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各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註) 또는 各州 ( 英語 : footnote 또는 annotation 等 )는 本文에 對하는 參照 文獻이나 本文의 낱말, 文章 等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는 덧붙이는 글이다. 주는 매우 길어 本文에 記入하기 不適當하거나 本文 內容에 끼워 넣었을 때 文脈의 흐름이 妨害되는 境遇에 使用되며, 記述하는 內容의 出處를 밝히거나 該當 用語나 內容을 補充 說明하는 데에 使用한다. [1]

脚註는 論文을 쓸 때 本文의 어떤 部分의 뜻을 補充하거나 論文 本文의 아래쪽에 따로 단 註釋을 말한다. 脚註는 本文에서 數字 또는 記號로 識別하며, 硏究 論文에서 一般的으로 脚註를 追加하여 本文에서 敍述한 事實이나 引用文의 出處를 引用하는 데 使用된다. 脚註에는 콘텐츠 脚註와 著者勸 許可 各州 두가지가 있다. 콘텐츠 脚註는 本文의 情報를 補充 說明하여 單純化하고 複雜하고 關聯性이 없는 情報는 包含하지 않아야 한다. 著作權 許可 脚註는 긴 引用文, 硏究 規模와 테스트 아이템, 改造된 表와 票의 出處를 提供한다. 脚註를 使用할 境遇 一般的으로 作成者, 年度 및 冊의 題目, 全體 페이지 番號를 包含한 全體 引用情報를 追加해야 한다. [2]

單, [3] 左側 脚註 및 二重 以上의 脚註는 一般的으로 使用하지 않는다.

位置別 分類 編輯

  • 括弧週 (括弧註, Parenthetical note)는 本文 안에 括弧 等의 記號를 使用해서 認容 出處 또는 說明 等을 表示한 主席 形式이다. 括弧週를 使用하는 境遇 後註로 參考 文獻을 따로 달아야 한다. 括弧 안에 漢字語의 漢字, 로마字 外來語의 로마字 表記를 다는 것도 括弧週에 該當한다.
  • 各州 (脚註 , footnote)는 書冊이나 論文 等의 文書에서 어떤 한 쪽에 包含된 하나 또는 그 以上의 注文(註文)들을 같은 쪽의 下段에 달아 놓은 것, 또는 그런 式으로 株를 處理하는 方法을 말한다.
  • 美洲 (尾註, endnote)는 冊의 本文 끝에 달아놓은 주다.
  • 瑤珠 (腰註)는 文書에서 各 段落이나 챕터(場,節,목 等)가 끝나는 곳에 달아놓은 주다.
  • 側註 (側註)는 各 쪽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달아놓은 주다.
  • 두주 (頭註)는 文書에서 各 쪽의 위쪽에 달아놓은 주다.
  • 헤드노트 (headnote, 美洲(眉註))는 文書에서 各 쪽의 위쪽 또는 챕터(場,節,목 等)가 始作하는 곳에 달아놓은 주다.
  • 햇노트 (hatnote)는 文書에서 첫머리에 달아놓은 주다.

위키百科에서 目次가 나오기 前의 內容도 햇노트이며, <ref></ref>로 달아놓고 <references /> 部分에 나타나게 하는 州는 脚註 또는 美洲(endnote)에 該當한다.

脚註의 歷史 編輯

脚註는 著者의 知的 努力을 證明해주는 役割과 著者의 指摘 潔癖을 確認할 端緖를 提供해주는 두가지 相反된 機能을 해왔다. 로마의 法律家들은 自身들이 引用한 法律의 出戰을 明確하게 밝혔다. 단테 페트라르카 는 自身의 詩를 直接 解說한 註釋을 달았다. 페트루스 롬바르두스(Petrus Lombardus)는 詩篇과 使徒行傳을 解說하면서 近代的 脚註와 類似한 形態를 정착시켰다. 야콥 토마시우스(Jacob Tomasius)는 그릇된 引用形式들의 適切한 分類法을 提示(1673)하면서 學者들의 指摘 날치기에 對해서도 言及했다. [4] 기번 은 로마帝國 쇠망사에서 露骨的인 脚註를 使用하여 讀者에게 快感과 不快感 모두를 준 것으로 有名하다. 랑케 는 脚註를 歷史學의 가장 有用한 道具中 하나로 格上시켰으나 本人 自身은 脚註에 그리 神經을 쓰지 않아 種種 脚註에 誤謬가 많았다. 歷史家들은 相對方의 脚註를 直接 確認하면서 서로의 誤謬를 攻擊했다. 脚註의 活性化는 圖書館에 1次史料를 開放하라는 硏究者들의 壓力으로 이어졌다. [5]

같이 보기 編輯

參考 資料 編輯

各州 編輯

  1. 이런 것을 意味한다
  2. “注意 使用 總整理: 各州, 美洲, 두주” (美國 英語). 2018年 2月 9日 . 2021年 11月 2日에 確認함 .  
  3. 例示
  4. 脚註의 歷史, p 30
  5. 脚註의 歷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