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江陵 崔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江陵 崔氏 (江陵崔氏)는 江原特別自治道 江陵市 를 本館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江陵 崔氏
江陵崔氏
나라 韓國
貫鄕 江原特別自治道 江陵市
時調 최흔鳳(崔欣奉), 최필달(崔必達), 최문한(崔文漢)
集姓村 江原特別自治道 江陵市 초당동
慶尙北道 蔚珍郡 원남면
慶尙南道 居昌郡 고제면
咸鏡南道 文川郡 도초면 주교리
咸鏡北道 明川郡 동면 三湖洞
主要 人物 催乳, 최수황, 催乳련, 최치운 , 최응현, 최수성 , 최연 , 최응천, 최규하 , 최각규 , 최돈웅 , 최종영 , 최돈걸 , 최연희 , 최종원 , 최지성 , 최흥집 , 최욱철 , 崔明熙 , 최문순 , 최양희 , 최문순 , 崔鍾球 , 최상목 , 최지성 , 최서현(法務部) .
人口(2015年) 148,715名

歷史 編輯

江陵 崔氏는 時調를 全州界(全州系), 競走系(慶州系), 强化界(江華系)로 달리 하는 세 系統이 있다.

  • 全州界(全州系)?: 최흔鳳 (崔欣奉)을 始祖로 한다. 최흔奉은 高麗 太祖 (太祖)의 駙馬(駙馬)로 阮元位(完原尉)에 封해졌다고 한다. 그러나 正使인 『高麗史』에서는 確認되지 않으며, 駙馬를 위(尉)에 封하는 制度 亦是 1451年 (文宗 元年)에 가서야 처음으로 施行되었으므로, 後世의 潤色으로 여겨진다.
  • 競走系(慶州系)?: 최필달 (崔必達)을 始祖로 한다. 최필달은 高麗의 開國功臣이고, 慶興府院君(慶興府院君)에 封해졌다고 한다. 그러나 臣下를 軍(君)에 封하는 制度는 1298年 (忠烈王 24)에 가서야 처음으로 施行되었으므로, 後世의 潤色으로 여겨진다.
  • 强化界(江華系)?: 최문한 (崔文漢)을 始祖로 한다. 최문한은 高麗 충숙왕 (忠肅王)의 駙馬였다고 한다. 그러나 正使인 『高麗史』에서는 確認되지 않는 內容이다.

江陵 崔氏는 세 系統을 다 合하여 朝鮮時代 文科 及第者 31名을 輩出했다.

人物 編輯

高麗 編輯

  • 催乳(崔濡, 1072年 ~ 1140年 )?: 者는 원택(元澤). 1090年 (禪宗 7) 19歲로 文科에 及第하고, 人種 (仁宗)組에 官職이 門下侍郞同平章事(門下侍郞同平章事)에 이르렀다. 諡號는 藏經(莊敬)이다.
  • 최수황(崔守璜,?? ~ 1301年 )?: 高麗 高宗 (高宗)組에 文科에 及第하고, 충렬왕 (忠烈王)組에 僉議贊成事(僉議贊成事)로 致死(致仕)했다.

朝鮮 編輯

  • 催乳련(崔有漣)?: 朝鮮 의 開國原從功臣(開國原從功臣)으로 강릉군(江陵君)에 封해졌다. 催乳련 開國原從功臣錄券(錄券)은 寶物 第1282戶이다.
  • 崔怡 (崔?, 1356年 ~ 1426年 )?: 催乳련의 아들. 初名은 최원(崔遠), 자는 有名(惟明). 世宗 (世宗)組에 官職이 판座軍簿司(判左軍府事)에 이르렀다. 諡號는 희경(僖景)이다.
  • 최치운 (崔致雲, 1390年 ~ 1440年 )?: 1417年 (太宗 17) 式年文科에 及第하고, 世宗朝에 吏曹參判(吏曹參判)에 이르렀다.
  • 최응현(崔應賢, 1428年 ~ 1507年 )?: 최치운의 次男. 1454年 (端宗 2) 謁聖試에 及第하고, 연산군 (燕山君)組에 刑曹參判(刑曹參判)에 이르렀다.
  • 최연 (崔演, 1500年 ~ 1549年 )?: 1525年 (中宗 20) 生員試(生員試)·進士試(進士試)·式年文科에 모두 及第하고, 明宗 (明宗)組에 動員軍(東原君)에 封해졌으며, 以後 두 次例나 判尹(判尹)에 任命되었다. 諡號는 문양(文襄)이다.
  • 최응천(崔應天, 1615年 ~ 1671年 )?: 최연의 동생인 최순(崔洵)의 玄孫. 1646年 (仁祖 24) 式年文科에 及第하고, 顯宗 (顯宗)組에 眞珠牧師(晉州牧使)에 이르렀다.

大韓民國 編輯

行列字 編輯

최필달界 編輯

최흔封界 編輯

최문한界 編輯

人口 編輯

崔氏 本館 中에서는 4番째로 人口가 많다. 人口의 大部分이 江原道 에 密集해 있다.

  • 1985年 30,940家口 132,300名
  • 2000年 44,704家口 140,854名
  • 2015年 148,716名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