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敎育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敎育學

敎育 活動을 效果的으로 遂行하기 위해 익혀야 할 知識

敎育學 (敎育學, 英語 : pedagogy )은 敎師 가 指導하는 일에 對한 技術과 硏究를 의미하며, 一般的으로 敎授 (敎授)의 戰略이나 方法을 가리킨다. 넓은 意味에서 敎育을 對象으로 하는 敎育論 (敎育論)을 包含하기도 한다. 또한 敎育學 敎師 學生 과 相互 作用하는 方法과 敎師가 設定하고자하는 社會的 및 知的 環境을 包含하기도 한다.

敎育學
김나지움 에서의 英語授業(1988年 6月 )
學問名 敎育學

槪要 編輯

敎育學이 다루는 敎育活動은 敎育 의 本質, 目的, 內容, 方法, 制度, 行政 等 敎師 學習者 間에 일어나는 敎授 學習 活動에서부터 敎育의 社會的 機能에 이르기까지 廣範圍하다. 敎育學의 硏究 分野는 敎育哲學 , 敎育心理學 과 같이 敎育 自體의 原理와 本質을 糾明하는 理論과 敎育課程론 , 比較敎育學 等 敎育制度의 構成을 다루는 理論, 敎育社會學 과 같이 敎育의 社會的 機能을 探究하는 理論 等으로 區分된다. 哲學 이나 心理學 과 같은 隣接 學問들의 硏究 方法論을 導入하여 中間學問의 特性을 보인다. ..

어원 編輯

英語의 pedagogy(敎育學)은 그리스語 παιδαγωγ?ω (paidag?ge?)로부터 비롯되었다. πα?δ(어린이)와 ?γω ag?(이끌다)가 結合된 말로서, 말그대로 '어린이를 이끌다'라는 뜻이다. 古代 그리스 에서 παιδαγωγ??는 主로 主人 아들의 敎育을 管掌하는 奴隸였다. 參考로, 女子아이는 敎育을 받지 않았다. 그 奴隸는 主人 아들을 學校(διδασκαλε?ον 또는 γυμν?σιον)에 보내거나 準備物(예: 樂器)을 챙겨주는 等 學生을 돌보는 일을 했다.

歷史 編輯

  • 古代 및 中世
古代 및 中世에는 敎育 또는 어떤 知識, 例를 들면 라틴語 敎授法과 같은 것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宗敎 改革期에 코메니우스에 依해 처음으로 近代的인 敎育學의 模型이 만들어졌다. 코메니우스의 '대교수학'은 最初의 敎育學의 敎科書로 認定되고 있다. '대교수학'에는, '世界 그림'이라는 世界 最初의 揷畵 學習 百科事典이 添附되어 있었다.
  • 近代
近代의 敎育學은, 18世紀 以後의 루소 페스탈로치 等이 展開한 敎育論 을 起點으로 하는 일이 있다. 아시아 地域에서는 西洋의 敎育學을 받아들임으로써 近代的인 敎育學이 始作되었다.

요한 헤르바르트(1776年 5月 4日 ~ 1841年 8月 14日)의 敎育 心理와 敎育學은 個人의 發達과 社會의 利點사이에서의 相關關係를 强調했다. 다시 말해서, 헤르바르트는 人間은 生産的인 市民들로써 그들이 그들 스스로를 設立할 때 成就感을 느낀다는 것을 示唆했다. 헤르바르트의 敎育說은 헤르바르트의 理論的 觀點에 依해 뒷받침되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9]. 授業方法을 나타내면서, 헤르바르트는 重要한 成分으로써 5段階를 示唆한다. 分明하게, 이 5段階들은 包含한다: 準備, 贈與, 聯合, 一般化, 그리고 適用[10]. 헤르바르트는 敎育學은 推定을 가지는 것에 敎育者와 愼重한 最終 目標와의 특정한 能力 背景으로써 關聯된다고 示唆한다.

科學으로서의 敎育學 編輯

敎育學이 하나의 獨立된 科學으로 成立한 것은 19世紀 初 헤르바르트 가 一般敎育을 發表했을 때부터라는 것이 通說로 되어 있다. 그 以前에도 敎育에 關한 意見·思想이 오랜 世紀에 걸쳐서 文獻上에 나타나 있으며, 그 意見과 思想들이 敎育의 改革에 이바지해 온 것은 事實이지만, 하나의 獨立된 科學으로서의 敎育學은 아직 成立하지 못하였다. 헤르바르트 以後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敎育學者들이 나타나, 제各其 色다른 敎育學을 세워 왔다. 그러므로 오늘에 있어서도 모든 사람이 다 같이 認定하는 하나의 敎育學이 成立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甚至於는 普遍妥當性(普遍妥當性)을 要求하는 科學으로서의 敎育學의 成立을 否定하는 主張, 卽 敎育學의 獨立性을 否定하는 主張이 아직도 그림자를 감추지 않고 있는 形便이다 敎育은 나라에 따라 時代에 따라 저마다 獨特한 性格을 띠고 있기 때문에 普遍的인 科學으로서의 敎育學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敎育學은 倫理學 · 心理學 · 論理學 · 美學 · 生物學 · 社會學 等等 近代科學의 知識을 빌어서 構成하는 知識의 集合體에 不過하니, 기껏 그것은 다른 科學을 應用하는 應用科學日 뿐 그 自體로서 獨立性을 띤 科學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모든 主張에도 不拘하고 敎育學은 儼然히 하나의 獨立科學이다. 한 科學의 獨立性에 根本되는 要件은 硏究對象의 現實的 均一性에 있는 것도 아니고, 다른 科學知識의 應用 與否에 있는 것도 아니다. 하나의 獨立科學이 成立하는 데는 무엇보다도 讀者(獨自)의 硏究領域이 있어야 하며, 獨自的인 硏究目的이 있어야 한다. 나아가서 獨自的인 硏究方法이 있어야 한다. 이 세 가지 要件을 갖출 때 그것은 獨立科學의 구실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敎育學의 硏究領域은 다름 아닌 敎育이라는 思想(事象)이다. 敎育은 人間의 身體와 精神을 成長·발달시키는 讀者의 世界로서 敎育學은 다른 어떠한 科學의 領域에도 종속시킬 수 없는 獨特한 硏究領域을 가졌다. 따라서 硏究目的에 있어서도 現在의 身體와 精神을 더 높은 段階의 價値로 발달시키는 데 要求되는 理論을 追求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自然의 李相花에 關한 理論이 그 硏究目的이다. 이것은 다른 科學에서는 볼 수 없는 敎育學의 獨特한 硏究目的인 것이다. 따라서 硏究方法에 있어서도 重點을 敎育活動 效果의 調査에 두어야 한다. 一般的으로 科學硏究에 適用되는 演繹法·歸納法 等을 使用하되, 敎育的 觀點에서 敎育的 效果를 志向(志向)하는 硏究方法이라야 한다.

이와 같이 敎育學은 敎育思想 (事象)을 硏究對象으로 하고, 敎育이라는 思想은 人間의 發達을 促進시키는 祈禱(企圖)이기 때문에 敎育學의 硏究課題는 다른 어떠한 科學에 있어서보다도 複雜하고 어려운 問題를 안고 있다. 敎育學은 人間을 硏究하는 모든 科學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은 勿論이고, 그 人間을 더 높은 段階로 발달시키는 데 必要한 原理를 세워 나가야 한다. 이러한 見地에서 볼 때에 敎育學의 硏究分野는 여러 갈래로 나뉘며, 硏究方法도 各其 分野에 따라서 달라진다.

첫째로 敎育이 어떠한 方向·理念에 依하여 引渡되어야 하는가를 硏究하는 敎育哲學 (敎育哲學)은 敎育學의 한 分野가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兒童의 學習指導 또는 生活指導를 하는 境遇와 같은 敎育活動에서는 心理的 過程을 밝혀야 한다. 이것은 敎育心理學 의 分野에 屬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敎育을 人間과 人間과의 交涉 가운데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면, 모든 敎育活動에서 人間關係를 分析해서 그 具體的인 關聯을 밝혀야 할 것이다. 이것은 敎育社會學 (敎育社會學)의 硏究分野에 屬한다.

그런가 하면 敎育은 歷史的으로 發展해 온 하나의 事實이기도 하다. 그 歷史的 發展의 자취를 더듬어서 거기서 一般的인 法則을 發見하려는 努力은 敎育史(敎育史)의 硏究課題인 것이다. 以上과 같은 모든 硏究分野는 敎育思想 (事象)의 모든 問題를 一般的으로 다루려는 것으로, 敎育學의 가장 기초적인 分野이며, 그것은 同時에 제各其 특정한 立場에서 敎育을 硏究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硏究를 합쳐서 敎育學의 基礎部門이라고 한다. 基礎部門의 硏究와 아울러 硏究對象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더 具體的이고 實際的인 硏究部門이 成立되는 것이다. 이것은 基礎部門에 對한 特殊部門이라 할 수 있으며, 實際的인 敎育의 現實的 問題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敎育學의 發達과 더불어 끝없이 分化되어 간다.

그 中 最近에 와서 눈에 띄게 發達을 보게 된 것은 制度化된 學校敎育을 中心으로 해서 特殊部門에 있어서 여러 種類의 敎育硏究가 開拓되어 있다. 敎育行政 · 敎育財政 · 比較敎育 等은 많은 硏究成果를 거두고 있으며, 1960年代 以後 龜尾 여러 나라에서 發達을 보게 된 敎育工學 (敎育工學)도 注目의 對象으로 登場하고 있다.

硏究 對象 編輯

  • 敎育 活動 및 그와 關聯된 배움·학습 等의 行爲.
  • 敎育 對象인 人間 本然의 姿勢, 心理, 行動.
  • 敎育과 關聯된 價値 理念 및 槪念.
  • 敎育에 關聯된 社會 環境, 社會 制度(敎育 制度), 法令(敎育法) 및 政策(敎育 政策).
  • 敎育에 利用되는 施設(敎育 施設) 및 道具.
  • 敎育者(敎師 等).
  • 敎育의 技法(敎授法).
  • 敎育에 關한 歷史(敎育史).
  • 敎育學 自體의 目的, 方法, 歷史(敎育學 方法論, 敎育 硏究法, 敎育學事).

分類 編輯

基礎 理論 編輯

  • 敎育 社會學 (社會學界)
  • 比較 敎育學 (國際學界)
  • 國際 敎育學 (國際學界)
  • 敎育法學 (法學·行政學界)
  • 敎育制度론 (行政學·社會學界)
  • 敎育 行政學 (行政學·政治學界)
  • 敎育 經濟學 (經濟學界)
  • 敎育 財政論 (財政學界)
  • 敎育 人類學 (人類學界)
  • 平生 學習論 (學習學界)

方法 및 技術 編輯

現場 實踐 編輯

  • 敎育 實踐學
  • 臨床 敎育學
  • 敎育部 長官 談論 (心理學界)
  • 學校 敎育論
  • 敎育 經營學 (經營學界)
  • 學校 經營學 (經營學界)
  • 敎師 敎育學
  • 敎員 養成論
  • 學校 心理學 (心理學界)
  • 敎育 醫學 (醫學界)

敎科 敎育學 編輯

  • 國語 敎育學
  • 數學 敎育學
  • 社會 敎育學
  • 지리 敎育學
  • 歷史 敎育學
  • 倫理 敎育學
  • 理科 敎育學
  • 物理 敎育學
  • 化學 敎育學
  • 生物 敎育學
  • 地學 敎育學
  • 外國語 敎育學
  • 英語 敎育學
  • 獨逸語 敎育學
  • 프랑스語 敎育學
  • 中國語 敎育學
  • 日本語 敎育學
  • 體育 敎育學
  • 保健 敎育學
  • 體育 敎育學
  • 藝術 敎育學
  • 音樂 敎育學
  • 美術 敎育學
  • 文獻情報 敎育學
  • 技術 敎育學
  • 家庭 敎育學
  • 情報 敎育學
  • 農業 敎育學
  • 工業 敎育學
  • 商業 敎育學
  • 水産 敎育學
  • 看護 敎育學
  • 福祉 敎育學
  • 宗敎 敎育學
  • 道德 敎育學

敎育 段階 編輯

  • 中等 敎育論
  • 高等敎育론

個別 領域 編輯

  • 技術 敎育學
  • 産業 敎育學
  • 科學 敎育論 (自然科學界)
  • 醫學 敎育論 (醫學界)
  • 環境 敎育論 (環境學界)
  • 情報 敎育論 (情報學界)
  • 音樂 敎育學 (音樂學界)
  • 道德 敎育論 (倫理學界)
  • 人權 敎育論 (法社會學界)
  • 國際 理解 敎育論 (開發學界)

社會 敎育 編輯

  • 社會 敎育學
  • 職業 敎育論
  • 박물관학
  • 博物館 情報學

家庭 敎育 編輯

  • 家庭 敎育學
  • 保育學


硏究 編輯

  • 價値敎育學 ?: 價値 哲學의 立場에서 敎育 現象을 解明하려는 分野.
  • 文化敎育學 ?: 敎育의 基本 原理로서 歷史的 文化의 價値를 重視하는 分野.
  • 比較敎育學 ?: 世界 各國의 敎育 制度와 理論 · 그 實際에 對해 比較 硏究하는 分野.
  • 實驗敎育學 ?: 實驗心理學의 影響 아래 實驗的 · 統計的 方法에 立脚하여 硏究하는 分野.
  • 社會的 敎育學 ?: 敎育의 目的 및 方法을 社會學의 立場에서 說明하려고 하는 分野.
  • 生物學的 敎育學 ?: 敎育 活動을 科學的으로 說明하고 敎育의 實踐에 生物學的 原理를 應用하려는 分野.
  • 實用主義 敎育學 ?: 實用主義 哲學에 基盤을 두고 兒童을 實用的인 人間으로 만들 것을 主張하는 分野.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