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敎皇 클레멘스 6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敎皇 클레멘스 6歲

第198代 敎皇 (1291?1352)

敎皇 클레멘스 6歲 ( 라틴語 : Clemens PP. VI , 이탈리아語 : Papa Clemente VI )는 第198代 敎皇 (在位: 1342年 5月 7日 ~ 1352年 12月 6日 )이다. 本名은 피에르 로제 ( 프랑스語 : Pierre Roger )이다. [1] 그는 在位期間 동안 黑死病(1346 ~ 1353)을 겪었다.

클레멘스 6歲
任期 1342年 5月 7日
前任者 베네딕토 12歲
後任者 인노첸시오 6歲
個人情報
出生이름 피에르 로제
出生 1291年
프랑스 王國 리무쟁
腺腫 1352年 12月 6日
敎皇領 아비뇽

生涯 初期

編輯

誕生과 家族 關係

編輯

피에르 로제는 오늘날 프랑스 리무쟁 로지에르데그레桶 州의 一部인 마몽 城에서 마몽 로지에르데그레桶 領主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兄 기욤은 세 番이나 結婚해 膝下에 13名의 子女를 두었으며, 동생 位그는 산 로렌초 人 多마소의 私製級 樞機卿이 되었다. 피에르에게는 델핀과 엘리오노르 두 名의 누이도 있었는데, 前者는 자크 드 베歲와 婚姻했으며, 後者는 자크 드 라 住持와 婚姻했다. 기욤은 婦人의 持參金으로 샹棒의 領主가 되었으며, 동생인 敎皇의 性職錄 德分에 步포르 自作이 되었다. [2]

修道士와 學者

編輯

蘆穄는 1301年 오베르뉴 [3] 의 클레몽 敎區에 있는 라셰즈듀 베네딕도會 大修道院에 立會하였다. [4] 그곳에서 6年 동안 지내면서 그는 르퓌의 主敎 張 드 쿠멘시스와 修道院 院長 위그 다크로부터 高等 敎育을 直接 받았다. [5] 1307年 파리의 소르본 大學校 에서 工夫를 始作한 그는 나르본 大學校에 入學하였다. 主敎와 修道院長의 支援을 받아 그는 리모주 敎區의 姓 판脫레온 修道院의 修道院長 地位를 附與받았다. [6] 1323年 여름, 피에르는 파리에서 16年 間 神學과 敎會法을 工夫한 後 敎皇 요한 22歲 에 依해 神學博士 學位를 授與받고 神學을 가르칠 權限을 附與받았다. [7] 當時 그의 나이는 31歲였다. [8] 그는 피에르 롱바르 의 命제집을 大衆에게 講義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 의 著書들을 擁護하고 이를 널리 알렸다. 파도바의 마르實利우스가 쓴 《平和 擁護者》(Defensor Pacis)를 읽고 驚愕한 그는 1325年 이를 批判하고 敎皇 요한 22歲를 辯護하는 論文을 썼다. [9]

1324年 4月 24日 그는 敎皇 요한 22歲에 依해 라셰즈듀 大修道院에 所屬된 生바우딜 修道院 修道院長에 任命되었으며, 1326年 6月 23日에는 프랑스에서 가장 重要한 修道院들 中의 한 곳이자 王室 修道院인 페캉 大修道院 의 아빠스가 되었다. 그는 1329年까지 아빠스職을 維持하였다. [10]

피에르 로제는 自身의 벗이자 後援者인 피에르 드 모르트마르 樞機卿에 依해 아비뇽에 불림을 받았는데, 둘 다 프랑스 王 샤를 4歲 와 가까운 사이였다. 안타깝게도 샤를 4歲가 1328年 2月 1日 死亡하면서 카페 王朝의 直系 血統이 斷絶되었다.

페캉 修道院의 아빠스이자 에드워드 3歲의 봉신으로서 피에르는 1328年 잉글랜드 王 에드워드 3歲 에게 아키텐 工作으로서 프랑스 王 필리프 6歲 에게 敬意를 표하라고 勸誘하는 任務를 附與받았다. [11] 하지만 그는 에드워드 王으로부터 아무런 應答도 받지 못하고 프랑스로 돌아오면서 그의 任務는 成功하지 못했다. [12]

主敎

編輯

1328年 12月 3日 [13] 피에르 로제는 아라스의 主敎가 되면서 필리프 6歲의 宮廷 一員이 되었다. [14] 그는 1329年 11月 24日까지만 아라스의 主敎를 지내다가 1年도 채 되지 않아서 센 大敎區長으로 陞品되었다. [15] 그는 1年 1個月 동안 센 大敎區長을 지내다가 1330年 12月 14日 루앙 大敎區長에 任命되었다. [16]

1329年 피에르가 센 大主敎로 在職할 當時 敎會 指導者들의 司法權을 包含한 問題들을 論議하기 위해 뱅센에서 열린 프랑스 主要 聖職者 會議에 參席했다. 프랑스 王 필리프 6世도 자리를 함께 했다. 會議에서는 피에르 드 쿠니에르 等 敎會 當局의 司法權 行事에 反對하는 意見들이 많이 提示되었다. 피에르 로제는 1329年 12月 22日 敎會의 權威를 代辯하는 立場에 섰다. [17]

1329年 敎皇 요한 22歲의 說敎 以後 論議된 至福直觀 論爭은 1333年에 이르러 深刻한 水準에 이르렀다. [18] 이 問題로 프랑스 宮廷에 여러 上疏가 빗발치자 結局 王과 王妃는 滿足할 만한 助言을 求하기로 하였다. 요한 22世는 파리 大學校가 自身의 생각에 反對한다는 事實을 알고 프란치스코回 總長 제라드 誤導니스와 [19] 도미니코回 說敎者를 파리 大學校에 보내 自身의 觀點을 公開的으로 說破하도록 하였다. 필리프 王은 1334年 크리스마스 直前에 敎皇의 主張에 反對하기로 意見을 모은 神學大學 碩士들을 뱅센으로 부름으로써 그들에게 힘을 실어주었다. 王은 個人的으로 그들의 意見을 敎皇에게 傳해주었지만, 敎皇은 但只 王에게 敎皇인 自身이 아직 明確하게 決定하지 않은 意見을 支持하는 것을 멈출 것을 要請하였다. 요한 22世는 루앙 大主敎 피에르 로제에게 自身의 見解를 글로 적어 王에게 說明하라고 指示했다. 아이러니하게도 피에르 로제는 至福直觀 論爭에 있어서 요한 22歲의 便에 서지 않았다. 피에르 로제 大主敎를 비롯해 神學者 피에르 드 라 팔뤼와 프랑스 宰相 기욤 드 생트모르, 루앙 大敎區의 首席副제 張 드 폴리냑 等으로 構成된 委員會는 敎皇과 이야기해 그의 생각을 바꾸려고 했으나 無爲에 그쳤다. 1334年 初, 敎皇 요한 22世는 樞機卿들과 高位 聖職者들과 神學 博士들과 敎會 裁判所 法律家들에게 이 問題를 徹頭徹尾하게 檢討하고 그 結果를 報告할 것을 指示했다고 프랑스 王에게 通報하였다. [20] 요한 22世는 이 問題를 委員會에 一任하면서 自身의 體面을 차리는 데 汲汲했지만, 結局 臨終 直前에 가서야 自身의 見解를 撤回하였다. 그리고 本來 그의 생각은 그의 後任者인 敎皇 베네딕토 12歲 에 依해 公式的으로 斷罪되었다.

1335年 4月 14日 피에르 路祭의 벗이자 後援者인 피에르 드 모르트마르 樞機卿이 善終하면서 自身의 遺言 執行者 中 한 사람으로 피에르 露祭를 指名하였다. [21]

1335年 9月 피에르 로제 大主敎는 노트르담듀프헤(後날의 本누벨) 修道院에서 루앙 地域 公議會를 召集하였다. [22] 管區地域의 主敎들 中 單 두 名만이 公議會에 參席했고, 나머지 主敎 네 名은 代理人을 派遣했다. 主敎座聖堂 參事會員들과 修道院의 아빠스들도 招待되었다. [23] 公議會는 地域 聖職者들이 自身들의 所任에 充實할 것을 促求했다. 가장 注目할 만한 것은 十字軍 遠征에 參與하고자 한 王의 바람에 應答하고자 主敎들에게 이를 支援하는데 最善을 다하도록 激勵한 것이다.

樞機卿

編輯

1338年 12月 18日 피에르 로제는 敎皇 베네딕토 12歲에 依해 私製級 樞機卿 에 서임되었다. 敎皇은 總 여섯 名의 樞機卿을 敍任했는데, 그 中 넷은 修道者들로 두 名은 베네딕도會員이었고, 나머지는 試土會員과 메르體데스會員이었다. 또 한 名은 리미니 出身이었고, 나머지는 프랑스 南部 出身이었다. 네 名은 法律家였고, 나머지 두 名은 神學者였다. 그런데 樞機卿 서임자 한 名이 서임식 前에 腺腫하자 다른 人物로 交替되었다. 피에르 로제는 1339年 5月 5日 처음으로 아비뇽에 있는 敎皇廳에 들어가 産티 네레오 데 阿킬레오 聖堂 乙 名義本堂으로 받았다.

敎皇

編輯
 
敎皇 클레멘스 6歲

1342年 絲蓴 時期 中에 羅폴레오네 오르시니 樞機卿이 善終했다. 葬禮 미사는 聖週間 月曜日 아비뇽의 프란치스코回 聖堂에서 擧行되었으며, 講論은 피에르 로제 樞機卿이 맡았다. [24] 한달 後인 1342年 4月 25日, 敎皇 베네딕토 12歲가 아비뇽의 敎皇宮에서 善終하였다. 필리프 6歲 國王은 卽時 피에르 露祭를 敎皇에 選出되도록 하기 위해 長男인 腸 王子를 보냈으나 너무 늦게 到着해 아무런 影響을 끼치지 못했다. [25] 베네딕토 12歲의 後任者를 選出하기 위해 總 19名의 樞機卿들 中 18名이 콘클라베 에 參與했다. 그 中 14名은 프랑스 사람이었고, 3名은 이탈리아 사람이었으며, 나머지 한 名은 스페인 사람이었다. 베르트랑 드 몽파베즈 樞機卿은 痛風 때문에 樞機卿들 中에선 홀로 콘클라베에 參與하지 못했다. 콘클라베는 1342年 5月 5日 週日에 始作되었고, 5月 7日 火曜日 아침에 이르러서야 意見이 모아졌다. 當時 樞機卿 두 名은 5月 8日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歲 王에게 “事前에 어떠한 政治 工作 없이 純粹하게 하느님의 뜻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書信을 보냈다. [26] 피에르 로제 樞機卿이 베네딕토 12歲의 뒤를 잇는 敎皇으로 選擇되었다. [27] 그의 卽位式은 5月 19日 聖靈 降臨 大祝日, 當時 아비뇽에서 가장 큰 聖堂이었던 도미니코回 聖堂에서 擧行되었다. 當時 敎皇 卽位式에는 노르망디 工作이기도 한 프랑스의 張 王子와 부르고뉴 工作 자크, 빈의 度烹 임베르트 等을 비롯해 많은 主要 人士가 參席하였다. 새 敎皇은 클레멘스 6歲라는 이름을 選擇하였다.

새 敎皇은 自身의 家族들과 따르는 사람들, 志願者들, 樞機卿들, 로마 敎皇廳의 期待에 副應하는 報答을 하는 것이 慣例였기 때문에 클레멘스 6世는 卽位式을 마치자마자 2個月 以內에 아비뇽에 있는 모든 聖職者에게 報答하겠다는 約束을 하였다. [28] 이에 當時 全國 敎區에서 가난한 聖職者들이 大擧 아비뇽에 몰려들었는데, 그들의 數字를 헤아려 보니 어림잡아도 대충 十萬 名이나 되었다. 클레멘스 6世는 敎皇으로서 任期를 始作하자마자 報答 次元에서 敎皇廳의 性職錄 確保를 위해 아빠스와 高位 聖職者 任命을 留保하고 空席인 자리들에 對해서 選擧를 實施하겠다고 公表하였다. 클레멘스 6世는 前任 敎皇들은 그러한 種類의 政策을 實施한 적이 없다는 말을 듣고 “내 前任者들은 敎皇이 되는 方法을 몰랐다”고 말한 것으로 傳해진다. [29]

樞機卿 敍任

編輯

敎皇이 自身의 支持者들에게 補償할 수 있는 가장 좋은 方法 中의 하나는 그들을 樞機卿에 敍任하는 것이었다. 敎皇 卽位 4個月 後인 1342年 9月 20日, 클레멘스 6世는 樞機卿 敍任을 爲한 樞機卿會議를 召集하였다. 그는 휘그 蘆穄와 아데마르 로베르티, [30] 베르나르 드 라 투르 度베르뉴 [31] 等 自身의 조카 세 名을 包含하여 總 열 名의 高位 聖職者를 임명하였다. 또한 그는 오베르뉴 伯爵 로베르 7世의 아들이자 리옹 大敎區長인 기 드 불로뉴와 도미니코回 總長이자 自身의 조카인 [32] 튈의 제라르 드 多牛馬 드 라 가르를 樞機卿에 이명하였다. 튈의 제라르 드 多牛馬 드 라 가르는 樞機卿 敍任 後 1年이 지난 1343年 9月 27日 善終하였다. 클레멘스 6世는 自身의 故鄕인 리무쟁 地域과 페리區 出身 다섯 名을 樞機卿에 敍任하였다. 唯一한 이탈리아 사람인 피렌체의 안드레아 기니 말피지는 1343年 6月 2日 善終하였다. 樞機卿團은 이제 完全히 오베르뉴 出身이 多數를 이루는 프랑스化되었다. [33]

1344年 5月 19日 두 名의 새 樞機卿이 腺腫瑕疵 피에르 베르트랑 樞機卿의 조카인 프로방스의 피에르 베르트랑과 敎皇의 또 다른 조카인 니콜라스 드 베歲 等 두 名의 프랑스人으로 代替되었다. [33]

前任者들과 마찬가지로 클레멘스 6世는 母國인 프랑스에 對한 愛情이 있었기 때문에 詩人 페트라르카 로마 로 돌아와 달라는 로마 市民들의 要請을 拒絶하였다. 그렇지만 로마 市民들의 마음을 달래기 위해 그는 1343年 1月 27日 100年에 한 番씩 지내던 成年을 50年으로 줄인다는 勅書 《하느님의 外아드님》(Unigenitus Dei filius)을 頒布하였다. [34] 이 文獻에서 그는 大使 를 宣布하는데 있어서 敎皇의 權限을 처음으로 仔細하게 說明하였다. [35] 이 文獻은 後날 1518年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가에타노 樞機卿이 마르틴 루터 와 그가 作成한 95個組 論題를 調査하는데 參考되기도 하였다. [35] 그때까지 《하느님의 外아드님》은 《法條文 法令集들》(Extravagantes)에 包含되어 交會法으로 確立되었다. [36]

1343年 2月 23日 클레멘스 6世는 폰스 社투르니누스를 敎皇宮 工事 監督官에 임명하면서 在位期間 내내 繼續된 建築과 裝飾 計劃에 着手하였다. 이를 통해 敎皇이 로마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것과 敎皇宮 안에 로마 敎皇廳의 여러 部署를 設置하겠다는 意思가 分明히 드러났다. 前任 敎皇인 베네딕토 12世는 시토회 搜査 出身이었기 때문에 敎皇宮을 짓되 單純히 居處하는데 支障이 없을 程度로만 하였다. 하지만 클레멘스 6世는 過去에 프랑스 宮廷에 있었기 때문에 雄壯한 規模와 禮式이 그의 趣向에 들어맞았다. 어쨌든 敎皇은 統治者였고, 클레멘스 6世는 統治者에 걸맞게 살고 일할 생각이었다. 그는 새 塔과 寢室, 알現實, 새 敎皇 專用 경당, 雄壯한 規模의 中央 階段 等을 注文했다. 또한 그는 敎皇宮 建物 正面에 두 個의 새 出入口 두 個를 짓도록 하였다. [37]

또한 그는 1348年 나폴리 女王 朝飯나 1歲 에게 8萬 個 크라운을 支拂하여 아비뇽에 對한 支配權을 손에 넣었다. [38]

黑死病

編輯

클레멘스 6世는 1347年 黑死病 이 처음으로 유럽을 强打했을 때 敎皇을 지낸 不幸을 겪었다. 이 傳染病은 아시아와 中東을 휩쓴 後 1347年에서 1350年 사이에 유럽에 들어왔는데, 이 때문에 當時 유럽 人口의 約 3分의 1~2 程度가 死亡한 것으로 推定된다. 黑死病이 猖獗하자 클레멘스 6世는 이를 하느님의 憤怒가 내린 것으로 여겼다. 그가 聖職者였기 때문에 當然히 豫想할 수 있는 反應이었다. [39] 그렇지만 그는 黑死病의 原因을 糾明하기 위해 天文學者들의 諮問을 求하기도 하였다. 요한네스 데 무리스 같은 境遇에는 1341年 물甁자리에 있는 세 行星인 土城과 木星, 火星이 一直線으로 겹친 天體異變의 結果로 黑死病이 猖獗했다고 主張하였다. [40] 클레멘스 6歲의 主治醫들은 周圍를 횃불로 둥글게 에워싸면 傳染病을 避할 수 있다고 助言하였다. 하지만 그는 곧 이러한 助言들에 懷疑的이 되었고, 아비뇽에 머물면서 患者들의 治療와 죽은 사람들의 賣場, 죽어가는 사람들에 對한 司牧的 돌봄을 監督하는데 注力하였다. [41] 클레멘스 6世는 多幸히 黑死病에 걸리지 않았지만, 犧牲者가 너무 많아 아비뇽에 더以上 屍身을 묻을 땅이 남아있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窮餘之策으로 론 講을 祝福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론 江에 屍身을 버리도록 하였다. [42] 클레멘스 6歲의 主治醫들 中 한 사람인 기 드 숄리아크 는 黑死病 患者들을 觀察한 것에 根據하여 後날 《外科學大戰》(Chirurgia magna, 1363年)을 펴내 가래톳黑死病과 肺炎 黑死病을 正確히 區別했다.

아마도 1348年에만 해도 여섯 名의 樞機卿이 腺腫瑕疵 [43] 壓迫感을 느꼈을 클레멘스 6世는 1348年 5月 29日 自身의 조카이자 이름이 같은 18歲의 피에르 로제 드 步포르 를 樞機卿에 敍任하였자. [44] 1350年 12月 17日 그는 12名의 樞機卿을 追加로 敍任했다. 그들 中 9名은 프랑스 사람이었는데, 기욤 대그푀이유와 피에르 드 크로스 等 自身의 親戚들을 包含해서 리모주 出身은 3名이었다. [45]

黑死病은 또한 유럽에 居住하는 유대人들도 集團 虐殺로 내몰았다. 當時 유럽 사람들은 黑死病의 原因을 유대人에게 돌리고, 그들을 大規模로 殺戮하는 일이 恣行되었다. 클레멘스 6世는 1348年 이러한 暴力 事態를 糾彈하면서 黑死病의 原因을 유대人들 탓으로 돌린 사람들을 向해서 “거짓말쟁이이고 惡魔에게 유혹당했다”고 批判하는 內容의 勅書 《아무리 不忠하더라도》(Quamvis Perfidiam)를 頒布하였다. [46] 그는 “유대人들이 極惡無道한 犯罪를 저질렀기 때문에 傳染病이 發生했다는 이야기는 事實이 아니다. 世界 곳곳에서 하느님의 비밀스러운 審判에 依한 傳染病은 유대人들 뿐만 아니라 다른 人種들에게도 同一하게 나타나 苦痛을 안겨다 주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强調했다. [47] 그는 聖職者들에게 自身이 했던 것처럼 유대人들을 保護하기 위한 行動에 나설 것을 促求하였다.

神聖 로마 帝國

編輯

클레멘스 6世는 前任 敎皇들이 神聖 로마 帝國 루트비히 4歲 皇帝와 했던 鬪爭을 繼續 이어갔다. 1346年 4月 13日 오랜 交涉 끝에 그는 루트비히 4世를 破門하고 카를 4歲 가 選出되도록 하였다. 1347年 10月 루트비히 4世가 死亡하자 카를은 唯一無二한 皇帝로 널리 認定받아 오랫동안 繼續되었던 獨逸의 分裂이 終熄되었다.

클레멘스 6世는 1343年에 十字軍을 宣布했으나 1344年 10月 스미르나에 對한 海軍의 攻擊 外에는 아무런 成果도 없었다. 또한 그는 헝가리 王國의 나폴리 王國 侵攻 問題에도 關與했는데, 當時 헝가리의 王은 러요시 1歲 였고 나폴리 女王은 朝飯나 1歲로 先王의 兄弟를 暗殺한 嫌疑로 起訴되었으나 1352年 아비뇽에서 열린 裁判에서 無嫌疑로 풀려났다. 클레멘스 6世는 朝飯나 1歲가 處한 狀況을 利用하여 그女로부터 아비뇽을 사들이는데 成功했다.

클레멘스 6世는 또한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歲 가 敎會 裁治權을 侵害瑕疵 그와의 紛爭에 휘말렸다. 敎皇은 1344年 勅書를 發表하여 모든 敎會와 公職者들의 聖職록은 敎皇廳의 聖職록에 屬한다고 指示하였다. 主敎들이 여기에 反對했으나 아무 일도 없었고 에드워드 3歲가 1345年 外國人들이 管理하는 모든 聖職錄을 奪取함으로써 敎皇에게 報復하였다. 프랑스의 필리프 6世도 에드워드 3歲의 方法을 取하자 클레멘스 6世는 樞機卿들과 敎皇廳의 職員들 및 敎皇의 家族에게 屬한 聖職록은 例外로 하였다. 敎皇은 카스티야와 아라곤의 王들과도 問題가 있었다. 카스티야와 아라곤에서는 聖職록은 問題가 되지 않았으나 敎會 管轄權과 善終한 主敎들의 領地 占有로 인해 若干의 葛藤이 있었다. 아르메니아와 東로마 帝國 皇帝 腰眼니스 6歲 칸타쿠지노스 와 再一致를 위한 協商에 나섰으나 結實을 맺지 못했다.

이탈리아에서 그는 로마에서 콜라 디 리엔兆 가 民衆들을 煽動하여 騷擾 事態를 일으키면서 敎皇으로서의 權威에 對한 挑戰을 받았다. 클레멘스 6世는 처음에 리엔條가 護民官 政府를 세우는 것을 承認했지만 護民官 政府가 市民 大多數의 支持를 등에 업는다면 敎皇廳에 골칫거리가 될 것임을 뒤늦게 깨닫고 敎皇 使節을 派遣해 리엔條를 破門하고 1347年 12月 貴族 黨派들의 도움을 받아 그를 로마에서 몰아냈다.

폴란드와 보헤미아

編輯

클레멘스 6世는 이미 크라쿠프 主敎와 使徒座에 依해 成事 參與를 금지당한 폴란드의 카地미에시 3歲 王에게 再次 警告하고 나섰다. 왜냐하면 카地미에시 3世가 如前히 敎會를 抑壓하고 成事 參與 禁止令을 俊秀한 聖職者를 괴롭혀 스스로 더욱 苛酷한 處罰을 自招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48] 1345年 敎皇은 카地미에시 3世와 보헤미아 王 에게 敎皇 臺詞를 보내 葛藤을 끝내고 和解할 것을 慫慂하였다. 그리고 萬若 그들이 和解하지 않을 境遇 波紋되어 成事 參與를 할 수 없을 것이라고 警告했다. [49]

마인츠 大主敎가 自身이 맡고 있는 프라하 敎區에서 高壓的인 姿勢로 一貫하여 많은 사람이 不平을 吐露하자 클레멘스 6世는 1344年 4月 30日 프라하 敎區를 大敎區로 昇格시키고 첫 大敎區長으로 補佐 主敎인 올로모우츠를 임명하였다. 이로써 프라하 大敎區長은 보헤미아 王의 戴冠式을 主宰할 權利를 갖게 되었다. [50]

私生活

編輯
 
셰즈디외 修道院의 聖歌隊席에 있는 클레멘스 6世의 무덤
 
클레멘스 6世의 무덤

시토회 會員이었던 베네딕토 12世와는 달리 베네딕도會 出身이었던 클레멘스 6世는 前任者로부터 물려받은 財産 德에 넉넉하고 豐足한 삶을 누릴 수 있었다. 그는 스스로 自身이 ‘罪人들 속에서 罪人처럼’ 살았다고 告白했다. [51] 在位期間 동안 그는 敎皇宮에 새 경당을 追加로 짓고 聖 베드로 에게 獻呈했다. 그는 藝術家인 비테르보의 마테오 조바네티에게 敎皇宮 경당들의 壁面에 사냥하는 모습과 낚시하는 모습을 그리도록 注文했고, 石造 壁을 裝飾할 大型 태피스트리度 購入했다. 그리고 祝祭 行事를 할 때 연주할 音樂으로 프랑스 北部 出身의 音樂家들, 特히 아르스 노바 良識을 構築한 리에주 出身의 音樂家들을 募集하였다. 音樂을 무척 좋아했던 그는 作曲家들 및 音樂 理論家들과 가까이 지냈으며, 그 가운데는 필리프 드 비트리 도 있었다. 敎皇으로 卽位한 後 그가 처음으로 支拂한 對象은 音樂人들이었다. [52]

죽음

編輯

클레멘스 6世는 1352年 그間 여러 해 동안 괴롭혀왔던 腎臟結石 뿐만 아니라 熱病과 더불어 腫氣로 인하여 腫瘍이 發生했다. [53] 敎皇 클레멘스 6世는 1352年 12月 6日 在位 11年째 되는 날에 善終하였다. 敎皇이 腺腫하자 그의 主治醫 피에르 드 프로이드빌은 아비뇽에 居住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金貨 400리라를 나누어 주었다. 그리고 葬禮 미사가 집전되는 날, 主敎座 聖堂으로 가는 行列 中에 距離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40리라의 金貨를 나누어 주었다. 클레멘스 6世는 사람들에게 ‘成人은 아니었지만 훌륭한 紳士였고 대단히 너그러운 統治者였으며, 美術科 學問의 後援者’라는 稱頌을 받았다. 그의 屍身은 아비뇽 大聖堂 에 臨時 埋葬되었다가 3個月이 지난 後인 4月 6日에 盛大한 行列을 따라 셰즈디외 修道院으로 移管되었다. [54] 修道院에 當到하자마자 敎皇의 官은 가르멜回 聖堂에 暫時 安葬되었다가 4月頃에 聖歌隊席 中央으로 옮겨져 最終的으로 安葬되었다. [55] 葬禮 行列에는 그의 兄 步포르의 기욤 蘆穄와 같은 집안 出身인 樞機卿 다섯 名인 위그 蘆穄와 기욤 드 라 주지, 니콜라 드 베歲, 피에르 로제 드 步포르, 기욤 대그푀이유도 함께 했다. [56] 1562年 위그노들이 修道院을 襲擊할 때 敎皇의 石棺을 에워싸고 있던 그의 一家 親戚 銅像 44個가 消失되는 等 甚한 毁損을 입었다. 現在는 오직 무덤을 덮고 있는 石棺만이 남아 當時 建築과 美術 樣式을 엿볼 수 있다. [57]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George L. Williams,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 (McFarland & Company Inc., 1998), 43.
  2. Wrigley, pp. 434-435.
  3. Wrigley (1970), p. 436.
  4. Richard P. McBrien, Lives of the Popes: The Pontiffs from St. Peter to John Paul II , (HarperCollins, 2000), 240.
  5. Baluze, I, p. 262. Eubel, I, p. 91. Claude Courtepee; Edme Beguillet (1777). 《Description generale et particuliere du duche de Bourgogne, precede de l'abrege historique de cette province》 (프랑스語). Dijon: L.N. Frantin. 312쪽.  
  6. Wrigley (1970), p. 438.
  7. Henri Denifle, Chartularium Universitatis Parisiensis Tomus II (Paris 1891), no. 822, pp. 271-272. Wrigley, p. 439.
  8. Baluze, I, p. 262.
  9. Wrigley (1970), pp. 442-443.
  10. Wrigley (1970), p. 441-443. Baluze, I, p. 274. Gourdon de Genouillac, Henri (1875). 《Histoire de l'abbaye de Fecamp et de ses abbes》 (프랑스語). Fecamp: A. Marinier. 226?227쪽.  
  11. Jonathan Summation, Trial by Battle:The Hundred Years War , Vol. I, (Faber & Faber, 1990), 109.
  12. Gallia christiana, Tomus XI (Paris 1759), p. 211.
  13. Eubel, p. 115.
  14. Denis de Sainte-Marthe (Sammarthani) (1725). 《Gallia Christiana: In Provincias Ecclesiasticas Distributa: Provinciae Cameracensis, Coloniensis, Ebredunensis》 (라틴語). Tomus tertius (III). Paris: Typographia Regia. 336쪽.  
  15. Eubel, I, p. 448.
  16. Eubel, I, p. 425.
  17. Baluze, I, pp. 782-783 [ed. Mollat, II, pp. 284-285.
  18. Jan Ballweg (2001). 《Konziliare oder papstliche Ordensreform: Benedikt XII. und die Reformdiskussion im fruhen 14. Jahrhundert》 (獨逸語). Mohr Siebeck. 155?164쪽. ISBN  978-3-16-147413-2 .  
  19. William Duba, "The Beatific Vision in the Sentences Commentary of Gerard Odonis," William Duba; Christopher David Schabel (2009). 《Gerald Odonis, Doctor Moralis and Franciscan Minister General: Studies in Honour of L. M. de Rijk》 . Boston-Leiden: Brill. 202?217쪽. ISBN  90-04-17850-3 .  
  20. Baluze, I, pp. 789-790 [ed. Mollat, II, pp. 291-292.
  21. Gallia christiana XI, p. 77. 피에르 드 모르트마르 樞機卿은 프랑스의 宰相을 지내기도 하였다.
  22. Fisquet, p. 148.
  23. Gian Domenico Mansi (1782).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라틴語). Tomus vicesimus quintus (XXV) itio novissima版. Venice: Antonio Zatta. 1037?1046쪽.  
  24. Baluze, I, pp. 600-601 [ed. Mollat, II, pp. 70-71].
  25. G. Mollat, Les papes d'Avignon 2nd edition (Paris 1912), p. 81.
  26. Mollat, p. 81 and n. 1. Thomas Rymer, Foedera, Conventiones, Literae, etc. editio tertia (The Hague 1739) Tomus II pars II , p. 123. 書信을 보낸 樞機卿들은 안니발도 디 체카노 樞機卿과 레이文도 기욤 데스 프라제스 樞機卿이었다.
  27. Wrigley, John E. (1982). “The Conclave and the Electors of 1342”. 《Archivum Historiae Pontificiae》 20 : 51?81. JSTOR  23565567 . (加入 必要) .  
  28. Fisquet, pp. 149?150.
  29. Praedecessores nostri nesciverunt esse Papa. 이 發表는 가난한 聖職者에게 敎皇이 聖職錄을 支給하는 것이었는데, 때로 惡用되는 境遇도 있었다. See, e.g., Ann Deeley (1928). “Papal Provision and Royal Rights of Patronage in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43 : 497?527. JSTOR  551827 . (加入 必要) .  
  30. Lutzelschwab, p. 424.
  31. Lutzelschwab, pp. 437-438.
  32. Daniel Antonin Mortier (1907). 《Histoire des maitres generaux de l'Ordre des freres precheurs: 1324?1400》 (프랑스語). Tome troisieme. Paris: Picard. 171?172쪽.  
  33. Eubel, I, p. 18.
  34. Exeter, Eng. (Diocese) (1894). 《Episcopal Registers》 (라틴語). London: G. Bell. 154?155쪽.  
  35. Diana Wood, Clement VI: The Pontificate and Ideas of an Avignon Pope , 32-33.
  36. Bernhard Alfred R. Felmberg (1998). 《De Indulgentiis: Die Ablasstheologie Kardinal Cajetans 1469?1534》 (獨逸語). Bostohn-Leiden: Brill. 302쪽. ISBN  90-04-11091-7 .  
  37. Digonnet, pp. 197?198.
  38. Diana Wood, Clement VI: The Pontificate and Ideas of an Avignon Pop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49. Fisquet, pp. 150?151.
  39. L. Steiman (1997). 《Paths to Genocide: Antisemitism in Western History》 .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UK. 37쪽. ISBN  978-0-230-37133-0 .  
  40. Tomasello, Music and Ritual at the Papal Court of Avignon 1309?1403 , 15.
  41. Duffy, Saints & Sinners, a History of the Popes , 167.
  42. Baluze, I, pp. 251-252.
  43. Gauscelin de Jean Duese, Pedro Gomez Barroso [Lutzelschwab, pp. 481-482], Imbertus de Puteo (Dupuis) [Lutzelschwab, pp. 471-472], Giovanni Colonna, Pierre Bertrand, Gozzio (Gotius, Gozo) Battaglia [Lutzelschwab, pp. 459-460]. Chacon, II (1601), p. 724; II (1677, ed. Oldoin), p. 520.
  44. Eubel, I, pp. 15?18.
  45. Eubel, I, pp. 18?19. Lutzelschwab, pp. 465-467.
  46. Skolnik, Fred; Berenbaum, Michael. 《Encyclopaedia Judaica: Ba-Blo》 . Granite Hill Publishers. 733쪽. ISBN  9780028659312 . 2015年 1月 30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47. Simonsohn, Shlomo (1991). 《Apostolic See and the Jews》. Toronto: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Vol. 1: Documents, 492. 1404쪽. ISBN  9780888441096 .  
  48. Baronio, Annales ecclesiastici , Year 1344, § 66; pp. 354-355.
  49. Baronio, Annales ecclesiastici , Year 1345, § 14; pp. 362-363.
  50. Baronio, Annales ecclesiastici , Year 1344, § 64-65; pp. 353-354.
  51. 《A Corrupt Tree: An Encyclopaedia of Crimes committed by the Church of Rome》 . 2016年 11月 9日에 確認함 .  
  52. Tomasello, Music and Ritual at the Papal Court of Avignon 1309?1403 , 12?20.
  53. Deprez, p. 235, note 1.
  54. Deprez, p. 239, note 1.
  55. Art and Ceremony in Papal Avignon: A Prescription for the Tomb of Clement VI , Anne McGee Morganstern, Gesta , Vol. 40, No. 1 (2001), 61.
  56. Art and Ceremony in Papal Avignon: A Prescription for the Tomb of Clement VI , Anne McGee Morganstern, Gesta , 61, 75.
  57. Deprez, p. 239, note 2.

外部 링크

編輯
前任
베네딕토 12歲
第198代 敎皇
1342年 5月 7日 ~ 1352年 12月 6日
後任
인노첸시오 6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