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벨리사리우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벨리사리우스

비잔티움 帝國의 將軍

플라비우스 벨리사리우스 (Flavius Belisarius, 505年 - 565年)는 東로마 帝國 의 名匠이다. 西洋 歷史에서 손꼽히는 軍事 指揮官 [1] [2] 으로 사산조 페르시아 , 반달 王國 , 고트族 , 게르만족 을 相對로 帝國 의 故土를 回復한 專攻으로 有名하다.

벨리사리우스
Βελισ?ριο?
라벤나의 산비탈레 성당에 있는 모자이크에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왼편에 위치한 벨리사리우스로 여기지는 인물
라벤나 산비탈레 聖堂 에 있는 모자이크에서 유스티니아누스 1歲 왼便에 位置한 벨리사리우스로 여기지는 人物
出生地 505年 警
게르마네 (오늘날 불가리아 사파레바 바냐 )
死亡地 565年 3月 警 (50/60歲)
칼케돈 루피니아나이
配偶者 안토니나
服務 동로마 제국의 기 東로마 帝國
勤務 비잔티움 帝國 陸軍
最終階級 마기스테르 밀리툼

유스티니아누스 1歲 時期에 活動했다.

初期 生涯 編輯

일리리아 (現在 유고슬라비아 )에서 태어나 젊어서부터 軍에 入隊했다. 530年 다라의 戰鬪 에서 死産 帝國 의 軍隊와 싸워 勝利했으나 531年 유프라테스江 가의 칼리니쿰의 戰鬪 에서 完敗, 페르시아와 强化를 맺었다. 532年 콘스탄티노폴리스 에서 將校가 되었다.

軍事的 業績 編輯

 
유스티니아누스 1歲 皇帝 가 卽位하던 時點의 領土와(붉은색) 그의 在位 期間 中에 擴張된 비잔티움 帝國의 領土(오렌지色). 벨리사리우스가 많은 寄與를 했다

반달족과의 戰爭 編輯

533年 아프리카 로 航海해 레프키스 마그나 近處에 上陸, 當時 반달族 이 首都로 하고 있던 카르타고 로 向했다. 반달왕국의 王 겔리메르 를 맞은 벨리사리우스의 東로마軍은 카르타고에서 10마일 떨어진 곳에서 아드 데키미움의 戰鬪 를 벌여 完敗했다. 그러나 겔리메르의 조카가 戰鬪에서 죽어 戰爭에 集中하지 못하고 있는 사이 戰列을 가다듬은 벨리사리우스는 티카메론의 戰鬪 에서 半달君을 擊破, 534年 降伏하게 만들었다.

동고트족과의 戰爭 編輯

535年, 유스티니아누스 皇帝는 나르세스 동고트 王國 戰線에서 解任하고 벨리사리우스를 投入했다. 벨리사리우스는 빠르게 시칠리아 를 占領하고 이탈리아 本土로 進擊했다. 536年 나폴리 로마 를 收復하고 540年 동고트 首都인 라벤나 를 占領했다. 동고트족을 東로마 皇帝는 믿지 않았지만 벨리사리우스는 괜찮다고 여겨 그에게 王國 折半을 주었고, 벨리사리우스는 이에 王冠을 받았는데 이것이 皇帝의 憤怒를 샀다.

首都로 돌아온 벨리사리우스는 바로 사산조 페르시아 戰線에 재투입되었으며, 빼앗긴 시리아 를 놓고 페르시아와 한동안 交戰을 벌이다가 545年 金 5千 파운드를 戰爭 補償金으로 페르시아에 넘겨주는 代身 페르시아軍이 로마령을 5年間 侵攻하지 않는 것으로 强化協定을 맺었다.

541年 벨리사리우스가 이탈리아로 돌아오자 狀況은 달라져 있었다. 그가 擁立한 동고트 王 日디바드 는 暗殺되었고 土틸라 가 王이 되어 있었으며, 土틸라의 동고트軍은 東로마君을 무섭게 몰아내고 있었다. 벨리사리우스는 土틸라에 對해 攻勢로 들어갔으나, 머지않아 유스티니아누스 皇帝에 依해 나르세스 로 交替되었다.

末年 編輯

559年 벨리사리우스는 도나우江 을 건넌 不可르族 戰線에 投入되어 그의 長壽로서 經歷의 마지막 勝利를 거두었다.

562年 벨리사리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橫領 嫌疑로 告訴되어 懲役이 宣告되었으나, 現代 硏究者들에 따르면 프로코피우스 가 꾸며낸 謀陷이었다. 皇帝는 곧 벨리사리우스를 풀어주었다.

565年 벨리사리우스와 유스티니아누스 皇帝가 모두 世上을 떠났다.

같이 보기 編輯

  1. Whitby, L. M. (2015年 12月 22日). “Belisarius, c. 500?565 CE” . Oxford University Press.  
  2. J. P. Karras (2009). “<i>Belisarius, The Last Roman General</i> (review)” . 《The Journal of Military History》 73 (4): 1303?1305. doi : 10.1353/jmh.0.0377 . ISSN  1543-77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