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ㅿ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標準語 : 半시옷, 文化語 : 反시읏)은 訓民正音 字母 中의 하나로 半齒音 을 表記하는 데에 쓰였다. 現代 韓國語 表記에는 쓰이지 않는다. 餘린시옷, 여린시읏이라고도 한다.

半시옷( 標準語 ), 反시읏( 文化語 )
情報
자명 半시옷( 標準語 ), 反시읏( 文化語 )
訓蒙字會
自願 (시옷)에 劃을 追加
(異體字)
種類 닿소리
劃數 3
로마字 表記
매큔-라이샤워
表記法
z
國語의 로마字
表記法
z
發音
語頭 儒城 齒槽 摩擦音 [z] (推定)
於中 語頭와 同一

歷史

編輯

訓民正音 에서는 ㅿ을 보다는 發音이 여린 것으로 說明한다. 儒城 齒槽 摩擦音 [z] 를 나타내는 것이라 여겨진다. [1] :18 主로 音節 사이의 初聲에서만 쓰였으나, 15世紀 文獻에는 間或 終聲에서의 用例가 보이며, 이 發音 또한 [z] 로 推定된다. [1] :23 한便 中國語를 表記할 때에는 音節 처음에도 쓰였으며, 日本語의 /z/ ( ざ行 ) 發音을 表記할 때에도 쓰였다. [2]

主로 울림소리 사이에서 쓰이던 소리로서 中央語에서는 大體로 16世紀 末에 그 發音이 사라졌으나, ( 지ㅿㅡ니 >지으니, 두ㅿㅓ >두어) 慶尙道 等 一部 地域 方言에서는 主로 ㅅ으로 合流하였다. 例를 들어, “(病 같은 것이) 낫다”의 活用形 ‘나아’는 中世 國語에서 “나ㅿㅏ”로 쓰였다가 ㅿ이 사라지면서 “나아”가 되었는데 東南 方言 에서는 이것을 ‘나사’에 가깝게 소리내고 있다. (只今 쓰는 글字로는 '나사'에 가깝지만 소리값을 생각한다면 '나ㅿㅏ'로 쓰는 것이 가깝다.) 類似한 例示로는 마음, 가을, 겨울, 마을 等 中世에 ㅿ을 包含하던 語彙가 여러 方言이나 固有指名에서 ㅅ系로 나타나는 것이 드러난다. 이들은 ㅿ이 半齒音을 나타내었다는 核心的인 證據가 된다.

漢字表記를 볼 때 訓民正音에서 穰(rang)의 소리와 같다고 되어있어 半齒音은 현대漢語병음(現代漢語?音)에서의 聖母(聲母) r에 가까웠다고 推測할 수 있는데, 이는 英語의 r 發音과는 달리 儒城 捲舌 摩擦音 (/?/)을 發音으로 가지는 것으로서, 淸代 史料에서 獨逸(Germany)를 日耳曼로 表記하는 等 많은 證據에 依해 當時 中國語에서부터 이미 捲舌 摩擦音으로 發音되었다고 看做된다. 다른 수많은 例로는 漢字 人, 二, 閏, 日 等의 中國語 發音 表記에 半齒音이 使用되었는데 이들은 大部分 /?/ 系統의 發音을 聖母로 하며 日本語 漢字音에서도 韓國語의 ㅈ와 같은 破擦音(dz)으로 나타난다. [3] [4]

解放 直後

編輯

1948年 制定된 外來語 表記法인 들온말 적는 法 에서는 [z] 等의 發音을 表記하는 데에 쓰였다.

  • 孔子( k?ngz? ) - 콩ㅿㅡ

1953年의 朝鮮語 新綴字法 에서는 ㄷ 不規則 用言 語幹의 받침으로 썼다.

  • 名士: 아ㅿㆍ (아우), ㅁㆍㅿㆍㅁ (마음)
  • ㅅ 不規則 用言: 나ㅿㅏ (낫+아), 지ㅿㅓ (짓+어), 니ㅿㅓ (닛+어)
  • 特異한 例로 'ㅿ>ㅅ' 또는 'ㅿ>ㅈ'(强化): 몸ㅿㅗ >몸兆(몸소), 손ㅿㅗ >손兆(손수), 남ㅿㅣㄴ >南珍(男便)

方言

編輯

標準語에서는 該當 音價가 사라졌지만( ) 一部 方言에서는 ㅅ의 形態로 남아있다.

中世國語 標準語 方言
餘ㅿㆍ 여우 여시, 麗水
무ㅿㅜ 무우 無視, 無水
ㄱㆍㅿㆍㅀ 가을 가실
겨ㅿㅡㅀ 겨울 겨실
브ㅿㅓㄱ 부엌 부섴, 腐蝕, 부삽, 부석, 부싴, 부수깨
ㄱㆍㅿ愛 가위 가새
ㅁㆍㅿㆍㅀ 마을 마슬, 마실
아ㅿㆍ 아우 아시, 아스
뫼ㅿㅏ리 메아리 메舍利
나ㅿㅣ 냉이 나시
ㅿㅠㅅ

코드 값

編輯
種類 글字 유니코드 HTML
한글 互換 字母 U+317F ㅿ
한글 字母
領域
첫소리 ㅿ? U+1140 ᅀ
끝소리 ㅤ?ㅿ U+11EB ᇫ
漢陽 使用者
定義 領域
첫소리 ??? U+F7D8 
끝소리 ??? U+F8D5 
半角 (없음)

各州

編輯
  1. 고영근 (2010). 《標準 中世國語文法論》 第3板. 서울: 집문당. ISBN  9788930314787 .  
  2. “倭語類解 上” . 《고려대학교 海外韓國學資料센터》 . 2018年 1月 17日에 確認함 .  
  3. 參考로 현대 中國 標準語인 普通火(普通話)에서는 병음 r을 英語 [z]처럼 有聲音으로 發音하지 않게 되었지만, 傷害(上海)를 包含한 周邊 强小(江蘇)나 절강(浙江) 一部 地方 方言에서는 이러한 有聲音 發音이 現存하고 있다. '上海'는 普通火로 shangh?i로 表記되는데, 여기서 sh는 혀를 마는 捲舌音으로, 혀를 말아서 혀끝을 입天障에 대고 ㅅ을 發音하듯 하면 된다. 그러나 上海 等地의 方言인 오어(吳語)에서는 上海의 發音이 'zanghe'처럼 들린다. 이는 오어에서 上의 聖母는 有聲音이라는 것이다. 이와 關聯하여서, 讓의 簡體字가 ?(rang)으로 制定된 것도 바로 이런 理由에서였다고 한다. 新中國 成立 以後, 北京과 東北 地方 一帶 言語가 標準語가 決定되고 이를 表記할 漢字들을 簡略化한 簡體字(簡體字)가 制定되는 過程에서, 使役動詞의 意味로서 日常에서 자주 使用되는 讓도 簡體火 對象이 되었다. 意味를 나타내는 漢字와 音을 나타내는 漢字를 結合하려 새로운 漢字를 만들어 내는 形成(形聲) 原理에 따라 讓자도 簡體化되었는데, 뜻을 나타내는 左邊 言은 草書體 ?으로 간체화된데 비하여, 音을 나타내는 右邊 襄은 發音이 같으면서도 劃數가 簡單한 上字로 代替된 것이다. 이렇게 된 데에는, 簡體火 作業에 參與한 傷害 出身 學者들의 影響이 있었기 때문이다. 오어를 使用하는 傷害 出身 學者들에게 있어, 오어에서의 上과 北京語에서의 讓은 모두 zang에 가깝게 발음되는 有聲音 聲母를 가진 漢字였던 것이다. 이 亦是 近現代 初期까지의 中國語 r 聖母는 有聲音 [z]에 가깝게 發音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二(er)는 普通 [rV]로 變化해야 할 中世 中國語의 /?i?/가 r系統의 不安定한 音韻으로 이어지다가 조금 다르게 標準化된 現代音으로 定着한 것이다.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