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逆發想] 18世紀에는 왜 宮闕에 虎狼이가 자주 出沒했을까

中央日報

入力

업데이트

MBC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정조 [사진 MBC]

MBC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正祖 [寫眞 MBC]

"범을 잡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옵니다. 하오나 東宮(正祖)은 쉽게 해냈지요…신은 一瞬 이런 생각이 들었나이다. 저리도 쉽게 범을 잡을 재주가 있다면 用度 잡을 수 있지 않을까."

MBC 史劇 ‘옷소매 붉은 끝동’의 일부. 東宮 이산이 部隊를 이끌고 宮에 나타난 虎狼이를 잡자, 이에 對해 左議政 홍인한은 英祖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英祖와 正祖 사이를 離間질하려는 意圖입니다.
正祖가 東宮 時節 宮闕에서 虎狼이를 잡았다는 記錄은 없습니다. 다만 正祖는 都城 안에서 虎狼이를 剔抉하는데 매우 關心을 기울였다는 것만큼은 事實입니다.

虎狼이 사냥을 勸奬한 朝鮮
朝鮮은 國初부터 虎狼이 사냥을 組織的으로 推進했습니다. 朝鮮의 精銳 兵力인 甲紗(甲士)에서 捉虎甲士(捉虎甲士)라는 虎狼이 專門 사냥部隊를 組織하는가 하면, 地方 守令들에게도 每年 一定量의 虎狼이 가죽을 稅金 名目으로 納付하도록 指示했습니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捉虎甲士(440名)와 全國의 各 州(州)·部(府)·郡(郡)·縣(縣)에서 選拔한 착號인(捉虎人)은 約 1萬名에 達했습니다. 이들은 全國 330餘個 郡縣에서 每年 440~740마리의 虎狼이를 잡았던 것으로 推定됩니다.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호랑이, 표범의 서식 분포'에서 인용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虎狼이, 豹범의 棲息 分布'에서 引用

“守令이 1年에 虎狼이 10마리 以上을 잡으면 階級을 더하는데, 도둑을 잡는 것은 논上하는 法이 없습니다”(『성종실록』20년 3月 15日)는 記錄은 當時 朝鮮이 얼마나 虎狼이 잡기에 血眼이 되어 있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國家的으로 虎狼이를 잡다 보니 제아무리 虎狼이라도 남아나기 어렵겠지요. 17世紀에 접어들면 稅金으로 納付해야 할 虎狼이 가죽을 求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인조 11年(1633年) 全羅道 務安縣監이던 신즙은 “每年 겨울 석 달 동안 잡은 게 겨우 1~2마리”라고 하소연했을 程度니까요.

무서워하면서도 숭배했던 존재인 호랑이 [Getty Images Bank]

무서워하면서도 崇拜했던 存在인 虎狼이 [Getty Images Bank]

이때문에 地方 守令들은 市場이나 다른 고장에서 虎狼이 가죽을 購入해 政府에 바치기 始作했고, 이 費用은 고스란히 百姓들의 몫이 됐습니다. 결국 영조는 “백성을 위해 害를 없애려는 데에서 나온 것이나, 虎狼이를 잡기가 쉽지 않고, 다만 쌀과 베만을 徵收하고 있으니 그 해가 도리어 虎狼이보다 더 甚하다”며 虎狼이 가죽을 그만 거두도록 指示합니다.

虎狼이 사냥에 積極的이었던 正祖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46년간 在位한 肅宗 時代에 單 한 番도 宮闕에 나타나지 않았던 虎狼이가 英祖 時代에 宮에 出沒했다는 記錄이 나옵니다.
英祖 20年(1744年) 1月 9日 "社稷의 西쪽 담牆 밖에 虎狼이 발자국이 狼藉했다"거나 英祖 27年(1751年) 6月 9日 "虎狼이가 景福宮에 들어왔다"는 記錄이 代表的입니다. 正祖가 卽位한 뒤에도 正祖 卽位年(1776年) 9月 20日 昌德宮에 虎狼이가 들어온 痕跡이 發見됐고 正祖 1年(1777年) 9月 19日에는 "虎狼이가 宮闕 擔當 밖에서 兵卒을 물어갔다"는 記錄이 나타납니다. 結局 正祖 2年(1778年) 9月 5日엔 宮闕 後援에서 虎狼이를 잡기도 했습니다.

MBC 사극 '옷소개 붉은 끝동'에서 궁궐에 나타난 호랑이 [사진 MBC]

MBC 史劇 '옷紹介 붉은 끝동'에서 宮闕에 나타난 虎狼이 [寫眞 MBC]

MBC 史劇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虎狼이를 잡는 場面은 아마도 이때의 記錄을 모티브로 삼았을지도 모릅니다.
正祖는 移轉 國王에 비해 虎狼이를 잡는데 매우 積極的이었습니다. 例를 들어 正祖 7年(1783年) 訓鍊大將 구선복이 仁王山 隣近에서 사흘동안 虎狼이 세 마리를 잡자 "사흘 안에 세마리의 虎狼이를 잡은 것은 以前에 別로 듣지 못한 日"이라며 "경의 威嚴이 士卒들에게 行해져서 그런 것인가, 아니면 士卒들의 能力이 다른 部隊보다 나아서 그런 것인가"라며 施賞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訓鍊都監을 激勵하면서도 競爭 關係인 다른 部隊, 卽 御營廳과 禁衛營에게 奮發을 促求하는 뉘앙스를 傳達한 것이죠.

 MBC 사극 '옷소개 붉은 끝동'에서 궁궐에 나타난 호랑이를 사냥하는 모습 [사진 MBC]

MBC 史劇 '옷紹介 붉은 끝동'에서 宮闕에 나타난 虎狼이를 사냥하는 모습 [寫眞 MBC]

그래서일까요. 다음 달에는 御營廳이 惠化門 밖에서 豹범을 세 마리 잡고, 禁衛營이 虎狼이 2마리를 잡아 바칩니다.
그러자 正祖는 "以前의 數値를 씻을만하니 卿을 위해 매우 다행스럽다. 다시 더 잡아서 바친다면 禁衛營의 공이 으뜸이 될 것이다"라고 言及하며 亦是 競爭과 奮發을 促求합니다.
또 正祖는 領議政 김상철과 論議해 都城 周邊에 숲이 鬱蒼한 곳은 나무를 베어내도록 指示하는 等 根本的인 虎狼이 撲滅을 苦悶하기도 했습니다.

農業과 小氷期가 虎狼이를 벼랑에 몰다
그렇다면 이 時期에 왜 虎狼이가 都城과 宮闕에 侵犯하는 일이 잦아지게 됐을까요.
最近 生態學界에서는 벼랑 끝에 몰린 虎狼이들의 마지막 몸부림이었을 것으로 解釋합니다. 무슨 이야기냐고요?

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

白頭大幹樹木園 虎狼이

農業 國家인 朝鮮은 일찍부터 農地 開墾을 奬勵했습니다. 건국 直前인 高麗末 79萬8000結이었던 耕作地 面積이 世宗 때는 171萬結로 2倍 急增했을 程度입니다. 虎狼이가 많이 살았을 것으로 推定되는 平安道만 해도 太宗 때 耕作 面積이 6648結에 不過했는데 17世紀엔 15萬結이 됐을 程度로 暴發的인 開墾이 進行됐습니다. 초목이 茂盛하고 物價가 가까운 낮은 丘陵地帶에 즐겨 살았던 虎狼이로서는 居住 空間이 侵犯당하는 일이었죠.
여기에 壬辰倭亂이 끝난 뒤 朝鮮의 人口 膨脹은 이런 現象을 더욱 부채질하게 됩니다. 都市나 마을에서 밀려난 사람들은 山에서 火田을 일궜는데, 이런 過程은 必然的으로 虎狼이의 活動 空間을 더욱 위축시킬 수밖에 없었습니다.

온돌은 17세기 소빙기 이후 한반도 남부까지 확산됐으며 막대한 산림이 사라졌다. [중앙포토]

溫突은 17世紀 小氷期 以後 韓半島 南部까지 擴散됐으며 莫大한 山林이 사라졌다. [中央포토]

또하나 決定的인 變數는 氣候였습니다.
17世紀부터 유럽과 아시아 等 北半球에는 小氷期가 몰아쳤는데, 날씨가 추워지자 韓半島에는 溫突이 南部까지 擴散되기 始作합니다. 溫突 普及이 擴散되면서 땔감 需要도 急增했고, 이것은 大大的인 숲의 伐木으로 이어지게 됐습니다.

山이 사라지자 形便이 어려워진 虎狼이의 狀況을 日本 學者 우에다 마코토는 이렇게 說明했습니다. "溪谷의 숲이 잘려져 나갔다…멧돼지가 좋아하는 도토리가 없다. 벌레를 먹는 새들의 모습도 적어 새알을 노리는 動物들도 모여들지 않는다. 그래서 虎狼이의 飮食은 顯著히 적어졌다. 虎狼이는 山등성이로 내몰려 굶주린 채로 마을의 家畜을 襲擊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온돌 시스템 활용 [중앙포토]

韓國의 溫突 시스템 活用 [中央포토]

이와 別個로 警備가 森嚴한 朝鮮 宮闕에 虎狼이가 자주 出沒한 것은 朝鮮의 建築 特性에서 찾기도 합니다.
中國이나 日本 等과 달리 朝鮮의 宮闕은 周邊이 山으로 둘러싸여 있고, 곳곳이 溪谷과 이어지는 等 自然親和的 立地를 갖고 있습니다. 이같은 環境이 虎狼이가 머물고 移動하기에 매우 좋았다는 것이죠.

中國도 狀況은 비슷 
한便 虎狼이가 사라지는 現象은 中國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6世紀 들어 貿易과 産業의 發展이 맞물리며 더욱 加速化했습니다.
1571年 스페인은 필리핀 마닐라에 據點을 定하고 볼리비아 等에서 採掘한 銀을 利用해 中國에서 緋緞이나 陶瓷器 等을 大量으로 購入했습니다. 이른바 '大航海時代'의 世界化 過程입니다.
여기서 莫大한 銀을 벌어들인 中國은 이런 資本을 利用해 大規模 農地 開發에 나서기도 했고, 商人들은 곳곳에 豪華로운 大規模 邸宅을 세우는 現象이 벌어졌습니다. 모두 急速度로 숲을 사라지게 만든 要因이 됐습니다.

클로비스기의 이동과 북아메리카 대형동물의 멸종

클로비스期의 移動과 北아메리카 袋形動物의 滅種

人間의 繁榮과 動物의 生存이 서로 相衝하게 되는 일은 人類의 歷史에서 反復되어 왔습니다.
1萬3000年 前 아시아에서 北아메리카로 人間이 건너간 뒤 大型 哺乳動物들이 滅種했다는 이른바 '클로비스期의 大虐殺' 같은 事件이 代表的으로 擧論되기도 합니다. 또 흔히 '親環境'으로 描寫되고 있지만 事實 農業이야말로 動物들의 生活 空間을 萎縮시키고 滅種에 寄與한 産業입니다.

最近 코로나19 等 各種 傳染病의 猖獗을 人間의 지나친 破壞나 侵犯에 對한 自然의 反擊으로 解釋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인류와 自然의 共存을 摸索하려는 努力이 이어지고는 있습니다만, 開發途上國에서는 開發을 늦추기 어려운 形便이고, 世界 人口가 如前히 膨脹을 거듭하는 狀況이다 보니 解答을 簡單히 求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 記事는 김남신·차진열·이승은·임치홍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虎狼이, 늑대, 豹범의 棲息分布」, 홍형순 「환경사 觀點에서 본 朝鮮時代 宮闕에 범과 豹범의 出沒」, 우에다 마코토 「虎狼이가 말하는 中國史」를 參考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