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2010年 韓國프로野球 新人 드래프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2010年 韓國프로野球 新人 드래프트

昨年 會議까지는 地域緣故를 바탕으로 한 '1次 指名'과 地域緣故에 相關없이 選手를 指名하는 '2次 指名'으로 區分되어 있었으나, 이番 會議부터 '1次 指名'制度를 廢止하고 '全面 드래프트'制를 導入하였다. [1] 하지만, 1次 指名制度가 廢止되면서 高校 有望株들의 海外流出과 地域 프랜차이즈 스타의 必要性 等을 理由로 다시 부활시켜야 한다는 主張이 프로野球팀 스카우트들을 中心으로 나오고 있다. [2]

한便, 이番 會議는 大韓民國 프로 스포츠의 新人選手 指名 會議 史上 最初로 KBO 홈페이지와 MBC 스포츠+ 채널을 통해 生中繼 되었다.

指名方式 編輯

프로 野球 出帆 以後로 처음으로 全面 드래프트가 이루어지고, 홀數 라운드는 前年度 順位의 逆順, 짝數 라운드는 前年度 順位대로 指名하는 方式이다. 最終 10라운드까지 進行되므로, 팀當 最大 10名까지 選拔이 可能하다.

對象人員 編輯

高卒 豫定者 497名, 大卒 豫定者 244名, 警察廳 6名, 其他 2 名 等 總 749名이다.

指名 結果 編輯

라운드 LG 넥센 KIA 韓華 三星 롯데 두산 SK
1 신정락
(高麗大,投手)
김건태
(振興고,투수)
심동섭
(광주일고,投手)
김용주
(北一考,投手)
임진우
(高麗大,投手)
홍재영
(경남고,投手)
장민익
(哮喘고,투수)
문광은
(동衣襨,投手)
2 이승현
(화순고,投手)
정회찬
(원광대,投手)
임기준
(振興고,투수)
김재우
(北一考,外野)
김현우
(閑民代,投手)
이현준
(야탑高,投手)
이재학
(대구고,投手)
박종훈
(군산상고,投手)
3 유경국
(東姓考,投手)
김대유
(부산고,投手)
이인행
(덕수高,내야)
안승민
(공주고,投手)
정민우
(開城高,捕手)
오태곤
(청원고,내야)
정대현
(성남고,投手)
金正薰
(경희대,捕手)
4 이성진
(경남고,投手)
문성현
(충암고,投手)
임한용
(建國大,外野)
이상훈
(성균관대,外野)
백상원
(단국대,내야)
김근호
(대전고,投手)
金相勳
(경북고,投手)
이재인
(濟州産臺,投手)
5 梨泰院
(동국대,捕手)
이창섭
(경성대,내야)
이제우
(신일고,내야)
이태양
(哮喘고,투수)
김재우
(仁荷大,投手)
변용선
(중앙대,捕手)
金俊昊
(경남고,外野)
최윤석
(홍익대,내야)
6 김창혁
(부산고,捕手)
안규성
(善隣인고,투수)
김태훈
(영남대,捕手)
김동빈
(서울고,내야)
안성필
(영남대,外野)
황성웅
(홍익대,投手)
문상철 [3]
(배명고,내야)
李相伯
(경성대,投手)
7 유재호
(대구고,外野)
이해창
(漢陽大,捕手)
홍재호
(高麗大,내야)
김경태
(동산고,投手)
이규대
(대불대,投手)
이정윤 [4]
(경남고,내야)
江白山 [5]
(광주일고,外野)
김문홍
(디지털文藝臺,내야)
8 配民館
(야탑高,投手)
임성학
(동衣襨,外野)
이정훈
(충암고,投手)
김경도 [4]
(덕수高,내야)
길태곤
(開城高,投手)
오윤석
(경기고,내야)
김건효
(장충고,내야)
조성우
(閑民代,내야)
9 김지용
(영동대,投手)
장종덕
(영남대,내야)
최유진 [6]
(서울고,外野)
유宰相
(江陵永同大,捕手)
문선엽
(마산고,外野)
안상민 [7]
(경남고,外野)
조윤성
(경기고,外野)
최원재
(성균관대,投手)
10 최우정
(北一考,내야)
이성곤
(경기고,내야)
김민곤 [8]
(龜尾專攻,投手)
김선민
(홍익대,내야)

※'ㄹ'字 方式으로 指名 順序를 定함.

參照 編輯

  1. “프로野球 全面 드래프트, 史上 첫 導入” . 뉴시스. 2007年 1月 31日 . 2009年 6月 21日에 確認함 .  
  2. “프로野球 스카우트들 '1次 指名 復活하자 ' . 일간스포츠. 2009年 4月 21日 . 2009年 6月 21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3. 高麗大學校 進學
  4. 高麗大學校 進學
  5. 인하대학교 進學
  6. 圓光大學校 進學
  7. 東國大學校 進學
  8. 경남대학교 進學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