens = 마거리트 ( Argyranthemum frutescens )
  • Chrysanthemum maximum = Leucanthemum maximum
  • Chrysanthemum pacificum = Ajania pacifica
  • Chrysanthemum segetum = Glebionis segetum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國花, 《글로벌 世界 大百科》
  2. 國花-由來, 《글로벌 世界 大百科》
  3. 國花-品種, 《글로벌 世界 大百科》
  4. 國花-栽培, 《글로벌 世界 大百科》
  5. 國花-繁殖, 《글로벌 世界 大百科》
  6. “Chrysanthemum L.” .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8年 12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2月 24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