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광산 金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광산 金氏

韓國의 姓氏

광산 金氏 (光山金氏)는 光州廣域市 全羅南道 潭陽郡 대전면 을 貫鄕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광산 金氏
光山金氏
나라 韓國
貫鄕 光州廣域市
全羅南道 潭陽郡 대전면 봉산면
時調 김흥광(金興光)
原始鳥 김알지 (金閼智)
主要 人物 김태현 , 김한로 , 김국광 , 김겸광 , 金九 , 김계휘 , 김덕령 , 김장생 , 金集 , 인경왕후 , 김익희 , 김익겸 , 김익훈 , 김익경 , 김만기 , 김만중 , 김일경 , 김진규 , 김춘택 , 김상복 , 김영철 , 金哲秀 , 김동한 , 金壽煥 , 金春洙 , 金宇中 , 金容俊 , 金大中 , 김완주 , 김하중 , 김희중 , 金章洙 , 金容沃 , 김황식 , 김효석 , 金容益 , 김재균 , 김우남 , 金善洙 , 金善東 , 金太年 , 金鎔泰 , 인경 王后
人口(2015年) 926,316名?(8位)
備考 광산金氏 大宗中

時調 編輯

時調 김흥광(金興光)은 統一新羅 末期 나라가 어지러워 張差 國難이 일어날 것을 알고 武珍州 秋成群 서일동(現 全羅南道 潭陽郡 대전면 평장리)에 隱居하였다고 한다. 一說에 時調 김흥광은 《동국萬姓譜》 및 《朝鮮氏族通報》에는 新羅 49代 헌강왕 의 王子로 記錄되어 있다. 그러나 《광산金氏 精油大同譜》, 《新羅金氏船員步》, 《桂林大寶》, 《慶州金氏步》 等에는 新羅 45代 신무왕 셋째 아들로 記錄되어 있다.

位 一說에 對해 現存하고 있는 광산金氏 最高의 族譜인 丁卯大寶(1747年 間) 時調 김흥광 欄에는 다음과 같이 記錄하고 있다.

驅步의 製本에 이르기를 혹 憲康王의 第3者라 하고 송社會强 및 崔致遠의 납貞節票에는 憲康王은 日子가 있으니 料蘿 하였고 慶州金氏 褓에 依하면 신무왕者라고 하나 무슨 根據로 말하는 것인지 알 수 없어 新羅王子로 하고 遺墟碑를 세운다(舊譜諸本云 或云憲康王第三子而宋史會綱崔致遠納旌節表云憲康有一子嶢慶州金譜云神武王子未知何據今依諸本書以新羅王子○遺墟立碑)

김길(金吉)李 高麗의 開國功臣이 되어 三重大匡(三重大匡)에 오르자 김길의 조夫人 김흥광은 鑛山府院君(光山府院君)에 封해졌다고 한다. 以後 祖父의 爵號(爵號)이자 世居地(世居地)인 光州 鑛山(光山)을 本館(本貫)으로 삼아 世界(世系)를 이어 왔으며, 後孫들 中 平章事(平章事:正2品)가 8名이나 排出되자 사람들이 서일동(現 全羅南道 潭陽郡 대전면)을 坪章動(平章洞)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 名稱은 只今까지도 남아 평장리(平章里)로 불리고 있다.

歷史 編輯

광산 金氏는 朝鮮 時代 文科 及第者 263名(文科 甲과 壯元及第子 12名), 政丞 5名, 大提學 7名, 淸白吏 4名, 王妃 1名을 輩出했다. [1]

 
김장생 (金長生)

양간公派 大司諫 김극뉴(金克?)의 玄孫인 김장생 (金長生)李 文廟에 從祀되었고, 그의 아들 金集 (金集)은 文廟 宗廟 에 配享되었다. 김장생 後孫 中에 大提學 이 7名이나 輩出되었다. [2] 金長生의 曾孫子인 김만기 (金萬基)와 김만중 (金萬重) 兄弟가 大提學 에 올랐다. 김만기 의 아들 김진규 (金鎭圭)도 禮曹判書와 大提學을 지냈고, 그의 아들 김양택 (金陽澤)도 大提學과 領議政을 지냈다.

分派 編輯

광산 金氏는 크게 '문정공派', '門塾共派', '양간公派', '郎將公派', '司醞署職場公派' 5派로 分類한다. 양간公派 後孫들이 70%로 第一 많고 顯達한 人物을 많이 輩出하였다.

  • 문정공派 - 15歲 문정공 김태현 (金台鉉)
  • 門塾共派 - 14歲 門塾共 김주정(金周鼎
  • 양간公派 - 14歲 양간공 金演,
  • 郎將公派 - 14歲 郎將공 김규
  • 四溫職場公派 - 17歲 司醞署職場 김영

集姓村 編輯

行列字 編輯

  • 帶同行列
28歲 29歲 30歲 31歲 32歲 33歲 34歲 35歲 36歲 37歲 38歲 39歲 40歲 41歲 42歲 43歲 44歲 45歲 46歲 47歲 48歲 49歲 50歲 51歲 52歲 53歲 54歲 55歲 56歲 57歲 58歲
益(益) 萬(萬) 陳(鎭) 口擇(澤) 上(相) 口기(箕) 再(在) 口縣(鉉) 영(永) 口修(洙) 龍(容) 口中(中) 선(善) 口順(淳) 桐(東) 口圜(煥) 규(奎) 口龍(鏞) 年(淵) 口式(植) 兄(炯) 口곤(坤) 수(銖) 口洪(洪) 種(種) 口헌(憲) 中(重) 口흠(欽) 태(泰) 口걸(杰) 病(炳)

朝鮮 王室과의 姻戚關係 編輯

人物 編輯

  • 김재길(金宰吉 , 2007年 ~??)?: 仁川 아라高等學校 在學 中 BOY TIMES 會社 共同 代表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武科 276名, 生員 350名, 眞사 402名 等을 모두 합치면 1,028名이다.
  2. 文型으로 불리는 兩館大提學은 7名이나, 藝文館 大提學을 지낸 김한로를 包含하면 8名이다.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