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블라드 3歲 체페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블라드 3歲 체페슈

( 가시 工作 블라드 에서 넘어옴)

왈라키아 工作 블라드 3歲 (Vlad III, Prince of Wallachia, 1431年 11月 10日 ~ 1476年 )는 루마니아 드러쿨레슈티 家門 의 貴族으로, 15世紀 왈라키아 의 工作이다. 흔히 블라드 체페슈 ( 루마니아語 : Vlad ?epe? 블라드 체페슈 [ * ] ) 또는 블라드 드러쿨레아 ( 루마니아語 : Vlad Dr?culea )라고도 알려져있다. "체페슈"란 "꿰뚫는 者"라는 뜻으로, 罪人이나 捕虜를 꼬챙이에 꿰어 죽이는 恐怖政治를 하여 붙은 別名이고 "드러쿨레아"란 "龍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아버지 블라드 2歲 드러쿨 의 別名을 이어받은 것이다. [1]

블라드 3歲 체페슈
Vlad III ?epe?
왈라키아 工作
(1次)
在位 1448年
前任 블라디슬라프 2歲
後任 블라디슬라프 2歲
왈라키아 工作
(2次)
在位 1456年 ~ 1462年
前任 블라디슬라프 2歲
後任 라두 첼 프루모스
왈라키아 工作
(3次)
在位 1476年
前任 바使라브 3歲
後任 바使라브 3歲
身上情報
出生日 1431年 11月 10日
出生地 헝가리 王國 트란실바니아 , 時期쇼아라
死亡日 1476年 12月 또는 1477年 1月
死亡地 왈라키아 부쿠레슈티
家門 드러쿨레슈티가
配偶者 不明
(一說에 依하면 平民系 出身이라고 函)
주스즈티나 스질라지
일로나 넬리피크
宗敎 正敎會
署名

블라드 2歲의 次男으로 1442年 동생 라두와 함께 오스만 帝國 에 볼모로 보내졌다. 아버지와 큰兄 미르체아는 1447年 헝가리 王國 後女디 야노詩 가 侵攻해 오자 이에 맞서 싸우다 살해당하였다. 후녀디는 블라드 3歲의 四寸이었던 블라디슬라프를 꼭두각시로 앉혀 왈라키아를 支配하고자 하였으나 오스만 帝國이 介入하여 블라디슬라프를 失脚시키고 블라드 3歲를 새로운 보이보드 로 卽位시켰다.

두 四寸은 各自 헝가리와 오스만을 등에 업고 骨肉相爭을 벌였으나 勝敗는 쉽게 갈리지 않았고 오히려 블라드 3世에게 不利한 戰況이 繼續되었다. 블라드 3世는 1448年 10月 오스만으로 退却하였다가 以後 몰다비아 公國 과 헝가리를 轉轉하였다. 그러나 헝가리와 블라디슬라프 사이의 關係가 틀어지자 블라드 3世는 機會를 잡고 1456年 헝가리의 支援을 받으며 왈라키아를 侵攻하여 블라디슬라프를 逐出하였다.

왈라키아를 掌握한 블라드 3世는 自身에게 敵對的이었던 보야르 를 肅淸하고 블라디슬라프와 同盟을 맺었던 트란실바니아 작센人 과 衝突하였다. 그는 작센人들의 마을을 掠奪하고 數 많은 捕虜를 잡아 왈라키아로 돌아온 다음 이들을 꼬챙이로 꿰어버렸는데 이 일로 "체페슈"라는 惡名이 붙었다. 1460年 블라드 3世는 왈라키아를 完全히 掌握하였다.

當時 왈라키아는 헝가리와 오스만 帝國 사이에 끼여 줄타기 外交를 벌일 수 밖에 없었다. 블라드 3世 스스로도 어린 時節을 오스만 帝國의 볼모로 지냈고 오스만의 藩國을 自處하여 卽位하였으나 블라디슬라프의 逐出 過程에서 헝가리에게 基督敎徒로서 이슬람에 맞서겠다고 約束하였다. 이런 外交的 어려움에 더해 왈라키아 內部의 보야르들 亦是 언제나 潛在的 競爭 相對였기 때문에 블라드 3世는 닥쳐 오는 狀況에 따라 그때 그때 態度를 바꿀 수 밖에 없었다. 1460年 헝가리의 도움으로 왈라키아의 支配力을 確保한 그는 오스만의 메흐메트 2歲 가 貢物과 忠誠 誓約을 要求하는 使節을 보내자 이들을 말뚝에 꿰어 죽이고 오스만 帝國과의 斷絶을 宣言했다.

戰爭이 不可避한 狀況에서 블라드 3世는 1462年 2月 先制的으로 오스만 領土였던 불가리아를 侵攻하여 掠奪과 虐殺을 恣行하였다. 메흐메트 2世는 如前히 오스만의 볼모로 남아있던 동생 라두를 왈라키아의 새 支配者로 만들기로 決心하고 戰爭을 宣布하였다. 1462年 6月 16-17日 블라드 3世는 트르高비슈테 에서 夜習하여 오스만의 술탄을 사로잡고자 하였으나 失敗하였고 不意의 奇襲을 받은 오스만 軍隊가 再整備를 위해 退却하는 사이 오히려 많은 왈라키아 兵士들이 오스만에 投降하는 事態가 벌어졌다. 傳貰價 돌이킬 수 없는 地境에 이른 블라드 3世는 헝가리의 마차시 1歲 에게 도움을 請하기 위해 트란실바니아 로 向하였으나 오히려 붙잡혀 투옥당하였다.

블라드 3世는 1475年까지 비셰그라드 에서 붙잡혀 있었다. 그 사이 왈라키아는 또 다시 政變이 일어나 블라드 3歲의 동생 라두가 逐出되고 바살라브 라이誤打 가 執權하였다. 1475年 몰다비아 슈테판 3歲 의 請願으로 釋放된 블라드 3世는 摩挲치 1歲 麾下의 軍隊에 屬해 보스니아에서 오스만과 맞섰다. 1476年 블라드 3世는 헝가리와 몰다비아의 支援 아래 바살라브를 쫓아내고 다시 왈라키아의 支配者가 되었으나 곧 이어 오스만의 主力軍과 맞서 싸워야만 하였고 1477年 1月 10日 戰死하였다.

블라드 3歲 當時의 殘酷한 刑罰인 꼬챙이 꿰기는 後날 東유럽과 러시아, 獨逸 等地에서 많은 民譚의 素材가 되었다. 特히 獨逸에서 펴낸 이야기들이 널리 알려졌다.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浮秤 人 드러큘레아는 19世紀의 小說家 브램 스토커 吸血鬼 를 所在老漢 小說 《 드라큘라 伯爵 》에 靈感을 주었다.

이름

編輯

아버지인 블라드 2世가 神聖로마帝國의 지기스문트 가 세운 드라곤 騎士團 에 入團하면서 龍이라는 意味의 드라쿨이라는 이름을 下賜받았다. [2] :8 [3] :231 아버지의 地位를 이으면서 블라드 3世는 드라쿨레아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드라쿨의 아들, 卽 용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2] :10 [3] :231 1470年 무렵 쓴 自身의 便紙에 블라드 3世는 드라쿨레아라고 署名하였다. [3] :229 그의 死後 얼마되지 않은 15世紀의 民譚 속에서 블라드 3世는 이미 드라큘라로 불렸고 [3] :228 以後 드라큘라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되어 吸血鬼 이야기 속의 主人公에 이르게 되었다. [3] :228 [2] :16 한便 블라드 3歲의 掠奪과 虐殺에 큰 犧牲을 치른 루마니아에서는 드라큘라가 곧 惡魔의 이름으로 通用되었다. [2] :10

幼年期

編輯
 
블라드 2世가 머물렀던 時期小兒라의 집.

블라드 3歲의 아버지 블라드 2世는 왈라키아 公國 미르체아 1歲 의 死生였고 지기스문트에게 볼모로 보내져 어린 時節을 보냈다. 이 때 드라곤 騎士團에 入團하여 드라쿨이라는 이름을 下賜받는다. [4] 드라곤 騎士團은 오스만 帝國의 유럽 進出을 防禦하기 위해 創團된 騎士團이었다. [5] 블라드 3歲가 1448年 왈라키아의 보이보드가 되기 充分한 나이인 17-20歲 前後였다고 하면 아마도 1428年에서 1431年 사이에 태어났을 것이다. [6] [5] 루마니아의 史學者 라두 플로레스쿠 는 블라드 3歲가 헝가리 王國 트란실바니아 에 있는 작센人 都市인 時期쇼아라 에서 태어났으며 블라드 2世는 當時 이 곳에서 1435年까지 3層짜리 建物에 살았다고 썼다. [7] 어머니는 몰다비아 公國의 보이보드였던 알렉산드壘의 딸이라는 言及이 있으나 確實하지는 않다. [7] [5] [8] 어쩌면 블라드 2世가 일찍 死別한 첫番째 夫人이 어머니일 수도 있다. [9]

1436年 異腹兄弟였던 알렉산드루 알데아가 死亡하자 블라드 2世는 왈라키아를 占領하여 보이보드가 되었다. [10] [11] 1437年 1月 20日의 記錄에 블라드 2歲의 아들로 長男 미르체아와 次男 블라드가 보인다. [6] 以後 1439年까지 家計에 對한 文書는 4 種이 作成되었는데 마지막 文書에 三南 라두가 記錄되었다. [6]

1442年 블라드 2世는 헝가리와 오스만의 戰爭 兆朕 사이에 끼어있었다. 그는 헝가리의 後女디 야노詩 를 만난 뒤 오스만의 술탄에게 侵攻 反對 立場을 傳했다. 오스만의 무라트 2歲 는 블라드 2世에게 忠誠心을 證明하라며 겔리볼루 로 出頭할 것을 命令하였다. [12] [13] 블라드 2世는 오스만에 對한 忠誠의 徵標로 次男 블라드와 三南 라두를 볼모로 내주었다. [13] 오스만 側 記錄에는 이 두 兄弟가 오늘날 튀르키예 콘야週 의 度그르괴즈인 에그리괴즈에 軟禁되어 生活했다고 나온다. [14] [15] 블라드 2世는 아들 둘을 볼모로 준 뒤로도 오스만과 헝가리 사이에서 줄타기를 할 수 밖에 없었고 特히 1444年 브와디스와프 3歲 바르나 를 侵攻하는 바르나 十字軍 을 일으켜 왈라키와를 動員하자 볼모가 된 블라드 3世와 라두는 生命의 威脅을 받아야 하였다. [16] 블라드 2世는 自身의 아들들이 "基督敎 平和의 守護를 위해 屠殺되었다"고 밝혔지만 오스만은 두 아들을 穩全히 살려두었다. [16]

1446年에서 1447年 무렵 블라드 2世는 다시 路線을 바꿔 오스만의 宗主權 을 認定하고 貢物을 바치겠다고 約束하였다. [17] 그러자 이番에는 헝가리의 攝政이 된 [18] 後女디 側이 왈라키아를 侵攻하였고 [19] 블라드 2世와 長男 미르체아가 殺害되었다. [9] 후녀디는 블라디슬라프 2歲 를 새 보이보드로 세웠다. [19]

統治

編輯
 
1390年 무렵 미르체아 1歲 時期 왈라키아 公國의 領土

1次 統治 時期와 追放

編輯

아버지와 兄이 死亡하자 블라드 3世는 보위 要求者 가 되었다. [9] 1448年 9月 후녀디와 블라디슬라프가 오스만에 對敵하는 軍隊를 모으고 進軍瑕疵 [20] [21] 오스만은 블라드 3歲를 앞세우고 왈라키아를 侵攻하였다. [20] [21] 오스만軍은 다뉴브江 에 있는 지우르쥬를 要塞化하고 後女디軍과 맞섰다. [22]

10月 16日에서 17日에 걸쳐 벌어진 코소보 戰鬪 에서 오스만軍은 후녀디의 헝가리軍에게 勝利하고 발칸半島 의 基督敎 國家들을 屬國化할 수 있었다. 이러한 活動의 一環으로 블라드 3世는 왈라키아의 보이보드 가 되었다. 反面 후녀디는 비록 戰爭에서 敗北하였으나 왈라키아에 對한 宗主權 마저 抛棄한 것은 아니었다. 후녀디는 블라드 3歲가 오스만의 干涉에서 自由로울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트란실바니아로 出頭하여 自身을 謁見하라고 使臣을 보냈고 [21] 要求가 拒絶되자 이를 빌미로 블라디슬라프 2歲를 앞세워 왈라키아를 侵攻하였다. [22] 結局 블라드 3世는 執權 첫해인 1448年 12月 오스만으로 退却할 수 밖에 없었다. [22] [23]

후녀디의 臺詞 니콜라스 非자크나이가 와서 우리에게 謁見을 要求했다는 消息을 傳하오. ... 우리는 이러한 要求에 應할 수 없는데 무라드 2歲가 後女니를 擊破한 只今 謁見을 했다간 當身들과 나, 우리 모두 오스만에게 죽임을 當할 것이기 때문이오. 그러니 後女니가 以後 戰爭에서 어떻게 되는 지 지켜보기로 합시다.

??블라드 3歲가 브라쇼브 市議會에 보낸 便紙

權座를 잃은 블라드 3世는 오스만의 에디르네 에 머물렀지만 [24] 暫時後 몰다비아의 보그團 2歲 에게 依託하였는데 보그團은 아마도 블라드 3歲의 外三寸이었으리라 推定된다. 보그團 2世는 1449年 후녀디의 後援아래 몰다비아의 權座에 앉았다. [24] [25] 1451年 10月 보그段이 페트壘 아론 에게 暗殺되자 블라드는 보그段의 아들 슈테판 3歲 와 函 헝가리로 달아나 후녀디의 後援을 要請하였다. [24] [26] 그러나 그해 11月 20日 후녀디는 오스만과 3年 期間의 休戰 協定을 採決하고 [27] 왈라키아의 權座는 왈라키아 貴族들의 選擧로 定하자고 合意한 狀態였다. [26]

블라드 3世는 블라디슬라프 2歲가 追放한 왈라키아의 보야르들이 密集해 살던 브라쇼브에 定着하기를 希望하였으나 후녀디는 1452年 2月 10日 브라쇼브 市民들의 블라드 3世에 對한 定着地 支援을 禁止하였다. [26] [28] 블라드 3世는 몰다비아로 돌아갈 수 밖에 없었고 以後 몰다비아에서 그의 行跡은 알려져 있지 않다. [29] 1456年 7月 3日 後女디는 블라쇼브 市民들에게 블라드 3歲가 트란실바니아의 國境 守備를 擔當할 것이라 公知하였으므로 이 時點에 블라드 3歲가 헝가리에 있었다는 것은 分明하다. [30]

2次 統治 時期

編輯

權座 復歸

編輯

날짜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30] 헝가리의 支援을 받은 블라드 3世는 1456年 여름 무렵 왈라키아를 侵攻하였고 [31] [32] 블라디슬라프 2世는 殺害되었다. [32] 9月 10日 블라드 3世는 브라쇼브 市民들에게 오스만이 트란실바니아를 侵攻하면 自身이 防禦에 함께할 것이고 왈라키아로 侵攻해 오면 元祖를 바란다는 便紙를 썼다. [31] 그는 이 便紙에서 "市民이든 工作이든 自身이 剛할 때에는 願하는 대로 和平을 맺을 수 있으나 弱할 때에는 剛한 者가 와서 願하는 대로 할 것"이라고 썼다. [33] 이는 當時 발칸반도의 國際 情勢와 함께 블라드 3歲의 專制 君主的인 性格을 보여준다. [31]

여러 年代記와 記錄은 블라드 3歲가 後날 "체페슈"로 불리게 되는 苛酷한 處刑을 통해 恐怖政治를 했다고 記錄하고 있다. 數千 名이 處刑되었고 [34] 特히 自身의 아버지 블라드 2世와 兄 미르체아의 死亡에 聯關된 보야르들을 苛酷하게 肅淸하였다. [35] 年代記 社가 찰코콘딜레스는 블라드 3世가 처형당한 貴族들의 財産을 沒收하여 再分配 하였기에 왈라키아의 支配層이 完全히 再編되었다고 記錄하였다. [34] 1457年에서 1461年 사이 왈라키아 宮廷의 議員들 가운데 제 자리를 維持할 수 있었던 者는 單 두 名 뿐이었다. [36]

작센人과의 戰鬪

編輯

權座에 復歸한 블라드 3世는 오스만의 술탄 마흐메트 2世에게 慣例的인 使節을 보냈다. [37] 1456年 8月 11日 後女디 야노詩가 死亡하고 그의 地位를 繼承한 後女디 라디슬라프 는 브라쇼브에 보낸 便紙에서 블라드 3世에게 "아무런 믿음도 남아있지 않다"면서 블라디슬라프 2歲의 兄弟인 單 3歲 를 後援하였다. [31] [38] 트란실바니아의 작센人 都市 가운데 하나였던 시비우 亦是 單 3歲를 適法한 繼承者로 認定하면서 작센人 都市들과 블라드 3歲의 衝突은 不可避하게 되었다. [39]

1457年 3月 16日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 가 後女디 라디슬라프를 處刑하자 後女디 야노詩의 아내이자 라디슬라프의 母后였던 스질라기 에르子베트와 그女의 兄弟 스질라기 미하일을 中心으로 叛亂이 일어나 헝가리는 內戰 狀態가 되었다. [40] 블라드는 이 때를 틈타 함께 亡命 生活을 하였던 몰다비아의 슈테판 3世를 돕기로 決心하고 그해 6月 몰다비아를 包圍하였다. [41] [42] 그는 블라쇼브와 是非右島 侵攻하여 掠奪과 虐殺을 벌였다. [43] 작센人들에 對한 虐殺은 男女老少를 가리지 않고 벌어져 後날 獨逸에서 사람을 꼬챙이에 꿰뚫는 "드라큘라"의 民譚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44] 트란실바니아 작센人은 헝가리 國王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를 支持하고 있었기 때문에 블라드 3世의 이러한 攻擊은 스질라기 叛軍을 支援하는 性格을 띄었다. [43]

1457年 12月 트란실바니아 작센人들은 스질라기 叛軍과 平和 協商을 하였고 블라드 3歲도 이 協商에 介入하였다. [43] 이 協商은 브라쇼브에서 單 3歲를 追放하는 代身 왈라키아와 트란실바니아 사이의 자유로운 交易을 許容한다는 것을 骨子로 하였다. [45] [46] 블라드 3世는 시비우의 市民들에게도 같은 權利를 約束하였다. [46] 블라드 3世는 이 協商을 進行한 便紙에서 스질라기 미하일을 "兄弟이자 指導者"로 描寫하였다. [47]

1458年 1月 24日 後女디 라디슬라프의 동생인 마차시 1歲 가 헝가리의 國王으로 選出되었다. [48] 이로서 블라드 3世는 헝가리 國王의 卽位에 援助를 한 格이 되었고 마차시 1世는 이에 和答하여 시비우에 왈라키아와의 和平을 命令하였다. [49] [50] 1459年 9月 20日 블라드 3世는 스스로를 "왈라키아의 支配者이자 암라슈와 파가라슈의 對共"으로 稱하여 이 戰爭에서 트란실바니아의 領地를 獲得하였음을 보여준다. [51] [52] 스질라기 미하일이 블라디슬라프 2歲 當時의 보야르였던 미하일의 定着을 許容하자 [53] 1458年 3月 末부터 왈라키아의 보야르들이 트란실바니아에 定着하기 始作하였다. [50] 그러나 블라드 4世는 自身의 敵이었던 블라디슬라프 2世를 支持하였던 보야르를 容恕할 마음이 없었고 머지 않아 보야르 미하일을 殺害하였다. [54]

1458年 5月만 하여도 블라드 3世는 브라쇼브에 丈人 派遣을 要請하는 等 平和 條約을 忠實히 따르는 듯 보였으나 그 해가 다 지기도 前에 작센人들과의 關係는 다시 惡化되었다. [55] 블라드 3世가 自由 交易을 禁止하고 國境 去來所의 去來만으로 交易을 制限 한 것이 主要 原因으로 推定된다. [56] 그러나 이러한 保護 貿易 措置는 文書化 되지는 않았으며 [57] 後날 제3차 統治를 始作하게 된 1476年 블라드 3世는 自身이 언제나 自由 交易을 支持하였다고 强調하였다. [58]

왈라키아 商人이 트란실바니아에서 購買한 鐵鋼을 작센人이 沒收瑕疵 [59] 블라드 3世는 報復 措置로 작센 商人의 物品을 沒收하고 拷問하였다. [60] 時期쇼아라 에 머물며 왈라키아의 爵位를 要求하고 있던 單 2歲의 아들 바사라프 라이오타는 [60] 1459年 1月 21日 이 狀況을 브라쇼브와 타라의 市民들에게 알리는 便紙에서 작센人들이 꼬챙이에 꿰어지고 火刑 當했다고 썼다. [61]

작센과 왈카기아는 다시 한 番 戰爭을 치르게 되었다. 트란실바니아에 亡命한 왈라키아 보야르들이 單 3歲를 앞세워 侵攻해 왔지만 1460年 4月 22日 以前에 擊退었다. [62] [63] 反擊에 나선 블라드 3世는 트란실바니아 南部를 돌며 掠奪과 處刑을 이어갔다. [64] 블라드 3世는 講和 條約의 條件으로 브라쇼브에서 모든 왈라키아人들을 追放할 것을 要求하였다. [64] 1460年 7月 20日 무렵 講和 條約이 採決되자 블라드 3世는 自身이 掠奪하고 虐殺하였던 브라쇼브 市民들을 "兄弟이자 親舊"로 추켜세웠다. [65] 블라드 3世는 單 3世를 支持한 責任을 물어 암라슈와 罷家라슈 地域도 掠奪하였다. [37] [66]

오스만 戰爭

編輯

메흐메트 2歲 時期 예니체리 로 服務하였던 콘스탄틴 미하일로비치는 어느 무렵부터 블라드 3世가 술탄에 對한 敬拜를 拒否하였다고 썼다. [67] 르네상스 時期 史學者인 지오바니 마리아 데글리 안지오렐리도 블라드 3歲가 3年 間 메흐메트 2世에 對한 朝貢을 바치지 않았다고 記錄하였다. [67] 이 記錄들은 블라드 3歲가 작센人과의 戰鬪에서 勝利한 1459年 무렵 이미 오스만의 宗主權을 無視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지만 두 記錄 모두 實際 事件이 있었던 때로부터 몇 十年이 지난 뒤의 것임을 勘案하여야 한다. [68] 오스만의 宮廷 書記 투르順 베그는 술탄이 트라페準打 帝國 征服에 나서자 블라드 3世가 이 때를 틈타 反旗를 들었다고 記錄하였다. [69] 투르順 베그는 블라드 3歲가 摩挲치 1世와 密約을 맺었지만 술탄의 諜者가 곧 看破하였다고 썼다. [70] [71] 메흐메트 2世는 그리스人 토마스 카打볼里노스(또는 유누스 베이)를 特使로 보내 블라드 3世에게 當時 오스만이 陷落한 지 몇 해 지나지 않은 콘스탄티노폴리스 로 出頭하라고 命令하는 한便 [70] [71] 니코폴리스 山자크 였던 銜字에게 블러드 3歲의 逮捕를 指示하였다. [72] [73] 블라드 3世는 오스만의 이러한 欺瞞術을 알아채고 두 特使 모두를 處刑하였다. [72] [73]

블라드 3世는 오스만의 特使를 處刑한 後 先制 攻擊을 敢行하였다. 어린 時節 오랜 期間 오스만의 볼모로 있었던 블라드 3世는 지우르쥬 要塞 앞에서 流暢한 튀르키예어 로 城門을 열라고 외친 뒤 열린 城門으로 들어가 要塞를 占領하였다. [73] 以後 그는 다뉴브江의 오스만 領土를 돌며 掠奪하였다. [74] 1462年 2月 11日 블라드 3世는 마차시 1世에게 便紙를 써 오스만과의 戰爭을 알리고 支援을 要請하였다. [75] 그는 이 便紙에서 自身이 戰爭을 일으킨 理由를 性 이슈트半 王冠 을 쓴 헝가리의 神聖한 國王의 名譽와 "基督敎의 守護" 때문이라고 主張하였다. [75] 페오도시야 의 제노바 總督은 本國에 왈라키아와 몰다비아 사이의 緊張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75]

블라드 3歲의 侵攻에 메흐메트 2世는 15萬 名의 大規模 兵力을 召集하여 應酬하였다. [76] 當時 오스만에서 이 보다 많은 兵力은 1453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陷落 當時 動員된 軍隊 뿐이었다. [77] [78] 兵力 規模를 볼 때 메흐메트 2歲가 왈라키아의 完全한 征服을 노렸을 것이다. [79] [77] [78]

 
블라드 3歲의 夜襲을 描寫한 테오도르 我慢의 그림

1462年 5月 오스만軍은 왈라키아의 唯一한 港口인 다뉴브江 河口의 브러일라 에 上陸하였다. [77] 6月에는 親庭에 나선 메흐메트 2歲가 니코폴리스에서 오스만의 主力을 指揮하여 다뉴브江을 渡河하였다. [80] [81] 數的 劣勢에 놓인 블라드 3世는 自身의 領土를 焦土化 하는 淸野作戰을 펼치며 트르高비슈테 方向으로 後退하였다. [82] 6月 16日에서 17日 사이 블라드 3世는 夜襲을 통해 메흐메트 2世를 죽이거나 사로잡아 傳貰를 뒤집고자 하였다. [80] 술탄이 없어져 오스만軍이 混亂에 빠지기를 意圖한 것이었으나 [80] [82] 왈라키아軍은 술탄의 帳幕 位置를 誤認하여 [83] 오스만 宮廷 高官인 마흐무드 파샤와 理事아크의 帳幕을 攻擊하였다. [82] 술탄의 確保에 失敗한 왈라키아軍은 東이 터오자 後退하였다. [84] 6月 末 메흐메트 2世는 트르高비슈테에 入城하였지만 [80] 城郭 밖에 늘어선 數千의 꼬챙이에 꿰어진 屍身들을 보고 오스만軍은 恐怖에 질리고 말았다. [85]

여름철 무더위로 오스만軍은 渴症에 시달렸다. [86] 마흐메트 2世는 後退를 決定하고 브러일라 로 向했다. [73] 몰다비아의 슈테판 3世는 오늘날 우크라이나 領土인 要衝地 킬里야로 서둘러 向하였다. [78] [78] [87] 블라드 3歲 亦是 킬里야로 向하면서 6千 名의 精銳를 남겨 왈라키아를 防禦하게 하였으나 오스만 軍에게 擊破되었다. [86] 한便 슈테판 3世는 킬里野 攻防戰에서 負傷을 입고 블라드 3歲가 到着하기도 前에 몰다비아로 退却하였다. [88] .

마흐메트 2世는 退却하였으나 왈라키아에는 블라드 3歲의 동생 라두를 앞세운 오스만軍이 바라간平原에 남아 戰爭을 繼續하였다. [89] 라두는 왈라키아 陣營에 들어가 술탄이 다시 侵攻해 올 수 있다고 警告하였다. [89] 이어진 두 番의 戰鬪에서 블라드 3世는 동생 라두의 軍隊를 무찔렀지만 그 사이 왈라키아軍에서는 라두의 篇으로 脫營하는 兵士가 늘어갔다. [90] [91] 카르파티아山脈 으로 後退한 블라드 3世는 헝가리의 摩挲치 1世에게 援軍을 要請하였으나 [92] 헝가리는 그 동안 작센人들과 不和를 이어갔던 블라드 보다는 브라쇼브에 1萬5千 두캇의 補償金 支給을 約束하며 交易 特權을 提示한 라두를 支持할 뜻을 비친다. [90]

헝가리의 收監

編輯

1462年 11月 [93] 트란실바니아에 온 摩挲치 1世는 數 週에 걸쳐 블라드 3世와 協商을 벌였으나 [94] 오스만 帝國과 全面戰을 벌이는 것을 避하고자 하였다. [95] [96] 摩挲치 1世는 체코 傭兵에게 블라드 3歲의 逮捕를 命令하였다. [93] [95]

摩挲치 1世는 敎皇 비오 2歲 와 오스만軍에 맞선 戰爭의 軍資金을 대고 있던 베네치아 共和國 에 便紙를 보내 自身이 블라드 3歲를 投獄한 理由를 說明하였다. 摩挲치 1歲의 主張에 따르면 블라드 3歲가 1462年 11月 7日 메흐메트 2世와 마흐무트 파샤, 몰다비아의 슈테판 3歲 等에게 自身이 다시 權座에 復歸하면 오스만의 麾下로 들어가 헝가리와 맞서겠다고 便紙를 發送하였다고 한다. [93] [94] [97] 勿論 이것은 摩挲치 1歲가 名分을 위해 操作하였을 것이다. [95] [97]

블라드 3世는 알바이울리아 에 投獄되었다가 비셰그라드 로 옮겨져 14年 동안 收監되었다. [98] 以後에 슈테판 3歲가 釋放을 歎願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93] 슬라브의 民譚에서는 블라드 3歲가 가톨릭으로 改宗한 以後에야 釋放되었다고 한다. [99]

3次 統治 및 死亡

編輯

摩挲치 1世는 블라드 3歲를 왈라키아의 合法的 榮州로 認定하였으나 그의 權座 奪還을 위한 軍事 支援은 하지 않았다. [93] 블라드는 페슈트 에 머물렀고 [100] 1475年 6月 트란실바니아로 移住하였다. [101] 이 時期 왈라키아의 統治者는 바사라프 라이誤打로 오스만으로부터 正當한 榮州로 인정받고 있었다. [101]

블라드 3世는 페치 의 住宅을 購買하여 移住하였는데 이 집은 後날 "드라큘라의 집"으로 불리게 된다. [102] 1476年 1月 그러나 트란실바니아가 바라사프와 條約을 맺으면서 블라드 3歲의 追放이 要求되었지만, 왈라키아와 緊張이 繼續되고 있던 작센人들은 이를 拒絶하였다. [102]

1476年 初 헝가리와 오스만 사이의 戰爭이 始作되자 블라드 3世는 다시 指揮官으로 復歸하여 戰鬪를 치렀다. [103] 그는 2月에서 3月 사이 스레브레니차 等을 占領하고 [99] 즈보르니크 를 破壞하는 等 예전과 같은 掠奪과 虐殺, 處刑을 繼續하였다. [104] 1476年 7月 메흐메트 2世는 몰디非我를 侵攻하여 슈테판 3歲를 擊退시켰다. [105] 戰勢가 不利하게 돌아가자 摩挲치 1世는 블라드 3歲의 復位를 決心하고 몰디非我와 協力하여 왈라키아를 侵攻하였다. [106] 1476年 10月 7日 블라드 3世는 브라쇼브에서 交易 特例를 約束하며 작센人의 支持를 確保하였다. [106] 몰다비아와 公式的인 同盟을 맺은 블라드 3歲가 優位를 確實히 하자 11月 8日 바사라프는 오스만으로 亡命하였다. [106] 그는 브라쇼브에 勝利를 알리고 交易 開始를 促求한 뒤 11月 26日 세番째로 權座에 앉았다. [102]

그러나 바라사프는 오스만의 後援을 얻어 곧바로 反擊을 始作하였고 1476年 말이나 1477年 初 쯤에 일어난 戰鬪에서 블라드 3世는 死亡하였다. [107] [102] 그의 죽음은 오스만의 暗殺者가 暗殺하였다는 說에서 부터 同盟軍이 誤認하여 죽였다는 說까지 紛紛하지만 正確치 않다. [108] 一部에서는 블라드 3世가 죽임을 當한 뒤 斬首되어 머리가 메흐메트 2世에게 보내졌다고 記錄하고 있다. [109]


參考 文獻

編輯
  • Thomas M. Bohn , Adrian Gheorghe , Albert Weber (Hrsg.): Corpus Draculianum. Dokumente und Chroniken zum walachischen Fursten Vlad dem Pfahler 1448?1650. Band 3: Die Uberlieferung aus dem Osmanischen Reich. Postbyzantinische und osmanische Autoren. Harrassowitz, Wiesbaden 2013, ISBN  978-3-447-06989-2 .
  • Laonikos Chalkokondyles : The Histories, Volume II, Books 6?10 (Translated by Anthony Kaldellis) (2014). Harvard University Press . ISBN  978-0-674-59919-2 .
  • Cazacu, Matei (2017). Reinert, Stephen W., 編輯. 《Dracula》 . East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450?1450 46 . 飜譯 Brinton, Alice; Healey, Catherine; Mordarski, Nicole; Reinert, Stephen W. Leiden : Brill Publishers . doi : 10.1163/9789004349216 . ISBN  978-90-04-34921-6 .  
  • Andreescu, ?tefan (1991). 〈Military actions of Vlad ?epe? in South-Eastern Europe in 1476〉.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135?151쪽. ISBN  978-0-88033-220-0 .  
  • Babinger, Franz (1978).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ISBN  978-0-691-09900-2 .  
  • Boia, Lucian (1997). 《History and Myth in Romanian Consciousnes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BN  978-963-9116-97-9 .  
  • Balot?, Anton (1991). 〈An analysis of the Dracula tales〉.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153?184쪽. ISBN  978-0-88033-220-0 .  
  • Browning, John Edgar; Picart, Caroline Joan (Kay) (2014). 《Dracula in Visual Media: Film, Television, Comic Book and Electronic Game Appearances, 1921?2010》 (英語). McFarland. ISBN  9780786462018 .  
  • Cain, Jimmie E. (2006). 《Bram Stoker and Russophobia: Evidence of the British Fear of Russia in Dracula and The Lady of the Shroud 》.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ISBN  978-0-7864-2407-8 .  
  • Cazacu, Matei (1991). 〈The reign of Dracula in 1448〉.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53?61쪽. ISBN  978-0-88033-220-0 .  
  • Cornis-Pope, Marcel; Neubauer, John (2004). 《History of the Literary Cultures of East-Central Europe: junctures and disjunctur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 Engel, Pal (2001).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I.B. Tauris Publishers. ISBN  978-1-86064-061-2 .  
  • Florescu, Radu R. ; McNally, Raymond T. (1989). 《Dracula, Prince of Many Faces: His Life and his Times》. Back Bay Books. ISBN  978-0-316-28656-5 .  
  • Florescu, Radu R. (1991). 〈A genealogy of the family of Vlad ?epe?〉.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249?252쪽. ISBN  978-0-88033-220-0 .  
  • Hasan, Mihai Florin (2013). “Aspecte ale rela?iilor matrimoniale munteano-maghiare din secolele XIV?XV [Aspects of the Hungarian-Wallachian matrimonial relations of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 《Revista Bistri?ei》 (루마니아語). XXVII: 128?159. ISSN  1222-5096 . 2016年 9月 13日에 確認함 .  
  • Kaplan, Arie (2011). 《Dracula: The Life of Vlad the Impaler》 .  
  • Kubinyi, Andras (2008). 《Matthias Rex》. Balassi Kiado. ISBN  978-963-506-767-1 .  
  • McNally, Raymond T. (1991). 〈Vlad ?epe? in Romanian folklore〉.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228쪽. ISBN  978-0-88033-220-0 .  
  • Miller, Elizabeth (2005). 《A Dracula Handbook》. Education. ISBN  978-1-4134-8095-5 .  
  • Mure?anu, Camil (2001). 《John Hunyadi: Defender of Christendom》. The Center for Romanian Studies. ISBN  978-973-9432-18-4 .  
  • Nandri?, Grigore (1991). 〈A philological analysis of Dracula and Romanian place-names and masculine personal names in.a/ea〉.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229?237쪽. ISBN  978-0-88033-220-0 .  
  • Panaitescu, P. P. (1991). 〈The German stories about Vlad ?epe?〉.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185?196쪽. ISBN  978-0-88033-220-0 .  
  • Rezachevici, Constantin (1991). 〈Vlad ?epe? ? Chronology and historical bibliography〉.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253?294쪽. ISBN  978-0-88033-220-0 .  
  • Rezachevici, Constantin (2001). “The tomb of Vlad Tepes: The most probable hypothesis” (PDF) . 《Journal of Dracula Studies》 4 .  
  • Stoicescu, Nicolae (1991). 〈Vlad ?epe?' relations with Transylvania and Hungary〉. Treptow, Kurt W. 《Dracula: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Vlad ?epe?》. East European Monographs,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81?101쪽. ISBN  978-0-88033-220-0 .  
  • Treptow, Kurt W. (2000). 《Vlad III Dracula: The Life and Times of the Historical Dracula》. The Center of Romanian Studies. ISBN  978-973-98392-2-8 .  

各州

編輯
  1. “Vlad the Impaler | Biography, Dracula, & Facts” . 《Encyclopedia Britannica》 . 2020年 5月 18日에 確認함 .  
  2. Treptow 2000 .
  3. Nandri? 1991 .
  4. Livingstone, David (2011). 《Terrorism and the Illuminati: A Three-thousand-year History》 . Jerome, Idaho: Progressive Press. 105쪽. ISBN  9781615773060 . 2017年 11月 21日에 確認함 .  
  5. Rezachevici 1991 , 253쪽.
  6. Treptow 2000 , 46쪽.
  7. Florescu & McNally 1989 , 36쪽.
  8. Treptow 2000 , 58 (note 69)쪽.
  9. Cazacu 1991 , 55쪽.
  10. Engel 2001 , 237쪽.
  11. Treptow 2000 , 43쪽.
  12. Treptow 2000 , 47쪽.
  13. Florescu & McNally 1989 , 54쪽.
  14. Cazacu 1991 , 53쪽.
  15. Rezachevici 1991 , 254쪽.
  16. Cazacu 1991 , 54쪽.
  17. Florescu & McNally 1989 , 54, 60쪽.
  18. Engel 2001 , 288쪽.
  19. Treptow 2000 , 53쪽.
  20. Treptow 2000 , 55쪽.
  21. Cazacu 1991 , 56쪽.
  22. Cazacu 1991 , 57쪽.
  23. Treptow 2000 , 56쪽.
  24. Cazacu 1991 , 58쪽.
  25. Treptow 2000 , 58쪽.
  26. Treptow 2000 , 59쪽.
  27. Mure?anu 2001 , 176쪽.
  28. Florescu & McNally 1989 , 67쪽.
  29. Treptow 2000 , 60쪽.
  30. Treptow 2000 , 61쪽.
  31. Rezachevici 1991 , 255쪽.
  32. Treptow 2000 , 62쪽.
  33. Treptow 2000 , 77쪽.
  34. Treptow 2000 , 74쪽.
  35. Treptow 2000 , 74?77쪽.
  36. Treptow 2000 , 78?79쪽.
  37. Treptow 2000 , 95쪽.
  38. Treptow 2000 , 95?96쪽.
  39. Stoicescu 1991 , 84쪽.
  40. Engel 2001 , 297쪽.
  41. Treptow 2000 , 98?99쪽.
  42. Rezachevici 1991 , 256쪽.
  43. Treptow 2000 , 100쪽.
  44. Stoicescu 1991 , 85쪽.
  45. Treptow 2000 , 101쪽.
  46. Stoicescu 1991 , 86쪽.
  47. Treptow 2000 , 100?101쪽.
  48. Engel 2001 , 298쪽.
  49. Treptow 2000 , 101?102쪽.
  50. Stoicescu 1991 , 87쪽.
  51. Treptow 2000 , 102쪽.
  52. Stoicescu 1991 , 81쪽.
  53. Treptow 2000 , 82쪽.
  54. Treptow 2000 , 82, 103쪽.
  55. Treptow 2000 , 103?104쪽.
  56. Treptow 2000 , 106, 109쪽.
  57. Treptow 2000 , 108?110쪽.
  58. Treptow 2000 , 108쪽.
  59. Treptow 2000 , 104쪽.
  60. Florescu & McNally 1989 , 116쪽.
  61. Stoicescu 1991 , 88쪽.
  62. Stoicescu 1991 , 93쪽.
  63. Treptow 2000 , 112쪽.
  64. Stoicescu 1991 , 94쪽.
  65. Stoicescu 1991 , 94?95쪽.
  66. Rezachevici 1991 , 257쪽.
  67. Treptow 2000 , 118쪽.
  68. Treptow 2000 , 118?119쪽.
  69. Treptow 2000 , 119쪽.
  70. Rezachevici 1991 , 258쪽.
  71. Babinger 1978 , 203?204쪽.
  72. Treptow 2000 , 123쪽.
  73. Florescu & McNally 1989 , 133쪽.
  74. Babinger 1978 , 204쪽.
  75. Treptow 2000 , 124쪽.
  76. Laonikos Chalkokondyles : The Histories (Book 9, chapter 90), p. 377.
  77. Babinger 1978 , 205쪽.
  78. Florescu & McNally 1989 , 139쪽.
  79. Treptow 2000 , 126쪽.
  80. Rezachevici 1991 , 259쪽.
  81. Treptow 2000 , 130?132쪽.
  82. Treptow 2000 , 132쪽.
  83. Laonikos Chalkokondyles : The Histories (Book?9, chapter?101), p.?387.
  84. Treptow 2000 , 134쪽.
  85. Treptow 2000 , 147쪽.
  86. Treptow 2000 , 143쪽.
  87. Treptow 2000 , 140쪽.
  88. Babinger 1978 , 206쪽.
  89. Florescu & McNally 1989 , 150쪽.
  90. Florescu & McNally 1989 , 152쪽.
  91. Rezachevici 1991 , 260쪽.
  92. Treptow 2000 , 151쪽.
  93. Rezachevici 1991 , 261쪽.
  94. Florescu & McNally 1989 , 156쪽.
  95. Treptow 2000 , 153쪽.
  96. Florescu & McNally 1989 , 157?158쪽.
  97. Florescu & McNally 1989 , 160쪽.
  98. Treptow 2000 , 156쪽.
  99. Treptow 2000 , 161쪽.
  100. Andreescu 1991 , 141쪽.
  101. Hasan 2013 , 155쪽.
  102. Hasan 2013 , 156쪽.
  103. Rezachevici 1991 , 262쪽.
  104. Florescu & McNally 1989 , 169쪽.
  105. Treptow 2000 , 162쪽.
  106. Andreescu 1991 , 146쪽.
  107. Andreescu 1991 , 147쪽.
  108. Florescu & McNally 1989 , 174쪽.
  109. Andreescu 1991 , 147, 151쪽.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