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궁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궁이 을 때기 위하여 만든 구멍 이다. 나무 , 石炭 , 煉炭 燃料 를 投入하는 暖房用 暖爐 와 炊事用 火덕 入口를 말한다.

韓國의 아궁이

編輯
 
韓國 부엌 가마솥 이 놓인 아궁이 - 堤川市 청풍면 황석리에 忠州댐 水沒로 移轉한 保存家屋

救助

編輯

傳統 韓屋 부엌 에 있던 施設로,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면 아궁이 위에는 가마솥 을 얹어 飮食 을 調理하고, 아궁이 뒤로 빠져나간 熱氣는 고래를 따라 房을 데우는데 쓰이고, 식은 空氣는 굴뚝 으로 빠져나간다.

溫突構造는 無定形의 自然石을 괴임돌로 支持시켜 그 위에 自然石板을 깔아 그 사이의 空隙은 진흙과 돌로 막고 그 위를 반죽된 흙으로 超새를 한 다음 壯版을 깔고 마무리를 했다. [1]

溫突은 더운 空氣가 아래에서 위로 빠져나가는 原理를 利用하고 있어, 아궁이는 恒常 구들장 보다 낮은 곳에 있어야 하므로, 아궁이가 있는 부엌은 房 바닥보다 50 cm ~ 1 m 程度 낮게 만들었다.

부뚜막

編輯

부뚜막 은 아궁이 위 가마솥 이 놓인 언저리로 흙과 돌을 쌓아 扁平하게 만들어, 솥의 飮食을 담아내는 그릇을 두거나 簡單한 飮食 材料를 準備하는 곳이다.

歷史

編輯

傳統的으로 아궁이에는 나무 , 잔가지, 나뭇잎 等의 땔감 이나 통나무 를 길쭉하게 잘라서 쪼갠 땔나무人 長斫 을 썼다.

解放 後 住居 暖房用 燃料價 草木에서 煉炭 으로 代替되어 煉炭 아궁이로 바뀌었다. 煉炭 아궁이는 便利했지만, 溫突 틈사이로 一酸化炭素 가 漏出되어 많은 人命被害를 입혔다. [2]

現代 住宅에는 이런 立體的인 構造로 만들기가 곤란할 뿐 아니라 長斫 等 燃料 調達에 어려움이 있고, 火災의 念慮나 煙氣 發生 等 여러 가지 不便한 點 때문에 예전의 溫突 機能은 기름 , 가스 , 電氣 等을 利用한 보일러 施設로 바뀌었고, 가마솥 의 飮食 調理 施設은 가스레인지 等으로 代替되었다.

共營아파트에서도 1980年代부터는 부엌이 立式으로 設置되면서 暖房方法度 煉炭 아궁이 式에서 보일러 로 바뀌었고, 부엌과 마루가 統合된 形態로 시공되었다. [2]

기타

編輯

아궁이에서 熱 損失이 없도록 入口에 鑄鐵로 門을 달아 두는 境遇도 있었다. 煉炭 아궁이로 變遷되었을 때는 아궁이 周圍의 熱損失 防止를 위해 煉炭 火덕을 레일式으로 만들어 溫突 內部에 집어 넣기도 했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김현산 (1971年 6月). “韓食溫突의 規格化 및 改良에 關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15 (40).  
  2. 우동주, 윤도근 (1991年 2月). “아파트 空間 變容面으로 본 주거자의 生活 形態에 關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