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敎條主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敎條主義 ( 英語 : Dogmatism , 敎條主義) 또는 獨斷主義 (獨斷主義)란 특정한 思想 및 宗敎의 理論과 敎義를 盲信하는 傾向을 뜻한다.

實際 敎條主義의 意味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意味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눠진다.

  1. 認識 理論 論爭에서 經驗(經驗)·遲刻(知覺)·多元性(多元性)을 輕視하고 理性(理性)·認識(認識)·一元性(一元性)을 極端的으로 重視하는 傾向을 말한다.
  2. 특정한 思想이나 宗敎 스스로가 갖고 있는 支配的인 文獻이 存在할 때, 該當 文獻이 가리키는 句節과 文章 斷片的으로 解釋하여 機械的으로 理解하는 것을 말한다.
  3. 특정한 思想이나 宗敎에 對해 그것의 歷史的 背景을 考慮하여 생각하지 않고 어느 時代에나 無批判的으로 適用하는 것을 말한다.

用語 編輯

Dogma ’라고 불리는 用語는 ‘생각하는 것은 참된 것’을 뜻하는 그리스어 ‘ δ?γμα ’로부터 由來하였다. [1] [2] 現在 否定的인 뜻으로 쓰이는 것과 달리, 古代 그리스 스토아 學派 哲學에서 ‘本質을 思惟하는 것’을 뜻하였다. 따라서 도그마는 哲學 遂行의 一般的 方法論이었다. [3]

現在 通用되는 ‘敎條主義’의 一般的인 意味는 近代 時期 人間의 經驗을 無視하고 오로지 理性만을 追求하는 極端的 合理主義者를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가 敎條主義者로 批判하면서부터 생겨났다. 以後 敎條主義는 特定 思想과 宗敎를 盲信하는 行爲를 가리키는 用語로도 쓰였다.

한便 哲學界에서 敎條主義라는 用語는 칸트의 批判 以後 漸次 確定的인 意味를 갖게 되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Friedrich Wilhelm Joseph Schelling)李 칸트를 批判하고 旣存 合理主義를 繼承·發展하였는데, 이때 셸링은 敎條主義者로 稱해졌다. [4] 現代 心理哲學 領域에서도 마찬가지로 敎條主義는 人間 精神에 對해 定礎主義 (定礎主義)를 前提하며, 오감과 認識을 嚴格히 나누고, 經驗을 副次的인 것으로 看做하는 傾向을 指稱한다. 이는 1950年代 以後 영미哲學界에서 이어진 合理主義 에 對한 猛烈한 批判과 無關하지 않다.

敎條主義의 예 編輯

近代 時期에 쓰여진 敎條主義는 一般的으로 極端的인 合理主義者를 指稱하는 單語로 쓰였으나, 現代 社會에서 敎條主義는 宗敎와 特定 思想에서 特定한 用語로 쓰이고 있다. 特히 特定 思想과 宗敎에 對한 盲信을 敎條主義라고 稱하기도 한다.

基督敎 根本主義 神學 編輯

그리스도교에서 敎條主義는 聖經에 對한 汎的인 解釋을 前提로 하는 自由主義神學에 對抗하는 根本主義 神學을 가리킨다. 聖經 텍스트에 對한 文字主義(文字主義) 解釋은 그리스도교 內 敎條主義의 主要한 傾向이다.

正統마르크스주의 編輯

마르크스주의 에서는 敎條主義를 카를 마르크스 (Karl Marx)의 思想을 마르크스가 살던 時代의 歷史 · 政治 · 經濟 · 社會 敵 背景을 생각하지 않고, 어디에나 正統마르크스주의 理論을 그대로 適用시키는 行態를 批判하는 말로 쓴다. 實際 마르크스주의 歷史學者들은 왜 마르크스가 모든 人類의 歷史를 階級鬪爭 의 歷史라고 批評한 理由를 多樣한 背景에 根據하여 생각하지 않고, 紛爭이 일어나면 無條件 ‘階級鬪爭’이라고 하는 것을 類似 마르크스주의라고 批評한다. 때문에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레닌 (Влади?мир Ле?нин)은 正統마르크스주의를 無分別하게 固守하던 멘셰비키 의 敎條主義를 猛烈히 批判했으며, 이들은 各 勞動 階級이 處한 現實에 맞게 마르크스주의를 發展시켰다. [5]

中國 革命의 過程에도 敎條主義는 커다란 問題로 認識됐다. 마오쩌둥(毛澤東)은 『矛盾論』에서 다음과 같이 主張하였다.

이 問題에서 우리의 敎條主義者들이 犯한 誤謬는 한便으로는 矛盾의 特殊性을 硏究하여 相異한 各個 事物의 特殊한 本質을 認識 하여야만 矛盾의 普遍性을 充分히 認識할 수 있고 제 事物의 共通된 本質을 認識할 수 있다는 것을 모르는 데 있으며, 다른 한便으로는 우리가 事物의 共通된 本質을 認識한 뒤에는, 또 아직 깊이 硏究되지 않았거나 새로 나타난 具體的 事物을 繼續 硏究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모르는 데 있다. 우리의 敎條主義者들은 怠慢分子들이어서 具體的 事物에 對한 어떠한 艱苦한 硏究事業度 拒絶하며 一般的인 眞理를 虛空에서 떨어지는 어떤 것으로 보고 그것을 把握할 수 없는 純全히 抽象的인 公式으로 만들어버리며, 人類가 眞理를 認識하는 이 正常的인 順序를 完全히 否認하며, 또 그것을 傳導한다. 그들은 人類認識의 두 槐鼎의 相互聯關??特需로부터 一般에 이르고, 一般으로부터 特需에 이르는??도 모르고 있다. 그들은 마르크스주의의 認識論을 全혀 모른다.
?? 마오쩌둥 , 『矛盾論』(1937)에서 [6]

이는 마르크스주의 內 敎條主義를 批判한 것이지만, 同時에 當代 社會에 對한 마르크스주의 辨證法의 具體的이고 實質的인 適用을 要求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Dogma (n)” . 《Online Etymology Dictionary》. Douglas Harper. 2016 . 2016年 10月 4日에 確認함 .  
  2. “Dogma” . 《The Free Encyclopedia by Farlex》 . 2016年 10月 5日에 確認함 .  
  3. http://www.ptypes.com/fundamental_dogmas.html
  4. There is much debate in the recent scholarship about the extent to which Fichte and Schelling actually overstep the boundaries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thus entering the realm of dogmatic or pre-Critical philosophy. Beiser's German Idealism discusses some of these issues. Beiser, Frederick C. German Idealism: The Struggle against Subjectivism, 1781?1801.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 2002.
  5. 《마르크스주의 歷史學의 새로운 始作을 위하여》/강성호 지음/책세상
  6. 마오쩌둥. 김승일 驛. 2001年. 毛澤東 選集 I . 범우사. p. 416

參考 資料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