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무타파 帝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무타파 帝國 ( 포르투갈語 : Monomotapa , Empire of Great Zimbabwe )은 1250年 부터 1629年 까지 南아메리카 隣近에 現在의 짐바브웨 모잠비크 의 領域을 차지하던 中世 帝國이다. 現在까지도 大帝國의 榮光이 遺産으로 남아 수많은 觀光客을 모으고 있기도 하다.

무타파 帝國
Mwene we Mutapa

1430年 ~ 1760年
문장
文章
수도 즈봉곰
政治
政治體制 帝國
므웨네無타파
1430年頃 ~ 1450年頃
1740年 ~ 1759年

냐트심바 무投打(初代)
데흐웨 무푼자舊套(말대)
立法府 그바라
지리
面積 700,000 km 2
人文
公用語 쇼나語 , 칼랑加魚
宗敎
宗敎 마와리 信仰

어원

編輯

무타파(Mutapa)라는 單語는 征服한 垈地라는 뜻이며 土着語로 王은 mwene 로 불리면서 征服王 或은 神이 내린 者라는 뜻으로 불렸다. 때문에 무타파 帝國의 또다른 이름은 Mwene Mutapa 이다. 여러 帝國 歷史書에는 이러한 名稱에 對해 說明한 文句가 發見되고 있다.

歷史

編輯
 
무타파 帝國의 타워

帝國은 로즈非(Rozvi)라는 사람이 建國했다고 여겨지는데 現代의 쇼나족 先祖가 된다. 統治 王朝의 先代는 므비르 王朝라고 불렸으며 13世紀에 影響力을 떨쳤다. 그 大義 훨씬 아래 後孫인 니아심바(Nyatsimba)가 무타파 帝國의 基本的인 기틀을 닦은 사람으로서 쇼나족의 祖上 中에서도 英雄 中 英雄으로 손꼽힌다. 陶瓷器나 천이 海岸을 따라 金의 交易物로 쓰였다. 1400年까지도 勢力을 維持했지만 머잖아 國家 基盤이 흔들리면서 350km 北쪽으로 薦度하게 됐다. [1]

포르투갈 人들이 쇼나족의 王國을 征服하려 했지만 數年동안 征服에 失敗했다. 그러는 동안에 무타파 帝國은 포르투갈의 攪亂 作戰에 依해 많은 領土를 잃고 周邊國에 服屬 或은 포르투갈人의 金 掠奪에 利用됐다. 當時 周邊 强大國은 잔지바르와 키와 帝國이었다. [2]

後에 줄루族 이 南下하면서 南아메리카 一帶와 잠베지 江 以北 地帶로 流入되자 다시 國力에 打擊을 입는다. 深刻한 가뭄에 시달리면서 많은 住民들이 다른 곳으로 移住했고 마침내는 1629年 포르투갈 勢力에 依해 滅亡했다.

엘도라도

編輯

무타파 帝國의 豐富한 金鑛 保有는 포르투갈人의 입所聞을 통해 유럽 全域으로 퍼지면서 聖經 에 明示돼 있는 솔로몬 王 의 金鑛에 對한 誘惑을 불러일으켰다. 聖經 句節에 적혀 있는 傳說的인 金鑛은 솔로몬 王이 오필이라는 地方에서 찾았다고 傳하는데 유럽人들이 무타파 帝國의 領土 一帶를 그곳으로 믿게 된 것이다. 때문에 1500年代 포르투갈 艦隊와 여러 사람들이 南아메리카 一帶를 파헤치고 다닌 것은 全혀 異常한 일만은 아니었다. 여러 記錄에 따르면 유럽人들이 무타파 帝國을 통해 엘도라도 를 꿈꿨다고도 하며 初期 植民 開拓者들은 分明 그러하였다. 그러나 머지 않아 金鑛의 資源이 枯渴되고 帝國 내 領土에서 더 以上의 金이 採掘되지 못하게 되면서 金鑛 貿易의 映畫는 곧 사라진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5, CUP, Cambridge, 1981
  2. Fernand Braudel|Braudel, Fernand,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vol III of Civilization and Capitalism 1979 (English translation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